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적 특성의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연령인지의 매개효과

        김미령(Kim, Meer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노인의 신체, 심리, 사회적 특성의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연령인지의 삶의 만족도에의 매개효과를 파악한 연구다. 연구대상은 7차 패널자료 조사 시 만65세 이상으로 표본 크기는 3,489명이다. 노인의 신체적 요소로는 주관적 신체건강, 심리적 요소로 자기효능감, 사회적 요소로 대인관계와 직장이 독립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역연령은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독립변수로 사용되었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바론(Baron, R. M.)과 케니(Kenny, D. A., 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신체건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는 모두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를 높였다. 또한 직장유무에 따라 노후연령인지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후연령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표준화회귀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직장유무에 따른 노후연령인지 영향 차이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역연령, 주관적 신체건강, 대인관계, 자기효능감순이었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정도를 보면 신체건강, 직장유무, 결혼유무, 자기효능감 순이었다. 노후연령인지는 주관적 신체건강, 자기효능감, 대인관계, 직장을 모두 부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역연령이 노후연령인지를 높이는데 유의한 것은 노인들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노인임을 인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고령사회를 목전에 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노후연령인지를 높게 보는 것을 통하여 노인의 연령 상향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 볼 때라고 사료된다. This study uses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panel data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old age, life satisfaction and whether it has mediating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years old or older at the 7th panel survey and the sample size was 3,489. Subjective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workplac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Since age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recognition of old age, age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for data analysis, and Sobel test of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subjective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ll increased the recognition of old age, and having a job or no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aising the recognition of old age. When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compare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old age whether they have a job or no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ge, subjective physical heal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The recognition of old ag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by partially mediating physical health,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job. Age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ed the recognition of old age. This implies that older individuals are not aware that they are older as they get older. As Korea will be considered a super-age society by 2025, it may be time to redefine old age, from 65 to 70.

      • KCI등재

        노인의 인지연령과 주거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과의 관계 - 침실과 거실공간을 중심으로 -

        오찬옥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3

        Many housing alternatives and design guidelines for the elderly have been suggested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of old persons.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fixtures. They do not address on interior style which affects on interior mood. The interior style is especially important to the elderly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indoor space, such as housing unit or nursing home. On the base of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ere the elderly lives are and whether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ognitive ages, or not. The subject were 202 old persons who lived in Busan. Their ages were more than 65 years. They were interviewed by using 3D images of bedroom and living room. Each one consisted of three interior styles; Korean traditional style, Western classical style, and modern styl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The interior style of bedroom and living room which the old persons lived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derly's cognitive ages. The younger the old persons'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modern style. Also, the older their cognitive ages were, they lived in bedroom or living room of Korean traditional styl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gnitive age of the old persons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design which they live. Also, it implies that the elderly are not one homogeneous group, but a heterogeneous one. 고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노인주택대안과 지침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침들이 주택 내부의 공간구성과 가구설비 등과 관련된 내용들이며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실내공간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이 무엇이며 이 인테리어 스타일이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다양한 유형의 노인주택 뿐 아니라 노인요양시설의 입원실과 공동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일대일 면담조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인테리어 스타일은 3D 이미지로 표현된 3개의 스타일, 즉 한국전통 스타일과 서양고전 스타일 및 현대 스타일의 침실과 거실을 각각 1장에 배치하여 보여주면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 및 거실과 가장 가까운 것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노인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은 입식과 좌식이 반반 정도씩 되었으며 바다마감도 합성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반 정도 되었으며 나머지는 전통장판과 나무 바닥이었다. 많은 노인들이 침실에는 옷장과 이불장, 침대를 두고 있었으며 거실에는 소파, 탁자, 장식장을 두고 있었다. 둘째,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모두 한국전통, 현대, 서양고전 스타일의 순으로 한국전통 스타일과 현대 스타일이 많은 편이었으며 젊은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공간에서, 연령이 있는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공간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셋째,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침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인지연령 즉 노인의 감성, 외모, 행동, 관심연령이 40대인 노인은 서양고전 스타일의 침실에서, 50대인 노인은 현대 스타일의 침실에서, 80대인 노인은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넷째, 노인의 인지연령 중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에 따 라 노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의 외모연령과 관심연령이 젊을수록 현대 스타일의 거실에서 거주하고 두 연령이 많을수록 한국전통 스타일의 침실에서 거주하는 성향을 보였다. 다섯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의 인지연령에 따라 노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침실과 거실의 인테리어 스타일은 유의미하게 달랐다. 이는 곧 노인의 인지연령은 실내디자인의 특성을 결정해주는 요인 중의 하나임을 말해주는 것이며 따라서 노인 관련 연구를 진행할 때 노인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연령도 중요한 변수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실버시장의 광고 커뮤니케이션 수용 특성에 관한 연구

        조경섭,석중건 한국소통학회 2007 한국소통학보 Vol.8 No.-

        우리 사회도 이제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 인구의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노인을 주 고객으로 하는 시장의 규모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버 시장에 접근하고 있으며, 노인 소비자의 마음을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시장상황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노인 소비자의 광고 커뮤니케이션에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일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인 소비자의 광고 커뮤니케이션 수용에 관한 태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연령이 실제연령보다 낮을수록 젊은 광고모델을 신뢰하는 태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들은 자신의 실제 나이보다 젊다고 느낄수록 광고모델도 젊은 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연령이 실제연령보다 낮을수록 광고 커뮤니케이션을 수용하는 태도의 감성적 차원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들은 자신의 실제 나이보다 젊다고 느낄수록 광고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인지연령과 실제연령의 차이가 미미한 경우에는 오히려 조금 젊게 보인다고 생각하는 노인에 비해 인지연령과 실제연령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노인들의 신제품 수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인지연령이 실제연령보다 매우 높은 경우에는 신제품에 대한 수용태도에서 인지연령이 낮은 층에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ld-age society is coming due to the rapidly growing old population. The markets targeting old people are also growing fast. Various companies are approaching and trying to attract the silver markets. Considering this tendency of the markets,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the old consumers in accepting advertising communication messages in order to be of help to build effective advertising strateg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ld consumers with higher chronological age and lower perceived age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younger models in advertisements. In other words, those old respondents who think they are younger than real age tend to prefer younger ad. models. Second, those consumers who think they are younger than real age show positively affec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communication and evaluate it high. Third, in case of those group of old people with much greater perceived age, positive attitudes are resulted from those with relatively younger perceived age. However, in case of those group of old people with slight different or the same perceived and chronological ages, more positive attitudes are resulted from those with the less difference in the two ages.

      • KCI등재

        연령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전산화 인지재활이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배원진,박용광,최용원,한승협,감경윤 대한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1 No.2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50대, 60대, 70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1년 6월 1일부터 동년 9월 30일까지 부산에 위치한 I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뇌졸중 진단을 받고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50대, 60대, 70대 각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n; MMSE-K) 점수 18점 이상 23점 이하의 환자이며, 중재는 1회 30분씩, 주 3회, 9주 동안 Rehacom을 이용한 전산화 인지재활이 제공되었다. 중재 전과 중재 3주, 6주, 9주에 걸쳐 인지기능을 비교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 간이정신상태검사(Korean Modifi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3MS)과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정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 와 기능적 독립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을 시행하였다. 결과 : 중재 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 50대, 60대, 70대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중재가 진행되면서 각 집단의 NCSE와 K3M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공분산 분석에 의하면 중재 후 세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상생활활동 분석결과 50대 군은 중재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60대와 70대는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중재 후 세 집단 간 비교 시 FIM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연령에 따른 인지기능의 회복정도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전산화 인지재활을 통한 K-3MS의 점수향상과 연령은 MBI점수와 FIM점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Rehacom)이 발병일로부터 24개월이 경과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인지기능 향상은 고연령층에서 일상생활활동에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나 연령이 높은 환자에게도 전산화 인지재활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uter-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ACR)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chronic stroke patients in their 50s, 60s, and 70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at I Hospital in Busan from June to September, 2011. Thirty participants who passed the 24-month stage from stroke onset were grouped into three age groups: 50s, 60s and 70s. CACR was performed using Rehacom 30 minutes a day, three days a week, for nine weeks.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patients were assessed using their K-3MS and NCSE scores, and their ADL performances were assessed through their FIM and MBI scores. The assessments were performed four times: before training, after 3 and 6 weeks of training, and at the end of 9 weeks of training. Results : Before training, the cognitive functions and ADL performances of th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ge groups (p<.05). As time passed, the K-3MS and NCSE scores of the three age groups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3MS score among the three groups after training. Analysis results of the ADL performanc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tients in their 60s and 70s, but not those in their 50s. After training, the FIM scores of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5). Analysis results of th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recovery on their ADL performances showed that an improvement of their K-3MS scores based on CACR and age are factors influencing their MBI and FIM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showed that CACR using Rehacom is effective for an improve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ADL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24 months after onset. This was more effective for those in their 70s than those in their 50s and 60s. This study suggests that CACR is an effective tool for elderly chronic stroke patients.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 차이

        이현주(Hyun Joo Lee),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노년기 인지저하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그리고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인지기능 유지와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령화패널조사 2차년의 6,437명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일반선형모형(GLM)과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인지기능은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 사이에서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노인에서 더 급격한 인지저하가 나타나, 고령과 초고령에 이를수록 여성노인과 남성노인 간 인지기능 격차가 더 커졌다. 이는 연령과 독립적으로 성별이 인지기능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인지기능에 대한 영향요인이 연령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첫째, 친한 사람들과의 만남횟수, 건강상태, 우울, 운동과 같이 변화 가능한 요인들이 본격적인 인지저하가 나타나기 이전인 연소노인 집단에서부터 인지기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인지기능 유지를 위한 예방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중고령 노년기에는 다른 연령기에 비해 건강 관련 요인들이 인지기능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으로 갈수록 인지저하에 대한 위험요인의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주목할 점은 배우자 유무, 만남횟수, 참여모임수와 같은 사회관계적 특성의 영향력이 고령노인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75세 이상의 고령 노인일수록 공식적·비공식적 관계망에 기반한 활발한 교류가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인지기능에 대한 이해와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gnitive functioning among elderly varies by age and gender, and whether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ing vary by three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old(55-64), the middle old(65-74), and the old old(75+). This paper intends to develop useful implications for maintaining cognitive functioning and preventing cognitive declines. Subjects were 6,437 elders aged 55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eneral linear model(GLM)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ing was the mos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ld old and the oldest old. The GL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gender. The degree of cognitive decline was more remarkable among females than males, indicating that females presented much faster cognitive declines than males with age. The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several differences in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ing across the three age groups. First, some correctable factors, such as friend/neighborhood relations, health status, depressive symptoms, and regular exercise,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young old. Second, health related factors, such as IADL, depressive symptoms, and regular exercise, presented larger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middle old. Third, some factors had a stronger impact on the cognitive functioning as people grow older. Notably, social relations factors, including spouse, friend/neighborhood, and social participa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old old. This suggests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is very important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in elderly populations aged 75 and ov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인지기능의 성별 및 연령 차이

        이현주,강상경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This study examines whether cognitive functioning among elderly varies by age and gender, and whether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ing vary by three age groups such as, the young old(55-64), the middle old(65-74), and the old old(75+). This paper intends to develop useful implications for maintaining cognitive functioning and preventing cognitive declines. Subjects were 6,437 elders aged 55 years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eneral linear model(GLM)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ecline of cognitive functioning was the mos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ld old and the oldest old. The GL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gender. The degree of cognitive decline was more remarkable among females than males, indicating that females presented much faster cognitive declines than males with age. The results of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several differences in risk factors of cognitive functioning across the three age groups. First, some correctable factors, such as friend/neighborhood relations, health status, depressive symptoms, and regular exercise,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young old. Second, health related factors, such as IADL, depressive symptoms, and regular exercise, presented larger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the middle old. Third, some factors had a stronger impact on the cognitive functioning as people grow older. Notably, social relations factors, including spouse, friend/neighborhood, and social participa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old old. This suggests that active participation in the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is very important for preventing cognitive decline in elderly populations aged 75 and ove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년기 인지저하가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그리고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인지기능 유지와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함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고령화패널조사 2차년의 6,437명에 대한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일반선형모형(GLM)과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인지기능은 고령노인과 초고령노인 사이에서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증가할수록 여성노인에서 더 급격한 인지저하가 나타나, 고령과 초고령에 이를수록 여성노인과 남성노인 간 인지기능 격차가 더 커졌다. 이는 연령과 독립적으로 성별이 인지기능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인지기능에 대한 영향요인이 연령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첫째, 친한 사람들과의 만남횟수, 건강상태, 우울, 운동과 같이 변화 가능한 요인들이 본격적인 인지저하가 나타나기 이전인 연소노인 집단에서부터 인지기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인지기능 유지를 위한 예방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중고령 노년기에는 다른 연령기에 비해 건강 관련 요인들이 인지기능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령으로 갈수록 인지저하에 대한 위험요인의 영향력이 점차 커졌다. 주목할 점은 배우자 유무, 만남횟수, 참여모임수와 같은 사회관계적 특성의 영향력이 고령노인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75세 이상의 고령 노인일수록 공식적·비공식적 관계망에 기반한 활발한 교류가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데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인지기능에 대한 이해와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 간 차이에 따른 효과적인 광고 메시지의 유형

        이루리(Luri Lee),고서진(Sujin Ko)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3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자신의 실제 연령 뿐 아니라 인지적 연령, 이상적 연령 등 마음속에 여러 나이를 가지고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의 태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실제 연령뿐 아니라 소비자의 사회심리학적 연령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진행되기는 하였으나, 관련 연구들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사회심리학적 연령과 실제 연령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이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의 차이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가 자신의 실제 연령과 어떤 사회심리학적 연령과의 차이를 상기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선호하며, 이러한 효과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검증을 위해 실험을 설계·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 간 차이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연령이 30대인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의 차이는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의 차이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면, 실제 연령이 20대인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 차이와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30대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인지적 연령 간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는 낮은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접했을 때 제품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실제 연령과 이상적 연령 간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는 높은 해석수준의 광고 메시지를 접했을 때 제품 구매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대 소비자의 경우, 실제 연령과 서로 다른 사회심리학적 연령과의 차이를 상기한 소비자들 간에 광고 메시지의 해석수준에 따른 제품 구매의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 연령과 사회심리학적 연령의 차이가 소비자의 실제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연령 간의 차이들이 광고 메시지의 해석수준과 어떠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도가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구매 시 연령을 민감하게 고려하는 상품 중 하나로 분류되는 화장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보다 의미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s, consumer age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for market segmentation and targeting. Many previous studies argue that the age of a consumer is the key variable which influences his or her life values, attitudes, and patterns of behavior. However, not only chronological age, but also social-psychological age such as cognitive and ideal age may affect consumer decision making. Recent studies of the effects of social-psychological age on consumer decision making argue that these types of age are better predictors of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s than chronological age because they more directly reflect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s and needs. Although the psychological side of consumer age is very important, most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chronological age. In addition, even if social-psychological age can be classified diversely, a few studies to date have looked at various types of the social-psychological age simultaneously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purchase or consumption. For example, cognitive age (the age at which one perceives or feels about oneself) can be distinguished from ideal age (the age at which one aspires or desires to be like). Also,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we posit that social-psychological age must be examined within the correlation with chronological age since it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psychological a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discrepancies between chronological and social-psychological age and how such discrepancies differ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Also, we examine such discrepancies as important in predicting a different consumer response to advertisements. Based on the concepts of psychological distance and CLT, we propose that consumers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cognitive age respond differently to advertisements from those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ideal age. We particularly focus on the interaction between age discrepancy and advertisements are moderated by the chronological age group, thereby expanding an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role of consumer age from a more comprehensive point of view. We conducted an experiment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the two types of social-psychological age varies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The discrepancy was significantly larger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30s when calculated with the ideal age compared to the cognitive ag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20s. That is, both cognitive and ideal ages were almost identical to chronological age for these consumers.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ge discrepancy and advertisements on purchase intention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chronological age group. In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30s, the group that perceived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cognitive age showed more favorable purchase intention for the low construal message, while the other group with a discrepancy between chronological and ideal age presented more positive purchase intention in response to the high construal message.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for consumers chronologically in their 20s.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집단 간 위협이론의 관점에서 본 노인정책연령 : 노인인지연령을 넘어서

        지은정 ( Ji Eun Jeong ) 한국행정연구원 2021 韓國行政硏究 Vol.30 No.2

        본 논문은 노인인지연령과 노인정책연령이 일치하는지 살펴보고, 집단 간 위협이론의 관점에서 노인정책연령을 연구하였다. 분석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우리나라 연령주의 실태에 관한 조사」자료의 2,670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인지연령의 최빈값은 70세(평균 68,9세), 노인정책연령의 최빈값은 65세(평균 66.7세)로 5년(최빈값, 평균 2.2년)의 격차가 있다. 노인으로 범주화되는 것은 70세로 늦추고 정부 지원은 65세부터 받고 싶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또한 국민들이 노인연령을 70세 이상으로 인식하는 것을 근거로 노인정책연령을 70세로 상향조정하면 정책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근로자들은 노인에 대해 실질적인 위협인식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노인이 우리나라의 발전에 기여했더라도 현재 혜택을 많이 받아서 사회보장제도와 국가의 발전에 부담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셋째, 노인인지연령을 모형에 반영해도 노인에 대한 사회적 위협인식이 높을수록 노인정책연령을 70세로 상향조정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노인을 우리 사회의 위협적인 존재로 느끼고 정부 지원도 70세 이상으로 늦춰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부가 노인인지연령을 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근거로 활용하기 보다는 노인정책연령에 대한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고, 노인에 대한 위협인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해야 함을 말해준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cognitive age and legal definition of old age correspond and examines the legal definition of old 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roup threat theory which is rarely addressed directly. The basis for this study was data obtained from 2,670 workers from a survey on ageism in the labor market. The results reveal that while workers believe that a person becomes old at 70, they expect the government to provide benefits to older adults aged 65 and above. The workers wish to retain the current system or a similar level of government support while wanting to delay being classified as older adults. There is a gap between the cognitive age when old age arrives and the legal definition at which a person becomes eligible for government benefits. In addition, workers perceive a real threat against the aged. Nowadays, workers perceive that older adults consume scarce resources and threaten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economic growth, although they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ast. Those who cognize old age as 70 years and above think that the appropriate age to begin drawing benefits under social security is at age 70. The realistic threat is an important factor in legally defining old age. Thus, cognitive age should not be cited as the main mechanism to increase the policy target age by the government. Rather, we need public consensus about the legal definition of old age by public discourse and with attempts to reduce realistic threats against older adults

      • KCI등재후보

        노인 소비자(elderly consumer)와 인지연령(cognitive age)의 개념 및 측정에 관한 연구 동향과 향후 연구 방향

        권익현(Kwon, Ickhyun),윤자경(Yoon, Jha Kyung)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3 경영과 사례연구 Vol.36 No.1

        인간의 수명이 늘어나고 고령화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실무적으로나 학문적으로 나이(age)와 나이 들어감(aging)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노인 소비자와 인지연령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문헌고찰을 실시하고 정리하였다. 노인 소비자와 관련한 연구 1) 노인의 개념, 2) 노인 소비자의 정보처리, 3) 노인 소비자의 의사결정으로 분류하였고, 인지연령과 관련한 연구는 1) 인지연령의 개념, 2) 인지연령의 측정 및 활용 3) 인지연령과 노인 소비자의 관계로 분류하였다. 각 연구 영역에서 어떤 주제와 내용들이 밝혀졌는지 등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노인 소비자와 인지연령 영역에서 향후에 진행이 요구되는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As the size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growing and the age of human is expanding,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age and aging. This research reviews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elderly consumer and cognitive age in consumer research. Elderly consumer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1) the concept of elder consumer, 2) information processing of elderly consumer, 3) decision making of elderly consumer. Cognitive age research are classified into 3 groups: 1) the concept of cognitive age, 2) Cognitive age measurement and application, 3)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ge and elderly consumers behavior. Reviews include each research s subjects and finding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several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