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텔 예약 어플리케이션 이용특성이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리,윤지환 한국관광연구학회 2021 관광연구저널 Vol.35 No.5

        이 논문은 호텔예약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가격할인율, 즉시접속성, 위치기반서비스의 이용특성이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즐거움 및 재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호텔예약 어플리케이션 이용특성의 중요도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여 향후 호텔예약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실무적 마케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격할인율, 위치기반 서비스의 이용특성은 고객이 인지하는 유용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격할인율과 즉시접속성은 고객이 인지하는 용이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즉시접속성은 고객이 인지하는 유용성에,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은 인지된 즐거움과 재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호텔예약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호텔예약 어플리케이션에 집중된 이용자의 이용의도를 살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호텔예약어플리케이션의 강점이 되는 이용특성을 강화하는 마케팅의 도입 등 실무적 시사점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지식, 신념, 수용의도 간 관계

        양소헌,박은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2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지식, 신념, 수용의도의 전반적인 경 향과 인공지능교육 관련 사전경험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 해 수도권 소재의 유치원에 재직하는 유치원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지식, 인공 지능교육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수용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 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지식과 인지된 용이성은 낮은 편이며, 인지된 유용성과 수 용의도는 높은 편이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인공지능교육 학습경험 및 시행경험에 따라 지 식, 신념, 수용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전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지식,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용이성, 수용의도가 높았다. 셋째,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지식, 신념, 수용의도 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식과 인지된 용이성 간, 인지된 유용성과 수용의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지식과 인지 된 유용성 간, 지식과 수용의도 간,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 간, 인지된 용이성과 수 용의도 간에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질 높은 인공지능교 육 시행을 위하여 유치원 교사의 인공지능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인공지능교육을 향한 긍정적 기대감을 실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함과 동시에 인공지능교육 시행에 어려 움을 느끼는 요인을 해소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 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인지된 즐거움이 대학생들의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수강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5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nd self-efficacy on re-registration intention when college students taking remote classes due to COVID-19 learn through video sharing platform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time management behavior in non-face-to-face lectures with the intention to re-regist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310 respons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differ in re-registration inten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re-registration intention according to course habit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affect the re-registration inten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the re-registration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continuous interest or policy to increase self-efficacy is needed. It is suggested that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to enhanc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online learner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원격수업을 하게 된 대학생들이 동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한 학습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 인지된 즐거움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비대면 강의에서 학생들의 시간 관리 행동은 재등록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10건의 응답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은 수강 습관에 따라 재등록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사용용이성을 제외한 자기효능감,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즐거움은 재등록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재등록의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인 관심이나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탄력적인 학습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제언해 본다.

      • KCI등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수선(Joe, Susan),주라헬(Ju, Rachel)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자발적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가 경험한 편리성이 인지된 이용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과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관계에서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편리성은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 학업성취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자발적 학습 환경에서도 편리성은 온라인 학습의 주요한 긍정적 측면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편리성과 학업성취 인식간의 관계에 있어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은 단일매개효과와 다중매개효과를 함께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편리성을 경험할 경우 이용 용이성을 높이고 이는 유용성으로 이어져 학습만족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 인식으로까지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성공을 좌우하는 학습자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학습을 통한 다양한 혜택과 수행의 능률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 설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모바일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디바이스와의 호환, 학습자료 및 녹화물에 대한 접근성 강화, 방역기준 내에서 적절한 학습 시설 지원 등 학습자들에게 보다 유연하고 편안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convenience experienced by learners in involuntary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caused by Coronavirus 19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ven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was confirmed that convenience can be a major positive aspect of online learning even in involuntary learning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and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both single and multiple mediating effects. If learners experience convenienc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ease of use increases, which leads to usefulness, improves overall learning satisfaction, and creates virtuous circulation that leads to a percep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online learning, i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and various benefits through online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more flexible and comfortable learning environment to learners, such as compatibility with various devices including mobile devices, reinforcement of access to learning materials and recordings, and support of appropriate learning facilities within quarantine standards.

      • KCI등재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홍재,최문형,박미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 정보관리학회지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ayfulness, and reuse intention of SN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by structured equation model(SEM) indicate that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s individual'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Both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on SNS. Individual's self-efficacy, perceived play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affect reuse intention of SNS. Based on th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SNS에 대한 개인적 특성과 사용자 인지요인, 그리고 SNS 재사용 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과 유용성, 사용 용이성 등의 사용자 인지요인이 SNS 재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이 인지된 사용 용이성과 유용성, 그리고 인지된 즐거움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인지요인 간의 관계에서는 인지된 즐거움과 인지된 사용 용이성 모두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즐거움, 그리고 인지된 유용성은 SNS 재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NS 재사용 의도에 관한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교육의 학습 용이성 및 인지된 즐거움이 학습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혜영,권상집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2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4 No.1

        Drawing on theories of online education, we propose that learning self-efficacy can foster learning satisfaction when learners have the learning easiness and perceived enjoyment. In focusing on the positive results of learners’ motivation, researchers have largely overlooked the possibility that learning easiness and perceived enjoyment may have advantages. Analysis of 165 respondents from universities in Seoul and Daegu reveal that learning easiness and perceived enjoyment have positively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These effects were partially mediated by learning self-efficacy. Results of this study corroborate these findings and provide support for our research framework.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a new perspective on the online education effectiveness in universities. We discuss contributions of the key findings and practical avenues for future direction are addressed. 온라인 교육과 관련된 기존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가 학습 용이성과 학습과정에서 인지된 즐거움을 경험할 때 학습 자기효능감을 형성, 이를 통해 학습 만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기존 연구는 학습자의 동기부여에 주로 초점을 두었기에 학습 용이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지닌 다양한 교육적 혜택의 가능성을 간과한 측면이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대구 지역의 대학생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 및 분석하여, 학습 용이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학습자의 학습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 용이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학습 만족에 미치는 효과는 학습자의 학습 자기효능감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수립한 가설의 논리적 흐름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내 대학이 온라인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를 위해 필요한 학문적, 실무적 기여도를 추가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회계정보특성이 정보이용자의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송경진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3 콘텐츠와 산업 Vol.5 No.2

        본 연구는 회계정보특성이 정보이용자의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위치한 기업 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74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성실하지 않은 21부를 제외하고 총 153부 의 설문지를 유효 통계자료로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정보특 성 중 적시성이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44, p= .00). 둘째, 회계정보특성 중 요약화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 .35, p< .01).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이용자가 정보를 이용할 때 반영된 정보를 적시에 지체 없이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필요한 정보가 핵심적으로 요약되어 제공될수록 회 계정보시스템의 이용이 쉽고 편리하다고 느껴 정보이용의 수용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회계정보는 기업의 경영관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기업 내· 외부의 정보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 회계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근로자의 편의성이 높아야 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따 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보이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회계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accounting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information users. A survey conducted a survey on work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7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153 questionnaires were used as effective statistical data, excluding 21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sincere in response. Th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timel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perceived ease (β= .436, p= .000).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ccounting information, aggreg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 effect on perceived ease (β= .346, p= .001). This means that users should be able to use timely information without delay, and the more necessary information is summarized and provided, the easier and more convenient th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will be, the higher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use. Accounting inform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business management. In order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nformation users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will increase only when the convenience of workers who use the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internally is high.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roved system so that information users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accounting information.

      • KCI등재

        고령친화환경의 조절효과를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 : 운동보조 웨어러블 로봇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정인혜(Inhye Jung),김윤명(Yoon Myung Kim),강미선(Miseon Kang),송시영(Si Young Song),김성희(Seong Hee Kim)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를 고령친화환경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74세 미만 전기노인 277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물리적 고령친화환경, 서비스 고령친화환경, 사회문화적 고령친화환경이 개별적인 조절변수로 각 분석모형에 포함되었다. 조절효과분석은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심층적 탐색을 위해 단순 기울기(Simple Slope)와 존슨-네이만(Johnson-Neyman Technique) 분석을 병행하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인지기능이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고령친화환경의 하위 항목은 서비스 환경(B=-.180, p<.05)과 사회문화적 환경(B=-.199, p<.05)이었고,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B=-.070, n.s.). 즉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웨어러블 로봇기기를 사용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정도가 낮아지지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고령친화 정도가 서비스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 측면에서 높다고 인식할수록 인지기능이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것이다.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은 실제 기술사용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는점에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다고 인식하는 노인들의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기술사용을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존의 고령친화환경을 이루는 도식과 요소에 기술의 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책적인 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ge-friendly environ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especially on the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of older adults. According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7 older adults aged 65-74 years living in Korea. SPSS PROCESS Macro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nd simple slope and Johnson-Neiman method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in dep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service-side environment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significantly.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in the service-side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less impact of cognitive ability on the ease of use of technology. Since the perceived ease of 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leading to actual technology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researchers efforts and policy attempts to provide a place for technology in the elements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are needed.

      • KCI등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o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ccounting Learning

        PARK, Myeong Jun,KWAK, Jae Woo 한국상업교육학회 2024 상업교육연구 Vol.38 No.2

        현대의 교육 환경에서 비대면 학습은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특히 회계 교육 분 야에서는 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고, 이러한 변화와 함께, 비대면 교육 서비스의 품질이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회계 학습 환경에서의 비대면 교육 서비스 품질과 학습자들이 인지하는 용이성 및 유용성 간 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비대면 교육서비스는 크게 두가지(실시간/비실시간)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아직까 지 국내 연구 중에서는 비대면 교육서비스를 비대면 실시간과 비대면 비실시간 교육서비 스로 나누어 비교한 연구는 이상수(2004)의 대면 학습 환경과 비대면 실시간 및 비실시 간 교육 환경과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이후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비대면 교육 서비스에 대한 학생들의 수용 및 계속적인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품질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대면 교육은 현대 교육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학 생들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이용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학습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자 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 비대면 실시간 및 비실시간 교육서비스품질이 인지된 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았다. 비대면 실시간 및 비실시간 교육서비스 품질 간의 경로계수를 비교한 결과, 부가적 서비스는 인지된 용이성 및 유용성에, 친절성 은 인지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접근용이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비대면 실시간 교육서비스가 비실시간 교육서비스보다 높게 나왔다. 본 논문의 시사점은 비대면 교육 서비스의 품질과 학생들의 수용 및 이용에 영향을 미 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였다는 것으로, 비대면 교육 서비스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해 어 떤 품질 요인들이 중요한지 학생들이 이러한 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며 받아들이는지를 밝히는 이 연구는 교육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modern educational environment, distance learning is gaining more attention, especially in the field of accounting education, and with this chang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services on learners'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services and learner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in an accounting 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two types (real-time/non-real-time), but so far, few studies in Korea have compared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by dividing them into non-face-to-face real-time and non-face-to-face non-real-time educational services after Sang-soo, Lee(2004) had analyzed the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s and non-face-to-face real-time and non-real-time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quality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acceptance and continued use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Non-face-to-face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modern education system, and understanding how students accept and utilize it is essential to improv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increasing learner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f virtual real-time and non-real-time education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Comparing the path coefficients between non-Face-to-Face and non-real-tim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dditional services on perceived ease and usefulness, the effect of friendliness on perceived usefulness, and the effect of accessibility on perceived ease were higher for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than for non-real-time educational services.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analyze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and their acceptance and use by stud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education by revealing which quality factors are important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ervices and how students perceive and accept these services.

      • KCI등재

        디지털 디바이스(device) 이용이 홈페이지 활용에 미치는 영향

        윤승욱(Sung-Uk Y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5 No.3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카메라의 이용이 홈페이지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카메라 사용기간이나 사용량이 홈페이지 관심도와 홈페이지 내 사진 활용, 커뮤니케이션 정도와 정(+)적인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카메라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영향, 개인적 성격이 홈페이지 관심도, 홈페이지에서 사진 활용도,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카메라의 인지된 유용성, 외향적 성격, 성별은 홈페이지 관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된 용이성, 외향적 성격, 성별 역시 홈페이지 사진 활용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된 유용성, 사회적 영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전화 카메라의 인지된 유용성과 사회적 영향, 외향적 성격, 성별은 홈페이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된 용이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use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upon the activation of home pag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use period or amount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users’' interest in home pages, their use extent of photographs within a home page, and their extent of communication. And as for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convenience, perceived utility, social effec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upon users’' interest in home pages, their use extent of photographs within a home page, and their extent of communication, the perceived utility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and users’' extrovert characteristics and gend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users’' interest in home pages. And the perceived convenience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and users' extrovert characteristics and gend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use extent of photographs within a home page. But the perceived utility and social effects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use extent of photographs within a home page. On the other hand, the perceived utility and social effects of digital cameras and mobile phone cameras and users’' extrovert characteristics and genders have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extent of home page-oriented communication. However, the perceived convenience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extent of home page-oriented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