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된 동의가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 20대, 30대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진명,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개인정보 제공에 있어서 인지된 동의(informed consent)의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인지된 동의 집단과 형식적 동의 집단 간 개인정보 제공의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의 개인화 혜택 및 프라이버시 위험 지각이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된 동의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이용 경험이 있는 20대, 30대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위치기반 모바일 커머스 앱 이용 시 접근을 허용해야 하는 개인정 보들에 대한 정보제공의도를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은 기기식별 정보와 위치정보를 제외한 대부분의 정보제공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인지된 동의 집단이 형식적 동의 집단보다 개인정보 제공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된 동의 집단이 개인화 혜택 지각, 지속이용의도에 있어 형식적 동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 은 반면, 프라이버시 위험 지각은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개인화 혜택과 프라 이버시 위험이 지속이용의도에 각각 정적, 부적 영향을 미쳤고, 두 경로에서 인지된 동의 여부의 조절효과가 확 인되었다. 소비자가 인지된 동의를 할 때 개인화 혜택이 지속이용의도를 높이는 정적 효과가 강화되고, 프라이버 시 위험이 지속이용의도를 낮추는 부적 효과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된 동의가 개인정보 제공의도와 서비스 지속이용의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개인정보보호 관련 정부기관, 개인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사업자, 그리고 관련 학계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m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ormed consent in using personalized services in mobile commerce contex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consumers’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WPPI) and continued use intention of location-based mobile commerce(LBMC) between informed consent group and uninformed consent group.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ed consent on the effects of perceived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privacy risk on continued use intention of LBMC. Data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from young mobile users(N=500). As a result, consumers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 provide most of information that are accessible when using LBMC exclud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informed cons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PPI, perceived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continued use intention than the uninformed cons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privacy risk percep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erceived benefits are increased through informed consent but has no change in perceived risk, and ultimately could lead to the continued use of LBMC. Structural equation results revealed that personalization benefits and privacy risk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respectively. Informed cons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paths in the model. such that personalization benefits had a stronger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for informed consent group compared to uninformed consent group. On the other hand, privacy risk had a weaker effect on continued use intention for informed consent group compared to uninformed consent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informed consent positively affect the service use as well, promoting service use by moderating the effect of cost-benefit perception. By empirically revealing various effects of informed consent, this study provides useful data and implications for privacy-related government agencies, business practitioners that collecting and using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and relevant academic researchers.

      • 인지제도에 있어서 피인지자 동의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남미화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2015 한남법학연구 Vol.3 No.-

        현행 민법은 혼인외 출생자의 부가 임의인지를 하려고 할 경우, 인지될 자 또는 그 모의 의사를 묻지 않고 인지가 가능하다는 입법주의를 취하고 있다. 이것을 단지 자의 운명 또는 부득이한 상황으로 받아드려야 하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 그러므로 피인지자의 동의를 민법에 규정하는 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만약 피인지자의 동의를 임의인지의 요건으로 규정하는 것이 어렵다면 그 전에 부의 일방적인 인지에 대하여 부에게 모 또는 인지되는 혼인외 출생자와 인지 후의 발생할 법적 효과에 대해서 협의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도 차선책이 될 수 있고, 피인지자의 거부로 그 부자관계는 형성되지 못하는 것으로 끝나는 것보다는 양당사자의 이익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규정을 보완할 필요도 긍정된다. 또한 인지는 단순히 상속의 순위에 영향을 주고 상속권의 이익에만 관련된 제도가 아니라, 혼인외 출생자를 인지하고자 하는 인지자와 인지되는 혼인외 출생자, 각각의 법적 친족관계가 변화하고 상속권과 부양의무 등 법적의무가 성립하는 중요한 가족법상의 제도이다. 따라서 피인지자의 동의를 인정하면서 성년인 자의 경우에는 단독으로 그 의사가 인정되지만,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으로서 모의 동의도 인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차후 이루어지는 인지청구의 소가 기회주의적 인지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인지청구의 소의 조정 또는 재판 절차에서 이전에 그 혼인외 출생자가 부의 임의인지를 거부할 당시의 상황과 그 시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現行韓國民法對非婚生子之生父的認領,采取不經被認領人或其母之同意便可以進行認領的立法態度。針對被認領人同意與否的問題,最重要且最優先考慮的便是現行法律規定在生父認領子女時,沒有賦予子進行意思表示的權利。將這種情形僅僅視爲一種子女的命運或者不可抗力未免有失妥當,爲此有必要積極探討民法關于任意認領要件的問題,幷增加被認領人同意之規定。如果將被認領人同意作爲任意認領的要件的確有難度,則可以增加生父與母或者被認領的非婚生子對認領的法律后果進行協商的義務。幷且對于因被認領人的拒絶導致的一系列問題,有必要積極探討有利于雙方當事人的相關救濟性規定和措施。還要明確認領幷不是單純影響繼承權順位和繼承權利益的制度,而是欲認領非婚生子的認領人與被認領的非婚生子之間變更各自的法定親子關系以及形成繼承與撫養等法定權利義務的制度。所以在承認被認領人的同意之前提下,對于成年被認領人承認其同意的效力,而對于未成年被認領人的同意要件則還有待探討其法定代理人母之代理同意的問題。最后針對認領請求之訴的机會主義與否判斷,鬚根据認領請求之訴的調解與判決程序,綜合考慮過去非婚生子之生父拒絶任意認領的狀況與時机等因素,最終進行謹愼判斷。

      • KCI등재

        소비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구혜경(Koo, Hye-Gyoung),나종연(Rha, Jong-Yo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2

        This study focu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In the modern society, many consumers give consent to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by some firms or government branches. Although the right to consent is not only the basic human right but also the property right, many consumers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the consent process an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Therefore this study had to focus the behavior and perception of consumers'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depth interview methodology. As a results, many consumers don't rea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and the behaviors could be differentiated with situation giving consent such as online-offline context and they think there are no right to choice giving consent or not. Futhermore, consumers recognized there are three parts of problems, those are consumer cognition problem, structural problem at giving consent context, and the form related problem. At first, consumer's cognitive problem is related with consumer's perception when consumers give consent, for example, they don't want to read the terms of privacy policy or they can't understand the contents of privacy policy because of the jargon of the terms. Secondly, there are structural problem at consumers' giving consent context. Most users of personal information don't effort to develop the level of consumer's understanding, actually at the consent situation, consumers can't have real right to choose consent or not. Thirdly, there are formation problem of the privacy policy documents. There are so many contents, the character is very small, finally the legibility is very bad so that the documents made consumers not to read the terms. And another issue is the perception of the main concept of privacy policy jargon such as "the third party provision" or "sensitive information of individuals". We can find the gap between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real meaning of the terms of privacy policy. Last issue is the thought of the responsibility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nsumers judge the responsibility subject to business part, government part, and consumer-self part. Business part is the very subject to get real benefit through using individual information, so consumers want business part to play role to develop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rea. Futhermore consumers need to more powerful regulation to arrange the market's role and to correct the wrong behavior of business part. And lastly, consumers know self-problem of gap between the recog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value and the level of giving consent behavior. This study could check various opinion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and to suggest better way to reflect personal information policy, we held the experts conference that is composed of personal information scholars, administrators, businessman of global firm. They discussed various issues those are the results of consumer's depth interviews and they suggest the ideas to develop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in Korea. Firstly many consumers think that they couldn't haver real right to consent, the experts analyzed the reason that there are too many consent contents including indispensible information such as name, address to deliver commodity or services of information users. Therefore, the essential information to give users have to be noticed consumers to understand intuitionally, the optional information for more services have been disclosed consumers to choose giving personal information or not. For this, it is needed to standardize the privacy policy and consent documents for informed consent by consumers. Secondly, Privacy Protection Act guarantee the right to redress. If consumers give consent to user personal information at online, it will have to be possible to redress or change the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usage of users at online easily. But practically consumers have to go to the office of persona 소비자의 개인정보는 그 동안 프라이버시, 인권의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나, 현대사회에서는 재산권으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점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소비자가 개인정보가 중요함을 인식하나, 개인정보제공 동의에 있어서는 매우 형식적인 과정으로 인식하여 동의서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경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이미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보호할 수는 없는 상황이며,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개인정보 제공 동의시, 얼마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고 동의하였는지의 여부가 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법률상에서 사업자가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이용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고지해야 하는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 이에 관한 소비자 인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소비자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행동에 대한 확인 및 개인정보제공 동의상황의 문제점을 다각도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정보정책의 수립에 있어서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의 수립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개인정보제공 동의 문제는 소비자의 인지적 문제와 동의상황의 구조적 문제(Solove 2013)로 구분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틀에 근거하여 해석하였다. 개인정보 제공 동의에 대한 인식확인을 위해 20~50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탐색하였으며, 결과를 정책반영하는데 있어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제공동의과정에서의 문제점은 내용의 어려움, 과다한 내용, 소비자의 휴리스틱적 의사결정 등 소비자의 인지적 문제와 실제로 동의거부권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동의사황, 개인 소비자가 다수의 사업자와 거래를 형성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적어지는 등의 구조적 문제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 문제와 구조적 문제는 상호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의존적으로 악순환인 상황으로 보인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업권별로 개인정보보호를 관장하는 법률과 관리감독 기구가 달라 구조적인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개인정보제공에 있어 중요한 내용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차이가 매우 큰 현 상황에서 소비자가 제대로 내용을 인식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 동의서식의 표준화 및 동의서 내용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정보내용을 이해하고 동의할 수 있도록(informed consent)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정보의 자기결정권 혹은 동의권이라는 기본 권리 실현의 가장 기본 전제를 충족시키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자연치유에 대한 인지특성, 지각된 위험, 문화특성 및 행동의도 간 구조관계

        고유희 한국여가복지학회 2021 여가복지경영연구(여가복지)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자연치유에 대한 이용 경험이 있거나, 이용 할 가능성이 있는 미래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치유의 건강산업화에 유의미한 소비자 행동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먼저 인지특성의 주요 구성요인으로 이미지와 친숙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마케팅 분야에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하게 거론되는 지각된 위험의 구성요소를 사회적 위험, 재무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적 위험으로 구성 하였다. 자연치유에 대한 성과 변인을 행동의도로 하여 인지특성, 지각된 위험, 행동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의료기관 종사자와 비종사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자연치유 전반에 대한 집단 간의 지각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 필요한 자료 수집은 2020년 8월 16일부터 9월 27일 까지 설문을 통하여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AMOS 21.0 통계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제기한 연구가설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특성과 지각된 위험 간의 관계에 있어서 종사자 집단에서 이미지는 사회적 위험, 재무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적 위험에 친숙성의 경우에는 사회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적 위험에 유의미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종사자 집단의 경우에는 이미지는 사회적 위험, 재무적 위험, 신체적 위험에 친숙성은 사회적 위험, 재무적 위험, 시간적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위험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종사자의 경우 사회적 위험, 재무적 위험, 신체적이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비종사자 집단의 경우에는 사회적 위험, 신체적 위험, 시간적 위험이 유의한 부(-)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지특성과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는 두 집단에서 이미지와 친숙성 요인 모두 행동의도에 대하여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이미지의 경우,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친숙성을 매개하여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특성과 행동의도 간 경로에서 이미지가 친숙성을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친숙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해석에 따른 인지특성 및 행동의도 변인에 대한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비종사자의 경우에서 친숙성과 행동의도 간 자기해석의 조절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독립적 자기해석 성향의 사람들은 자신을 대상으로 하는 구매의도가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추천의도보다 높았으며, 반대로 상호의존적 자기해석 성향의 사람들은 구매의도보다 타인을 대상으로 하는 추천의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 분야에서 소비자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요인들에 대한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도입하여 자연치유에 대한 인지적 요인을 도출하고 실증적인 규명으로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연치유 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자연치유 산업화 과정에서 소비자 요구에 부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The data requir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August 16 through September 27, 2020. With the collected data, the advanced research hypotheses were empirically verified, using statistical software, including SPSS 21.0 and AMOS 21.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isks, it turned out that image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social risk, financial risk, physical risk, time risk and familiarity, on social risk, physical risk, time risk in Employee Group. Image affected social risk, financial risk, physical risk, and familiarity affected social risk, financial risk, time risk in Non-Employee Group.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s and behavioral intentions, it turned out social risk, financial risk, physical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in Employee Group, and it turned out social risk, physical risk, time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in Non-Employee Group.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both image and familiarity factors had strong impacts on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two groups. Especially, image had a positive (+)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s and had a positive (+) impact, mediated by familiarity. Fourth, in the path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the mediated effect of familiarity was significant in the path, in which the impact of the image reaches behavioral intentions, mediated by familiarity. It was confirmed using the Sobel test. Lastly, this study checked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s between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s according to self-construal, and as a result, a moderating effect of self-constural was found between familiar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the case of non-employees. Also, it was found that in the people with a disposition of interdependent self-contual,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others was higher than purchase intention for themselves i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while there were that in the people with a disposition of independent self-constural, purchase intention for themselves was higher tha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others i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This study introduc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ies of the cognitive factors affect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in the natural healing field to draw the cognitive factors for natural healing and checked them by empirical verifi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potential for theoretical expansion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was foun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ural healing industry. Also, the process of the industrialization of natural healing,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in providing products or services suitable for consumer needs, and hopefully, it would also help approach planning and execution more in depth.

      • KCI등재

        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 간의 관계: 문화재야행에서 주민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성조,김재학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2

        본 연구는 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치, 행동의도 간의 직・간접 관계를 축제이벤트 환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주문화재야행을 찾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총 280개의 유효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인지도는 유형과 무형문화재 간에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문화재 활용에 대한 지각된 가치는 인지적, 기능적, 정서적인 다차원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무형문화재의 브랜드 인지도는 인지적 가치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동안 유형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는 지각된 가치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형과 무형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치 모두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지각된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는 유형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행동의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간접효과를 보여주는 동안 무형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행동의도 간에는 지각된 가치 모두 간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축제이벤트 환경에서 다차원의 지각된 가치는 유형과 무형문화재의 브랜드 인지도에 따라 행동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긍정적인 행동의도를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유형과 무형문화재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정책 및 홍보가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개병원 수술 예정 환자의 수술동의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에 대한 조사 연구

        김영경,정인숙 한국의료윤리학회 2015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8 No.2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recognition, subjective understanding (SU),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U) of the terms used in obtaining informed consent for surgery and also the levels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ions (ES) provided in the informed consent process. Data a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swered by 243 patients who had orthopedic operations in South Korea in July to August, 2014. The mean number of terms recognized is 6.24, and lower in age over 50 years (F=11.46, p<0.001) and education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mpared with college and higher (F=12.06, p<0.001). The mean SU was 73.90 out of 100 points and was lower in patients without a high school education than in those with a college education (F=12.39, p<0.001). The mean OU is 68.04 out of 100 points and lower in age over 50 years (F=5.91, p<0.001) and education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mpared with college and higher (F=8.06, p=0.001). E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erm recognition (r=0.168, p=0.009) and SU (r=0.135, p=0.03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edical personnel should monitor patients’ recognition,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of the terms used in the consent process and give feedback to patient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satisfaction. 본 연구는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에 대한 인지, 용어이해도와 설명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2014년 7월 1일부터 2014년 8년 30일까지 울산에 소재한 일개 정형외과 병원에 수술을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 2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 중 설명을 들은 후 인지하고 있는 것은 10개 중 평균 6.24개였으며, 50대 이상(F=11.46, p<0.001), 중졸 이하(F=12.06, p<0.001)의 교육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용어에 대한 주관적 이해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73.90점이었고, 중졸 또는 고졸 이하는 대졸 이상(F=12.39, p<0.001)에 비해 낮았다. 용어에 대한 객관적 이해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89.2점이었고, 50대 이상(F=5.91, p<0.001), 중졸 이하(F=8.06, p=0.001)의 교육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설명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평균 68.04점이었다. 설명만족도는 용어에 대한 인지(r=0.168, p=0.009), 용어에 대한 주관적 이해도(r=0.135, p=0.035)와 상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수술 전 동의서 작성에 앞서 설명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술동의서에 기술된 용어 중 일부만을 알고 있으며, 주관적 이해도도 낮았으며, 이로 인해 설명만족도 또한 낮았다. 비록 수술동의서를 설명하고 서명을 받았다 하더라도 환자들이 잘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보충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이용자의 개인정보 제공수준에 따른 소비행동 방향에 관한 연구: 위치기반서비스를 중심으로

        손제영,강인원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8 e-비즈니스 연구 Vol.19 No.1

        Location-based services have been limited to maps and navigation in the past, but recently commercial applications providing instant messengers, coupons, and advertisements have expanded to become familiar services to the public.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users' consent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by distinguishing promotional factors provided by location - based services as extrinsic factors and intrinsic factors.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consumer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sent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was classified as privacy protection behavior and continuous use.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ntrinsic factor which has the highest effect on informed consent and formal consent appeared as incentive, and extrinsic factor appeared as reputation of web-site. On the other hand, the informed consent proved that the influence of privacy conscious behavior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s higher than the formal con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es on the possibility of using location - based services by distinguishing the consent level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and promotional factors of service, and to derive customized strategic implications for users. 위치기반서비스는 과거 지도, 내비게이션 등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최근 메신저 또는 쿠폰, 광고 등을 제공하는 상업용 어플리케이션까지 확대되어 대중들에게 친숙한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위치기반서비스가 제공하는 촉진요인들을 외재적 요인과 내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이용자들의 동의수준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수준에 따른 소비행동 방향을 프라이버시 보호행동과 지속적 이용의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인지적 동의와 형식적 동의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촉진 요인은 인센티브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촉진요인은 웹사이트 평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지된 동의는 프라이버시 보호행동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형식적 동의 보다 더욱 높은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동의수준과 서비스의 촉진요인을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위치기반서비스의 활용가능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하고, 이용자들에게 맞춤화된 전략적 시사점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향토음식축제의 서비스스케이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2011년 춘천닭갈비막국수축제를 중심으로

        선우영수,손재영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4개의 서비스스케이프의 인지적 평가요소(환경적 요소, 심미적 요소, 기능적 요소, 사회적 요소)와 2개의 정서적 평가요인(즐거움, 각성)과 종속변수인 행동의도의 7개의 변수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 번째로 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인지적 평가요소가 정서적 평가요소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인지적요소와 행동의도간의 관계에서 정서적 평가요소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서비스스케이프의 인지적 평가요소(심미적 요소, 기능적 요소)는 정서적 평가요소(즐거움, 각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평가요소(즐거움)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평가요소(심미적 요소, 기능적 요소)는 행동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평가요소는 정서적 평가요소인 즐거움을 통하여 행동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festival Servicescape impacts behavioral intention of participants. The model in this study consists of seven constructs: four cognitive servicescape estimation(ambient factor, aesthetic factor, social factor, functional factor), two affective servicescape estimation(pleasure, arousal), and behavioral intention. F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direct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cape estimation on the affective servicescape estimation was analysed and the next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behavioral intention and affective servicescape estimation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servicescape estimation(aesthetic factor, functional factor)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ffective servicescape estimation(pleasure, arousal), and the affective servicescape estimation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Second, cognitive servicescape estimation(aesthetic factor, functional factor)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also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through the pleasure.

      • KCI등재

        시간압박하의 인지와 감정 반응이 소비자의 구매 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일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behavior intention of post product purchase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under time pressure. At this research, the research focus was that investigated the effect on refund intention of consumer as a dependent variable instead of re-purchase intention of post product purchase which was popular dependent variable at lots of researches. And al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of a information of cognitive-response-evoking and emotional-response-evoking. At the research result, the consumer under high time pressure is higher anticipated regret than the consumer under low time pressure at the situation of a product purchase. In other words, a consumer under high time pressure can not make a purchase decision with a analysis about gains and losses and understanding which needs high cognitive effort. But, they can make a purchase decision easily depend on wider feeling. Therefore, if a consumer is under high time pressure, they can get a negative emotion such as a regret. And also a consumer under high time pressure has a high refund intention of their purchase. This result can be understood that a consumer get this refund intention because of anticipated regret at the case of high time pressure. In other words, a consumer who made a purchase decision under high time pressure can get a high refund intention of purchase because of experience of negative emotion such as the regret. 본 연구는 시간압박 하에서 소비자의 인지와 감정반응이 구매 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재구매의도라는 긍정적 행동의도 보다는 반품의도라는 부정적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하여 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자의 인지와 감정반응이 인지를 유도하는 정보와 감정을 유도하는 정보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한 연구 분석 결과 소비자는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에 예상되는 후회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시간압박이 높게 되면 인지적 노력을 들여 계산을 하거나 꼼꼼하게 이해나 득실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느낌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또한 시간압박이 높아지게 되면 구매 후 발생할 수 있는 후회가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는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에 구매를 결정하게 되면 구매 후 반품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 구매 후 예상되는 후회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에 의해 나타나게 되는 하나의 행동의도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소비자는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 구매를 결정하게 되면 구매 후 구매 전 간과되었던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게 되어 반품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인 시간압박이 높은 경우 인지적인 활성화를 통해 반품의도가 낮아지는가에 대한 부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의미가 없다고 하더라도 평균차이는 가설과 같은 방향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