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의 비교

        이춘봉,이승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5

        금속 브라켓의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브라켓 기저부의 형태와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형태가 다른 5종의 금속브라켓의 기저부와 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를 통해 관찰하고 결합 부위에 적용되는 힘은 전단결합강도, 인장결합강도,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로 구분하고 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제일 컸으며, 인장결합강도(TBS)는 SBS의 50%정도 수준이었고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S/T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0%정도이었다. 2. 브라켓의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가 가장 크고(SBS:22.86±1.37kgf, TBS:11.37±1.43kgf, S/TBS:6.69±0.34kgf),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다(SBS:10.52±1.27kgf, TBS:4.27±1.08kgf, S/TBS:2.94±0.58kgf). 3. 단위면적당 결합강도 비교시,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고(p<0.05), 전단결합강도와 인장결합강도에서는 Micro- Loc과 Chessboard base간의 차이가 없었으며(p>0.05), Non-Etched foil Mesh와 Micro-Etched foil Mesh base 간의 전단결합 강도와 인장결합강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에서는 Micro-Etched Foil Mesh base가 Non-etched Foil Mesh base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전단, 인장, 전단/인장복합결합강도 측정후 접착파절은 브라켓/레진 계면에서 일어나 ARI score가 작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hear, tensile and shear/tensile combined bond strenghts(SBS, TBS, S/TBS) in various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human teeth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Ortho-one, Bisco, USA). Five types of metal brackets with various bracket base configurations (Micro-Loc base(Tomy, Japan), chessboard base(Daesung, Korea), Non-Ethed Foil Mesh base(Dentarum, Germany), Micro-Etched Foil Mesh base(Ortho Organiners, USA), Integral base(Unitek, USA)) were used in this study. Shear, tensile and shear/tensile combined bond strength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force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bracket base surface after bond strength test were examined by stere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assessment of resin remnant on bracket base surface was carried out by ARI(adhesive remnant index).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all brackets, SBS was in the greatest value(p<0.05), TBS was in 50% level and S/TBS was in 30% level of SBS. 2. In bond strength, Micro-Loc base bracket showed the maximum bond strength(SBS : 22.86±1.37kgf, TBS:11.37±0.42kgf, S/TBS:6.69±0.34kgf) and Integral base bracket showed the minimum bond strength(SBS : 10.52±1.27kgf, TBS:4.27±1.08kgf, S/TBS:2.94±0.58kgf) (p<0.05). 3. In bond strength per unit area, Integral base bracket showed the minimum value, Micro-Loc base and Chessboard base brackets were in similar value(p>0.05). Non-Etched Foil Mesh base and Micro-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were similar in SBS and TBS(p>0.05), but Micro-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was greater than Non-Etched foil Mesh base bracket in S/TBS(p<0.05). 4. Bond failure sites were mainly between bracket base and adhesive, therefore ARI scores were low.

      • KCI등재후보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결합강도의 비교

        이현정,이형순,전영미,김정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5

        본 연구는 교정용 금속 브라켓에 다양한 방향에서의 복합적인 응력을 가하여 힘의 방향과 적용점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브라켓의 유지력을 평가하는데 기준이 되는 최소결합강도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일정한 표면특성을 갖는 금속봉에 Micro-Loc base,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등 서로다른 기저면 형태를 가지는 3가지 종류의 금속 브라켓을 부착시키고, 0˚, 15˚, 30˚, 45˚, 60˚, 75˚, 90˚의 peel 결합강도(_(0)PBS, _(15)PBS, _(30)PBS, _(45)PBS, _(60)PBS, _(75)PBS, _(90)PBS 및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한 브라켓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각 브라켓의 기저면 면적을 고려하여 단위면적당 결합강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및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SBS)가 가장 컸다(p<0.01). 2. Peel 응력의 방향 변화에 따른 peel 결합강도(PBS)의 변화양상은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 Non-etched Foil-Mesh base 브라켓 모두에서 유사하였으며(p>0.05), peel 응력의 적용 각이 증가할수록 peel 결합강도(PBS)는 감소하였고 60˚에서 최저값을 보였다(p<0.05). 3. Micro-Loc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29%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2% 수준이었고, Chessboard base에서 최저 peel bond strength(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61% 수준이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최저 peel 결합강도(_(60)PBS)는 전단결합강도(SBS)의 34% 수준이었으며, 인장결합강도(TBS)에 대해서는 55% 수준이었다. 4. 단위면적당 결합강도에 있어서 전단결합강도(SBS)와 인장결합강도(TBS) 및 75˚와 90˚ peel 결합강도는 Micro-Loc base와 Chessboard base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았고(p<0.05), 0˚, 15˚, 30˚, 60˚ peel 응력을 적용한 결과 Chessboard base에서 가장 큰 peel 결합강도를, Non-etched Foil-Mesh base에서 가장 작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metal bar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Ortho-one, Bisco Co, USA) in various types and directions of force application. Three types of metal bracket with different bracket base configurations; Micro-Loc base(Tomy Co, Japan), Chessboard base(Daesung Co, Korea), Non-etched Foil-Mesh base(Dentaurum, Germany); were used in this study. Peel, shear, tensile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compared each other. The peel force directions applied were 0˚, 15˚, 30˚, 45˚, 60˚, 75˚, 90˚. And then,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surface area of the bracket bases, the bond strength per unit area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bond strengths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directions of the forces were greatest at the shear force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 groups(p<0.01). 2. As the peel force direction grew higher in degree, peel bond strength decreased. The patterns of peel bond strength change according to force direction was similar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The minimum bond strength was 60 degree-peel bond strength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3. In Micro-Loc base group, minimum peel bond strength(_(60)PBS) was in 29%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2%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Chessboard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61%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5%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4. The bond strengths per unit area were lowest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and highest in Chessboard base group(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tensile bond strength, _(75)PBS and _(90)PBS per unit area between Micro-Loc and Chessboard base groups.

      • KCI등재

        Chlorhexidine 처리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오은화,최경규,김종률,박상진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2

        본 연구는 상아질 혼성층의 교원섬유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ses) 억제제로 알려진 chlorhexidine (CHX)을 적용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열순환 처리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계면메서의 파괴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식이 없는 발거한 32 개의 제 3 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GI그룹에서는 dentin conditioner를 처리 후 2% chlorhexidine을 적용시키고, 산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인산 산부식을 시행하고 2 % chlorhexidine을 적용 후 3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 SM),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ingle Bond, SB)를 도포하고, 자가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2 % chlorhexidine 적용 후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 (Clearfil Tri-S, TS)를 도포한다. 이후 복합 레진 (Z-250)과 GI (Fuji-II LC)를 충전한 시편을 1 ㎟의 단면을 갖는 beam으로 제작하여 열순환 하지 않거나, 10,000 회 열순환 (5 ~ 55 ℃)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에서 cross head speed 1 mm/min로 인장력을 가하여 ,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유의수준 0.05 1evel에서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그 후 파절된 시편의 파괴 양상을 현미경 (SEM)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갈론을 얻었다; 1. 2 % CHX을 적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증가하였고, 열순환은 상아질과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감소시켰다 (P>0.05). 2. CHX 적용 후 열순환 한 군은 CHX을 적용하지 않고 열순환한 군에 비하여,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높았으며 , 특히 GI와 TS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 3. 파괴 양상 분석 결과, 혼성층에서의 접착성 파괴를 보이며, CHX을 적용하면 혼성층 기저부에서 상부로 파괴 부위가 옮겨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MPs 억제제인 2 % CHX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상아질 접착제의 초기 미세인장결합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HX 적용이 접착 내구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lorhexidine (CHX)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of dentin bonding systems. Dentin collagenolytic and gelatinolytic activities can be suppressed by protease inhibitors. indicating that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 inhibition could be beneficial in the preservation of hybrid layers. Chlorhexidine (CHX) is known as an inhibitor of MMPs activity in vitro. The experiment was proceeded as follows : At first, flat occlusal surfaces were prepared on mid-coronal dentin of extracted third molars. GI(Glass lonomer) group was treated with dentin conditioner, and then, applied with 2 % CHX. Both SM (Scotchbond Multipurpose) and SB (Single Bond) group were applied with CHX after acid-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TS (Clearfil Tri-S) group was applied with CHX, and then, with adhesives. Hybrid composite Z-250 and resin-modified glass ionomer Fuji-II LC was built up on experimental dentin surfaces. Half of them were subjected to 10,000 thermocycle, while the others were tested immediately. With the resulting data, statistically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assess the μTBS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and the effect of CHX. All statistical tests were carried out at the 95 % level of confidence. The failure mode of the testing samples was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ithin limit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all experimental groups applied with 2 % chlorhexidine,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increased, and thermocycling decreas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P > 0.05). 2. Compared to the thermocycling groups without chlorhexidine, those with both thermocycling and chlorhexidine showed higher microtensile bond strength,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especially in GI and TS groups.

      • KCI등재

        와동의 형태가 상아질과 복합레진 사이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예미,박정원,이찬영,송윤정,서덕규,노병덕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5

        이 실험의 목적은 동일한 깊이의 상아질에서 제 6세대의 self-etching system을 사용하여 C-factor가 상아질과 복합레진 사이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건전한 대구치 80개를 선정하여 와동의 바닥면적은 각각 16㎟로 동일하게 하고 깊이를 조절하여 C-factor가 각각 0.25, 2, 3, 4인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별로 총 20개의 치아를 할당하였으며 접착제와 복합레진의 조합에 따라 다시 4개의 소군에 치아 5개씩을 배정하였다. 상아질 접착제는 AQ Bond Plus또는 Xeno III를 사용하였고, 복합레진은 Fantasista또는 Ceram-X mono를 사용하였다. 제조사의 지시대로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한 후 60초간 광중합하였다. 24시간 동안 증류수에 보관 후 단면적이 1.0 x 1.01㎟인 복합레진-상아질 beam을 형성하여 1 mm/min의 속도로 미세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와 Tukey test, 그리고 Pearson correlation test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Xeno III와 Ceram-X mono군에서는 C-factor가 증가할수록 미세인장결합강도가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p < 0.05), 나머지 재료군에서 C-factor군간에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C-factor 3군에서는 AQ Bond Plus와 Fantasista군이 XenoIII와 Ceram-X mono군에 비해 높은 결합력을 보였으나 (p < 0.05), C-factor 0.25군, 2군, 4군에서 4가지 접착제와 수복 레진의 조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Fantasista군에서 C-factor와 미세인장결합강도 사이에 일정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고, Ceram-X mono군에서 C-factor가 증가할수록 미세인장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 < 0.05). 이번 연구의 결과로 상아질의 깊이가 동일하고 6세대의 self-etching system을 사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하는 경우와동의 C-factor가 수복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C-factor on the bond strength of a 6th generation self-etching system by measuring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four types of restorations classified by different C-factors with an identical depth of dentin. Eighty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each of which had a C-factor of 0.25, 2, 3 or 4. Each group was then further divided into four subgroups based on the adhesive and composite resin used. The adhesives used for this study were AQ Bond Plus (Sun Medical, Japan) and Xeno III (DENTSPLY, Germany). And composite resins used were Fantasista (Sun Medical, Japan) and Ceram-X mono (DENTSPLY, Germany). The results were then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 Tukey's test, and a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factor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groups of Xeno III and Ceram-X mono (p < 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ny of the adhesives and composite resins in groups with C-factor 0.25, 2 and 4. 3.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C-factor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in the Fantasista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the C-factor of cavitie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he restorations when cavities of the same depth of dentin are restored using composite resin in conjunction with the 6th generation self-etching system.

      • KCI등재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전수연,이광원,유미경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NaOCl로 처리된 치수강 상아질에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 3M-ESPE, St Paul MN USA)을 적용할 때 미세인장결합강도에서 sodium ascorbate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건전한 인간 대구치의 치수강 내면을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1군, 0.9% NaCl로 세척; 2군, 5.25% NaOCl로 세척; 3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 4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 5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 6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5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 7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 8군, 5.25% NaOCl로 세척한 후 10% sodium ascorbate를 10분간 적용하고 다시 10ml 물로 수세. 처리된 시편들은 total-etching adhe-sive system(Single bond)으로 처리한 후 composite resin(Z250)으로 충전하고, 미세인장강도를 측정하기 전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분석 결과 NaOCl 처리 군(2군)은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낮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NaCl 처리 군(1군)과 sodium ascorbate처리 군(3-8군)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NaOCl로 처리한 치수강 상아질의 Single bond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는 감소되며 , 10% sodium ascorbate를 추가적으로 처리하였을 때 감소된 결합력이 회복됨을 보여주었다. Sodium ascorbate의 다양한 처리시간은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odium ascorbat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total-etching adhesive system to pulp chamber dentin treated with NaOCl. Pulp chambers of extracted human non-caries permanent molars were treated as follows: group 1, with 0.9% NaCl; group 2, with 5.25% NaOCl; group 3,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1min; group 4,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1 min and 10ml of water; group 5,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5 min; group 6,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5 min and 10ml of water; group 7,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10 min; group 8, with 5.25% NaOCl and 10% sodium ascorbate for 10 min and 10ml of water. Treated specimens were dried, bonded with a total-etching adhe-give system (Single bond), restored with a composite resin(Z250) and kept for 24h at 100% humidity to measure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NaOCl-treated group (group 2)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strength than the other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was found between NaCl-treated group (group 1) and sodium ascorbate-treated groups (group 3-8).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entin treated with NaOCl reduced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ingle bond. Application of 10% sodium ascorbate restored the bond strength of Single bond on NaOCI-treated dentin. Application time of sodium ascorba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과산화수소의 농도와 적용시간이 상아질의 깊이에 따라 레진 수복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손정룡,이계영,강유미,오영택,이광원,김태균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심부 상아질과 치수실 상아질에 H₂O₂를 각기 다른 적용시간과 농도로 적용하였을 때, 레진수복물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준비된 각각의 치아에 전형적인 근관와동을 형성하고 다음과 같이 무작위로 1개의 대조군과,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1군, 전처리를 시행하지 않았다; 2군, 20%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3군, 10% 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4군 5%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5군, 2.5% H₂O₂를 20분, 10분, 5분간 적용하였다. 위와 같이 처리한 후 와동 내를 Superbond C&B(Sunmedical, Co., Shiga, Japan)로 충전하였다. 각 치아는 증류수에 24시간 저장한 뒤 심부 상아질과 치수실 상아질로 잘라 미세인장결합강도 시험을 시행하였다. 각 군에서 측정된 미세인장결합강도를 3-way ANOVA와 Tukey post hoc test로 통계 처리하였다(p < 0.05). 실험 결과 모든 군에서 심부 상아질(D1)의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치수실 상아질(D2)보다 높게 나타났다. 평균 결합강도는 H₂O₂의 농도와 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통계분석에서 상아질의 깊이, H₂O₂농도와 적용 시간이라는 세 가지 변수간의 교호작용 효과는 없으나(p > 0.05). 상아질의 깊이와 H₂O₂농도 사이, H₂O₂농도와 적용 시간 사이에서는 교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 < 0.05). SEM 관찰에서는 H₂O₂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상아세관이 좀 더 개방된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gen peroxide at different application time and concentrations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resin restorations to the deep and the pulp chamber dentin. A conventional endodontic access cavity was prepared in each tooth, and then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1 control group and 4 experimental groups as follows: Group 1, non treated; Group 2, with 20% Hydrogen peroxide (H₂O₂); Group 3, with 10% H₂O₂; Group 4, with 5% H₂O₂; Group 5, with 2.5% H₂O₂; the teeth of all groups except group 1 were treated for 20, 10, and 5min. The treated teeth were filled using a Superbond C&B (Sun medical Co., Shiga, Japan). Thereafter,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for 24-hours and then sectioned into the deep and the chamber denti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s of each group were analyzed by 3-way ANOVA and Tukey post hoc test(p < 0.05). In this study,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he deep dentin (D1)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pulp chamber dentin (D2) in the all groups tested. The average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and the application time of H₂O₂ were increased. Analys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effect not only between the depth of the dentin and the concentration of H₂O₂ but also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H₂O₂ and the application time(p < 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among these three variables(p > 0.05). The higher H₂O₂ concentration, the more opened dentinal tubules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examination.

      • KCI등재

        상아질-복합레진 접착계면의 파괴거동에 대한 연구

        류길주,최기운,박상진,최경규 대한치과보존학회 2007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2 No.3

        파괴인성 실험은 상아질-복합레진 계면의 파절 저항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신뢰 할 만한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아질-레진 계면의 파괴인성과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여 이 두 실험방법이 상아질-레진 결합을 평가하는데 가지는 유용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파괴인성 측정에는 short-rod 시편 형태를 이용하였다. 각 시편에서는 소의 하악절치에서 결단한 치아 절편을 포함시켜 결합면을 얻었다. 미세인장 결합강도 또한 소의 하악절치 순면을 연마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레진 블록을 축조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편들은 37℃ 증류수에 24시간 보관한 후 각 실험방법에 맞게 인장력을 가하여 측정치를 구하였다. 통계분석은 95% 신뢰수준의 ANOVA와 Tukey's test를 이용하였으며, 두 실험방법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s 상관계수를 계산하였다. 전자현미경 검사를 통해 미세구조 또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파괴인성은 SE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Adper Single Bond 2 (SB), OptiBond Solo (OB), ONE-STEP PLUS (OS), ScotchBond Multi-purpose (SM)군 순으로 나타났고, Clearfil SE Bond (SE)군은 다른 실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p < 0.05) 다른 실험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2. 미세인장결합강도는 SE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SB, OB, SM, 그리고 OS순으로 나타났다. SB, OB, SM, SE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으나 (p > 0.05) OS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다른 4개의 실험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p < 0.05). 3. FE-SEM관찰에서 피막도가 두껍게 나타난 SM군, SE군과 피막도가 얇은 OS군, OB군, SB군 간에 파괴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전자는 접착층 내 파괴가 일어난 반면, 후자는 resin tag나 레진 침투층 내에서 파절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4. 파괴인성과 미세인장결합강도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r^(2) = 0.223, t = 0.927).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상아질 접착제의 임상적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는 결합강도 뿐만 아니라, 파괴인성도 함께 고려하여 임상적용의 예견성을 높여야 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e fracture toughness test is believed as a clinically' relevant method for assessing the fracture resistance of the dentinal restora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fracture toughness (K_(lC))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resin composite interface and compare their relationship for their use in evaluation of the integrity of the dentin-resin bond. A minimum of six short-rod specimens for fracture toughness test and fifteen specimens for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 was fabricated for each group of materials used. After all specimens storing for 24 hours in distilled water at 37℃, they were tensile-loaded with an EZ tester universal testing machi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NOVA and Tukey's test at the 95% confidence level, Pearson's coefficient was us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fracture toughness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FE-SEM was employed on fractured surface to describe the crack propagation. Fracture toughness value of Clearfil SE Bond (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dper Single Bond 2 (SB), OptiBond Solo (OB), ONE-STEP PLUS (OS), ScotchBond Multi-purpose (SM)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 and other 4 groups (p < 0.05).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B, OB, OS, SM (p > 0.05).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B, OB, SM, OS and OS only showed significant lower value (p < 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fracture toughness and microtensile bond strength values. FE-SEM examination revealed that dentin bonding agent showed different film thickness and different failure pattern according to the film thickness. From the limited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no correlation between KIC and μTBS. We can conclude that for obtaining the reliability of bond strength test of dentin bonding agent, we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test procedure and its profound scrutiny. [J Kor Acad Cons Dent 32(3):208-221, 2007]

      • KCI등재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장지현,이빈나,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Jang, Ji-Hyun,Lee, Bin-Na,Chang, Hoon-Sang,Hwang, Yun-Chan,Oh, Won-Mann,Hwang, In-Nam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Sigma}$,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s on the bond interface between the resin inlay and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Dentin surface was exposed in 24 extracted human molars and the teeth were assigned to indirect and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 For indirect resin groups,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temporized with provisional resin. The provisional restoration was removed after 1 wk and the teeth were divided further into 4 groups which used dentin adhesives (OptiBond FL, Kerr; One-Step, Bisco) with or without light-curing, respectively (Group OB-C, OB-NC, OS-C and OS-NC). Pre-fabricated resin blocks were cemented on the entire surfaces with resin cement. For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dentin surfaces were treated with dentin adhesives (Group OB-D and OS-D), followed by restoring composite resin. After 24 hr, the teeth were assign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mu}TBS$)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respectively. Results: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showed a lower ${\mu}TBS$ than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mu}TBS$ value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p < 0.05). CLSM analysi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revealed definite and homogenous hybrid layers. However,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showed uncertain or even no hybrid layer. Conclusions: Light-curing of the dentin adhesiv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cementing material in luting a resin inlay to dentin resulted in definite, homogenous hybrid layer formation, which may improve the bond strength.

      • KCI등재

        Bonding efficacy of cured or uncured dentin adhesives in indirect resin

        Ji-Hyun Jang,Bin-Na Lee,Hoon-Sang Chang,Yun-Chan Hwang,Won-Mann Oh,In-Nam Hwang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6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s on the bond interface between the resin inlay and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Dentin surface was exposed in 24 extracted human molars and the teeth were assigned to indirect and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 For indirect resin groups,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temporized with provisional resin. The provisional restoration was removed after 1 wk and the teeth were divided further into 4 groups which used dentin adhesives (OptiBond FL, Kerr; One-Step, Bisco) with or without light-curing, respectively (Group OB-C, OB-NC, OS-C and OS-NC). Pre-fabricated resin blocks were cemented on the entire surfaces with resin cement. For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dentin surfaces were treated with dentin adhesives (Group OB-D and OS-D), followed by restoring composite resin. After 24 hr, the teeth were assign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respectively. Results: The in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showed a lower μTBS than the direct resin restoration groups. The μTBS value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p < 0.05). CLSM analysis of the light cured dentin adhesive groups revealed definite and homogenous hybrid layers. However, the uncured dentin adhesive groups showed uncertain or even no hybrid layer. Conclusions: Light-curing of the dentin adhesiv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cementing material in luting a resin inlay to dentin resulted in definite, homogenous hybrid layer formation, which may improve the bond strength. [J Kor Acad Cons Dent 2011;36(6):490-497.]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접 레진수복시 상아질 접착제의 중합 여부가 레진인레이와 상아질간의 미세인장결합강도와 결합계면 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공초점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4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절단하여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켰다. 수복 방법에 따라 크게 간접 레진수복과 직접 레진수복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임시 수복하여 1주일 후, 상아질 접착 과정에 따라 4군(OB-C와 OB-NC군, OS-C와 OS-NC군)으로 나누었다. 간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OptiBond FL (Kerr) 또는 One-Step (Bisco) 상아질 접착제를 중합 여부에 따라 나누어 적용하였다. 처리된 상아질면에 제작된 3 mm 높이의 레진 인 레이(Tescera, Bisco)를 Variolink II (Ivoclar Vivadent)를 사용하여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합착하였다. 직접 레진수복군은 산부식 처리된 상아질면에 상아질 접착 후, 복합레진 (EsteliteΣ, Tokuyama)으로 즉시 수복하였다(OB-D군, OS-D군). 수 복을 마친 모든 치아는 24시간 후, 미세인장 결합 강도 평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 관찰(CLSM)을 시행하였다. 결과: 간접 레진수복군은 직접 레진수복군에 비하여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 (OB-C군, OS-C군)이 광중합을 시행하지 않은 군(OB-NC군, OS-NC군)에 비하여 높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나타내었다. 접착 계면에 대한 CLSM 관찰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광중합한 군에서 더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이 관찰되었다. 상아질 접착 제를 광중합하지 않은 군에서는 혼성층이 불분명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간접 레진수복물의 합착시 레진시멘트의 적용 전에 상아질 접착제의 광중합은 분명하고 균일한 혼성층의 형성하며, 이 는 결합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 KCI등재후보

        The comparison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variable adhesive systems to Class V cavity

        Kwon, Jung-Mi,Choi, Kyung-Kyu,Park, Sang-Jin 大韓齒科保存學會 2004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9 No.1

        이 연구는 발거 소구치에서 5급 와동을 형성하여 접착 시스템 및 와동 위치에 따른 상아질에 대한 접착시스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였다. 접착방법은 resin-modified glass ionomer(GI), compomer(부식여부에 따라 DE 및 DN군으로 분류). 그리고 상아질 접착제인 Single Bond(SB) 및 Clearfil SE Bond(SE) 와 복합레진(Clearfil AP-X)을 사용한 5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소구치 협측 치경부에 wedge 형태의 와동을 형성하고 5종의 접착 시스템을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적용, 충전하여 시편을 제작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고, One-way ANOVA / Duncan's test로 통계분석하였다. SEM검사는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시편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작한 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상아질 접착제 및 복합레진(SB, SE)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GI보다 높게 나타났고 (P<0.05), 치은측이 교합측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GI, DE, SE에서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Compomer에서 conditioning여부(DN, DE)에 따른 변화는 치은측에서만 유의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 관찰에서, 교합측의 상아세관은 결합계면과 평행하게 주행하였고, 치은측에서는 결합계면에 수직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