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읽기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 향상

        김영신,박가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film literac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human rights sensitivity. To attain the goal,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received the movie read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a year, and then the effect was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is a special activity class named as “The Stories of Human Rights Seen from Movies”, and it was conducted for 4 hours, once a month. It consisted of before watching activity, movie watching, analysis after the appreciation, and debate activ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study employe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diagnosis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Mun, et al. (2002)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ttee in order to measur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averages of the control class (26 students) and the experimental class (27 students) were compared,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tories, and also sex.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and the control class; however, the chang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eanwhile, there existed partial effect with regard to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pisodes, or sex. Like this, there was difference of effect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ex, and episodes; however, in the point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did improve in general after the human rights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human rights film literacy dealt with in this paper is helpful in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 학생들에게 1년간 영화읽기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권이야기”라는 특별활동반으로 월1회 4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영화 전 활동, 영화 보기, 감상 후 분석과 토론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영화읽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문용린 등(2002)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개발한 중학생용 인권감수성 진단 검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인권감수성을 측정하였으며 통제반(26명)과 실험반(27명)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고 인권영화반의 변화 정도를 인권감수성 하위요소, 이야기별, 성별에 따라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우선, 인권영화반과 통제반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권영화반의 인권감수성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한편, 인권감수성 하위구성요소나 에피소드, 성별로는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소별, 성별, 이야기별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 이후 인권감수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주목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인권영화 관람이 인권의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이정기,전범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7 No.-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1-S-O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O1-S-O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 KCI등재후보

        인권영화 관람이 인권의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1-S-O2-R 모델의 적용

        이정기,전범수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7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duce the watching of human rights films by applying the " O_1-S-O_2-R" a model explaining the generation process of media effects.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and act of movie watching) of the determinants of movie watching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reflective integration) for messages emerging after movie watching on users.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urveyed 260 college students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Of them, 148 (56.9%) had experience watching human rights movies, while 112 (43.1%) had no such experience. As a resul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tended to be more progressive, have a greater universalism value orientation, and show more interest in human rights in ordinary times than those who did not. Those who watched a human rights movie had six major motivations, namely "interest in human rights/self-reflection," "leisure," "interest in the director," "content/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showing off/expression." The motivations of watching a human rights movie had differential effe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The degree of reflective integr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changes to the perception of human rights. 이 연구는 미디어 효과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 모델인 'O_1-S-O_2-R을 적용하여 인권영화 관람을 유도하는 개인적 특성을 규명하고, 영화 관람을 결정하는 요소와 관람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생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보처리 과정(숙고적 통합)이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인권에 인식의 변화, 관람 행동)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대학생(대학원생) 2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 인권영화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148명(56.9%), 미경험자는 112명(43.1%)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권영화를 관람한 사람은 비관람자에 비해 진보적이고, 보편주의적 가치성향이 높으며, 인권에 대한 평소 관심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권영화 관람 경험자의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관심/자기 성찰’, ‘휴식’, ‘감독 관심’, ‘콘텐츠/성찰’, ‘사회적 상호작용’, ‘과시/표출’의 6개 동기로 밝혀졌다. 인권영화 관람 동기는 인권 인식의 변화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고, 숙고적 통합정도는 인권 의식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분단과 영화

        김충국(Kim, Choong-Koo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3 No.-

        이 글은 신자유주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98년 한국 금융위기사태 이후의 분단영화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분단영화는 분단의 현실과 그 영향을 주요 소재로 삼으면서 동시에 분단에 대한 개인적, 사회적 인식과 정서가 영화의 내러티브와 표현에 한국영화만의 고유한 특이점을 부여하는 영화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최근의 분단영화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로 간첩 캐릭터의 변화이다. 간첩은 공포의 대상에서 ‘생계에 허덕이는 모습’으로 바뀌어 재현된다. 이것은 대중이 자신의 처지를 간첩과 동일시하려는 의도에서 발생하는바 역사적으로도 간첩은 관객이 주체와 이데올로기를 봉합하는 매개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둘째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한 한국사회에서 탈북자가 영화의 소재도 등장하였다. 그 재현의 양상은 타자화되는 경향을 띠는데 현재는 이주 동포 간의 위계가 발생하고 있다. 조선족은 열등하고 범죄적인 이미지로 전락한 반면 탈북이주민은 여전히 중립적이거나 호의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지속된다. 셋째는 최근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소위 ‘북한 인권 영화’의 등장이다. 이것은 남북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결국 분단영화는 관객 또는 영화제작자가 주체의 불완전성을 보상받으려는 봉합 욕망의 작용이 투영된다. 그러므로 분단을 극복하는 영화는 봉합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필요한 시민의식을 회복하는 데 일조하는 영화가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s about change pattern of the ‘division film’ in South Korea since 1998 financial crisis, also known as neo-liberalism era. The concept of ‘division film’ is the unique singularity film in the narrative and representation under the social perception and personal judgment about division. Notable changes in the division are three kinds recently. The first is a change in the character of spy. The spy character changes to "struggling to living". This occurs in the intention to equate spy and spectator’s plight. Historically spy is parameter to suture subject and ideology. Second, In Korea has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 hierarchy occurs in the North Korean migrants and Korean Chinese. The image of Korean Chinese are inferior and criminal. but the North Korean migrants are represented in neutral or favorable. Third is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North Korean human rights films". It can act unfortunately as a spark of division conflict. Eventually the division film project sutural desire of to compensation of subject’s completeness. Therefore, the division film should be overcome sutural fantasy and helped to regain citizenship in a multicultural society beyond suture.

      • KCI등재

        영화 ‘가버나움’을 활용한 초등저학년 대상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이유진,김정원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0 다문화교육연구 Vol.13 No.2

        By using a recently released movie ‘Capernaum’, a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 grade-elementary students was developed and evaluated. ‘Capernaum’ was chosen because of its comprehensiveness in multicultural human rights education along with its main characters in young-aged children.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5 themes: 1) to be a character in the movie and writing a diary to understand various cultures (1~2 session), 2) a role play to recognize gender discrimination by becoming a discriminated character and to pledge gender equality (3~4 session), 3) to discuss the refugee problems and find out the ways to help them (5~6 session), 4) to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racial discrimination issues and to develop related slogans and campaign activities (7~8 session), 5)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and find the ways to help multicultural families (9~10 session).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o a class of 2nd grade elementary students revealed positive effects in three elem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including ‘minority protection’, ‘respect for difference’, and ‘pursuit of happiness’.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를 이끌어갈 주역인 초등학생들이 다문화 인권 인식을 함양할 필요성과 함께 어린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다문화 인권교육 요소를 충실히 포함하고 있는 최근 개봉 영화 ‘가버나움’ 에 주목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또래의 상황을 통한 감정이입과 교육적 효과가 기대되는 ‘가버나움’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생에게 적합한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가버나움’ 영화 중 위 요소에 적합한 2~3분 정도의 5개 장면을 선정하였고, 이를 활용한 총 5개 주제의 10차시 교수학습과정 안을 개발하였다. 위와 같이 설계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 H 초등학교 2학년 한 학급 2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에 주 1회 2차시로 총 10차시 수업을 시행하였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 관찰과 학습결과물 및 소감 발표 등을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버나움 영화 속 등장인물이 되어 일기 써보기 활동, 성차별을 인지하고 차별받는 등장인물이 되어 양성평등을 다짐할 수 있도록 역할극 수행, 난민 문제를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생각하기, 인종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와 관련된 표어 짓기 및 캠페인 활동, 다문화가족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도와주는 방법 토의의 총 5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소수자 보호, 차이의 존중, 행복 추구라는 세 가지 다문화 인권요소 측면에서 학생들의 소감 발표 및 활동 결과물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버나움’이라는 한 종류의 영화로 수업을 적용하니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상 주인공에게 더욱 몰입하게 되어 다문화 사회에서 고통받는 인물들에 대해 진심으로 공감하고 진지하게 고민하는 모습이 관찰되어 다문화 인권 인식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가버나움’ 영화는 학생들의 인지발달단계의 수준에 맞도록 활동을 개발한다면 초등학교뿐만 아니라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 현실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다문화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영화 <리바이어던>에 함의된 권력의 의미와 시민교육적 해석 -윤리적 성찰을 중심으로-

        김미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2

        우리 사회가 공정하고 정의로운 시민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권력의 주체로서 개인과 사회가 점유하고 있는 권력의 형태가 어떻게 적용되고 호혜적 관계로발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개인적⋅사회적 차원의 윤리적 성찰이 선행되어야 할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의와 인권’ 부분의 시민교육수업에서 절대권력의 국가론을 주장한 토마스 홉스의 저서 ‘리바이어던’과 동명으로 제작된 러시아 영화 <리바이어던>을 학습 매체로 선택하여 영화에 표현된 권력의 양상과 지배에 대해 분석하고 권력의 다원성과 시민교육의 의미에 대해 논의한다. 연구 방법은 영화에 함의된 권력의 의미를 분석하는 과정과 시민교육 수업에서 영화 <리바이어던>을 활용하여 시민교육의 교육적 의미를 논의하는 과정으로진행하였다. 수업은 영화를 시청한 후 영화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고 비판적 사고와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사회현상에 대해 인식이 확장된 내용과 윤리적 성찰의내용을 작성토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영화 <리바이어던>을 통한 시민교육의 의미는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부패한 권력이 만든 사회 시스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우리 사회가 지향 해야 할 도덕적 가치를 연결 짓는 사고의 사회화 과정에서 사회현상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제공한다. 둘째, 도덕적 가치가 상실된 사회 시스템의 불안정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유린하는지 인물들을 통해 공감하게 함으로써 ‘사회정의와 인권’ 에 대한 통찰과 윤리적 성찰의 당위성을 제공한다. 시민교육의 본질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성찰하며윤리적 태도와 도덕적 가치를 실천하는 시민성 함양에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권력의 지배와 갈등, 폭압과 몰락이라는 부패한 권력의 사회화 문제를 제기한 영화<리바이어던>은 ‘사회정의와 인권’에 대한 시민교육에서 윤리적 성찰과 토론을 통해 고차 사고력과 공감력을 배양하고 시민성 함양의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교육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In order for our society to move forward to a fair and just civil society, ethical reflection on how the form of power occupied by individuals and society can be applied and developed into a reciprocal relationship should be preceded.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s Thomas Hobbs’ book “Leviathan,” which argues for the national theory of absolute power in civil education in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and the Russian film “Leviathan” as learning media to analyze the power patterns and dominance expressed in the film.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meaning of power implied in the film an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citizenship education by using the movie “Leviathan” in the citizenship education class. In class, after watching the movie, the perspective of the movie was presented, and based 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recognition, they were asked to write the contents of the expanded awareness of social phenomena and the contents of ethical reflection. Results, the meaning of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movie Leviathan is explained in two ways. First, the movie Leviathan provides an extension of social phenomena in the process of socializing critical thinking about the social system created by corrupt power and the moral values that our society should pursue. Second, it provides insight into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and justification for ethical reflection by allowing characters to sympathize with how the instability of a social system whose moral values have been lost violates human life. The essence of citizenship education lies in fostering citizenship that practices ethical attitudes and moral values while reflecting on how humans should live as social beings. In this regard, the movie “Leviathan” which raised the issue of socialization of corrupt power, such as power dominance, conflict, tyranny and collapse, can explain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in that it motivates higher thinking and empathy through discussion and thinking on ethics in citizenship education under the theme of ‘social justice and human right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인권의식 증진을 위한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혜선,한상미,신나라,신지영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9 법과인권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권의식 증진을 위해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영화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현장 전문가의 의견과 학생들의 요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인권의식 향상을 증진시키기 위한 6회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자원한 참여자들을 실험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나누어 주당 1회기에 3시간씩 총 6회기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영화집단과 대기자 통제집단의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의 인지, 정서, 행동,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전, 사후에 따른 비교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개인별 면담자료를 통해 양적 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개별면담은 근거이론적 방법(Strauss & Corbi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주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순위합 검정(Wilcoxon rank-sum test)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화집단 프로그램은 인권의식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스웨덴 여성영화종사자의 인권제도에 관한 연구

        홍세영 ( Hong Sae-young )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2021 스칸디나비아 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권력자원론과 젠더주류화 관점에서 스웨덴 여성영화종사자 인권제도를 분석하였다. 2014년부터 스웨덴은 세계 최초 페미니스트 정부로 명명하면서 적극적으로 젠더주류화 전략을 모든 공적 영역에 수행하고 있다. 또한 2017년부터 활발하게 전개된 스웨덴 미투운동은 스웨덴 여성조직을 다시 하나로 묶어주면서 여성의 권력을 세력화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미투운동은 영화산업분야에서 활발히 전개되었으며 스웨덴 여성 인권을 제도화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미투운동 이후 스웨덴 영화산업계에서는 젠더주류화 전략을 더욱 강화시켰다. 젠더주류화 전략을 통해 많은 여성들이 영화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면서 여성의 권리가 반영된 영화를 제작하고 이 분 야에 양성평등 수준을 높이고 있다. 우리사회가 여성영화종사자들의 인권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웨덴처럼 성차별의 원인을 권력으로 인식하고 남녀의 권력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권력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성영화종사자들은 연대를 통해 정치세력화를 이루고 다른 여성조직과도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 더불어 한국에서 여성의 정치세력화가 제도화될 수 있도록 정부는 효과적인 젠더주류화 전략을 실행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human rights system of women film workers in Sweden. Since the Metoo movement in 2017, it has had a huge impact on Sweden and Korea. However, while Sweden has led to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laws and policy related to women’s rights, Korea has not. So, the Swedish case needs to be analyzed. For the framework of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power resource theory and gender mainstreaming. Power resources theory can explain the inequal relationship between woman and man. The gender mainstreaming is a strategy and key paradigm affecting the women’s human rights system. Since 2014 the world’s first feminist government has established in Sweden, as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be carried out in all levels in all areas more actively.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Metoo to bring the Swedish women’s organization back together and become a force. Especially in the film industry, actresse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Swedish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Sweden’s film industry produces films with women’s perspectives through the Bechdel Test, Gender disaggregated statistic and gender responsible budget with the power of gender mainstreaming, and many women are leading the film industry. However, despite the gender mainstreaming strategy in Korea, it has yet not to be applied in the film industry. Therefore, Korea needs to strengthen women’s human rights learning from Swedish Case.

      • 자기 방어적 소외와 공포

        류아진(Ryu A-jin)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4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 No.4

        본 논문은 2005년 류승완 감독이 제작한 인권영화 <남자니까 아시잖아요>를 통해 현대 한국사회 성역할의 이중성에 대해 소외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목표를 둔다. 이 영화에서 전형적인 가부장적 사상을 가진 주인공 우식은 사회로부터 부여된 ‘남성성’이란 성역할의 압박을 극복하지 못한 인물이며, 사회의 다양성을 내포한 인간 군상인 ‘포장마차’ 속 등장인물들과 여러 방면의 외적 갈등을 겪는다. 그로 인해 성역할 기대 충족을 위한 그의 투쟁, 우위 계층 선점의 명분이 무가치성으로 추락할 위기가 대두되자 그 불안은 곧 공포로 치환되고 자아를 보호하기 위해 방어적으로 타인에게서 자신을 분리시켜 의도적인 소외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 소외의 표현은 우식의 타인에 대한 일방적인 비난의 형식으로 나타나며, 그 반동으로 타인과 자신은 다르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자신의 존재 가치를 재차 확인?강조한다. 본고에서는 주인공을 통해 사회가 부여하는 성역할의 개념이 과연 무엇인지, 편견의 딜레마와 결말이 시사하는 한계가 무엇인지 현대 한국이라는 특정한 시간적·공간적 배경을 토대로 이를 고찰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focusing on alienation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and duality of gender roles through Human Rights Film <Hey Man> directed by Seung-wan Ryu. In the movie, The main character ‘Woo-sik’ who has typical patriarchal ideology is unable to overcome the pressure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and in conflict with various people in ‘street vendor’ signifying a different human character in the society of Korea. When his struggle for gender role expectations met and justification of the upper hierarchy preemption was facing with crisis of worthlessness, that anxiety turned into the fear. To protect his ego, he separated from others defensively, is lead to the intentional alienation phenomenon.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alienation for others appeared in the form of a one-sided condemnation, he reaffirmed and emphasized his existence value taking advantage of the truth different from other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concept of gender roles granted by society through the main character and what is the suggested limit about movie ending and dilemma of prejudice. This is based on the time and space background about modern society of Korea.

      • KCI등재후보

        대학의 5ㆍ18 영화연구와 사회참여의식에 관하여

        문현주(Mun, Hyunju) 조선대학교 민주평화연구원 2019 민주평화연구 Vol.2 No.1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two master s theses (Lee, Hyunjin and Chai, Heesuk) regarding 5ㆍ18 movies and highlight the social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hoping to contribute to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5ㆍ18 movie-study for the future. I study the theses separately to keep off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and, in a long conclusion, continue to study three more following theses of masters and suggest the strategies to develop the research. As a result, 5ㆍ18 movies and the study of it at the universities should be concentrated much enough to make the truth ascertainment efforts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o many subjects of human rights violation at that time are ideal materials to increase the verisimilitude of the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