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박혜숙(Park, Hye-sook),양상희(Yang, Sang-h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문용린 외(2002)가 개발한 인권감수성 척도를 대한민국의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살피고, 인권감수성 수준에 관련되는 성별, 학년, 인권관련 교육경험, 지각된 대한민국 사회의 인권의식수준, 세계시민정체성,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인권감수성 척도점수 사용의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 다특성다중방법, Rasch 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권감수성 관련 문항만으 로 구성된 척도가 인권감수성과 비인권감수성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개발한 척도보다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인권교육경험, 세계시민정체성, 지각된 한국인의 인권수준, 및 공동체 의식은 인권감수성 요소와 독특한 관련성을 보였다. 세계시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과 환경권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해당 정보는 인권교육 및 인권감수성제고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학년과 인권감수성 관계를 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다른 변수를 공변인으로 한 MANCOVA결과에서도 공동체의식은 유의미한 공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공동체의식 제고는 다문화 및 세계화시대에 인권감수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validated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in 2002 by Mun Young-Rin et al. Using a local university student sample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nalyzed possible correlates such as gender, year-in-school experience, human rights-related education experience,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sense of community. Result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trait–multimethods, and a Rasch measurement model indicate that using the sum of human rights-sensitive individual item mean score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in the survey is more valid than using difference scores obtained by dedu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as suggested by Mun et al. The study found that elements of individual scale scores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year-in school,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The information obtained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n particular, based on MANCOVA results emphasizing sense of community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variat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analysis indicates that enhancing sense of community is crucial for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n a multicultural and globalized society.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에 관한 연구

        홍기훈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8 No.3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수준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향후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인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인권옹호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작업치료사로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5개의 사례 이루어 진 30개의 질문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는 7가지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을 온라인으로 배포, 수집하여 총 165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33.52±14.96점이었고 하위 영역에 따른 인권감수성 평균은 상황지각 20.44±2.32, 결과지각 19.85±2.32, 책임지각 19.14±2.21 순으로 나타났다. 사례 중 노인의 행복추구권(12.72±1.56)에 대한 인권감수성이 가장 높았으며 장애인의 신체의 자유권(11.04±2.23)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작업치료사의 일반 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 중 연령, 교육정도, 근무기관과 임상경력에서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연령과 임상경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인권관련 상황에 노출 될수록 인권감수성이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상황지각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것은 클라이언트-중심의 중재를 위한 공감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인권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의 다양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and to emphasize their role as human rights advocates. Methods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chosen by snowball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episodes and 30 questions to measure the level of occupational therapist'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7 questions for identify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by on-line. 165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to final data analysis. Results : The avera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33.52±14.96.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the average of perception of situation was 20.44±2.32, perception of result was 19.85±2.32, and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was 19.14±2.21. Among 5 episodes, The highest score was the 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of the elderly(12.72±1.56), and the lowest score was the right to personal freedom in disabled (11.04±2.2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of the subjects' age, educational level, organization type, and the level of clinical experiences. Conclusion : Occupational therapists' human rights sensitivity increased with age and the level of clinical experiences. An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ncreased as they were exposed to various human rights related circumstances. The reason of the highest score for situational awareness was that empathy for the client-centered intervention is important.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human rights education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만,홍기훈,이춘엽,김희정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및 옹호활동을 조사하고 상관관계 및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국내 작업치료사 면허를 소지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 부터 6월 1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 볼 수 있는 7가지 문항과 인권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6가지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36가지 문항 그리고 옹호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7가지 문항을 포함하여 총 50문항의 문항의 설문을 배포, 수집하여 총 116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평균은 69.00 ± 17.67점이었고,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별 평균은 상황지각(23.25 ± 5.62), 책임지각(23.00 ± 6.54), 결과지각(22.75 ± 6.5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은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높았고 근무지역에 따라 서울이 경상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 관에 따라서는 대학/종합병원,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보다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으며, 근무분야에서는 노인 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이 기타 대상에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보다 더 높은 인권감수성을 보였다. 작업치 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옹호활동의 차이는 근무지역, 근무기관, 임상경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근무지역에 따라 옹호활동은 서울, 경기도가 경상도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재활/요양병원이 기타 기관과, 대학/ 종합병원보다 더 높았다. 임상경력에 따른 차이는 3∼5년차와 6∼10년차가 11년차 이상보다 옹호활동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과 옹호활동의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권감수성이 옹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고, 이때 옹호활 동 변수의 40.5%를 설명하였다(F=79.288). 인권감수성의 3가지 하위영역을 독립변인으로 동시에 투입하여 옹호활동 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옹호활동에 대하여 상황지각과 결과지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책임지 각은 양(+)의 방향으로(p<.001)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책임지각이 1점 증가할 때마다 옹호활동은 .076 점만큼 증가하였고, 이때 옹호활동 변수의 43.4%를 설명하였다(F=79.288). 결론 : 인권감수성과 옹호활동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권감수성 3가지 하위영역 중 책임지각 변수가 옹호활동에 유 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작업치료사의 옹호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권감수성의 개념이 포함된 인권 프로그 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Human Rights constitute one of the basic pillars of every work where persons are involved, such is the case of the occupational therapy field. Method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advocacy activi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and the impact of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re examined and presented. Making use of online surveys 116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ults : The measured average of human right sensitivity is 69.00 ± 17.67 point, being them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subcategories: to th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corresponds 23.25±5.62 points, to the perception of the consequences 22.75±6.54 points and for the perception of the responsibility 23±6.54 points. In all the cases have been taken in account the equal rights, the right to education in disables, the right to pursue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the right of the disables to have personal freedom, the privacy rights and the privacy rights for mental illness people. According to the working area the Human Right sensitiveness is higher in Seoul than in the Gyeongsang province meanwhile the advocacy activities is higher in Seoul and in Gyeonggi province than in Gyeongsang province. Depending of the type of service, general hospitals and rehabilitation/nursing hospitals showed higher human rights sensitivity than other service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working field, occupational therapy group focused in elderly showed higher Human Right sensitivity than other fields. Professionals belonging groups of clinical experience from 3 to 5 years and from 6 to 10 years showed higher advocacy activities than professionals with more than 11 years of experience. A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ed between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he advocacy activities. For this situation, the human rights sensitiveness was divided in sub-categories in perception of the situation, perception of the consequences and perception of the responsibility. As showed by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advocacy activities of human would grow up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the human rights sensitiveness of responsibility perception. Conclusion : Due to the actual lack of information, the collection and study of basic data is fundamental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s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the defense of the human rights.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장기연,이은진,공명자,강미영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3 재활치료과학 Vol.12 No.4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인권감수성 수준 차이를 비교하여 작업 공정성 의식과 인권행동 제고 및 인권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조사 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한 작업치료사로 일반적 특성 및 10개의 인권감수성에피소드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된 응답지 중에서 최종적으로 131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인권감수성 평균은 남성이 58.75점, 여성이 55.44점으로 남성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에피소드별 인권감수성 차이는 체포, 구속당하지 않을 권리와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 영역에서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성별로 가장 높게 나타난 에피소드를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이주노동자의 정당한 노동의 권리, 여성의 경우 장애우의 교육받을 권리가 가장높게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별 인권감수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책임지각에서 남녀간 통계적으로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 책임지각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 상황지각에 대한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사들의 인권감수성에 대해 조사하고 남녀간의 차이에 대해 알아봄으로써향후 임상현장에서 올바른 인권의식과 가치관을 확립하고 인권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그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작업치료사들을 위한 인권의식 및 행동이 향상될 수 있는다양한 인권교육이 강화되도록 하고, 교육 및 임상현장에서 작업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between variables to provide a basis for awareness, human rights behavior,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Methods :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0 human rights susceptibility episodes was distributed, and 131 copies were analyzed. Results : The average score for human rights sensitivity was 58.75 for male and 55.44 for female therapists. As for the difference in human rights sensitivity by episode by sex,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ight to avoid illegal arrest and restriction and the right to freedom from imprison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changes in human rights sensitivity by subcategor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case of males, the average score for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was the highest, and in the case of females, the average score for perception of the situation was the highest.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of educational programs in clinical settings to improve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behavior.

      • 정신보건시설 운영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및인권 감수성 평가

        이경민(Kyungmin Lee),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1 사회정신의학 Vol.16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보건 인권교육에 참석한 정신보건시설 운영자를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와 인권감수성을 조사하여 정신 보건 인권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또한 이를 향후 인권교육 세부내용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9년 3월부터 7월까지 시행한 운영자 교육에 참석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정신장애인 분야의 인권교육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였고, CAMI(Communit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를 이용하여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성별과 학력에 따른 운영자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 및 인권감수성의 차이는 전반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CAMI의 사회생활 제한 및 지역정신보건개념의 하위 척도에서만 여성이 남성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령의 경우 60 세 이상의 운영자가 다른 연령대의 운영자에 비해 정신질환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인권감수성은 40-49세의 운영자가 20-39세의 운영자에 비해 감수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종에 따라서는 운영자가 의사이거나 행정직인 경우가 정신질환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와 낮은 감수성을 보였다. 다른 기관에 비해 사회복귀시설이 전반적으로 정신질환에 긍정적인 태도와 높은 감수 성을 보였다. 5년 미만으로 근무한 운영자와 30년 이상 근무한 운영자가 CAMI의 세 항목인 권위주의, 사회생활 제한, 지역정신보건 개념에서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CAMI의 자비심 영역에서는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가 유의 미하지 않았다. 결 론 :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와 인권감수성은 정신보건시설 운영자의 여러 하위 특성에 따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정신보건 인권교육의 시행에 있어서 각 하위 특성에 따른 접근과 세분화된 인권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sensitivity of directors of mental health facilities, who participated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in 2009, towards mental illness and their human rights. The findings will be used to figure out current situation of the mental health field in perspective of human right issue as well as a basi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 from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which was going on from March to July in 2009 by applying two questionnaires for assessment of their attitudes and sensitivity toward human rights of mentally ill people. One questionnaire is the Assessment Tool for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contains questions specifying mental health issue. The other is Communit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CAMI) which was developed by S. Martin Taylor and Michael J. Dear. Results : The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I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ccording to participants’ sex and education level. Fema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attitude at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aology of CAMI. Participants over 60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 than younger participants at CAMI questionnaire. In human rights sensitivity questionnaire, participants aged 40-49 years were less sensitive than those aged 20-39. Doctors and non-medical persons were found to be more negative at both CAMI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Directors of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had more positive attitude and better sensitivity than others. About questions for benevolence in CAMI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duration of working. About questions for authoritarianism, social restrictivenes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ideaology in CAMI, participants who had worked less than 5 years and more than 30 year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han others.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are divers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We could propose that development of more individualized and user-friendly approach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uld be necessary to make the education program be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 KCI등재

        중고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박혜숙(Park, Hye-Soo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3

        이 연구는 문용린, 문미희, 곽윤정(2002)이 중고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인권감수성 척도점수의 사용가능성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이 척도의 개발자들은 인권감수성을 촉발하는 여러 에피소드를 사례로 들고, 각 에피소드(인권항목)마다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의 3개 분야 아래 인권감수성 문항과 인권감수성과 무관한 문항을 개발하고, 차이점수에 근거하여 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의 인권감수성 하위척도를 만들었다. 그 척도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국내 여러 연구자들이 문용린과 동료들이 개발한 세 개의 하위척도 점수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중고생을 대상으로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요인분석, Rasch 측정모형, 상관관계, 그리고 t-test을 사용하여 문용린과 동료들(2002)의 척도점수 사용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인권감수성 문항만으로 구성된 척도보다 인권감수성 문항 점수와 인권감수성과 무관한 문항 간 차이점수를 이용한 척도가 덜 타당한 것으로는 볼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또한 인권감수성의 특성(상황지각, 결과지각, 책임지각) 점수를 사용하는 것보다 에피소드(인권항목)를 구인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 각 에피소드와 성별, 학교급 변수는 독특하게 관련이 있었다. 에피소드를 이루는 문항들의 평균을 척도점수로 사용하고 행동 측면의 다문화 수용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두 변수는 정(+)적 상관관계로, 준거관련 타당도의 증거로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in 2002 by Moon Young-Rin et al. The instrument was constructed around four episodes that should trigger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erms of three conceptual categories: perception of a human rights situation, visualization of the probable results of a certain action, and awareness of one’s responsibility. Each episode is followed by six questions divided among the three conceptual categories. Half of the questions would be related to human-rights, the other half, unrelated. Moon et al. used difference scores, subtra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 scores, and generated three scales corresponding to the conceptual categories. Curr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utilizing the Moon et al. (2002)’s scale scores, though there does not exist clear supporting evidence of validity of using the three sca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utilizing Moon et al.’s scale scores in a sample of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alysis use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Rasch measurement model analysis, correlation, and t-test. Results indicate that using difference scores obtained by subtra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 scores is permissible; however, utilizing each episode as a subscale is more sound than Moon et al.(2002)’s three categories.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s of individual episode scale scores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and school level (middle vs. high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of each episode scale score and the behavioral aspect of multicultural receptivity was positive, an evidence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 KCI등재

        인권감수성 예측모형 구축

        구정우(Jeong-Woo Koo),남윤창(Youn-Chang Nam),황태희(Taehee Wha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1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직접 수행한 27,730건의 모바일 및 웹기반 인권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개인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예측하는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구축한다. 21개 인권관련 응답 문항을 기반으로 응답자들의 인권감수성을 높음, 중간, 낮음으로 구분하고, 11개 인권정책 관련 문항들과 성별, 연령 및 인권교육에 경험에 근거하여 인권감수성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 나무 모델을 구성한다. 연구결과 예측 모형 상위에 위치한 5개의 문항들―경제우선, 범죄피의자, 가정체벌, 불법체류자 의료보험, 성소수자―이 응답자들의 인권감수성을 높음, 중간, 낮음으로 구분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표로 나타났다. 총 28개의 인권감수성 유형이 판별되었으며, 높음 그룹으로 5가지, 중간 그룹 10가지, 낮음 그룹 13가지로 유형이 구분되었다. 높음 그룹의 대표적인 유형들을 인권숭배, 국민국가형 인권숭배, 사생활 중심형 인권숭배로, 낮음 그룹의 주요 유형들을 성장주의, 인권 제한주의, 내집단 중심주의로 개념화(conceptualization) 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인권연구에 기여하려는 시도로써,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자료를 소개하고 이 자료에 알고리즘적인 분석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인권연구의 외연을 획기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a sample of 27,730 respondents collected via mobile and/or web-based survey conducted in South Korea in 2016 and seeks to construct a model predicting the levels of individual human rights sensitivity. We first categorize human rights sensitivity into three different levels-top, middle, and bottom- and predict what patterns of answers in a dozen policy-related questions lead to differences in those levels. We employ J48 C4.5 algorithm created by Weka to construct these predictive models. Findings suggest that the four top nodes, economic growth, permitting corporal punishment at home, providing healthcare for undocumented migrants, and due process for criminal suspects, appear to contain the highest amount of information predicting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From the total 28 groups of sensitivity, we choose three groups located at the top and label them as human rights idolatry, nation-state oriented human rights idolatry, and privacy-protective human rights idolatry. In a similar vein, we selected three group located on the bottom and label them as economic growthism, human rights restriction, and in-group idolatry. This study contributes to a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diffusion of human rights and paves the way for a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for public policies regarding human rights protection.

      • KCI등재

        작업치료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권감수성 조사연구

        장기연,이은진,공명자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3

        목적:본 연구는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권감수성 수준을 알아보고 변인 간 인권감수성의 차이 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인권관련 직업 윤리 교과과정 개발 및 인권 행동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연구대상자는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한 전국의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학 전공 대학 생들로 일반적 특성과 인권감수성 에피소드 10개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여 최종 자 료 분석에 408부를 사용하였다. 결과:인권감수성은 전체평균 60.60±26.72점 이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권감 수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인권관련 교육의 경험이 있는 경우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인권감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에피소드 별로는 이주 노동자의 정당한 노동의 권리에 대한 항목의 감수성이 가장 높았고 구금으로부터의 자유권 항목의 감수성이 가장 낮았으며 이는 학년 간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별 인권감수성 차이의 결과, 모든 학년에서 상황지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로는 상황지각은 2학년이, 결과지각과 책임지각은 3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작업치료학 전공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자신과 타인에게 미칠 결과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고 타 인을 인식하는 능력인 결과지각, 인권과 관련된 행동에 책임을 지고 실제 행동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책 임지각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내 인권의식과 인권 행동이 향상 될 수 있는 내용이 강화되도록 하고, 교육 및 임상에서 작업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치료실천 관련 논 의가 필요하겠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human rights susceptibility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related curriculum and human rights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10 human rights susceptibility episodes was distributed and 408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of human rights susceptibility was 60.60 (± 26.72). In the case of experience in human rights-related education, human rights suscepti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inexperienced student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human rights susceptibility by sub - factors, th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was high in all grades. According to grade level, th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was in the second grade, and the perception of the result and the perception of responsibility were the highest in the third grad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s behavior in the curriculum, and to discuss the practice of occupational therapy to enhance the Occupational Justice in education and clinic.

      •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이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지원,이양희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5 장애아동인권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 그리고 장애수용태도 간의 관계와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정서지능, 인권감수성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현재 통합교육현장 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심리적 통합 지원 및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4,5,6학년 초등학생 501명이었다. 정서지능 척도는 Salovey와 Mayer(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한 문용린(1997)의 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인권감수성 척도는 국가인권위원회(2002)에서 개발하고 신옥임(2006)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장애수용태도는 수용성과 활동선호 측면에서 각각 2가지 종류의 설문지(Voeltz, et al, 1980; Siperstein, & Gottlieb, 1977)를 류순옥(2002)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은 학년일수록 정서지능, 인권감수성, 장애수용태도 높게 나타났다. 인권감수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고 통합경험이 있는 학생은 통합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수용성 측면의 장애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인권감수성, 장애수용태도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인권감수성은 모두 장애수용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인권감수성의 설명력이 정서지능에 비해 높게 나타나,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인권감수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영화읽기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 향상

        김영신,박가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film literac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human rights sensitivity. To attain the goal,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received the movie read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a year, and then the effect was examin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e program is a special activity class named as “The Stories of Human Rights Seen from Movies”, and it was conducted for 4 hours, once a month. It consisted of before watching activity, movie watching, analysis after the appreciation, and debate activ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study employed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diagnosis test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Mun, et al. (2002) in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ttee in order to measure their human rights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averages of the control class (26 students) and the experimental class (27 students) were compared,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tories, and also sex.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and the control class; however, the chang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in the human rights movie cla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Meanwhile, there existed partial effect with regard to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episodes, or sex. Like this, there was difference of effect in terms of the subarea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sex, and episodes; however, in the point that human rights sensitivity did improve in general after the human rights the film literacy program, the human rights film literacy dealt with in this paper is helpful in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인권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 학생들에게 1년간 영화읽기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은 “영화로 보는 인권이야기”라는 특별활동반으로 월1회 4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영화 전 활동, 영화 보기, 감상 후 분석과 토론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영화읽기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문용린 등(2002)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개발한 중학생용 인권감수성 진단 검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의 인권감수성을 측정하였으며 통제반(26명)과 실험반(27명)의 평균 차이를 비교하고 인권영화반의 변화 정도를 인권감수성 하위요소, 이야기별, 성별에 따라 확인해보았다. 그 결과 우선, 인권영화반과 통제반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권영화반의 인권감수성의 변화는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한편, 인권감수성 하위구성요소나 에피소드, 성별로는 부분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인권감수성의 하위요소별, 성별, 이야기별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긴 했으나 전체적으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 이후 인권감수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주목한 인권 영화읽기 프로그램이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