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터 젱하스의 평화론

        이동기(Dong Ki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3 OUGHTOPIA Vol.28 No.1

        이 논문은 디터 젱하스의 평화론을 다룬다. 디터 젱하스가 제시한 복합구성관점의 평화론은 평화 구성의 다양한 조건들을 연관시키고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였다는 점에서 평화론의 중요한 이론적 성취다. 젱하스는 ‘원평비평’의 준칙에 기초한 ‘인과적 평화주의’로 평화의 복합적 구조와 건설적 평화형성 정책을 위한 복합적 원인과 과정들을 구상했다. 젱하스의 문명육모 평화론은 폭력독점, 법치국가, 민주적 정치참여, 상호의존과 흥분통제, 사회정의 그리고 건설적 갈등해결문화 등 여섯 가지 문명화 요소에 기초했다. 그것은 유럽적 경험에 기초해 있긴 하지만 ‘건설적 평화구상’의 사유양상을 잘 보여 주었기에 다른 지역의 평화형성을 위해서도 매우 유의미한 경험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젱하스의 평화론은 지속적인 평화의 ‘조건’과 ‘과정’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특별한 함의가 있다. ‘한반도발 평화론’도 남북한 분단에 대한 더 나은 이해에 달려 있다기보다는 더 많은 평화의 조건과 원인들의 ‘복합구성’ 과정을 얼마나 정밀히 분석하고 상상하는가에 달려있다. This essay deals with the peace theory of Dieter Senghaas which c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famous contributions to European peace ideas. His configurational perspective on peace aims at demonstrating the correlation and interaction of various conditions and factors for peace-building. The causative pacifism which is based on the maxim ‘Si vis pacem, para pacem’ enabled him to think over the complex architecture of peace and the complex causes and processes of a policy of constructive peace-building. His civilizational hexagon as a constructive concept of peace is composed of six conditions of a civilised management of indispensible conflicts in the modern society: monopoly of power, rule of law, political participation, interdependences and affect control, social justice and equity, culture of constructive conflict management. Even if the civilizational hexagon could be criticized as a concept which has been designed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uropean modern achievements, it is not to deny that the European experience can help other cultural regions in the World to develop their own approaches to peace-building process. The peace theory of Dieter Senghaas ha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 that it has explored the conditions and processes of the sustainable peace. A meaningful ‘peace theory from Korea’ depends not so much on a better understanding on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r as on analysing and imaging more elaborately on the configurative process of the possible conditions and causes of peace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중론』과 가상현실의 형이상학

        김유신,윤종갑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8 No.-

        이 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한 가상현실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존재론적 탐구를 시도한다. 가상현실의 출현이 가져다 줄 수 있는 해체론이나 구성주의를 실재론적 관점에서 비판할 것이다. 중론은 자성을 비판하지만 동시에 이제설을 통해서 해체론적이거나 허무주의 역시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중론의 연기의 상의성과 이제설을 통하여, 가상현실에 대한 적절한 존재론을 부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네트워크를 통해서 출현하는 가상현실과 실제 현실은 서로 의존적이기 때문에, 실제세계는 가상 현실을 통해서 자신을 배울 수 있고, 가상세계는 또한 실제세계에 토대해 있음을 깨달아 가상세계의 자유를 현실세계와 독립적으로 추구하기보다는 상호 연관성 속에서 추구해야 할 것을 주장한다. 그 때 가상 현실에서 발생되는 다중공동체는 인과적 통일성을 가지게 되어 다중인격, 자아분열 등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은 욕망의 확장이기보다 생활세계의 창조적 확장이 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attempt ontological investiga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raised by the apperance of virtual reality due to the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Deconstruction and constructive ontology which have been used to interpret virtual reality have been criticized in view of realism. Mādhyamik-śāstra criticizes not only identity theory but also deconstruction and nihilism through the theory of ultimate truth and conventional truth. Therefore through the discussion of interdependence interpretation of causality and theory of ultimate and conventional truth, it is shown that Mādhyamika-śāstra can be alternative ontology for virtual reality. Because the virtual reality emerged by network and actual reality are interdependent, actual reality can learn its limit through virtual reality and virtual reality recognize that it should be based upon actual reality. So, it is claimed that the freedom of virtual reality should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interdependence instead of being pursued independent of actual network. The multiple communinity created in virtual reality can have causal unity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multiple personality and split personality. It is claimed that the virtual reality is the creative expansion of life world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desire.

      • KCI등재

        중학생들의 유전 현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 글쓰기 분석

        이신영 ( Shinyoung Lee ),김미영 ( Mi-you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유전과 관련된 과학적 현상에 대한 설명 글쓰기에서 드러나는 개념 성취 수준을 살펴보고,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어떠한 논변 구조와 정당화 방식을 사용하는지, 과학적 지식을 적절하게 정당화에 이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 162명이 ‘유전과 진화’를 학습한 후에 크기와 모양이 같은 초록색 피망과 빨간색 피망이 같은 종류인지 다른 종류인지 다른 주장을 하는 경쟁 논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성취 개념 성취 수준에서 전체 응답자(162명) 중 47%(77명)는 정답을, 53%(85명)는 오답을 제시하였다. 논변 수준을 살펴보면, 정답 학생들은 자료를 주장이나 결론에 연결하여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3(Constructing warrant)이 오답 학생들은 주장과 자료를 논리적으로 연결하지 않고 증거만 제시하는 수준인 수준 2(Providing evidence)가 가장 많았다. 정당화를 하면서 과학 지식(Scientific idea)의 사용을 학생들의 조사한 결과, 인과적 설명의 질을 결정할 수 있는 요소로 과학 지식을 사용한 학생 중 36%가 옳은 과학 지식(Correct scientific knowledge)을 사용하였으나, 나머지 학생들은 옳지 않은 과학 지식이나 특정되지 않은 과학 지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은 인식적 실행인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논변적 글쓰기를 장려하기 위해서 논변의 구조에 대한 영역 일반적인 지식의 교수 실행을 통해 관련된 특정 과학 지식을 적용하여 자신의 생각을 증거와 주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nowledge and abili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four areas: conceptual understanding, argument construction, justification schemes, and use of scientific knowledge in a causal explanation for a genetic phenomenon. A group of 162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aken a class titled Genetics and Evolu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student answered―and justified the answer to―one question pertaining to genetics. Ability levels were rated from level 0 to level 4, with 4 being the top rating. Students were required to choose one of two competing arguments to explain whether green seed pimps and red seed pimps of the same size and shape were the same species or not. Analyzing conceptual understanding: 47% of the respondents provided the correct answer. Analyzing their abilities for constructing an argument: 75% of the students with the correct answer and 42% of the students with the incorrect answer were evaluated to be at ability level 3 or 4 for argument construction. Analyzing the students’ justification schemes: “Scientific idea” and “Analog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schemes. Analyzing their use of scientific knowledge: of the students who selected the scientific idea justification scheme, 36% used the correct scientific knowledge, but the remainder used inaccurate or nonspecific scientific knowledge.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 for encouraging argumentative writing explaining scientific phenomena regarding epistemic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