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도시공간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소고

        양정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도시·건축 부분에서 인공지능은 관리, 설계, 제작 부분에서 주목할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조명디자인 분야는 스피커와 연계된 테이블램프나 스마트 가로등 위주로 상용화되고 있어 공간으로 확장성은 극히 제한적이다. 특히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 연구와 지침 등은 거의 없어 엔지니어들이 인공지능이 적용된 조명환경을 어떤 방향으로기술개발 하여야 할지 그 방향성이 모호하다. 인공지능 기술개발은 급진적이나 활용 방향성이 제시되지 않아 공간경험과 공간환경 보다는 요소 위주로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도시 건축공간에 대한 인공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개발내용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에서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둘째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현황에 대해 개별 조명기구 중심의 개발, 운용시스템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구분하여 최근 5년간의 신문과 뉴스, 잡지, 조명기술전문사이트 검색을 통해 개발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공간에 있어 인공지능 개발의현황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성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 4 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람, 사물, 공간을 초연결, 초지능화 산업구조와 사회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그에 대응하는 조명환경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명디자인은 지리환경 분석, 법규 적용, 주변 이용자 현황, 동선, 소비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으로 빛환경 연출이 확장 가능하다. 더 나아가 공간조명은 정보인지, 생물학적 리듬조절 및 건강, 심미성 강화하는 빛환경의 조건을 찾아 인공지능 적용 가능하다. 이에 인공지능기반 조명디자인은 안전성 강화, 건강증진, 정보전달 및 지역공동체 의식 강화, 유희적 경험과 문화예술적 체험, 자가 학습과정으로서 인공지능 조명을 중심으로 개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조명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여그 방향성에 대해 함께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록 본 연구가 실험 바탕의 정량적 연구가 아니어서 연구결과에 대해 구체적 수치나데이터는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AI조명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담론 없이 단편적 기술 위주로 개발되는 현재 조명산업 개발 방향에 의구심을 제기하고 그 방향성 수립의 필요성과 발전상을 제안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shown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management, design, and production of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However, in the lighting design field, AI table lamps linked to speakers or smart street lighting fixtures with multiple functions have been commercialized, which is limited for spati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there are only few studies and guidelines on the development of AI-based lighting design, making it ambiguous for engineers to choose a direction in developing the lighting environment appli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radical, but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it is focused on elements rather than spatial experience and the spatial environment becaus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is not presented. Therefore,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AI-based lighting design development. (Method) First, based on previous resear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rchitectural space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Second, a status survey for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conducted. This study concern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operation systems, contents based on data newspapers, news, magazines, and lighting technology-specialized websites in the last five year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present opinions o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esults) People, things, and space, which are at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hanging into hyper-connected and super-intelligent industrial structures and social system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lighting environments corresponding to them are insufficient. Lighting design can expand illuminated environmen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ographic environment, application of laws, and big data analysis of surrounding user status, movement, and consumption patterns. Furthermore, space lighting can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by determining the conditions of a light environment that enhances information recognition, biological rhythm control, health, and aesthetics. Accordingly, I propose development direction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ighting as safety enhancement, health promotion, information delivery and awareness enhancement of region, playful experience,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nd self-learning processes. (Conclusions) We sought direction by forming a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lighting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doubts about the current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lighting industry, which is developed mainly on fragmentary technologies without social discourse on the direction of AI lighting design development, and it suggests its necess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인공지능 디바이스의 조명효과에 대한 사용자이 감정 평가 분석

        현윤아,반영환,유훈식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3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s been evolving to recognize and learn the languages, voice tones, and facial expressions of users so that they can respond to users' emotions in various contexts. Many AI-based service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communications with users provide emotional interaction. However, research on nonverbal interaction as a means of expressing emotion in the AI system is still insufficient. We studied the effect of lighting on users' emotional interaction with an AI device, focusing on color and flickering motion. The AI device used in this study expresses emotions with six colors of light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and white) and with a three-level flickering effect (high, middle, and low velocity). We studied the responses of 5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to the emotions expressed by the light colors and flickering effects of the AI device. We found that each light color represented an emotion that was largely similar to the user's emotional image shown in a previous color-sensibility study. The rate of flickering of the lights produced changes in emotional arousal and balance. The change in arousal patterns produced similar intensities of all colors. On the other hand, changes in balance patterns were somewhat related to the emotional image in the previous color-sensibility study, but the colors were different. As AI systems and devices are becoming more diverse, our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signing the users emotional with AI devices through lighting. 인공지능기술은 사용자의 언어, 목소리 톤, 표정을 인지하고 학습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자의 감정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여러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 중에서 특히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서비스 다수 는 감정을 표현하는 인터랙션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공지능 시스템의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비언어적 인터 랙션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이에 조명효과 중 특히 색상과 깜빡임 운동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디바이스의 감성 인터랙션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인공지능 디바이스 프로토타입은 red, yellow, green, blue, purple, white 6가지의 조명 색상과 느림, 중간, 빠른 세 단계 속도의 깜빡임 효과로 감정을 표현한다.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20대부터 3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디바이스의 색상별, 속도별 조명 효과가 표현하고 있는 감정에 응답 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각 조명 색상은 기존 색채감성연구에서 드러난 감성적 이미지와 대체로 유사한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명의 깜빡임 속도는 감정의 각성과 밸런스의 변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 때 각성의 변화 양상은 모든 색상에서 유사한 기조를 보였다. 밸런스 변화 양상은 기존 색채감성연구의 감성적 이미 지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지만 색상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인공지능 시스템을 탑재한 사물의 종류와 인공지능 디바이스가 점점 다양해지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조명을 통한 인공지능의 감성 인터랙션을 설계할 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인공조명의 파장에 따른 곤충 유인특성

        이희조,김용기,박보선,김민선,Le Xuan Vi,배양섭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인공조명은 인간의 야간활동을 가능하게 해줌과 동시에 생활의 편리함을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과도한 인공조명은 빛공해를 유발시켜 도시·자연생태계 교란과 농작물 수확 감소 등의 생태계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동물의 경우 먹이사슬의 연속성으로 인해 피해가 더 커지고 있다. 특히 생태계에서 1·2차 소비자, 화분 매개체와 해충의 역할을 하는 곤충은 야간 인공조명에 유인이 되는데, 그 결과 인공조명 근처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고정효과·장벽효과·진공청소기효과로 인해 천적의 먹이가 되거나 그대로 죽게 된다(Rich & Longcore, 2006). 특히 도로는 생태적 단절을 만드는 대표적 시설물인데, 도로의 가로등이 설치되면 빛공해로 인한 생태적 단절을 더욱 심화시킨다. 빛공해로 인한 생태계 피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몇몇 사례에 지나지 않는다(환경부, 2009). 본 연구는 인공조명으로 인해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하는지 기초자료 및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곤충류가 자외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유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인공조명의 색깔과 파장에 따라 곤충이 어떻게 유인이 되는지에 대한 야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1년 6~8월에 걸쳐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인천시 계양산 및 강원도 인제군 점봉산에서 3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동일한 조건에서 빨간색·초록색·파란색·흰색·근자외선 5가지의 조명을 일렬로 배치시켜 light trap법으로 곤충을 유인시키고 채집을 하여 동정 및 개체수를 세어 군집분석을 하였고, 실험에 쓰인 조명의 밝기와 자외선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공조명이 곤충을 유인하는 특성 중 조명의 색깔은 큰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자외선 영역의 빛이 많이 나오는 조명일수록 곤충을 더 많이 유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공야간조명의 곤충 유인특성과 생태영향

        이희조,김용기,주영돈,박보선,김민선,Le Xuan Vi,Qi Mu-jie,Ulziijargal Bayarsaikhan,배양섭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인공야간조명에 유인된 곤충은 대부분 그대로 죽게 되고, 생태계 내에서 1차 또는 2차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곤충의 개체군 감소로 인한 생태계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조명의 곤충 유인특성을 알아내고 주변생태에 영향을 덜 미치는 조명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는 2011년 6월에서 8월에 걸쳐 인공야간조명과 이격된 총 5곳의 산지에서 30W의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등, 삼파장등, LED등을 이용한 첫 번째 유인실험을 5회 반복 실시하였고, 50W의 수은등, 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을 이용한 두 번째 유인실험을 총 6회 반복 실시하였다. 전등 주변 가로 세로 1m X 1m에서 유인된 곤충을 전량 채집하여 동정 및 종수와 개체수를 계수하였다. 군집분석에는 우점도, 균등도, 풍부도, 다양도를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모든 조명에 대해서는 조도와 UV-A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인공조명의 특성에 따른 곤충유인특성을 분석해 보면 첫 번째 실험은 조도는 가장 낮지만 UV-A의 측정값이 가장 큰 형광등에서 가장 많은 수의 곤충이 유인되었으며, 조도는 가장 높지만 UV-A의 측정값이 0인 LED등에서 현저하게 적은 수의 곤충이 유인 되었다. 다양도와 풍부도는 UV-A 그래프와 유사한 형태이고 형광등에서 가장 높고 LED에서 가장 낮았으며, 균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수은등이나 메탈할라이드등의 곤충유인율과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에는 큰 차이가 없으며, 조도가 가장 높지만 UV-A의 측정값이 현저히 작은 나트륨에서 적은 유인률과 낮은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인공야간조명은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설치해야하는 경우 LED등이나 나트륨등과 같이 동일한 와트(W)내에서 조도는 밝지만 UV-A 방출량이 적은 조명을 제안한다.

      • KCI등재

        빛공해를 둘러싼 환경소송 ― 손해배상소송을 중심으로 ―

        정신영 한국환경법학회 2023 環境法 硏究 Vol.45 No.1

        Environmental litigation related to light pollu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when sunlight or solar glare which is reflected off a newly built building enters a nearby building, residents of the nearby building file claims for damages and prevention against the owner of the newly built building. The second is that when the light from outdoor artificial lighting shines into nearby building, residents of the nearby building file claims for damages and prevention against the owner of the lighting. The third is that when the light from outdoor artificial lighting shines nearby crops, farmers file a claim for damages against the owner of the lighting. Since criteria for unlawfulness of light pollution and methods of damage calculation in these types of lawsuits are not settled, there ar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ose cases. In the absence of a statute on specific criteria, the criteria formed through precedents affect not only the parties to the lawsuit but also those outside the lawsuit, such as those who want to construct a new building. This paper introduces the criteria for unlawfulness of light pollution, the methods of damage calculation presented in various court decisions and examines their validity in light of related laws and legal principles. In addition, litigation related to solar glare is similar to a lawsuit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right to light and a lawsuit related to noise. Those two kinds of lawsuits have different practices, including whether an additional claim after the final judgment is allowed or not, and whether people who move into the noise-affected or light-shaded area can claim compensation or not. This paper discusses which practices the litigation related to solar glare should follow. 빛공해와 관련된 손해배상소송은 크게 신축된 건물에 반사된 태양광이 인근 아파트에 유입되어 해당 아파트 거주자들이 신축 건물 소유자를 상대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태양반사광 소송, 인공조명에서 방사되는 빛이 인근 아파트에 유입되어 해당 아파트 거주자들이 인공조명 설치자를 상대로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인공조명 거주자 소송, 인공조명에서 방사되는 빛으로 인해 인근 농작물의 수확량 및 가치가 감소하였다며 손해배상 등을 청구하는 인공조명 경작자 소송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소송에서는 아직 확립된 위법성 기준, 손해 산정 방식이 있지 않아, 해당 사건을 처리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인 기준에 관한 법령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판례를 통해 형성된 기준은 소송 당사자뿐만 아니라 건물을 신축하려는 사람 등과 같은 소송 외의 사람들에 대해서도 영향을 주게 되어 사실상 법령과 같은 대세적인 영향력을 가지게 되는 점에서, 구체적인 기준 설정에 관한 논의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 논문은 각 소송 유형별로 지금까지 선고된 여러 판결에서 제시한 참을 한도 판단 기준, 감정 방법, 손해 산정 방식 등을 소개하고, 관련 법령과 법리에 비추어 그것의 타당성 여부를 살펴본다. 또한 태양반사광 소송은 건물 신축에 따른 일조방해로 인한 손해배상소송 및 도로 등 소음으로 인한 손해배상소송과 유사한 부분이 많은데, 위 두 소송은 전소 확정판결 후 이후 기간에 대한 추가적인 손해배상청구의 가부, 건물 신축 또는 도로 등 설치 이후 전입자들의 손해배상청구의 가부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실무례를 가지고 있는바, 그와 같은 실무례의 차이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태양반사광 소송은 어떠한 실무례를 따라야 하는지 논의해본다.

      • KCI등재

        선박용 감성조명 LED 제어기의 설계 및 구현

        이재홍(Jae-Hong Lee),박주원(Ju-Won Park),임진강(Jin-Kang Lim),이상배(Sang-Bae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10

        빛은 인류가 시작되고나서 현재까지 언제나 인간의 일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원이다. 이로 인해 모든 인간은 빛과 함께 할 때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안정된 마음으로 아름다움과 행복을 추구하려는 본능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환경요인을 각각 조합하여 불확실한 내용을 정량적인 값으로 변환하여 LED 조명으로 표현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실내에서 이용 가능한 감성조명용 LED 제어기 회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외부환경요소인 온도, 습도, 조도 값을 센서를 통해 제어기로 받아들이고 이 값들을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조명값으로 변환되어 인간이 느끼기에 편안한 감성조명을 LED 디밍제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다. Today the light of mankind since the dawn of mankind and that they were living "lives" on the huge influence across space is a dynamic energy. Because of this, when all human beings with the light and you can feel more comfortable with a stable mind to the beau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to have instincts. In this paper, a fuzzy control system using a combina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respectively, the conversion of quantitative uncertainty information into the LED lighting is designed to express algorithms, available in indoor circadian control circui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LED . Factor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emperature, humidity, and light intensity values to the controller through the sensor to accept these values and the optimal values for lighting the fuzzy control algorithm is converted into human emotion to feel comfortable to express through the dimming control LED lighting.

      • KCI등재

        야간인공위성 영상자료 블루밍 현상의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DMSP/OLS와 SNPP/VIIRS DNB 영상자료를 대상으로

        유다현,김민호 국토지리학회 2019 국토지리학회지 Vol.53 No.2

        A daytime remotely-sensed imagery has played a fundamental ro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understand and comprehend natural phenomena on the Earth’s surface. Moreover, in recent years, remotely-sensed images have been widely utilized in social-science academic domains. Particularly, DMSP/OLS imagery, obtaining the intensities of artificial illuminations at night, is considered to be spatial proxy data to predict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urbanization and population. Meanwhile, blooming effect was reported to exist in the data sets, which indicates the existence of certain-level intensities for some areas where artificial lighting sources were absent.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patterns of nighttime lights (NTL) acquired from DMSP/OLS, focusing on bloom effect. In addition, the same analytical procedures were applied to SNPP/VIIRS DNB NTL imagery. Based on this research, the effect was more apparent in DMSP/OLS rather than SNPP/VIIRS DNB. Therefore, the elimination of this effect should be precedent to the estiamtion of socio-economic variables when using DMSP/OLS NTL images. 주간에 지표를 촬영한 원격탐사 영상자료는 자연현상의 이해 및 해석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최근 들어원격탐사로 수집된 영상자료는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야간에 지표로부터 방출된 인공조명 세기를 기록한 DMSP/OLS 영상자료는 시가지 및 인구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변수를 추정하는 공간적 대안 자료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 자료에는 조명시설이 부재한 지역의 화소에 일정 수준의 빛세기가 기록되는 블루밍 현상이 내재한다. 본 연구는 DMSP/OLS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해안에 소재한 도시를 대상으로 인공조명 수준의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동일한 분석 과정을 SNPP/VIIRS DNB 영상자료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블루밍 현상은 SNPP/VIIRS 보다DMSP/OLS 영상에서 더 확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DMSP/OLS 영상을 이용한 사회경제적 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에서블루밍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Modbus를 이용한 선박용 감성조명 LED 제어기의 설계 및 구현

        정정수(Jeong Soo Jeong),이상배(Sang Bae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4

        Modbus는 각종 자동화 장비 감시 및 제어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자발적 산업표준 통신 프로토콜이다. 그러므로 선박, 빌딩, 기차, 비행기 등 Modbus를 이용하는 모든 장비들과 연결이 가능하여 환경변수의 측정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외부환경요인을 각각 조합한 불확실한 내용을 정량적인 값으로 변환하여 LED 조명으로 표현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설계한 알고리즘에 Modbus 통신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선박의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외부환경요인 확인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감성조명용 LED 제어기 회로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외부환경요소인 온도, 습도, 조도 값을 센서를 통해 제어기로 받아들이고 이 값들을 퍼지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LED로 표현된다. Modbus는 Serial 통신으로 RS485를 이용하여 다른 기기와 연결 되어 온도, 습도, 조도 상태 및 LED 출력 값 확인이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가 원격으로 RGB 값을 변경 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색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제작한 제어기로 온도, 습도, 조도에 따라 LED 조명색상이 변화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Modbus is a serial communications protocol, it has since become a practically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and it is now a commonly available means of connecting industrial electronic devices. Therefore, it can be connected with all devices using Modbus protocol to the measurement and remote control on the ships, buildings, trains, airplanes and etc.. In this paper, we add the Modbus communication protocol to the existing lighting controller sensitivity to enable verification and remote control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also introduces a fuzzy inference system was configur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o control LED light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value represented by the LED through a fuzzy control algorithm, the values accepted by the controller through the sensor. Modbus is using the RS485 Serial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and LED output status check is possible. In addition, the remote user is changed to enabl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GB values i​​n the desired color change. Produced was confirmed that the LED controller output is based on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tion.

      • KCI등재후보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의 제문제

        정문성(Moon-Sung Jung),이광재(Kwang-Jae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8 No.4

        인류가 사용하는 인공조명의 양과 시간이 증가하면서 과도한 빛으로 인하여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과도한 빛은 우리 인간에게 각종 질병과 사고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빛공해를 줄이기 위해서 규제를 강화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빛공해 방지법을 공포하여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빛공해 방지는 빛이 필요한 곳은 확실하게 조명하고 조명 목적 이외에 누출되는 빛이나 필요 없는 빛을 줄이려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은 번화가나 사업지구에는 보다 많은 빛이 필요하고, 주택지 등에도 안전을 위한 가로등은 꼭 필요하다. 빛공해는 단순히 빛을 줄이려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적절한 빛을 사용하는 것임을 인식하면서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의 제문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빛공해의 정의, 빛공해의 제정목적, 빛공해 방지법의 주요 내용(Ⅱ), 빛공해에 의한 침해의 유형(Ⅲ), 빛공해 문제해결에 관한 법적 근거(Ⅳ)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빛공해에 대한 문제점 인식으로, 빛공해는 단순히 빛을 줄이려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적절한 빛을 사용하는 것임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다. The amount of artificial lights used by humans and cause many side effects due to increases, excessive light and time. Excessive light, lost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because we increase the incidence of various diseases and accidents to humans, in order to reduce light pollution, tighten the rules. In my country has implemented nationwide by law on prevention of light pollution in 2012. Wherever you need is light in light pollution prevention is unknown, lighting and lighting purposes other than a lessening of the light that don"t need the light leaked to people because they are a lot Safety will also, business needs more light on the Earth, and housing centre for street lighting is essential. Light pollution is not simply reduce the light, proper light, where necessary for the recognition that the use by artificial illumination of light pollution, about The problems of law against, I"ve been invited to talk to.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of light pollution, Light Pollution,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Light Pollution, Prevention Act(II), key provisions of the light pollution caused by violation type of(III), about solving the problem of light pollution(IV), on the legal basis, problem awareness about light pollution, and take a look at the light, by reducing light pollution is simply not using, where necessary for proper light. That we need to k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