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적 은유 분석 - 생명체 은유를 중심으로 -

        이지용 ( Lee¸ Jiyong ) 반교어문학회 2021 泮橋語文硏究 Vol.- No.58

        본 연구는 뉴스 헤드라인에 나타난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적 은유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개념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히 인공지능을 존재론적 은유인 생명체로 인식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생명체 은유로 분석 범위를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던 시기를 확인하고, 다양한 언론사 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관련 기사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색한 기사의 헤드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인공지능 관련 생명체 은유를 중심으로 그 핵심 은유와 하위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은 사람]과 [인공지능은 종족]으로 세분할 수 있었으며, 사람 은유와 관련하여서는 다시 [인공지능은 전문가], [인공지능은 학습자], [인공지능은 적] 등으로 구체화하였다. 종족 은유와 관련하여서는 인류를 위협하고, 인간과 경쟁하거나 비교되고, 인간보다 뛰어나거나 뛰어나지 못한 존재, 그리고 인간과 교류하는 존재로 개념화 내용의 특성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을 생명체로서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 양상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ualization aspect of AI by analyzing the conceptual metapho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appeared in news headlines. In particular, based on the fact that the method of recogn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n ontological metaphor of life is generalized, the scope of analysis was limited to the metaphor of life. To this end, we first identified the period when th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and extracted related articles using a platform that can search news from various media companies. Centering on the headlines of articles searched in this way, the core metaphors and sub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metaphors of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life for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subdivide [AI is human] and [AI is race], and in relation to the human metaphor, [AI is an expert], [AI is a learner], [AI is an enemy], etc. did. In relation to the racial metaphor, i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ualization content as beings that threaten humanity, compete with or compare with humans, are superior or inferior to humans, and interact with humans. Through this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embodied the aspect of recognizing and conceptualizing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living things.

      • KCI등재

        Simulation of Sustainable Co-evolving Predator-Prey System Controlled by Neural Network

        Taewoo Lee(이태우),Sookyun Kim(김수균),Yoonsik Shim(심윤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9

        인공생명체 연구는 자연 생명과 관련된 시스템이나 그 과정들, 진화 등을 평가해 다양한 응용과학 분야에 활용된다. 이러한 인공생명체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물리적 신체 설계와 행동 제어전략을 진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그러나 형태와 신경망을 공진화시키는 것은 어렵기에 최적화된 움직임을 가진 인공생명체는 한 가지 형태에 한 가지 움직임만을 가지며 주변 환경 상황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포식자-피식자 모델을 이용하여 형태와 신경망을 공진화하는 인공생명체가 환경적응형 움직임을 갖게 한다. 그런 다음 포식자-피식자 계층 구조를 최상위 포식자-중간 포식자-최하위 피식자 3단계로 확장하여 초기 개체군 밀도에 따라 시뮬레이션의 안정성을 판별하며 형태 진화와 개체군 역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Artificial life is used in various fields of applied science by evaluating natural life-related systems, their processes, and evolution.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evolve physical body design and behavioral control strategies for the dynamic activities of these artificial life forms. However, since co-evolution of shapes and neural networks is difficult, artificial life with optimized movements has only one movement in one form and most do not consi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it. In this paper, artificial life that co-evolve bodies and neural networks using predator-prey models have environmental adaptive movements. The predator-prey hierarchy is then extended to the top-level predator, medium predator, prey three stages to determine the stability of the simulation according to initial population density and correlate between body evolution and population dynamics.

      • KCI등재

        신체와 마음의 기술적 확장에 관한 고찰 - 〈공각기동대〉(1995)를 중심으로

        구연정 ( Gu Yeon Jeong ) 경희대학교 글로벌인문학술원 2022 비교문화연구 Vol.67 No.-

        본 논문은 인간의 디지털화가 다방면에서 진행되는 오늘날 기술에 의해 매개된 인간으로서 포스트휴먼의 새로운 주체성이 발현되는 조건으로서 신체성과 정신/정보의 체현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일찍이 디지털 기술의 무한한 가능성과 파괴력을 보여준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공각기동대〉(1995)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영화는 기술화된 인간이 새로운 주체성을 획득하는 기반으로서 신체성을 어떻게 사유해야 하는지, 생명체로서 자기정립을 하기까지 사이버네틱한 존재들의 정체성의 문제를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 논문은 두 가지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먼저 사이보그로서 쿠사나기와 인공지능 프로그램 인형사의 재현의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기계/기술적 생명체를 신체와 지능으로 이원화하고 도구화하는 휴머니즘의 언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두 번째는 이 두 인공피조물이 인간의 명령을 거부하고 각자의 한계를 극복하는 선택으로서 ‘융합’을 결정한 것에 주목함으로써 인간중심주의로부터 벗어나 독자적 생명체로서의 고유성을 확보해 나가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융합’의 의미를 새롭게 밝히고 타자를 포용하는 하이브리드적 존재로서 인공생명체, 포스트휴먼의 자기정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representation of corporeity and the embodiment of mind as a condition in which the new subjectivity of the posthuman as a technology-mediated human being was manifested. Mamoru Oshii's ‘Ghost in the Shell’ (1995) was referred to showing countless possibilities and the destructive power of digital technology. This Japan-animation film showed how to think about corporeity as the basis for future humans to acquire new subjectivity and the problem of the identity of cybernetic beings as living things.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two analyses. First, the language of reproduction was analyzed, how were portrayed Kusanagi as a cyborg and the Puppet master a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It was critically examined how the language of humanism employs mechanical and technological living things as weapons by dualizing them into body and intelligence. Second, the process of the ‘convergence’ as a way of defying human commands and transcending their limitations was analyzed. This attempt shed light on the struggle of the two artificial creatures which freed themselves from Anthropocentrism and sought to obtain their uniqueness as an independent being.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convergence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artificial beings as hybrid beings that embrace others―concepts that have not been thoroughly explained―are explored.

      • KCI등재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사이버가수의 진화과정

        김대우(Kim, Dae-Woo)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9

        90년대 말에 등장한 사이버가수는 잠시 등장했다가 사라져 버렸고 2000년대 들어 몇 번의 시도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성공사례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사이버가수는 대중음악계에서 아이돌 육성시스템의 등장과 IT산업의 기술발달에 힘입어 탄생하게 되었고 ‘아담’에서 시작해 보컬로이드 ‘시유’까지 개발되게 된다. 만화나 게임에 등장하는 일반적인 디지털캐릭터와 차별화되는 사이버가수는 음악을 매개로 하는 우상화의 대상이 될 수 있고 다수의 팬덤을 형성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패를 거듭하고, 유행이 흘러간 컨텐츠로 간주될 수 있겠으나 보컬로이드 같은 새로운 매체를 활용해 지속적인 창작 시도를 하고 있어 진정한 사이버가수 탄생에 대한 기대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 사이버가수는 인간의 외형만 닮아가려는 노력으로 진행되다가 사이아트와 시유에서 인간의 기능들을 닮아가는 것으로 진화되어 왔다. 본 논문은 과거 등장했다가 사라진 사이버가수가 단순히 실패사례로 끝나지 않고 나름의 인공생명체로 진화하려는 과정 속에서 기술을 발전시키고 기계이미지를 바라보는 대중의 인식변화를 조금씩 이끌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본다. 더불어 그 진화의 방향성은 인간의 기능을 기계적으로 하나씩 획득하면서 인간과 상호 재미와 감정을 교류하면서 자신만의 외형과 기능을 갖춘 인공생명체로 진화하려는 모습을 갖추고 있다. 이런 논리를 뒷받침하기 위해 브루스 매즐리시의 인간과 기계의 공진화에 대한 연구를 참고했고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했던 8개의 사이버가수들의 기획 및 디자인적인 캐릭터성과 가수로써 중요하게 평가되는 목소리(보컬)에 대한 발달과정을 브루스가 연구한 관점에서 사이버가수의 진화과정으로 분석했다. 기계는 인간과 함께 공진화하면서 진화해오고 있다. 사이버가수도 인간의 이데아적 욕망과 죽음에 대한 공포의 양가적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새로운 인공생명체가 되려는 개발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사이버생명체라면 시유같은 스타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만화적 형태나 기계음 목소리가 인간이 실재 욕망하는 기표의 형태는 아닐 수 있으나 현시대의 대중이 원하는 욕망과 기술적 발달이 교차되는 지점에서 탄생할 수 있는 기표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Cyber singer appeared in the late 1990s has disappeared briefly appeared. although a few attempts in the 2000s, it did not show significant successes. cyber singer was born thanks to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IT industry and the emergence of an idol training system in the music industry. It was developed by Vocaloid "Seeyou" starting from "Adam". cyber singer that differenatiated typical digital characters in a cartoon or game may be subject to idolize to the music as a medium. They also feature forming a plurality of fandom. therefore, such attempts and repeated failures, this could be considered a fashion, but it flew content creation and ongoing attempts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media, such as Vocaloid can see that there are expectations for a true Cyber-born singer. Early-Cyber singer is made only resemble human appearance, but "Sciart" and "Seeyou" has been evolving to becoming more like the human capabilities. in this paper, stylized cyber singer had disappeared in the pas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evolve into own artificial life does not end in failure cases, gradually led to a change in public perceptions of the image look looking machine was an attempt in that sense. With the direction of the evolution of the mechanical function to obtain a human, fun and human exchanges and mutual feelings. And it is equipped with an artificial life form that evolved with it only in appearance and function. in order to support this logic, I refer to the study of the coevolution of man and machine at every Bruce Mazlish. And, I have analyzed the evolution of cyber singer Bruce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evelopment process since the late 1990s, the planning of the eight singers who have appeared and design of the cyber character and important voices to be evaluated as a singer (vocal). The machine has been evolving coevolution with humans. cyber singer ambivalent development targets are recognized, but strive to become the new artificial creatures of horror idea of human desire and death continues. therefore, the new Cyber-organisms are likely to be the same style as "Seeyou". because, cartoon forms and whirring voice may not be in the form of a signifier is the real human desires, but this is because the contemporary public"s desire to be desired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is type can be created at the point where the cross-signifier.

      • KCI등재

        인공지능 괴물성에서 포스트휴먼 정체성으로 ―『프랑켄슈타인』과『뉴로맨서』를 중심으로―

        추재욱 ( Jae-uk Choo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21 현대영미소설 Vol.28 No.2

        The monster in Frankenstein is generally considered the origin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monster is artificially made with scientific principles and acquires human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rough endless repetition as if in the deep learning system. Wintermute in Neuromancer is Tessier-Ashpool SA’s artificial intelligence armed with statistics and mathematics. During Frankenstein monster’s attempt to acquire his female companion and Wintermute’s pursuit to merge with Neuromancer, his sibl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y exercise murder, fraud, and violence. The monstrosity they show in the challenge derives ultimately from the pains of alienation and isolation, and maladaptation that they suffer. The artificial creatures such as the monster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the creator, an individual or corporation, creates only for their purpose suggest the implicit vision of the future world, but it is not certain whether the future will offer humans hope or danger. The artificial creatures are also members of the posthuman society that will take over the humans’role, competing and struggling with their creators. As the name Frankenstein has ambivalent implications, the creators could be real monsters much more than the creatures are because those who create the monsters with immoderate passion and desire are more dangerous than the creatures. Accordingly, it is important and necessary for humans to control individual or capitalist desire, and also to achieve the co-existent life with balance and harmony in the future posthuman society.

      • KCI등재후보

        생명의 관점에서 본 로봇

        전도영(Jeon, Do-young),문지혜(Moon, Ji-hye)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2 생명연구 Vol.23 No.-

        로봇은 인간이 하는 일을 대신하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기계로 생각되다 최근에는 인간과 유사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개체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생명현상은 항상성, 자기조직화,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에 대한 반응, 생식, 진화 등의 공통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데, 오늘의 로봇은 이러한 생명 현상과 유사한 특징을 갖기에 이르렀다. 불가능하다고 생각되던 자기 조직화조차도 인공게놈을 합성하여 박테리아에 이식한 인공 세포 구현에 성공하면서 가능성이 생겼다고 보인다. 로봇은 설계자인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상징적인 장치, 즉 설계자의 의도를 대리하는 단순 수용자에서 행동할 수 있는 존재를 넘어 선악을 판단하여 행할 수 있는 존재인 도덕적 행위자가 가능하게 되었다. 로봇은 단순한 기계에서 출발하였으나 점점 많은 생명 현상을 수행하며 생명에 가까워지고 있다. 로봇의 개발에 이러한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개발 방향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The robot was considered as the automatic machine which replaced the role of man and is recently developed as the thing which thinks and acts as human-being does. The phenomenon of life includes homeostasis, self-organization, metabolism, growth, adaptation, response to stimuli, reproduction and evolution. The self-organization which was considered impossible for the robot may be possible as the artificial cell is formulated from the artificial Genom. The robot which act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i.e. human, becomes conscious of the good and evil. It started as a machine initially, and progresses to a living thing as the robot is close to the phenomenon of the life. A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obot are performed extensively and reach the very high level, it is very important to seek the consensus on the direction of its development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