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민족의 마음원형과 교육전통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4

        한 공동체 구성원이 공통으로 가지는 느낌, 사고, 행동의 양식인 중, 가장 근원적 것이어서 추후 느낌, 사고, 행동의 토대가 되는 양식들을 ``마음원형``이라 한다. 한 공동체의 마음원형은 타문화를 수용하는 틀이 된다. 마음원형은 원시종교와 신화에서 확인되는 바, 한민족의 원시종교로서의 무속과 단군신화에서 추론한 한민족의 마음원형은 ``인간 중심``과 ``가무적 실천중시``이다. 한민족은 타 민족 문화였던 불교와 유교를 수용함에 있어 ``인간 중심``과 ``가무적 실천중시``라는 한민족 마음원형에 입각하여 행하였다. 한민족의 전통적인 교육적 인간상인 화랑과선비 또한 한민족 마음원형이 충분히 반영된 인간상이며, 선비는 이 한민족 마음원형에 근거해 있음으로 인하여디지털 시대의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적합성을 갖는다. People who accept other culture try to do it on a base of their own one. When comes to adopting the culture, we could name the base ‘mind archetype’. We are able to find the archetype out on the a primitive religion and myths. The contemporary Koreans takes it for granted that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traditional thought and religion of Korean, and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Korean. However,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Korean culture are technically, only a religion and a thought which transmitted from the other culture, and Korean have been adopted them within ‘Korean mind archetype’. We can find ‘Korean mind archetype’ out on ‘Musok(巫俗)’ which is Korean shamanism, and the ‘Dangun-shinhwa(檀君神話) which is the myth for Korean founder. ‘Human centered’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Musok. Dangun-shinhwa’ shows ‘Human centered thought’ like the Musok. On the Musok and the myth, we can find that the ‘Human centered’ is absolutely one of ‘Korean mind archetype’ ‘Priority of practice’ is another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Musok. Dangun-shinhwa’ has a ‘practice prioritized’ thought as well. So ‘the priority of practice’ is sure to be another ‘Korean mind archetype’. Korean Buddhism have been grown upon and within the two kind of Korean mind archetype’, and Korean Confucianism has advanced on and within the Korean mind archetype as well. Person who studied the neo-Confucianism in Korea is called the ‘SunBi(士)’, and the Sunbi is a traditional figure of educated person in Korea. The SunBi was encouraged to cultivate and amuse the Pungru(風流) which refers to esthetically enjoying of drawing,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 and dancing. Most of Korean of now think that the SunBi is not appropriate to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because of ignoring the instrumental value and goods, and overestimating the value of sprit. The educated person in the digital society is required to get features such as a person who knows how to conduct information, a person who has the digital literacy which include relative, critical thinking ability, a ethical person, a person who holds flexible-multi identity. The SunBi is an expert of tre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he intensively studies disciplines which developed upon inter-relative logics, and he has proficiency on esthetical practice, holds critical mind. The SunBi tries to get and keeps ‘mind nothing(無我)’. Therefore, we can tell that the SunBi is appropriate enough to be the educated person in the digital era. And the Korean mind archetype causes the SunBi to obtain suitability for the new society.

      • KCI등재

        생태론적(生態論的) 시학(詩學) -<성북동 비둘기>를 위하여-

        金甲起 ( Kim Gab-ki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4 한국문학연구 Vol.0 No.27

        본고는 이산 김광섭의 문명 비판적 시 「성북동 비둘기」의 생태학적 담론, 그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한 단편적 시론이다. 워낙 생태학이란 모든 생명체들의 바람직한 생태환경 조성은 물론, 건강한 생존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그러기 위한 최우선적 기본 과제는 法界無盡緣起論에 입각한 상호의존적 공동체 인식과, 同體大悲的 생명존중이다. 有·無情의 생명체는 물론, 무생명체까지도 전 우주 구성의 동등한 일원으로서의 고유한 존재 가치는 그 어떤 것의 피조물이 아니었던 것처럼 구속되지 않을 自然한 독자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릇 인식된 인간 중심적 사유와, 산업화 사회의 발전, 기계문명의 위력 앞에 스스로 무력해진 인간은 이제 전 인류는 물론, 모든 생명체의 共滅이라는 생태 문제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필자는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를 이러한 현대 문명 앞에 인간의 無明을 스스로 자학한 선지자적 절규로 인식하며, 그 실상을 바르게 읽기 위해 한 세대 전, 동일 지역의 자연을 노래한 임규의 한시와 고려조 김극기의 전원시 「田家四時·1」을 동시 대비하며, 동·서간, 학제간 화두가 된 생태학은 발생론상으 론 自然의 自然性을 부정하고 ‘신의 인간 선택 창조설[창세기]'에 의한 이원론적 사유와, 노동가치설에 의한 자연의 개인 소유화가 무관할 수 없는 1차적 원인이겠지만, 일원론적 전통 사념을 고수해 온 동양도 자연파괴와 그에 따른 생태 위기에 함께 직면해 있음은 인간 無明의 아집이 낳은 위기라 했다. 이러한 현실적 위기의 타개를 위해 필자는 생태학의 담론을 불가의 法界無盡緣起와 同體大悲思想을 바탕으로 하는 생명존중·환경친화적 삶은 현생의 행복을 미래의 공업으로 사유하는 이 시대의 마지막 가치이자, 희망이라고 단언하고, 「성북동 비둘기」의 화자 김광섭의 메시지는 저 인디안 추장의 “짐승들에게 일어난 일은 인간들에게도 일어나게 마련.”이라는 예언적 절규에 다름 아니라 했으며, 함께 대비된 임규의 「山居」나 「山堂」의 시정은 정작 13세기 전반고려의 산수 시인 김극기의 시정과 유사할지언정, 30년 후 김광섭의 시정은 상생은 물론, 패자의 추방, 사랑과 평화를 운위하던 신망에 대한 배신, 끝내 공동상실이란 앗고 앗기는 생존경쟁의 터로 황폐화되었다고 피력했다. 아울러 이 같은 현상은 바로 다름 아닌 자연 훼손에 의한 생태계 파괴요, 나아가 인류 공멸의 미래상이자, 전 인류의 공포라 할 때, 인간 중심의 사고, 혹은 실존적 사유라는 미망의 패러다임에서 속히 깨어나야 함은 물론, 구호성 대안이 아닌 실천적 의식 개혁, 나아가 우리의 삶의 전통 속에 내재한 습성과 낯설지 않은 삶의 패턴을 찾아야 할 때임을 인식하게 된다고 단정하고, 남는 과제로 모든 생명체의 바람직한 생태환경, 이를 위해 우리 모두는 새로운 의식과 낯설지 않은 삶의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일, 그것이 함께 인식하고 실천해야 할 남는 과제라 했다. 필자는 그 대안으로 먼저 ‘자기를 자기답게 가꾸는 자기 사랑’의 실천, 그리고 그 사랑을 남에게 ‘자기에 대한 사랑과 꼭 같이 베푸는 배려’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그 좋은 귀감은 민족적 지도 이념으로 인화와 자비, 생명존중과 심신 수련에 의한 자기 수양으로 풍월도의 상징이었던 화랑정신의 부활 및 시기와 질투가 아닌 이해와 관용의 미덕, 근검과 절약을 실천하며, 오롯한 기상으로 민족의 자존을 지켜 온 조선조 선비정신의 생활화 등 정신적 혁신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Ecology, which has been one of main issues of worldwide academy since the mid -20th century, begins from the consciousness of the threat to the coexistence of living creatures on the Earth. This crisis was caused from human beings' exploitation and demolition of nature, and such a brutality originates from the enthropocentrism from Descarte's dualism and the indivudual possession of nature from J. Locke's Labourism(노동설). On the other hand, Buddhism based on the eastern monism of interespect and biocentrism is worthy of a practical ideological alternative for the future. This paper reviews the change in description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of < the Pigeon in Sungbookdong > wrote in 1968 by Kim Kwang-Sup[金珖燮] with Im Kyu's[林圭] Chinese-Korean Poetry[漢詩]. It proposes the self-cultivation, Hwalang's spirit, and scolarship of Chosun Dynasty as an alternative ideology for the innovation of our consciousness for the preservation of ecological environment.

      • KCI등재

        홀(Hall)의 이문화 요인과 한·중국 청년의 커뮤니케이션(협상) 비교분석

        이제홍 한국국제상학회 2018 國際商學 Vol.33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in Hall(1976). Korean and Chinese cultural differences researchers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youth by distinguishing between communication, time concept, face-to-face, space use, human relationship centering, and foreign SNS utiliza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negotiation according to different cultural factors in China. We used 7 Likert scale and 7 Liker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Excell and SPSS 23.0 program. The mean difference of factor was analyzed.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 is more communicative than China and is almost at the same level in terms of time. In terms of face-to-face factors, China tends to emphasize face rather than Korea.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China has more free and open use of space than Korea. However, the positiveness of human relations shows that Korea is very important for human relations. Also, according to the use level of SNS with foreigners, Koreans are passive in using SNS with foreigners, whereas China is more active in using SNS with foreigners than Korea. Conclusions : There are some factors that have the same identity as the factors that change the cultural factors of Korea and Chinese youth, and some have different cultural factors. In particular, in terms of spatial concepts and human relations, Korea is evolving into an individualist, western-oriented tendency. Accordingly, it is desirable for Korea to focus on more personal creative activities and thinking. 동일한 문화권인 한국과 중국의 이문화간에도 일정한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두고, 본 연구는 Hall(1976)의 고배경문화와 저배경문화 요인을 결정 구분하여, 한국과 중국의이문화 유형차이를 연구하는데 있다. 한중 이문화 차이 연구요인들은 의사소통, 시간관념, 체면중시, 공간활용, 인간관계중심성, 그리고 외국인과이 SNS 활용성을 구분하여 한국과 중국의청년들을 대상으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차이를 검증을 통해 한중 이문화 차이점을 밝혀내고, 이를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협상)에 활용하는데 필요한 학술적 자료를 얻는데 있다. 한국과 중국 청년의 이문화 차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 요인은 한국은 중국보다 더 의사소통에 자유롭고, 시간관념 측면에서는 거의 동일한 수준에 있다. 체면중시 요인을보면 한국보다 오히려 중국이 체면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공간활용측면에서도 중국은 한국보다 공간활용을 보다 자유롭고 오픈된 활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관계에 대한적극성은 한국이 매우 인간관계성을 중요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인과의SNS 활용 수준을 보면 한국인은 외국인과 SNS활용에 소극적인 반면 중국은 한국보다 더 외국인과의 SNS활용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홍익인간(弘益人間)’ 이념과 다문화사회

        정성식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3 동양문화연구 Vol.3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ongik Human’ ideology and re-examine its meaning, and to connect it with today's multicultural society to explore implications for peace and coexistence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The ‘Hongik Human’ ideology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s, deeply embedded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from the Dangun era to the present, as a major context in the founding myth of our people with a long history. The ideology of ‘Hongik Human’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fficiently established as an ideological basis for promoting cultural convergence in a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The ‘Hongik Human’ ideology contains the ideal of coexistence that any human being should be able to enjoy the benefits given by heaven without discrimination. For example, it is a world where opposing things coexist, like a world where bears and tigers can live in one cave. In the ideology of the ‘Hongik Human’, it is not self-righteousness that only I am right or self-existence that only I exist, but harmony and coexistence that we should live in harmony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universality of truth are deeply embedded. In Dangun mythology, heaven, earth, and humans appear in order. Humans are born in the form of a heavenly soul planted in a land existence. Sky, land, and humans symbolize different cultures, suggesting a typical pattern of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each culture is fused to form a new culture. In the Dangun myth, the birth of Dangun can be said to mean the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ultures. The archetypal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ism are inherent in this myth, which embraces different opponents and their cultures and sustains communities in an orderly manner. Today, as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emerged as a huge trend in the global community, they are undergoing rapid chang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religious. At this time, we need experts in each field to work together to find ways to more actively and actively utilize the wisdom of tradition obtained from the ‘Hongik Human’ ideology.

      • 바람직한 광주건축문화 창출을 위한 전제

        양상욱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3 녹색산업연구 Vol.19 No.1

        “Framework Act on Building” established by law on December 21, 2007 and took an effect on June 22, 2008 is the supreme law as far as Building Act is concerned. And the law stipulates obligations such as regulation of architecture principles, metropolitan council’s architectural policy and setting 5-year-unit planning relating to the policy. Creating architecture culture can be focused on individual architecture point or handled as constituents that form a space environment like urban improvement. And a status as “Fundamental law”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view point.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desirable premise through precedent set by the developed counties regardless of each architectural case or space environment formation. And examining conditions for creating architecture culture contribute to quality of life and improving the dignity of Gwang-ju. 2007.12.21 제정 이듬해 2008.6.22일 시행된 건축기본법은 건축에 관한 최상위법으로 건축이념의 규정과, 광역자치단체의 건축정책과 관련 5년 단위의 계획책정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기본법』은 후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바람직한 건축문화 창출을 개별적 건축사항에 중점을 둘 것인가 혹은 도시나 시가지정비 등과 같은 공간 환경을 형성하는 요소로 취급할 것인가에 따라 기본법으로써 위상은 크게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별건축사항 혹은 공간 환경의 형성에 상관없이 공통으로 그 전제로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를 선진 도시건축사례를 통해 정리하고 삶을 질, 광주시의 품격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도시‧건축문화 창출의 전제에 대해 모색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봉(霽峯)의 <유서석록(遊瑞石錄)> 서술특성

        탁현숙 ( Hyun Sook Ta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재봉의 <유서석록>은 지금까지 발견된 19편의 무등산 유산기 중 정지유의 <유서석산기>와 함께 가장 빠른 시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무등산 유산기의 전범이 되고 있다. <유서석록>의 서술특성을 살펴보면 제봉은 유산 도중 자연경관보다는 일관되게 사찰과 암자 위주의 묘사를 반복하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무등산의 경관 중제일로 치는 입석대나, 규봉, 풍혈대 등은 물론이고 최고봉인 천왕봉, 비로봉, 반야봉 등을 묘사하는 장면에서도 그 장엄한 경관이 먼저가 아니라 사찰이나 암자를 통해서 주변 경관을 서술해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즉 사찰이나 암자가 위치한 주변 모든 풍경까지가 사찰과 암자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이것은 제봉의 인간을 중시하는 사상의 발로라고 보여 진다. 자연 속에서도 그 무엇보다 인간이 우선이 기에 인적을 찾아 자연의 중심에 놓은 다음 자연과 합일시켜가는 서술방식을 구사하고 있다.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샘물, 또는 문인들이 곳곳에 새겨놓은 시문(詩文) 등에 유난한 찬사를 보내며 시선을 모으는 것 역시 인간과 자연의 소통을 열심히 읽어내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법도를 중시하고 일의 순서에 따라 실증적으로 기록하며, 세교(世敎)에 보탬이 되는 창작론을 지닌 도학의 성격대로 제봉의 <유서석록> 역시 설명 위주의 사실적 묘사와 자료제공을 염두에 둔 기록에 충실하고 있다. 독자에게 전하고자하는 의지가 확고하게 담긴 사실적 묘사성이 강해서 아름다운 경관을 눈앞에 두고도 낱낱이 숫자까지 동원해가며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어서 묘사인지 설명인지 구분하기조차 모호한 곳이 많다. <유서석록>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인용이 많은 것인데 비유를 통해 경관묘사를 하다가도 선인들의 행적이나 시문, 전설, 고사, 유래 등을 삽입시켜 사적인 체험을 객관화하는 방법을 취했다. 또한 유산의 감회를 향유하는 흥미 면에서 보다 생동감을 증폭시키기 위해 대화체를 삽입하는 서술방식을 택했다. 그런 점은 글의 분위기 조성은 물론 현장성을 전달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Jebong``s <Yuseoseokrok> is a model of 19 extant essays about traveling on Mt. Mudeungsan along with <Yuseoseoksanki> by Jeong Ji-yoo. To look into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Yuseoseokrok>, Jebong consistently repeats descriptions of temples and monk cells rather than the natural landscape while traveling. In one scene which describes the point of climbing down through the peaks of Chonwangbong, Bilobong, and Banyabong as well as Ipsukdae, Gyubong, and Punghyoldae, he describes the surrounding scenery through the use of temples or monk cells instead of the magnificent scenery itself. That is, all the surrounding scenery which includes temples or monk cells becomes temples and monk cells. It is thought that this is an expression of his people-oriented thought. He used a descriptive method to place humans in the middle of nature and to unify them with nature. Whenever he moved from place to place, it seems that he tried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by admiring water fountains or poetry written by literary people to catch the eyes. In <Yuseoseokrok>, he recorded what happened in a realistic way focusing on realistic descriptions and presented information following the style of Taoism which considers rules and regulations as precious. He describes what happens in good order and pursues the theory of writing for secular religion. As his writing specifically describes his surroundings even using numbers with the desperate intention to deliver what he sees to the readers, it is ambiguous to differentiate whether he is making a description or explanation.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Yuseoseokrok> is that is has lots of quotations. He objectified his personal experiences by inserting achieve- ments of virtuous persons, poetry, legends, historical facts, and history while describing the scenery through comparison. To expand the vividness of traveling on the mountains, he inserted a dialogic style description rather than enjoying traveling. It is thought that the styl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livery of realism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atmosphere of writing.

      • KCI등재
      • 항공운송사업 노사관계의 대안 탐색

        김강식 한국항공대학교 경영연구소 2002 경영연구 Vol.9 No.1

        현대사회에서 항공운송사업은 국민 경제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바 항공운수사업의 파업은 심각한 경제적·사회적 손실과 혼란을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항공운송사업의 파업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의 수립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항공운송사업의 파업방지 대책으로는 거시적 차원에서 국가수준에서의 관련 법제도의 정비, 그리고 미시적 차원에서 기업수준에 있어서의 협력적 노사관계의 구축을 들 수 있다. As the air transport business and industry have very significant roles in modem society, the conflicts between union and management can create very serious losses both in economy and in society. Nowaday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search some methods which can establish a cooperative and productiv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management and prevent conflicts and strik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