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기술적, 사회적 익명성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희재 ( Heejai Choi ),이준기 ( Zoonky Lee ),김정원 ( Jungwo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9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0 No.1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익명성의 정도에 따라 자기통제의 행동이 달라짐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익명성에 대한 개념을 구분하여 객관적이고 기계적인 기술적 익명성과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으로 정의하고, 익명성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자기 통제의 정도와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였다. 인터넷 커뮤니티 회원을 대상으로 기술적 익명성, 사회적 익명성, 개인의 유대감, 자기통제 정도를 설문을 통해서 조사한 결과 인터넷커뮤니티에서 기술적으로 주어지는 익명성은 개인이 가지는 유대감이 낮을수록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기술적으로 주어지는 익명성은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적 익명성을 통해서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익명성이 어떻게 해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하나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실명제 논의나, 인터넷 사이트의 익명성 정책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about an effect of anonymity on self-control behavior.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are on the aspect of results such as the usefulness, the problems of cyber crime or a lack of trust by anonymity. This study identifies the accurate definition of the objective technical anonymity and subjective social anonymity. And it reveals the relationship among technical anonymity, social anonymity, community tie, and self-control as an effect of anonymity.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technical anonymity affects self-control through social anonym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ical and social anonymity is affected by community tie. This study presents how the anonymity affects individual behaviors. So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to the policy on anonymity of the internet.

      • KCI우수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내 익명성이 가상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은곤(Un-Kon Lee),이애리(Aeri Lee),김경규(Kyong Kyu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15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0 No.1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비행을 막기 위해 어느 수준의 익명성을 보장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익명성의 개념이나 구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커뮤니티의 가상 팀 활동에 익명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명성의 개념 및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익명성을 1) 실명(무익명), 2) 별명(부분 익명), 3) 임의의 숫자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완전 익명)의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익명성의 차이가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신뢰 및 인지된 신원 노출 위험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가상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험실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의 실제 모습을 반영하기 위해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을 만들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64개의 응답이 수집된 가운데, ANOVA와 PLS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명과 별명을 부여한 익명성 집단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의의 아이디를 임시로 부여하였던 집단만이 인지된 익명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시에 익명성의 효과는 정착된 커뮤니티의 가상 팀 상황에서는 신뢰, 인지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 커뮤니티 실무에서 보다 전략적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익명성 보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One of the challenges in online community management is what level of perceived anonymity can be granted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from members while discouraging unhealthy activities. Few studies developed a scheme of anonymity and investigated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community activities. This study develops a classification scheme of anonymity encompassing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levels : (1) real name(no anonymity), (2) nickname (partial anonymity), and (3) random assignment of a temporal ID (complete anonymity). Then, it examines how different levels of anonymity influence trust and perceived risk, which in turn affect virtual team performance.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manipulating the levels of anonymity, in the context of well-structured communities that allow prior interac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64 laboratory participants and analyzed using ANOVA and PL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fference of anonymity between (2) and (3) had not be significant and the only (1) could not guarantee the anonymity. The impact of anonymity on trust and perceived risk could not be significant in this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contribute to make more beneficial member identification strategies in online community practice.

      • KCI등재

        인터넷 서비스의 본인확인절차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이용자의 사회적 익명성과 자기 노출에 대한 연구

        우지숙,나현수 (사)한국언론법학회 2017 언론과 법 Vol.16 No.3

        이 연구는 정보통신망법상 제한적 본인확인제 폐지 이후 인터넷 익명성과 관련한 제도적 환경과 기술적 환경, 그리고 이에 대한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의 인식과 행동을 고찰하였다. 제한적 본인확인제의 도입 과정과 그로 인한 변화, 그리고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으로 인한 법 폐지 이후의 현황 등을 살펴본 후,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인터넷 공간의 익명성의 다양한 차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서비스들의 본인확인절차로 인한 실제 익명 환경의 정도와 이용자들이 인식하는 익명성 정도의 차이, 그리고 이용자들이 스스로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는 정도와 이용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익명성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터넷 사업자들은 제한적 본인확인제 폐지 이후에도 본인확인절차를 없애기보다는 존치하여 시행해온 경우가 많았고, 다만 관련 제도와 기술의 발전 및 서비스 시장의 영향 등으로 인증 업체를 통한 본인확인절차 보다는 휴대전화번호를 통한 인증으로 확인을 대신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이용자들은 서비스별로 존재하는 이러한 기술적 익명성의 차이를 잘 인지하지 않았고, 각 서비스의 본인확인절차가 어떠하였는지 또는 존재하였는지 여부를 잘못 인지하고 있거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인터넷 환경에서의 기술적 익명성과 이에 대한 이용자 인식 간의 간극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용자들은 인터넷 서비스의 기술적 익명성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해당 서비스의 사회적 익명성도 높다고 인지하고 있었고, 본인이 사용하는 서비스의 기술적 익명성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오히려 자신에 대한 정보를 덜 노출하고 익명성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자신을 더 많이 노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상치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본 연구에서 인터넷 공간의 사회적 익명성 인식과 자기 노출 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이용 서비스의 유형이었다. 각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이용자들이 느끼는 사회적 익명성의 정도와 자기 노출의 정도가 달라졌고, 서비스 유형과 기술적 익명성에 대한 인식은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이용자의 사회적 익명성과 자기 노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은 본인확인절차를 거쳤는지에 대한 인식보다는 본인이 어떠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더 인식하여 자기 익명성과 타인 익명성을 판단하고 있고 또 이에 따라 본인의 노출 정도를 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인확인제도의 도입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고 헌법재판소의 결정까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의 인식에는 본인확인절차 여부가 큰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로그인 등의 추가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이미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SNS를 이용하면서 이전의 제한적 본인확인제와 같은 제도적 환경과는 다른 차원에서의 비익명 환경을 경험하고 있는 현재의 이용자들은 이에 맞추어 자발적인 자기 노출의 전략을 택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이미 게시판 실명제를 논하던 시기와는 다른 환경으로 진입하여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현재의 인터넷 이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새롭고 다양한 연구 문제들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stitutional aspect of Internet anonymity after the abolition of the Real Name Verification Law in Korea and empirically examines the users’ perception and behavior in relation to anonymity of Internet service. It was found that the actual anonymity employed by the Internet Service’s adoption of identity verification policies was not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anonymity, whether they think they can recognize others and other can recognize themselves, and the degree of self-exposure, which is the extent to which users exposed their own background information. In addition, Internet users often did not remember or remembered incorrectly whether they have gone through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s. In other words, whether anonymity is institutionally protected or removed through identity verification procedures does not seem to influenc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Internet users, at least in the ways in which previous literature or arguments have suggest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the type of Internet service, whether it was real-time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Kakao group talk and Telegram, non-real-time social network servic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news services, or miscellaneous services such as blog, cafe, and community. What type of service you are using, rather than whether your identity was actually authenticated when you began using the service, influenced the Internet users’ perceived anonymity the degree of their self-expo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institutional effects of the Internet Real Name Identification system, which has been controversial for a long time in Korea, is hard to find at present. This can be taken for granted in situations where users do not even recognize the identity verification process or even remember whether they went through that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se results are contradicting those of previous studies analyzing the chilling-effects of Internet real-name system. Considering that various Internet services including SN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and used and the rapid change of environment is taking place into the mobile, the meaning of anonymity that users perceive and its influence will be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era in which the effect of the real name system was measured primarily around the previous bulletin board Internet service. Current Internet users are experiencing a non-anonymous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the environment such as the previous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as they are using mobile phone more and thereby using the SNS mostly without going through additional procedure such as logi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w and various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understand properly the current Internet users who are entering and interacting with such a new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현대 목회 돌봄에서 익명성에 대한 성경적 고찰

        김규식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8 No.-

        본 논문은 목회돌봄에 나타난 익명성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익명성이 신자들의 삶과 교회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것이 본 연구의 전제이다. 이것을 연구하기 위해서, 먼저 익명성에 대한 일반적 정의를 내리고, 익명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즉, 익명성의 심리적 이해, 익명성의 사회적 이해 및 익명성의 역사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또한 익명성의 성경적 이해를 구약에 나타난 익명성과 실체성 및 신약에 나타난 익명성과 실체성을 고찰하였다. 특히, 구약에 나타난 익명성은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 앞에 범죄 한후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숨은 것’과 아간이 여호수아가 이끄는 공동체에 피해를 입힌 사건을 통해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구약에 나타난 실체성은 나아만 장군의 질병 치유 사건을 살펴봄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신약에 나타난 익명성은 혈루증을 앓은 여인의 치유 사건, 과부의 헌금 및 우물가에서 예수님을 만난 사마리아 여인의 사건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 신약에 언급된 실체성은 니고데모와 바나바의 선행을 통해 실체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위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현대 목회 돌봄에서 익명성에 대한 대안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익명성에 대한 목회자의 사고의 틀이 전환되어야 하고, 둘째, 목회형태와 교회구조가 새롭게 변화되어야 하며, 셋째, 목회자의 영성 강화로 21세기에 익명성 신자들을 돌보는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study of the anonymity manifested in the pastoral care. The life of lay believers and the church growth are affected by the anonymity. That is the presupposition of this study. In order to study of it, the definition of the anonymity, and the concept of it can be investigated in this dissertation. That is to say, in order to understand of it, this dissertation is investigated into it psychologically, socially, histor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of the anonymity and of the reality, this dissertation is investigated into it manifested in the Old Testament and New Testament. Especially, this dissertation is investigated of the anonymity manifested in the Old Testament . For instance, the event of Adam and Eve hidden from the Lord after sinned against God and the event of the Achan’s sin. Furthermore, to analyze of the reality manifested in the Old Testament is done by the event of the healing of the commander Naaman. And to investigate into the anonymity manifested in the New Testament through the event of the healing of a woman who was sick of bleeding, the widow’s offering and the samaritan woman met with Jesus Christ at the well. As mentioned about the reality manifested in New Testament, For instances, the event of the Nicodemus and the good deed of Barnabas are mentioned.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the suggestion of the anonymity in the modern pastoral care can be mentioned as follows. Firstly, the paradigm of the thought of the minister must be changed. Secondly, the form of the ministry and the system of the church must be changed. Thirdly, the strengthened spirituality must be required in order to take care of the anonymous lay believers in the 21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익명성과 공격성의 관계: 자기애 유형과 성차를 중심으로

        조효심,조수현 한국여성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9 No.1

        본 연구는 온라인 환경의 특성 중 하나인 익명성과 개인의 심리 내적 특성인 자기애 성향이 성별 및 하위요인별로 공격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이상 성인남녀 206명을 대상으로 익명성, 공격성,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측정하였고,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익명성이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지만, 자기애 유형을 추가로 고려하였을 때, 공격성에 대한 익명성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게 되었다. 둘째, 자기애적 성향은 익명적 조건에서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유형 모두 공격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익명적 조건에서 자기애 유형은 성별에 따라 공격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내현적 자기애 성향만이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여성은 익명적 조건에서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성향 모두 공격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이는 익명성 보장 상담의 심층적 이해를 위해 익명성 자체뿐만 아니라 자기애적 성향과 성별 등의 내담자 개인특성을 살펴볼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and narcissistic types as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aggression in 206 adult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in SPSS 29.0, anonymity, aggression, overt narcissism, and covert narcissism were analyzed. Results reveal that the impact of anonymity on aggression loses significance when considering narcissistic types, despite sole anonymity significantly explaining aggression. Both overt and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explained aggression, controlling anonymity.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only covert narcissism significantly explaining aggression in men, while women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both narcissistic tendencies in anonymity controlled condition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scrutinize personal factors such as narcissistic types and gender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nonymous counseling. It emphasiz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beyond the influence of anonymity itself.

      • KCI등재

        사회적 익명성이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공동체 신뢰도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윤수진(Yoon, Sujin),손동영(Sohn, Dongyoung)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1 No.4

        익명성은 온라인 환경의 부정적 측면으로 항상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사람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용이하게 하고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익명성의 긍정적 역할은 제대로 조명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환경의 사회적 익명성 정도가 구성원들이 공동체에 대해서 갖는 인식과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사람들 간의 관계를 유지하고 결속력을 높이는 익명성의 긍정적 가능성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한다. 연구결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사회적 익명성은 구성원의 공동체 동질성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동질성 인지의 강화가 공감경험의 정도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공감경험은 커뮤니티에 대한 신뢰에, 인지된 동질성은 커뮤니티 의식에 각각 개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는데, 특히 사회적 익명성은 커뮤니티 신뢰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익명적 환경이 커뮤니티 활성화 및 유지에 갖는 긍정적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기존의 부정적 측면 일변도의 익명성 논의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Anonymity has always been blamed as the negative characteristic of an online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its positive function that facilitates individuals’ voluntary communication remains largely overlooked. A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positive aspect of anonymit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anonymity on individuals’ perception of and their trust to the community, and how such effects are formed through the mediation of empathy and perceived homophily. First, social anonymi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homophily, which in turn influenced the feeling of empathy, Second, the feeling of empathy and perceived homophily did influence respectively individuals’ trust to and sense of the community, Also, social anonym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directly on the trust level of the community. Discussion of the experimental findings and their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followed.

      • KCI등재

        ‘개인공동체’로서의 굿문화 엿보기

        박흥주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7 No.-

        한국민속 내에 잠재된 가능성에 대한 인식력 제고와 더불어, 이제까지 한국민속학이 이룬 성과를 재창출의 토대와 가능성으로 적극 활용하려는 인식제고에 관심을 갖고, 그 한 방안으로서 한국민속문화가 갖고 있는 공동체의 실상과 그 특성에 주목하였다. 현대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공동체론과 그 실체 형성에 기여할 방안을 찾기 위해굿문화를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개체와 집단과의 관계는 상보적이어야 하는 공동체였으며, 상생하기 위해서는 개체성을 최대화시키고 집단성을 최소화시키는 인식체계가 도출됐다. 이를 실제상황에서 매 순간마다 최대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주체성(내 멋), 원초성, 즉흥성(시나위), 현장성을 얼마나 살려나가는 가가 관건이었다. 현대사회는 “자본주의 인간형으로서의 개인이 확산 심화되는 상황에서 개인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 것이며, 공동체와의 관계가 계속 서로에게 유익할 것인가, 공동체와의 바람직한 현재적 관계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진단으로 요약될 수 있었다. 현대인들은 자신 이외의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자신을 주체로 간주해주지 않는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거대한 타자들의 대상화에 대항해 홀로만 스스로를 주체라고 주장하는 사태에 직면하고 있다. 점점 구성원들 사이에서 주체적 존재로 인정받거나 상호협력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치닫는 중이다. 그것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현상을 ‘익명성’에 자신을 숨기는 개인의 확산이라고 봤다. 그러면서도 관계에 대한 필요와 욕구는 상존해 있다. 익명성은 필요한 내용을 그 순간(한정된 시간)만 공유하기를 원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익명성이 자신을 보호할뿐더러 오히려 자신의 주체성을 적극 발현시킬 수 있는 장치와 통로로 전환시키는 방안이 되고, 익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적절한 접점을 찾는 공동체를 찾을 수 있다면, 익명성과 한정된 시간을 공유하려는 현대인들의 속성을 굳이 부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며, 오히려 시대성을 획득한 적절한 현대의 공동체문화를 구축할 돌파구일 수 있다. 그 접점찾기에서 굿문화의 공동체성에 주목해봤다. 집단보다는 개체의 절대성과 주체성 발현을 최대한 보장하려는 굿문화의 인식목표는 현대인들이 개인의 주체성을 견지하려는 목표와 상통한다. 익명성 또한 굿문화는 이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이 내재된 것으로 보았다. 그것은 즉흥성과 현장성에서 도출됐다. 즉흥성은 그 순간의 상황과 관계를 개체가 주체적으로 소화해서 적극 자신을 발현시켜내는 것으로서, 이를 그 현장에 있는 집단(다른 개체들)으로부터 ‘인정받음’을 획득하거나 집단이 그 개체의 즉흥성을 인정하게 될 때 서로 ‘하나’가 되는데 기여할 수 있었다. 익명성으로 실체를 가린 상태라 하더라도 이는 가능했다. 굿문화에서도 익명성이 필요로 할 때는 탈(가면)과 인형이라는 장치를 적극 활용하였다. 사회전체와 개인이라는 관계가 설정될 수밖에 없는 현대인들에게는 익명성이 자신의 주체성을 보호받을 수 있는 좋은 ‘탈’일 수 있으며, 한시적인 만남은 이를 안정적으로 발현시켜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현대인 저마다의 주체성 발현이 ‘내 멋’이 되고, 내 멋에 원초성도 담보된 문화를 갖게 될 때, 그 만남의 순간만을 최대한 내 멋으로 즐기는 것이 시나위적으로 조화를 이룬다면 공동체형성에 긍정 ... In this thesis, we focus on the reality and characteristic of a community in Korean folk culture to reconsider cognitive faculty about possibilities of the folk culture. It is one of the ways that raise awareness about using products of Korean folklore as foundation of creation. We study about the culture of Kut to find the theory about communities that could contribute to modern society and the solution that leads to build up real commun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at community is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a community and its individuals. In this community, we also find a recognition that maximize individuality, while minizing collectivity to coexist. To manifest this characteristics in every moments, the way which revive subjecthood(Nae-Meot), primitiveness, improvisation(Sinawi), monument is important. In Modern society, we have to propose the question how we perceive an individual and what kind of a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a community is good for both, while the personality of capitalism is spreading and intensifying. Modern people confront the circumstances in which all of the social members except oneself don’t regard the person as a subject, at the same time an individual asserts one’s subjecthood alone in opposition to a great crowd’s objectifying. The symptom is more and more severe so that the approval for a subject being among the members or the mutual cooperation with others are almost impossible. This phenomenon clearly appears in spreads of hiding individual behind anonymity. Nervertheless the needs and desires for relationships still exist. Anonimity has feature that people want to share the moments only in case of needs. On the other hand, by anonimity, we are able to protect oneself and, furthermore, we find the ways to express one’subjecthood. If we find the community that maintains individual’s anonimity and mutual coopteration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it is unnecessary to deny modern people’s ironic characteristics. Inversely we could make breakthrough to build appropriate culture of modern communities. As finding the contact point, we focus on communal characters of culture of Kut. The perceptional purpose of the culture of Kut, that ensures appearance of individual’s absoluteness and subjecthood ratherth an community’s, connects with modern people’s purpose to maintain personal subjecthood. Also the culture of Kut has a solution to guarantee anonymity. It is found on improvisation and monument. Spontaneity appears in a moment when individuals adapt autonomously their circumstances and relationships, so they actively express themselves. It contributes to become a ‘one’ with others by acommunity’s (or other individuals’ in a community) acceptance in the moments or by a community’s recognition about individual’s spontaneity. That is possible, even though when an individual is hiding it’s nature by anonymity. In the culture of Kut, they actively use devices like masks and dolls when they needs anonymity. Anonymity is a wonderful mask to protect one’s subjecthood for modern people, who unavoidably are positioned between an individual and a whole community. A brief encounter is an device to stably guarentee it. When modern people’s subjecthood emerges one by one and becomes ‘Nae-Meot’ and, when primitiveness is preserved in ‘Nae-Meot’, furthermore, when individuals enjoy the every moments of contacts harmoniously, the formation of conmmunities procedespositively. To find that way, this thesis connects ‘the community which respects one’s individuality’ with the term and concept of ‘Anonymous Social Network’. And we raise the possibility ofcontribution to build specific ‘Anonymous Social Network’ by the culture of Kut.

      • KCI등재

        사이버 괴롭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익명성, 공격성,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

        박대식,손은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nonymity, aggression, and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affect cyberbullying behavior. Two hundred seventy one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 Provinc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Anonymity Scale, the Aggression Scale,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Scale, and the Cyberbullying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cyberbullying behavior was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behavior was mediated by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was mediated by agg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behavior. Moreover aggress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onymity and attitudes toward cyberbully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enrich our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cyberbullying behavior and provide novel insights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익명성, 공격성,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가 사이버 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 소재 중인 대학생 271명이었으며 익명성, 공격성,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 사이버 괴롭힘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의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AMOS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익명성은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의 매개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격성은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의 매개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익명성은 공격성의 매개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익명성, 공격성이 사이버 괴롭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과 또한 익명성이 사이버 괴롭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격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사이버 괴롭힘 가해행동에 대한 이해 및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이 사이버불링에미치는 영향: 익명성의 매개효과

        이수봉,한상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peer conformity on cyberbullying and the mediation effect of anonym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ly 840 students including 420 middle school students and 420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mong them 794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he validity of these scales was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is process,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and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established scales. The hypothesis were verifi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ased to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a peer conform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yberbulling. Second,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a peer conform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nonymity. Third, anonymity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cyberbulling. Fourth, anonymity meaningfully mediates the effects of sensation seeking and peer conformity on cyberbullying,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how that a cyberbullying is influenced by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peer conformity, which is mediated by anonymit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peer conformity to prevent cyberbullying and an anonymity of a cyberspace operate to adolescents' sensation seeking and peer conformity, in additions that this reinforce cyberbullying.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 various of method should be provided to reduce a dysfunction of an anonymity and to increase a positive function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a variety of an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a cyber harassment, and a multilateral research needs to be done to alleviate the adverse effects and increase the good effects for healthy cyberculture.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과 익명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420명과 고등학생 420명으로 총 840명이며, 이들 중 79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해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확정된 척도를 이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은 사이버불링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 각각은 익명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익명성은 사이버불링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 넷째, 익명성은 감각추구성향의 사이버불링에 대한 영향을 의미있게 매개하며, 또래동조성의 영향 또한 의미있게 매개한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이 사이버불링에 영향을 주고, 익명성은 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이 만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에 속하는 감각추구성향과 또래동조성을 완충 또는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사이버공간의 중심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익명성을 합리적․건설적으로 활용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