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30년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전개와 그 성격

        김도형(Kim Do Hy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5

        1930년대 민족주의계열에서 전개한 문화운동에 대해 논전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으로 우리 민족문화를 말살하고 일본문화를 이식시키려는 식민통치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독립운동 단체의 출판물을 중심한 독립운동을 지향한 문화운동과 민족보존을 위한 문화운동이었다면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1930년대 초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이충무공의 유적·유물을 보존하기 위한 전민족적 차원으로 승화된 것을 일괄하여 필자는 ‘李忠武公遺蹟保存運動’이라고 명명하여 보았다. ‘이충 무공유적보존운동’은 1931년 5월 13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이순신의 위토경매 문제가 계기가 되었다.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은 충무공의 종손이 묘소와 위토를 채무로 저당잡혀 경매로 넘어가면서, 성금을 모아 충무공의 위토를 되찾게 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아산에 현충 사를 중건하는 등 이순신의 유물과 유적을 보존하는 대중운동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민족적 영웅인 충무공 이순신의 유골을 모신 아산 묘소와 위토가 경매를 당한다는 놀라운 소식은 마치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존재와 동일시되면서 항일의식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이충무공을 추모하고 숭상하는 열성은 성금으로 이어졌고, ‘이충무공유적보존회’까지 조직되어 묘소와 위토는 물론이고 아산 현충사의 중건, 위토의 증가, 유물과 유적의 보호, 사당과 묘소의 수리 등 ‘충무공유적보존운동’으로 발전하였던 것이다. 필자는 1930년대 초반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이 대중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원인을두 가지 측면에서 보았다. 첫째는 하나는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한말부터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까지 우리 민족의 뇌리에 잠복해 있던 ‘李舜臣相’이 이를 계기로 폭발하였다고 보았다. 둘째는 운동사적 측면에서 1930년대 들어 민족운동의 전반적인 주도권이 사회주의계 열로 넘어가자 민족주의계열은 새로운 운동영역을 개척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런데, 이때 마침 제기된 이순신의 위토문제는 민족주의계열에 새로운 운동영역을 마련하였고 이를 대중 운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아주 적절한 주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reservation Movement of the Admiral Yi Sun-sin s Historical Remains in the 1930 s It is a true that there is a disputation of a carried out cultural movement by nationalism in the 1930 s. However, Koreans independece movement appear to be growing stronger by independence movement group through the publication, activies and at that time Koreans preserved their heritage. So there is a right reason for against Japanese imperialists instituted a policy to obliterate Korean culture.

      • 1930년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의 전개와 한계

        김주식(Joo-Sik K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1931년 5월부터 『동아일보』와 충무공유적보존회의 추진으로 전개된 이순신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은 이충무공유적보존운동으로 불린다. 이 보존운동에 대한 연구는 그 성격을 민족주의 계열의 국수주의적 문화운동의 한 양상으로 규정하거나, 이 운동의 전개 과정과 대중운동으로 발전된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왔다. 또한 일제강점기 동안 이순신의 유물과 유적 관리의 종합적인 상황을 기술하면서 이 보존운동을 간단하게 언급한 논문도 있었다. 본고는 이 보존운동이 조선총독부의 제약을 받지 않은 이유와 일제강점기 동안 지속되지 못한 이유를 밝히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제목에 한계라고 표현한 것은 그러한 이유들이 이 보존운동의 한계를 밝히는 작업도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보존운동의 전개 상황을 개략적으로 살펴본 후 당시 보존운동에 대한 사회여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주도인물의 인적 구성, 주도인물의 이순신에 대한 인식, 조선총독부의 대응으로 나누어 내적인 한계와 외적인 한계를 동시에 규명하려고 했다. 「Dong-A Daily News」 and 「the Society for the Preservation of Yi Sun-Sin’s Remains」 did a lot of works related to Admiral Yi Sun-Sin. These works have been known as the movements for preserving Admiral Yi Sun-Sin’s remains. Some studies considered this movement as an aspect of nationalistic cultural movements. Others concentrated on the process of the movement and on finding causes why this movement had been led to public movement. And there was a study which mentioned the movement briefly, describing the management condition of Admiral Yi Sun-Sin’s remains and relic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his article attempt to clarify the reason why this preservation movement was free from the restraint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the reason why the movement couldn’t continu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o, first this article looks into the process of the preservation movement overall and the social opinion on the movement. And it looks into the leadership of the movement, their perception of Admiral Yi Sun-Sin and the response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s a result, this article investigates external limit as well as inner limit of this preservation movement at the same time.

      • KCI등재

        1930년대 미디어의 문화운동과 검열의 심리전― 「乙支文德 墓前에 벙어리 바친 三園兒」는 왜 삭제되었나

        최수일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4 大東文化硏究 Vol.126 No.-

        1931년 조선사회는 ‘이순신 신드롬’에 휩싸였다. 열풍의 배후엔『동아일보』와『조선일보』의 ‘이순신 장군 유적 보존 운동’이 있었다. 이 운동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됐지만, 이를 검열사의 차원에서 복기하는 연구는 보기 힘들다. 관련 기사들이 대부분 검열을 깨끗이 통과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1936년 ‘을지문덕 장군 묘산보수 운동’은 검열에 저촉되었고 운동은 흐지부지됐다. 전면 삭제된 「乙支文德 墓前에 벙어리 바친 三園兒」가 그 증거이다. 이 기사의 발굴과 복원은 검열과 무관하게 보였던 ‘이순신 장군 유적 보존 운동’을 검열적으로 되돌아보게 만든다. 두 기획의 쌍생성 때문이기도 하지만 1931년의 폭발적 성공이 1936년의 ‘금지’를 낳았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1931년 일제는 ‘이순신 장군 유적 보존 운동’ 관련 기사들에 대한 검열에 실패했다. 처음엔 방심했기 때문이요, 나중엔 만주사변과 맞물리면서 손을 쓸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두 ‘유적 보존 운동’을 놓고 벌어졌을 미디어와 검열의 심리전을 복기했다. 특히 1936년 5월 「乙支文德 墓前에 벙어리 바친 三園兒」를 전면 삭제한 ‘검열관 X’의 심리를 추적함으로써, 1931년 검열이 무엇을 놓쳤고 또 얼마나 뼈아파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추리하고 입증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만난 검열관 X는 우리에게 매우 낯선 존재였다. 우리의 생각틀은 운동론적이고 매체-진영론에 입각해 있어서, 사회주의운동이 민족운동보다 더 본원적이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가 개량적 민족주의자보다 더 위험했다고 단정하기 쉽지만, ‘검열관 X’는 운동의 성격도 중요하나 그것과 대중의 결합력(폭발력)이 더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학술’로서 ‘을지문덕’을 호명하는 것은 괜찮지만, ‘을지문덕-성금-어린이’로 연쇄되는 대중운동적 전환은 매우 위험하다고 판단하는 검열관을 우리는 일찍이 상상하지 못했다. 검열관 X는 검열하는 쪽의 판단과 검열당하는 쪽의 판단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깨우친다. 매체-진영론에 얽매이지 않기에 검열관 X는 개량적인 운동도 특정 국면에서 치열하게 불타오를 수 있음을 보았고 또 그것을 두려워했다.『동아일보』는 ‘고적보존운동’,『조선일보』는 ‘조선학운동’이라는 고정관념을 벗어났기에, 두 미디어 사이의 ‘공모’와 대중운동적 확산을 포착할 수 있었다. 모두 우리가 보지 못했거나 눈감아 왔던 국면들이다. 검열 연구, 특히 검열 사례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검열관이 보고 느낀 것을 연구자인 ‘나’도 보고 느껴야 한다. 이것이 검열 연구가 매체-진영론에 갇혀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In 1931, Joseon society was engulfed in a “Lee Soon-shin syndrome.” Behind the craze were the Dong-A Ilbo and the Chosun Ilbo's campaign to preserve the remains of General Lee Soon-shin. Although research on this movement has been steadily conduct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recover from the perspective of censor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related articles have passed the censorship completely. However, the 1936 campaign to restore the tomb of General Eulji Mundeok was in violation of censorship, and the movement went nowhere. The completely deleted “Three Kindergarteners who gave a piggy bank to the tomb of General Eulji Mundeok” is proof of this.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this article makes us look back on the movement to preserve the remains of General Yi Soon-shin in a censorship-free manner. It is partly because of the twin generations of the two projects, but also because the explosive success of 1931 led to the ‘prohibition’. In conclusion, the Japanese government failed to censor articles related to the movement to preserve the remains of General Yi Soon-shin in 1931. At first, he was careless, and later he couldn't use his hands as it coincided with the Manchurian Incident. This article recalled the psychological warfare between the media and censorship that would have taken place over the two ‘remains conservation movements’. In particular, by tracing the psychology of ‘Censorship Officer X’, who completely deleted the ‘three kindergarten students who gave a piggy bank to the tomb of Eulmun-deok’ in May 1936, we tried to specifically infer and prove what the censorship missed and how painful it was in 1931. The censor X we met in the process was very strange to us. Our framework is kinetic and based on media-Jinyoung theory, so it is easy to conclude that the socialist movement was more fundamental and intransigent nationalists than the nationalist movement, but ‘Censorship X’ judged that the nature of the movement was important, but the combination (explosive power) of the public was more real and direct threat. It is okay to call ‘Eolmun-deok’ as an ‘academic’, but we never imagined a censor who judged that the mass movement transition to ‘Eolmun-deok-Sunggeum-Children’ was very dangerous. The censor X realizes that the judgment of the censor can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ensor. The censor X, who is not bound by the media-authenticism theory, saw and feared that even an improvement movement could be fiercely burned in certain situations. The Dong-A Ilbo broke away from the stereotype of the “architectural preservation movement” and the Chosun Ilbo was able to detect the “collusion” and the proliferation of the mass movement between the two media. All these are phases that we have not seen or overlooked. In order for censorship research, especially censorship case studies, to be activated, the researcher ‘I’ must also see and feel what the censor saw and felt. This is why censorship research should not be trapped in the media-progress theory.

      • KCI등재

        극으로 소환된 이 순신 - 최 윤수 작 역사극 <將軍李舜臣>을 중심으로 -

        김병길(Byoung-gill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7

        본고는 식민시기 이충무공 모티프의 유일한 극화 최 윤수 작 <將軍李舜臣>에 대한 최초의 전면적인 논의다. ‘이충무공’의 생애를 모티프 삼은 근대적인 글쓰기는 역사전기문학의 형태로 처음 문학화가 이루어졌다. 이충무공 모티프가 본격적으로 근대문학에 등재된 것은 1930년대 초 이 광수의 역사소설 『李舜臣』과 최 윤수의 역사극 <將軍李舜臣>에 이르러서다. 이후 해방 전까지 이충무공 모티프가 문학화된 사례는 없었다. 해방 직후 김 태진의 <壬辰倭亂>과 이를 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리순신 장군> 창작을 통해 이 순신은 극계에 재차 소환된다. 김 태진의 이 두 텍스트는 식민시기 ‘이충무공 유적보존운동’이 라는 사회문화운동의 열기 속에서 탄생한 최 윤수 작 <將軍李舜臣>의 데자뷰라 할 수 있는 창작이었다. 주요 갈등, 조정 대신들로 대표되는 지배계급의 수탈과 이 순신의 희생을 대척점에 배치함으로써 선악의 이분법적 갈등을 고조시키는 극적 구성이 최 윤수의 <將軍李舜臣>을 떠올리게 만드는 것이다. 그와 같은 유사성과 함께 세 텍스트는 상이한 담론 지형에서 창작되고 각색된 만큼 차이 또한 적지 않다. 특히 작자의 역사 인식에서 세 텍스트는 확연히 다른 면모를 드러낸다. 그 구체적인 지점은 이 순신이란 인물의 형상화에서 발견된다. <將軍李舜臣>에서 이 순신이 격정에 사로잡힌 인간적인 영웅 형상인 것과 달리 <壬辰倭亂>의 경우 완성형의 영웅에 가까우며, 이에서 더 나아가 <리순신 장군>은 우상화에 기울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거쳐 <將軍李舜臣>이 <壬辰倭亂>과 <리순신 장군>의 유일한 극적 전사(前史)라는 사실, 그리고 <將軍李舜臣>의 복제를 의심할 만한 극 구성의 변주가 김 태진의 두 작품에서 공약수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확증하였다. This study is the first full-fledged discussion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which dramatized the ‘Yi Chungmugong’ motif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dern writing, which took advantage of the life of Yi Chungmugong as a motif, began to be literaryized b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iterature. Yi Chungmugong motif was listed in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creation of Yi Gwang-su’s historical novel 『Yi Sun-shin』, and Choi Yun-su’s historical drama <Admiral Yi Sun-shin>. Since then, there has been no literaryized case of Yi Chungmugong motif until 8․15 Liberation. After 8․15 Liberation, Yi Sun-shin is summoned to the theater again through the creation of Kim Tae-jin’s <Imjin Japanese Invasion> and <Yi Sun-shin, Admiral>, which is believed to have adapted it. Kim Tae-jin’s two texts were created as a déjà vu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which was created in the midst of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called “Reservation Movement of Yi Chungmugong” in the early 1930s. The main conflict in Kim’s two texts between the exploitation of the ruling class represented by the Royal Court liege men and the sacrifice of Yi Sun-shin is placed at a counterpoint rais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which reminds us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Along with such similarities, there are also differences as the three texts are created and adapted from different discourse topography. In particular, these texts at the level of the author’s perception of history reveal distinctly different aspects. The specific point is the figure of Yi Sun-shin. In <Admiral Yi Sun-shin>, Yi Sun-shin is portrayed as a human hero who is obsessed with passion.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as a complete hero in <Imjin Japanese Invasion>, and furthermore it is idolized in <Yi Sun-shin, Admiral>. After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Admiral Yi Sun-shin> is the only work created prior to <Imjin Japanese Invasion> and <Yi Sun-shin, Admiral>, and that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drama that doubts the reproduction of <Admiral Yi Sun-shin> is found as a common factor in Kim Tae-jin’s two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