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語の主題構文「X1は、X2が、Yだ。」に関する一考察 - 無題化文における韓国語との比較・対照を中心に -

        김소희,사네치카마리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5 No.-

        This study focuses on “untitled sentences”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is research is based on “象は鼻が長いZō wa hana ga nagai, in “the elephant has a long nose” in Mikami's (1960) influential grammar book. In it, Mikami (1960) says that there is no Japanese word for the ‘subject’. Additionally in the expression ‘象の’ Zō no, elephant's’ in ‘the elephant's trunk is long’ is the subject of ‘象は鼻が長いZō wa hana ga nagai,. When ‘鼻が Hana ga is used then ‘the nose’ becomes the subject, it becomes ‘象の鼻は長い(Zō no hana wa nagai)’. However, if ‘象は鼻が長いZō wa hana ga nagai, is used and ‘코끼리는 코가 길다 Kokkilineun koga gilda, in the Elephant has a long nose’ and have ‘topic syntax’ elements (in Japanese and Korean) and are untitled, they then become ‘象の鼻が長い(Zō no hana ga nagai)’ and ‘코끼리가 코가 길다(Kokkiliga koga gilda)’.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why these differences can be seen in ‘untitled sent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As a result, ‘no’ in Japanese has a ‘provisional subject’ function in addition to the ‘ownership/affiliation’ function, whereas ‘ui’ in Korean has only a particle, that has no substantial meaning and aids another word, so the ‘double subject’ is considered to be recognized. From these points of view, it is speculated that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main sentence that make the topic untitled sent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In the future, clearer definitions of “nominative /subject /topic /double nominative object /double subject /provisional subject /‘no’ of case” etc. are required in both Japanese and Korean. 본 연구는 미카미(1960)의 象は鼻が長い라는 문법서에 근거해 일본어와 한국어의 ‘무제 화문(無題化文)’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카미는 일본어에는 ‘주어’가 없다고 하는데, ‘象の鼻が長いこと’라는 표현에서 ‘象の’를 ‘주제’로 하면 ‘象ハ鼻が長い。’가 되고, ‘鼻が’를 ‘주 제’로 하면 ‘象の鼻ハ長い。’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어와 한국어의 ‘주제 구문’인 ‘象は鼻 が長い。’와 ‘코끼리는 코가 길다.’를 ‘무제화문’으로 만들면 각각 ‘象の鼻が長い。’와 ‘코끼리 가 코가 길다.’가 되는 차이점이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무제화문’에는 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우선 ‘~の’와 ‘~의’에 관해서는 일본어의 ‘~の’에는 <소유・소속>의 의미기능 외 이른바 ‘가주어’의 기능도 있는 반면 한국어 의 ‘~의’에는 <어조사>의 기능밖에 없기 때문에 ‘이중주어’가 인정된다. 이러한 점에 의해 한일 ‘주제문’을 ‘무제화’시킨 ‘주문(主文)’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이다. 다음으로 가주어의 ‘~ の’와 이중주어의 ‘~이/가’ 역시 일본어의 ‘~の’가 ‘가주어’로 기능하고 있는 것에 반해 한 국어에서는 ‘이중주어’가 인정되는 차이가 있다. 이로써 일본어의 ‘~の’는 ‘가주어’로도 기능 하지만 한국어의 ‘~의’는 <소유>나 <소속>의 의미만으로 사용되는 것이 한일의 차이를 일 으키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일본어는 ‘주격’, ‘주어’, ‘주제’를 구별하고 있지만 한국어 는 ‘주격’을 인정하지 않는 연구 견해도 있고 ‘주어’와 ‘주제’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또한 한국어는 ‘이중주어’나 ‘이중주격’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주어’와 ‘주격’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어와의 차이가 생긴다고 볼 수 있다. 향후 과제로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 어서 ‘주격/주어/주제/이중주격/이중주어/가주어/격 성분의 ‘~の’’ 등에 대해 보다 명확한 정 의가 요구됨을 남겨두는 바이다.

      • KCI등재

        일한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대조 연구 - 일본어의 ‘주어유무 논쟁’과 한국어의‘서술절구 논쟁’을 중심으로 -

        문창학,목정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5 No.-

        일본어와 한국어에는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이라고 하여 주어가 두 개 이상존재하는 특수한 구문이 있다고 지 적되어 왔다. 하지만 그 문장의 구조를 어떻게파악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일본어학계에서는 ‘주어유무 논쟁’ 그리고 한국어학계에서는 ‘서술절구 논쟁’이라 하여 이견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우선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의 ‘주어유무논쟁’과 한국어의 ‘서술절구 논쟁’이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ⅰ)대용언을 통한 진단법, (ⅱ)복문 구성을 통한 진짜주어 찾기 진 단법, (ⅲ)주어존대를 통한 진단법, (ⅳ)결합가 이론(=논항구조)을 통한 진단법과 같은 네 가지진단법을 이용 해, 소위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해서 ‘서술절’ 설정의 부당성, 즉‘Yが’나 ‘Y이/가’를 ‘주어’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서술구’ 설정의필요성과 당위성, 즉 ‘Yが’나 ‘Y이/가’를 ‘보어’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은 ‘기술동사(형용사)’와 관련된 유형과‘심리술어’와 관련된 유형으로 나 눌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controversy about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ubject in Japanese ‘double suject constructions’ with the controversy about ‘predicate clause’ or ‘predicate phrase’ in 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This paper uses four diagnoses to verify above problem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ⅰ) There is only one subject in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ⅱ) The subject of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is not the ‘Yga’ or ‘Yi/ga’ but the ‘Xun/nun’ or ‘Xwa’. (ⅲ) The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have the ‘predicate phrase’, but not ‘predicate clause’. (ⅳ) There are two types of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One is concerned with the ‘descriptive verbs’ and the other type is associated with the ‘psych-verbs’.

      • KCI등재

        이중주어 구문의 의미역에 관하여

        이홍식 ( Yi¸ Hongshik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59 No.-

        본고는 이중주어 구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중주어 구문의 각 성분에 부여할 의미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를 부가어로 분석하였다. 서술절 설정은 서술절을 가능하게 하는 절차나 표지를 제시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선택하기 어려우며 또한 서술절 설정의 절차를 제시한다고 해도 첫 번째 명사구를 서술절의 논항으로 만드는 절차 역시 상정해야 한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면 그러한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면 동사의 격틀을 두 개씩 설정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를 부가어로 분석하는 쪽을 택하였다. 그러나 부가어에도 의미역을 부여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는데 본고에서는 부가어에도 의미역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택하였다. 소유자역이라는 의미역은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와 두 번째 명사구 사이의 관계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이른바 주제와 언급이라는 문장의 두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가 정해지면 후행하는 요소는 주제를 언급의 대상으로 삼아 정보를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의미역 설정에 반영하기 위해 첫 번째 명사구에 대상역이라는 의미역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담화의 층위에서의 관계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문장 내의 관계라는 점을 중시하여 첫 번째 명사구에는 소유자역이라는 의미역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paper, double-subject constructions were analyzed as simple sentences. It is difficult to support the predicate clause theory because it has a problem with the generative process of a predicate clause.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suggest a process that assigns a semantic role to the first noun phrases in double-subject constructions. Therefore, analyzing double-subject constructions as simple sentences can overcome such difficulties. To overcome the burden of setting two case frames to the verbs in double-subject constructions, we chose to analyze the first noun phrase of a double-subject construction as an adjunct. However, the problem of assigning a semantic role to the adjunct words remains. In this paper, the possessor role was given to the first NPs of a double-subject construction. The possessor role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noun phrase and the second noun phrase in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onents of the so-called topic and comment. When the topic is decided, the following elements add information by making the topic the object of the comment. To reflect this point in a semantic role setting, the theme role was given to the first noun phrase. However, the semantic roles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within the sentence hierarchy. The topic-comment relationship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hierarchy. Therefore, the theme role cannot be assigned to the topic component. We suggest that the possessor role should be assigned to the topic component.

      • KCI등재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단일 주어 고찰

        장맹번(Zhang MengF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본고는 한국어의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의 주술술어문의 주어 문제를 다시 끌어내어 각 문장에서 진정한 주어가 무엇인지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언어에서 별개로 사용되던 이론들을 이용해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논항구조를 분석하여 진정한 주어를 찾아내고 본고의 단일 주어의 관점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유형과 논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한국어에서 주어검증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용언 이론, 결합가(結合價) 이론, 관계절화 등이 중국어 주술술어문의 주어 판정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반대로 중국어 문법 중 수식어와 중심어의 관계, 문장 안에 쉼표와 어기사(語氣詞)의 첨가 등 방법이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주어 찾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증을 통해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인 ‘X-가+Y-가+V’에서 ‘Y-가+V’성분은 서술절로 보기 어려우며, 이 문장의 진짜 주어는 ‘X-가’ 하나뿐임을 밝혔다. 즉, 이중주어 구문은 주어가 두 개인 복문이 아니고 단일주어를 가진 단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중국어 주술술어문도 대주어 ‘S1’와 소주어 ‘S2’의 개념을 취하지 않고 주어가 ‘S1’ 하나뿐인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subject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s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aga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real subject of each sentence pattern. Using the relevant theories of the two languages, we find the subject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and prove the point of single subject in this paper. Firstly, the types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 and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 and the possibility of discussion are analyzed respectively. On this basis, it analyzes subject proving method like substitution of pronouns, valency, relative clause. Whether they can be used in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is analyzed. Chinese grammar lik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fier and head, adding comma and modal particle in the sentence, analyzes whether they can help to judge the subject of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in Korean double subject sentence ‘X-ga +Y-ga+V’, the "Y-ga+V" component is not a narrative sentence. The real subject of the sentence is "X-ga". The double subject sentence is not a complex sentence with two subjects, but a single sentence with only one subject. In Chinese s-p predicate sentences, The division of big subject S1 and small subject S2 is not recognized, it has only one subject S1.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의 소위 이중주어 구문에 대한 새로운 해석

        소령령 ( 苏玲玲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0 No.53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소위 말하는 ‘이중주어 구문’에 주어가 몇 개 있는지, 그리고 문장 성분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지를 따져보았다.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과 중국어 주위 술어문의 비교하여 이중주어 구문은 도치문의 원칙을 따라 정보구조의 흐름에만 부합한다면 ‘X은/는’과 ‘Y이/가’가 자리바꿈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대용언을 통한 진단법, 중국어 주어+술어+빈어의 통사 성분의 위계구조를 통한 진단법, 중국어 편정결구 구문에서 수식어와 중심어의 관계를 통한 진단법, 중국어 주위술어문 안에 쉼표와 어기사를 첨가하여 주어와 위어의 관계를 통한 진단법의 네 가지 방법을 이용했다. 그리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주어 구문’에서 ‘S’나 ‘X은/는’을 주어 성분으로 보고, ‘S'’나 ‘Y이/가’를 주어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즉 ‘S'+V’나 ‘Y이/가+V’는 ‘서술절’이 아니고 ‘서술구’로 보아야 하며 ‘서술구’ 설정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Y이/가+V’ 성분에서 조사 ‘이/가’가 붙은 성분을 ‘목적어’로 간주해야 함을 언급했다. 韩国语和中国语的所谓‘双重主语文’里, 有几个主语以及怎么分析文章的成分, 本论文针对这样的问题再次进行探究。通过韩国语双重主语文和中国语主谓谓语句的比较, 根据倒置文的原则证明了只要文章的情况构造相吻合, 那么‘X’和‘Y’成分的位置是可以互换的。并且通过四种诊断法, 分别是代替用语诊断法, 中国语主语、述语、宾语成分的位阶构造的诊断法, 中国语偏正结构文里修饰语和中心语关系的诊断法以及向中国语主谓谓语句里添加逗号和语气词来分析主语和谓语之间的关系的诊断法, 指出在韩国语和中国语的所谓‘双重主语文’里, ‘S’或‘X’成分可以看做是‘主语’, 而‘S'’或‘Y’成分看做‘主语’是有一定困难的; 本文提出了‘S'+V’或‘Y+V’成分设置成‘叙述词组’的重要性和必然性, 并主张‘S'+V’或‘Y+V’这个成分不是‘叙述句’, 而是‘叙述词组’, 再次证明了在所谓的‘双重主语文’里‘Y’成分是看作‘目的语’的。

      • KCI등재

        主語에 관련된 몇 問題에 대하여

        이홍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some problems of subjects in Korean. Subjects are sentence constituents which are predicated by pred- icates. The properties which are described by predicates belong to the referents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in Korean are not necessary in the sentences while the subjects in English are necessary in the sentences. The subjects in Korean are required just pragmatically in the discourse tier. However the requirement of subjects in the discourse tier is reflected in the argument structures of predicates in the lexicon. There seems to appear two subjects in some sentences but they are not related to the same predicates. They have their own predicates. This means that some subjects are determined in the sentence tier not in the lexicon. It is said that josas represent a case. However josas should be understood to mark sentence con- stituents. The term ‘Case' should be used to represent inflections of nouns. 한국어에는 主語가 없다는 주장이 있으나 통사적인 必須性이 부과되지는 않지만 주어를 상정할 수 있다. 주어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話脈에 의해 해석된다. 주어는 核의 정보를 통해 解釋部에서 해석할 수 있으므로 주어 자리에 빈자리를 생성해서 영형 대명사를 채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 敍述語가 서술하는 내용이 歸屬되는 대상을 가리키는 언어표현이 주어가 된다. 주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형태 통사적인 현상은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는 않지만 전형적인 주어와 그보다는 덜 전형적인 주어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는 있다. 주어처럼 보이는 명사구가 둘 나타났을 때 후행하는 명사구는 動詞句 內部 主語이며 선행하는 명사구는 빈자리를 가진 동사구가 기술하는 속성의 귀속 대상이 되므로 주어로 해석된다. 이것은 주어가 文章 層位에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어는 助詞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데 해당 조사는 주어표지 또는 주어조사라고 부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이중 주어 구문 새로 보기 - 기본문형 설정과 관련하여

        목정수(Mok, Jung-soo),조서희(Cho, Seo-hee)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본고는 우선 ‘가’와 ‘는’과 같은 한정조사류와 명사(구)의 결합이 형태론적 구성이 아니라 담화 · 화용론과 유기적인 관계 하에서 펼쳐지는 통사 현상, 즉 통사적 구성을 이룬다는 것을 기욤(Guillaume)의 정신역학 모델을 원용하여 주장한다. 이어서 문장의 기본문형을 설정할 때, 한정조사에 의한 정보구조가 기본문형 표상에 적절히 반영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그 과정에서 기존에 한국어의 특수한 현상으로 치부됐던 이른바 ‘이중 주어 구문’은, 다른 더 기본이 되는 심층구조로부터 도출된 것이 아닌, 그리고 서술절을 안은 복문으로 분석되는 것이 아닌, 그 자체로 [NP1(은) NP2(가) V-어미]라는 형식의 단문임이 밝혀진다. 다만, 그간 이중 주어 구문으로 분류되어 온 여러 유형 가운데 ‘코끼리는 코가 길다’류와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류만이 기본문형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요 주장인데, 그 근거를 여러 유형의 이중 주어구문의 통사 · 의미적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제시한다. 따라서 기본문형을 이루는 이중 주어 구문의 서술어는 한 자리 서술어 용법 이외에, ‘소유주’ 또는 ‘경험주’라는 의미역의 주어 논항 NP1과, ‘대상’이라는 의미역의 비주어 논항(=‘가형 목적어’) NP2를 추가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의 용법을 갖는다는 것이 드러난다. 그 밖의 다른 유형의 이중 주어 구문들은 표면 구조가 [NP1(은) NP2(가) V-어미]로 같더라도 기본문형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피는 잠이 안 온다’류는 ‘커피를 마시면(나) 잠이 안 온다’ 구성 정도로 해석된다는 점에서 부가어 성분의 주제화를 통해 도출된 유표적인 문장으로 분석되고, ‘철수는 마누라가 회사를 다닌다’류는 주로 ‘철수는 마누라가 회사를 다녀서 돈 걱정을 안 한다’라는 복문 구성 중의 일부 구조로 분석된다. In this article, we demonstrate in the framework of psychomechanics of language founded by Guillaume that the combination of NP and particles such as ‘ga’, ‘neun’ is not a morphological construction but constitutes a syntactic construction. And we claim that the form of basic sentence pattern should reflect information structure or discourse structure so that it can be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markedness. So the patterns [X-(neun) Y-(ga) V-ending] and [X-(neun) Y-(leul) V-ending] replace the traditionally established patterns [X-ga Y-ga V] and [X-ga Y-leul V], respectively. The basic pattern [X-(neun) Y-(ga) V-ending] is, in itself, analysed as a simple sentence, even though it was regarded as complex sentence embedding ‘sentential predicate’ in school grammar. Among different types of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only two types like ‘코끼리는 코가 길다(Elephants have a long nose)’ and ‘나는 호랑이가 무섭다(I am scared of tigers)’ should be classified as basic sentenc patterns. In these constructions, the predicates ‘길-’ and ‘무섭-’ have the usages of two-place predicate. Therefore, their argument structures or semantic structure can be represented as follows; 〈X have_long Y〉 and 〈X be scared of Y〉. The other so-called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such as ‘커피는 잠이 안 온다(With coffee, I can’t sleep’ or ‘철수는 마누라가 회사를 다닌다(As for Paul, his wife works in a company)’ are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basic sentence patterns, which are derived by topicalization from the marked construction ‘커피를 마시면/커피로는 (나) 잠이 안 온다(If I drink coffee/with coffee, I can’t sleep)’ or can be described as a part of the complex sentence as underlined in ‘철수는 마누라가 회사에 다녀서 돈 걱정을 안 한다(Paul does not have any financial concern, because his wife works in a company)’.

      • KCI등재

        여격주어구문의 통사 · 의미론적 고찰

        김은희(金恩希) 한국일본어학회 2013 日本語學硏究 Vol.0 No.38

        여격주어구문은 격표시와 그 격의 기능이 다른 현상이라는 것만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문형은「[NP1]には +[NP2]が+감정형용사」이고, 의미론적으로는 감정형용사문이다. [NP1]에는 경험자, [NP2]에는 감정의 대상이나 원인이 온다. 본 연구는 이런 여격주어구문을 서술시점의 이동에 대한 하나의 문법으로 간주하고 통사구조와 의미관계를 밝혀보았다. 첫째 이중주어구문과 비교해 본 결과, 이중주어구문보다 여격주어구문의 어순이 자유롭다. 방향(direction)을 나타내는 여격이 술어가 미치는 범위를 주어에 한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여격주어구문이 이중주어구문에 비해 유표(marked)가 된다. 두 번째로 수동문과의 비교해 보면, 직접적인 행위자가 없는 측면에서는 피해수동문과 의미적으로 유사하다. 또 여격은 경험자의 감정은 의도 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통사적 표시가 된다. 수동문이 동작의 수동표현이라면 여격주어구문은 감정의 수동표현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 여격주어구문은 보이스의 한 쌍으로 볼 수 있다. 보이스의 개념을 사태에 대한 참가자의 입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파악하면, 여격주어구문은 감정타동사문과 보이스(Voice)적 대립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격주어구문은 경험자의 감정에 중심을 두는 표현이고 감정타동사문은 경험자의 상태에 중심을 두는 표현이다. 문법은 단순한 사태와 사실을 상대에게 전달하는 틀(frame)일뿐만 아니라 화자와 사태의 관계, 화자의 태도를 다르게 나타내는 틀이기도 하다. 화자는 한 사태를 전달할 때 사태와는 다른 시점에서 말할 수 있다. 이런 시점의 차이는 문법현상으로 실현된다. 여격주어구문은 경험자가 의도하지 않은 감정을 나타내는 문법으로 볼 수 있다. Dative Subject Construction has been the target of research because case marking and its function do not match. The target of this paper is the sentence of “[NP1]niwa, + [NP2]ga + Emotive adjective”. Semantically, it is an Emotive Adjective Sentence. In this sentence, the first NP is an experiencer and second NP is a stimulus or cause. First, this Dative Subject Construction was compared with Double Subject Construction. Syntactically, Dative Subject Construction has word order freer th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 Semantically, a Dative case limits the range of an adjective only to NP1. Dative Subject Construction is markedness compared with Double Subject Construction. Secondly, It was compared with the Passive Sentence. It is similar with the Affectivity passive from a point without a direct actor. An Affectivity passive is a passive of an intransitive verb. The Affectivity passive is passive of an intransitive verb. In this respect, Dative Subject Construction can be said to be the Emotion Passive Sentence. Thirdly, the pair of the Voice of Dative Subject Construction was considered. Voice is a concept showing a participant"s stance. Dative Subject Construction becomes a pair of the voice of a Emotion transitive verb sentence. Dative Subject Construction sets a description viewpoint to an experiencer"s emotion. A transitive verb sentence expresses an experiencer"s state. Structurally, Dative Subject Construction is similar with adjectival passive in English. However, the completely same thing as adjectival passive sentence of English is Emotion transitive verb sentence in Japanese. Dative Subject Construction puts a viewpoint on the emotion of a experiencer. A Emotion transitive verb sentence puts a viewpoint on the state of a experiencer. Grammar is a frame showing a speaker"s attitude. The speaker can differentiate between their viewpoint and situation, or The speaker can state their viewpoint differently from the situation. The difference in this viewpoint becomes a grammar phenomenon. Dative Subject Construction is the grammar expressing the emotion which an experiencer does not wish.

      • KCI등재

        문두여격어 구문의 정체

        목정수(Mok Jung soo)(睦正洙),이상희(Lee Sang hee)(李相喜) 형태론 2016 형태론 Vol.18 No.2

        이 논문은 한국어에서 문두에 나타나는 여격어 ‘NP-에게’의 주어성을 다시 검토하고 문두여격어 구문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본 논의의 문제의식은 ‘한국어의 소위 ‘여격주어’라고 하는 것이 과연 다른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여격주어/비주격주어 현상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인가?’ 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문두여격어 구문의 분석에서 두 번째 명사구의 통사적 지위, 이중주어 구문과의 구조적 차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문두여격어의 주어성 검증 과정에서도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존재한다. 필자는 문두여격어가 주어가 아니라는 관점을 취할 때 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문두여격어 구문은 이중주어 구문과 별개의 구문이며, 그에 따라 두 구문의 통사적·의미적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subjecthood of the fronted dative constituent NP-ege and to analyze syntactically the construction. We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Dative Subject of Korean is identical to non-nominative subject of other languages. We need to answer what the second NP of this construction is, and how different this construction is from so-called double-subject constructions. Also, some issues remain unsolved in the earlier subjecthood tests. We think the key to solve the problems is to clarify the syntactic status of the fronted dative NP-ege . So I reexamined the subjecthood tests to prove that NP-ege is not a subject, but a locative. Finally, we claim that the fronted dative construction is one thing, and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s is another. The difference of argument structure in these two constructions brings about syntactic/semantic difference.

      • KCI등재

        한국어 이항 서술어 ‘좋다’의 논항 실현 양상 연구

        이상희(Sanghee Lee),목정수(Jungsoo Mok) 형태론 2024 형태론 Vol.26 No.1

        본 연구는 메신저 코퍼스에서 ‘좋다’를 서술어로 한 이중주어 구문을 추출하여 유형별로 통사, 의미적 특성을 기술한 연구이다. 이중주어 구문의 유형을 여섯 가지로 나누고 유형별 출현 빈도를 살핀 결과, 97%의 문장이 유형1(주어+목적어+기술동사), 유형2(주어+목적어+주관동사)에 해당하였고, 최대 실현 명사구 수는 3개임을 확인하였다. 또 유형1, 2는 명사구의 의미적 특성, ‘NP보다’와 호응하는 명사구, 정도 부사의 실현 위치, 조사의 비실현율, 동사구의 확장 가능성 면에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본고는 연구 대상을 특정 조건으로 한정하여 살폈으므로 연구 결과를 한국어 이중주어 구문의 일반적인 특징이라고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 연구와 달리 조사 ‘이/가’, ‘은/는’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사 및 비실현된 경우까지 살폈다는 점, 고빈도로 출현하는 유형의 통사, 의미적 차이점을 상세히 검토하였다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with the predicate ‘cohta((be) good/like)’, sourced from messenger corpus, finally categorizing them into six types in terms of their syntactic and semantic properties. A significant finding is that 97% of the analyzed sentences fall into type 1 and type 2, with a maximum of three noun phrases being realized. Type 1 and type 2 are notably distinct in several aspects including the semantic traits of noun phrases, the placement of adverbs of degree, the variability in the use of particles, and verb phrase expansion. Although the research is confined to specific conditions, limiting its general applicability to 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it can contribute to general Korean syntax by exploring a wide range of cases, including those typically unrealized, and highlighting the frequent syntactic and semantic variations beyond just the particles 'i/ka' and 'un/n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