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담론

        권경숙(Kwon, Kyung-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7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과 이중언어 교육 방안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S시의 D구, S구, N구, K구, G구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 6명으로 중국 2명, 베트남 1명, 일본 출신 3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한 면담은 각 개인 당 2회, 1회 1시간~1시간 30분씩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중언어 강사로 활동하게 된 동기, 이중언어 강사로서 가지는 보람과 어려움,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미래자원으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엄마 나라를 이해하고 엄마를 비롯한 가족들과의 정서적 소통도구로서 이중언어 교육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한국 다문화가정 영유아 이중언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이중언어 강사들의 제안을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강사들은 이중언어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사회의 합의가 선행되어야 하며 한국어교육의 담당자로서 아버지 역할이 강조되고 실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이들은 일상의 삶과 두 나라간의 문화 경험 속에서 이중언어 교육이 자연스럽게 실시되어야 하며, 습득된 이중언어를 활용하고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제공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sirable plans for bilingual education for the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ix bilingual teachers work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D., S., N., K. and G. Districts in S. City, one from Vietnam, two from China and three from Japan. Interviews for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wo times per individual for 1 to 1 hour and 30 minutes, individually, in a relaxed atmosphere, focused on the contents, concerning the motivation of their activity as bilingual teachers, rewards and difficulties as bilingual teachers, and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rawn through th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bilingual teachers’ perceptions about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as important as a future resource and most of them understood their mother’s country and perceived that bilingual education would be important as a tool of an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other. Seco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bilingual teachers’ proposal of desirable directions of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ilingual teachers suggested that the consensus of Korean society on the importance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precede and that the role of the fathers as person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and practiced.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naturally in everyday life and cultural experi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opportunities and times to utilize and share the two learned languag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윤주 ( Kim Yoonjoo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고의 목적은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이중언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중언어강사는 본래의 담당 교과인 이중언어교육보다 다문화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언어강사들은 교재와 학습 자료의 부재, 교수법에 대한 지식 부족, 일반 교사 및 관리자와의 관계,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불안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이중언어강사라는 점에는 보람과 가치를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본적으로 이중언어강사 양성은 해당 시도교육청 내 일선 학교에 대한 충분한 현황 파악이 있은 후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의 현장 배치 역시 다문화 학생 재학 현황 및 필요한 지원 언어 등에 대한 수요 파악 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공유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이중언어강사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부모로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일반 교사와 관리자, 신규 교사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이중언어강사의 재교육 강좌도 더욱 다듬고 개발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및 자원 활용 차원에서 이중언어교육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ssessing the role fulfill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finding some issues, and suggesting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making best use of instructors. In order to do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author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bilingua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methods show that bilingual instructors take on more class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which is their original area of responsibilities. This situation has caused many problems; lack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insufficient knowledge on teaching method, un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other full-time teachers and managers, unstable employment and anxiety. However, many bilingual instructors see that their roles are important and valuable despite all those problems they have to take on. Having assessed current situation of bilingual instructors, the author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for better uses of bilingual instructors. In order to have good plans for providing bilingual instructors, sufficient reality-checks over all schools in a jurisdiction of municip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Second, place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ne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demands such as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need of certai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re are needs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and ways of sharing of those materials and information. Fourth, it is very recommendable to have a program connecting bilingual instructors with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haring educational experience as parents of bilingual students. Fifth, classes that focus on the need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job training classes for incumbent full-time teachers, managers and incoming teachers. Sixth, better re-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quality. Finally,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s instructors would be a good option since it is also a good alternative for social engagement aspect as well as bilingu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중심으로-

        김유연,이규빈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an identity, historically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ast, but have now acknowledged the constant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at occurred in Australia during the 1970s and in Korea during the 2000s have respectively started to implement and review their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case of Australia, which holds a longer history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n Korea, may be able to provid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licy document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and supplemented them by both an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key people concerned. We have discovered that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as a part of its multicultural policy since 2006. However, while it is still in a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paradigm’ targeting primarily on immigrant students, Australia’s policy is moving beyond transitional and conservative bilingual education elements to additional bilingu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 also includes Auslan(Australian Sign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policy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to help immigrant stude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to move in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an authentic and cohe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this, however, we will need to propose a method to reorganiz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elect the languages of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a bilingual education. 2. When choosing a language for a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3.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ilingu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policies should be revised as well. 본 연구는 한국과 호주의 학교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시대의 바람직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호주는 인구 구성과 정부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일원론적 국민 구성을 표방하다가 각각 1970년대와 2000년대에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보다 오래된 다문화 정책 시행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는 한국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연구 범위는 초중등학교에서 시행되는 다문화학생의 모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과 호주의 정책문서들과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책 담당자와의 이메일 혹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보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2006년부터 다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2010~2012년 시기에 이중언어강사 양성 및 다문화거점학교 지정 등의 정책이 시작됐고, 2013~2017년에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며 이중언어교육보다는 한국어교육과정(KSL)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주는 1978년부터 지속적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이주 학생을 위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인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는 1981년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포함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두 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정책은 아직 다문화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에 머물러있는 반면, 호주의 정책은 이행적․보존적 이중언어교육을 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첨가적 이중언어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수화언어도 대상 언어에 포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학생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외국어교육을 이중언어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언어를 단위학교가 선택하도록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이중언어교육 시행 언어를 선택할 때 좀 더 소수자의 시각에서 배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상과 같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언어강사와 특수교육교사 양성정책도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 다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장은영 ( Jang Eun-young ),이정아 ( Lee Jeong-a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언어(교육)이 중심 주제인 다문화교육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들에 투영된 이중언어에 대한 인식과 접근방식을 논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에 출판된 다문화교육 논문 중 이중언어(교육) 관련 연구 74편을 논문발표시기, 연구방법, 목표대상(집단, 연령, 환경),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2년을 기점으로 관련 논문 게재 수가 급증하였고, 이는 57개에 이르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연구 방법의 실증연구가 가장 많았고 이론적 연구가 그 뒤를 따랐다. 관련 논문 대부분이 이주민과 그 자녀를 목표대상으로 했고, 선주민(자녀)과 이주민(자녀)을 함께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극소수였다. 연구대상 연령의 경우 교수자 집단 등의 성인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던 반면, 중등연령대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없었다. 대상 환경 측면에서는 학교와 학교 밖 환경을 연계하여 다루는 연구가 상당수 파악되었다. 연구주제별 분석에서는, 해외 정책 분석을 넘어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작된 점과 이주민과 그 자녀들의 언어권과 언어 정체성에 관한 연구가 부상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한편 교수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가 주제 면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나, 이중언어 관련 정책의 효과 분석에 그치는 경우가 다수였고 구체적인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관련 연구에서 이중언어에 대한 관심과 고민의 증가라는 긍정적인 현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중언어개념의 명료화 문제, 중등연령대 이중언어학습자/사용자 연구, 공교육에서의 이중언어 지원 및 교육, 실제적인 이중언어교수법에 대한 고민 등의 향후 연구 과제 또한 남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general trends in multicultural studies focusing on bilingualism and/or bilingu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way bilingualism is addressed in the studies. For this end, we selected 74 papers published in KCI-indexed journals in Korea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 target population (community, age, and context) and research theme. We have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relevant studies rapidly increased in 2012, and th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in 57 journals covering a wide range of fields of study. As for the research methods, empirical studies adopting qualitative methods took up the biggest portion, followed by theoretical studies. While in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he target population was multicutural families, few targeted a group with both domestic and multicultural families. As for the age, the studies targeting adults were more than we expected; however there were no studies targeting only secondary students.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ies addressed bilingualism in both school and out-of-school contexts. In the thematic analysis, it was notable that scholars began to discuss specific issues such as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and identities beyond addressing foreign cases. Meanwhile, the theme of teaching and learning received the biggest attention; however, most of such studies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and its effect of the bilingual policies rather than pedagogical aspects of bilingual education. Taken together, this paper shows that multicultural studies are paying attention to bilingualism these days. However, it also points to the need for more studies on the neglected issues such as adolescent bilinguals, bilingual programs in school setting, and pedagogical aspects of bilingualism.

      • KCI등재

        미래 사회의 한국 이중 언어 교육정책 방향 탐색-중국 내몽고 자치구를 중심으로-

        월원,백인옥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Exploring the Direction of Korean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theFuture Society -Focusing on the Inner Mongolia Region of China-Yue Yuan & Inok Bae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and suggestion of a desirable Korean-style bilingual education policy, focusing on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eing implemented in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of China,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bilingual education policy for the future society. It is a study that analyzed the cas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core goal of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s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to help Mongolian students master Chinese and Mongolian, the national standard languages, at the same time, and to improve their bilingual level, ultimately nurturing bilingual talents. Therefore, for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e study of bilingual education itself should be strengthened, the training of bilingual instructors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selection of school age for bilingual education for multicultural people should be emphasized. do. Key Words: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Multicultural People, Bilingual, Future Society, Direction 미래 사회의 한국 이중 언어 교육정책 방향 탐색-중국 내몽고 자치구를 중심으로-월 원*ㆍ백 인 옥**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한국 이중 언어 교육정책 방향 탐색을 위한 중국의 내몽고 자치구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중 언어 교육정책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한국형 이중 언어 교육정책의 방향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사례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내용: 중국 내몽고 자치구에서 시행되고 있는 이중 언어 교육정책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한국 이중 언어 교육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과 제언을 제시한다. 결론 및 제언: 내몽고 자치구의 이중 언어 교육정책의 핵심 목표는 몽골족 학생들이 국가 표준어인 중국어와 몽골어를 동시에 숙달하도록 돕고, 그들의 이중 언어 수준을 향상해 궁극적으로 이중 언어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한국도 이중 언어 교육정책을 위해 이중 언어교육 자체의 연구를 강화, 이중 언어 강사 양성을 강화, 다문화인의 이중 언어교육의 학령 선택을 중시, 한국의 이중 언어 교육정책은 집행의 감독 강도를 높여야 한다. 핵심어: 내몽고 자치구, 다문화인, 이중 언어, 미래 사회, 방향 □ 접수일: 2022년 10월 17일, 수정일: 2022년 11월 11일, 게재 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동국대학교 박사수료(First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Dongguk Univ., Email: hiphop5815@naver.com)** 교신저자, 공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ongju National Univ., Email: baek0646@naver.com)

      • KCI등재

        근거이론 분석으로 본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 경험

        권경숙,황인애,이승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pply a grounded theory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experiences immigrant mothers have with respect to the bilingual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research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10 immigrant mothers through marriage Korean men who have the experience of providing bilingual education to their children.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se were subsequently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ccording to the paradigm model analysis results, 'difficulty in implementing bilingual education' and 'uncertainty in the effects of bilingual education' were identified as the central phenomena. Causal conditions which lead to the occurrence of these phenomena were found to be ‘the Korean language-centered child rearing experience’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bilingual development.’ Contextual conditions of these phenomena were identified as ‘lack of social awareness for bilingualism’ and ‘absence of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Intervening conditions deduced from the analysis were ‘creating a positive climate for bilingualism,’ ‘efforts to strengthen bilingual education capacity,’ etc.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mothers use to handle the phenomena were found to be ‘developing native language education skills,’ ‘having bilingual experiences using various media,’ etc. The consequences of these actions and interactions were found to be ‘formation of a close family relationship,’ ‘free use of both languages,’ ‘development of confidence and identity,’ and ‘strengthened belief in bilingual education.’ As a result of performing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deduced was ‘fulfilling the role of a mother for the bilingual education of children’.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결혼이민자가정 어머니들의 자녀 이중언어 교육경 험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자녀 이중언어 교육경험이 있는 결 혼이민자 어머니 10명이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 방 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교육 실행 어려움’과 ‘이중언어 교육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중심현상으로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한국어 중심의 자녀 양육 경험, 어머니 모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과 태도, 이중언어발달에 대한 이해 부족이, 맥락적 조건은 이중언어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부족과 유아들의 반응 차이 및 이중언어 교육 지원 부재가, 중재적 조건은 이중언어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이 중언어 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 조력자의 지원, 어머니 모국어 중요성 인식이 도출되 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모국어 교육 역량 키우기, 자녀와의 긍정적인 관계 맺기, 이중 언어로 놀이하기, 다양한 매체 활용한 이중언어 경험시키기 및 이중언어 환경 조성하기였으 며 그 결과로는 친밀한 가족 관계 형성, 두 언어의 자유로운 사용, 자신감 형성 및 정체감 확립,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신념 강화가 도출되었다. 선택 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자녀 이 중언어 교육을 위한 어머니 역할 다하기’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중언어 교육 지 원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핀란드 에스까리에서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다미(Dami Park),장인실(Insil Ch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4 교육실행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핀란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핀란드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나라 교육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핀란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입학 전(에스까리) 자녀를 둔 4명의 다문화가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 다문화 유치원생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 유치원생 학부모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 자녀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어보다 핀란드어가 더 편해지는 등 언어 순위가 바뀌는 경향을 보였다. 또 이중언어 자녀들은 대상에 따라 언어를 구사하는 방식이 달랐다. 한국인에게는 한국어를 사용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에게는 핀란드어 또는 기타 외국어를 사용하였다. 이중언어 자녀들은 3살 이전에는 말을 잘 못했지만, 어느 순간 말이 트여서 한국어와 핀란드어 등을 함께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다문화 학생의 학부모들은 한글학교가 아이들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반면,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던 상황에서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과 참여를 강조하는 것에 부담스러워했다. 학부모들은 공통으로 모국어를 잘해야 외국어를 잘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으며, 아이가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인지하였다. 또한 핀란드에서는 책이나 콘텐츠 외에도 자연스럽게 다중언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이라서 이중언어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중언어교육이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핀란드 생활 적응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핀란드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이 이민자들의 적응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Finlan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bilingual education in Finland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 multicutural families living in Finl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experiences of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Finland? Se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about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s language ranking tended to change over time, with Finnish becoming more comfortable than Korean. The bilingual children also differed in the way they spoke to different audiences. They spoke Korean with Koreans, and Finnish or another foreign languag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bilingual children didn't speak much before the age of three, but at some point, they were able to speak Korean and Finnish. While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believe that Korean-language schools help to instill a sense of identity in their children, some parents feel burdened to emphasize their participation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absence of the system. A common perception among parents was that being good at their native language is necessary to be good at a foreign language, and they perceived their children to be proud of being bilingual. We also found that in Finland, there is less pressure to be bilingual because children are exposed to multilingualism naturally, not just through books and cont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ilingual education help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life in Finl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national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in Finland for immigrants.

      • KCI등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이중언어 교육정책과 그 사회적 영향

        이진영,장혜련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3

        Xinjiang Uyghur Autonomous Region is a unique minority region in China. Uyghur identity which i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has been very strong, so it is not easy to be incorporated into main Han Chinese culture. Since the annexation of the region into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various measures in language education to the Uyghur minority.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one of them. Although the policy of bilingual education was proclaimed in 1992, real programmes were widely executed in the 21st century after the 'Great West Development Programme.' However, education of Mandarin Chinese language was mainly emphasized in the bilingual programme, whereas the Uyghur language became a minor language even in minority nationality schools(minzu xuexiao). In some schools of city areas of northern part of the Autonomous Region, the policy seems to be partly successful. But the bilingual policy became an important factor in widening gaps in the Uyghur society among classes, regions, and even generations. The Uyghurs, on the one hand, seem to accept Mandarin Chinese as a practical tool for them to enter Han-Chinese centered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Uyghurs are cautious enough to sustain their culture in preserving their language. Therefore, present drastic measures in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not be a good tool for perpetual goal of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would be regional stability and incorporation of the Uyghurs into the Chinese culture. A real measure to accept the Uyghur language in bilingual education policy can make a peaceful coexistence between Han Chinese and Uyghurs.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중국의 소수민족 지역 중 토착민족인 위구르족의 언어, 문화적 정체성이 강한 곳이다. 중국이 1949년 이 지역을 점령한 이후, 위구르족에 대한 언어정책은 지역 안정과 소수민족정책의 성공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개혁개방 전까지‘한어 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소수민족에 대해 비교적 평등한 언어정책을 실시하던 중국은, 1992년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공식적으로 실시한다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이중언어 실험반을 위시한 여러 형태로 자치구에서 이루어진 이중언어 교육은 사실상 한어몰입 교육이었다. 한어는 하나의 과목이 아니라 수업의 주된 언어로 사용되고, 위구르어는 공식 교육에서 제한적인 매개 역할만 하게 되었다. 급진적으로 추진된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양적으로 실험반 수가 현저하게 늘어나고 실험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비교적 우수하다는 성과를 보여주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지나친 몰입교육으로 여러 교육적 폐단을 불러왔다. 한어의 역사와 그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부족, 시험과 성적향상만을 위한 한어교육, 영어교육의 취약성 등이 위구르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위구르 자치구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위구르족의 언어 정체성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위구르족은 위구르어에 대한 정체성을 공고히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한어를 도구적 언어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반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실시는 위구르 사회에서 계층, 지역, 도농 간 차이를 심화시키고, 심지어 세대 차이마저 표출시키고 있다. 이런 현상은 중국으로의 동화적 측면에서 보면 일견 성공한 듯 보이지만, 소수민족 사회의 불안정을 가중시키는 문제점도 제기하고 있다. 소수민족과 한족이 공존하는 곳에서 이중언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그 방향은 소수민족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경제적, 사회적 기회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중언어 교육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에 맞는 수준과 추진 과정을 마련하여 위구르족과 한족이 안정적으로 공존하는 균형적 이중언어 교육정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중언어사회화가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출신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아버지의 자녀를 중심으로-

        송채수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 아시아문화연구 Vol.48 No.-

        The bilingual socializa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defined as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encourage their children to speak the mother tong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relationship among bilingual socializatio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ir paren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2) how bilingual socialization or bilingual education affects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Using government’s panel survey data, the data of 436 multicultural children, aged from 9 to 17, born to SE Asian immigrant women was analyzed. And the scientific control has conducted to find changes in the self-esteem after 6 month bilingual education for 30 multicultural children whose mothers are Vietnamese or Cambodian immigrant women. Results are as follows. Bilingual socialization affected high levels of self-esteem as well as higher parental satisfaction. A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also found. The experimental group of bilingual education showed higher self-esteem of multicultural children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other tongu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children’s mothers is not simp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n important mediator of cultural identity and family cohes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ocus on teaching the mother tong and supporting parent-led bilingu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한국인 아버지 등 가족이 협력해 외국 출신 어머니 모국어를 자녀에게 전수하고 사용하도록 격려·권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이중언어사회화, 자녀의 자존감, 부모자녀관계만족도 간의 관계역동을 밝히며, 2)이중언어교육 참여로 자존감의 변화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성가족부의 전국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 전국의 동남아출신 어머니 다문화가족중 만 9〜17세 자녀 43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기 성남시 거주 다문화자녀중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어머니의 만 6〜14세 자녀 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을 6개월간 실시, 교육받은 집단(실험군)과 받지 않은 집단(대조군)간 자존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자녀의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를 매개로 자녀의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다문화가정 이중언어사회화는 부모자녀관계만족도와 자존감 사이에 매개효과를 보여 부모가 주도하는 이중언어교육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넷째, 6개월간 교육받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존감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국어는 단순한 소통수단이 아니며, 문화정체성과 가족응집력의 중요한 매개체이다. 따라서 주류언어 중심의 이중언어교육정책을 어머니 모국어 중심으로 전환하고, 다문화가정내에서 부모 주도의 이중언어교육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이중언어 강사의 역할과핵심 역량에 대한 연구

        원진숙,장은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Program supported by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as initiated in 2009 with an aim to take advantage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bilingual ability and intercultural experiences for promo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chools. In spite of its success, several issues such as financial problems and conflict among stake-holders still remained in running this program. The authors of this article believe that the lack of in-depth discussion on the roles and core competences of the bilingual teachers is the underlying reason for this faltering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s tha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expect bilingual teachers to play in schools, and the roles that highly experienced bilingual teachers think they should play. Based upon the cross-analysis of data, we suggest four major components of the core competences (i.e., instructional, bilingual, professional,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pecific descriptions of the abilitie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will not only re-affirm the bilingual teachers’ potentials as bilingual and multicultural professionals but als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Program by articulating their specific needs and concerns. 이중언어강사 제도는 고학력 결혼 이주 여성들의 강점인 이중언어 구사 능력과 간문화적 경험을 학교 현장에서의다문화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제도는 2009년 도입되어 수년간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으나2012년을 기점으로 현실적인 행・재정적 이유와 유관 집단들 간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문제의 기저에는 이중언어 강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논의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다고 본다. 이중언어 강사 관련 선행연구는주로 제도적 분석이나 개인적 경험에 중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며 이들의 전문성을 담보할 수 있는 핵심역량에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 강사들의 이중언어교육수행 실태와 업무를 분석하고, 이 제도의 시행과 운영의 주체인 교육청이 이들에게 기대하는 역할과 고경력 이중언어강사들이 인식하는 자신들의 직무역할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이중언어강사 본연의 핵심 역량은 무엇이어야하는가라는 문제를 탐색한다. 다각적인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4가지 유형의 역량요소 (수업역량, 이중언어역량, 교직수행역량, 문화간소통역량)를 이중언어강사 핵심역량으로 제시하고 각 역량별 세부 내용을 논의한다. 본연구결과는 향후 이중언어 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직무 역할 규정 및 관리 지원 시스템을 마련하는 토대가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이중언어 강사 제도의 운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는 점에서 의미가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