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결산 순이익의 과대공시와 기업특성 및 시장의 사후 감시기능

        전영순 ( Young Soon S. Cheon ),손준희 ( Joon Hee Sohn ) 한국회계학회 2005 회계학연구 Vol.30 No.2

        최근 들어 상당수의 기업들이 정기주총일 전에 경제신문 등 신문매체를 통해 가결산정보를 자발적으로 공시하고 있다. 선행연구는 신문매체를 통해 자발적으로 사전공시되는 가결산 순이익이 사후 확정되는 순이익에 비해 과대 공시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처럼 가결산 순이익이 사후적으로 확정되는 순이익에 비해 과대 공시되는 것은 경영자의 의도적인 결정에 의한 것일 수도 있지만, 결산과정의 최종단계에서 수행되는 수정분개 등을 통해 그 숫치가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결산 순이익의 과대 공시가 특정 기업특성과 체계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실증분석 결과, 가결산 순이익을 과대 공시하는 기업은 일정한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기업의 경영성과가 열악할수록, 결산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결정되는 유가증권평가손실 등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큰 기업일수록 가결산 순이익을 과대 공시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경영자를 견제할 수 있는 외국인지분이 높을수록 기업은 가결산 순이익의 과대 공시를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1998년 이전에는 가결산 순이익이 과대 공시된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주식시장에서의 불이익은 주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1999년 이후에는 약하지만 사후 실적치 대비 가결산 순이익의 오차가 커질수록 부정적인 주가반응이 나타난다. 아울러 외국인지분율이 높을수록 과대 공시된 가결산 순이익에 대한 주식시장의 불이익은 가중된다. 1999년 이후에는 외국인투자자가 가결산 순이익의 과대 공시에 대한 감시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firms that announce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Many firms voluntarily announce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before actual earnings are finalized at the general shareholder meeting.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such preliminary earnings are optimistic compared to actual earnings.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re voluntary disclosures. Thus, it is possible that management has incentives to overestimate the forthcoming earnings if there is no penalty for the overestimation. Also,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re usually made before the actual earnings are finalized. Hence,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can turn out to be optimistic if items recognized through adjusting entries in the closing process affect actual earnings. The study investigates firm characteristics that are systematically associated with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 stock market plays a monitoring role against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Specifically, it is hypothesized that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firm size, equity holdings by foreign and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and firm performanc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re positively related to items recognized through year-end adjusting entries, such as bad debt expenses and losses or gains from the equity method. Whether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is overestimated is proved when actual earnings are disclosed later. Thus, if the market penalizes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that turns out to be overestimated, the market reaction to the actual earnings announcement will be negative. We test whether the market penalizes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that turns out to be overestimated by examining market reactions to actual earnings announcements. As expected, we find that firms tend to overestimate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as they are small, perform poorly, and have relatively large items recognized through year-end adjusting entries.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firms are likely to avoid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s equity ownership held by foreign investors is high. There was no penalty for optimistic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before 1998. However, there is evidence, although it is weak, the markets penalize firms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turns out overestimated. Furthermore, the penalization of the market increases with foreign equity ownership in the firm.

      • KCI등재후보

        공정공시제도 하에서 경영자 예측이익의 정보효과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이규진 ( Kyu Jin Lee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0 세무회계연구 Vol.0 No.26

        우리나라에서 2002년 11월 1일부터 시행된 공정공시제도는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및 코스닥 상장기업에게 회사의 경영정보, 재무에 관한 사항 및 미래 사업계획 등 중요한 투자 정보를 기관투자자, 재무 분석가, 개인투자자 등에게 공시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공시제도를 통해 공시되는 매출액과 영업손익에 대한 예측은 경영자의 추정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신뢰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경영자의 이익예측공시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규제 및 감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경영자는 낙관적인 정보만을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유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정공시제도 시행이후 코스닥시장에서 정보이용자들이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이용하여 투자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는 사후적으로 입증이 가능하다. 따라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시장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 기능이 존재하는지 검증한다. 연구결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를 공시한 시점의 비기대이익은 누적초과수익률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산일 이후 당기 영업이익이 공시된 시점에서 당기 영업이익과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의 차이는 누적초과수익률과 양(+)의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사후적으로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과대예측된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음(-)의 주가반응이 나타났다. 경영자 영업이익 예측치가 사후적으로 부정확한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시장의 자율적인 감시기능이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공시정책감독기관에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using a sample of fair disclosure reported on the DART system from 2004 to 2008. I investigate a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I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first, I fi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forecasting date, so this stock reaction means that the information users us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has information usefulness. second, I find i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third, I fi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accuracy and cumulative average residual on earnings announcement date. it means that market has autonomous monitoring system.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s suggest supervisory office institutional assistance.

      • KCI우수등재

        잠정이익 공시 이익의 체계적·비체계적 편의에 관한 연구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한 분석을 중심으로

        기도훈,박재환 한국회계학회 2019 會計學硏究 Vol.44 No.4

        This study examines systematic and firm-specific preliminary earnings biases by expanding previous studies on earnings management using discontinued operations to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Timeliness and incompleteness characteristics of Korean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rules can cause earnings bias. We expect that timeliness of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would cause systematic bias in preliminary earnings while incompleteness of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rule would provide managers with discretion on recognizing discontinued operations income in the way that earnings managed upwards. We find evidences that managers poorly discern discontinued operations from continued operations as of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day, which leads operating income to be systematically over/less recognized. However, managers whose firm achieved benchmarking earnings classify discontinued operations income(loss) more(less) into operating income to report favorable earnings numbers. Further, we find evidence that preliminary net incomes are biased upwards by manager’s omitting discontinued operations loss. This behavior was found stronger in companies that achieved benchmarking earnings. Additional tests using sub-sample(Timely vs Delayed and Big4 vs Non-big), confirms that our prediction and hypothesis test results are robust. Our test results provide additional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arnings to academics, external auditors, stock investors and imply that Korean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rules should be supplemented. 잠정공시는 기업의 가결산 정보가 시장에 최초로 전달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에게유용한 정보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잠정공시는 적시성을 중요시하는 특성과 면책조항에의하여 불완전성을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확정공시된 이익에 비하여 더욱 많은 편의를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잠정공시 규정 및 경영자의 재량적 선택이 잠정공시된 이익에어떠한 미치는지 중단영업손익을 이용하여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한국유가증권시장 및KOSDAQ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6년 회계연도의 최초 잠정공시 이익정보를 한국전자공시시스템(DART)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집하였고, 잠정이익 편의(잠정순이익 편의 및 잠정영업이익 편의)와 중단영업손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자는 중단영업손익을 계속영업손익과 구분하지 못하고 모두 잠정공시상 영업이익으로 분류하여 공시하는 체계적 편의가 발견되었다. 또한, 이러한 인식행태가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중단영업이익과 손실에서 차별적이기 때문에 이익조정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벤치마킹이익 달성기업에서 차별적으로 나타났다. 즉 벤치마킹이익 달성기업은미달성기업보다 중단영업이익을 계속영업이익으로 분류하고, 중단영업손실은 계속영업이익으로 분류하지 않는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잠정순이익 편의를 이용한 분석에서도이와 유사하게 경영자가 중단영업손실을 누락함으로써 잠정순이익을 과대공시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가설검증결과는 잠정공시의 적시성 및 감사품질의 차이에도 강건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잠정공시의 미비점과 경영자의 재량적 선택으로 인하여 잠정영업이익 및 잠정순이익에 체계적·비체계적 편의가 발생하며, 그 결과 잠정이익의 비교가능성이 훼손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이용되어온 추정모형을 이용하지 않고 잠정이익과 확정이익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추정오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 잠정공시제도의 한계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공한다.

      • KCI등재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와 경영자의 가결산 공시 정보의 특성: 수시 가결산 공시를 중심으로

        오광욱,정광화,김현아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6

        The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 between book-tax difference (BTD) and properties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 Specifically, the study tests the degree of bias or ex-post adjustment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book-tax reporting. Also, the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under high market pressure or political costs disclose more biased information to the capital market and whether the relation of BTD to properties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shows cross-sectional variation. Using 3,942 firm-year samples covered from 2002 to 2010, tests of the study present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y finds that absolute value of BTD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as and ex-post adjustment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Second, positive BTD shows a positive direction to bias and ex-post adjustment in managers’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while negative BTD is negatively related to properties (bias and ex-post adjustment)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Third, firms under the high market pressure induce more biased and ex-post adjustment in managers’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Findings in the study contribute to extant literature by suggesting that financial information users may interpret the properties of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book-tax interface. Also,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s that firms with less BTD are likely to disclose more reliable preliminary earnings information to the capital market. 본 연구는 재무보고이익과 세무보고이익의 차이 정보(BTD)와 수시공시인 가결산 실적 정보의 질적 특성간의 관련성을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BTD의 절대적 차이와 가결산이익 정보의 질적 특성간의 관계를 통해 가결산이익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있어 BTD가 유용한지 여부를 살펴보고, 둘째, BTD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두 보고이익의 일치성이 가결산 공시의 질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BTD와 가결산 공시의 질적 특성간의 관계가 자본시장 압력, 즉 정치적 비용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여부도 분석한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총 9개 연도를 대상으로 3,942개 기업-연도의 수시 가결산 공시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TD의 절대치가 클수록 가결산 정보가 실제 결산 정보에 비해 과대 보고되고 사후 수정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BTD의 방향성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보고이익 간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가결산이익의 질적 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의 관심을 많이 받는 기업일수록 BTD에 따른 가결산 공시의 과대정도와 사후 수정폭이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BTD가 가결산 정보의 질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임을 의미하며, 상대적으로 재량성이 제한되는 세무보고체계와 유사한 재무보고체계를 가진 기업의 가결산 공시 정보의 신뢰성이 높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정치적 비용이 큰 기업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임으로써 이들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로 하여금 가결산 정보를 해석함에 있어 BTD에 내재된 경영자 유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가결산 공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정보효과(information contents)와 같은 가결산 공시정보의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왔다. 이는 가결산이익 공시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공헌점이 있지만, 가결산이익 정보를 실제로 이용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가결산 공시정보의 특성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하다. BTD가 클수록 가결산이익의 편의와 사후 수정폭 역시 크다는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투자자의 투자의사결정과 감독당국에 관련 정책 수립 및 보완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공시유형에 따른 연간이익공시의 차별적 정보효과

        정광화 ( Kwang Hwa Jeong ),정석우 ( Seok Woo Jeong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5

        본 연구는 투자자들에게 최초로 제공되는 연간이익공시에 대한 시장반응이 공시유형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분석한다. 기업의 영업실적은 정기공시(분·반기보고서)를 통하여 자본시장에 제공된다. 그러나 외부감사 의무로 인해 연간이익정보(4분기 포함)는 상대적으로 지연되어 공시된다. 실적 정보의 적시성을 제고하여 정기공시의 단점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가결산이익공시는 다시 강제공시인 수시공시와 자발적공시인 공정공시로 구분된다. 수시공시와 공정공시는 기업의 실적정보라는 동일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정보의 정확성은 가결산이익 공정공시가 더 높다(이동헌 등 2011). 정보의 신뢰성이 높을수록 정보효과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적시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신뢰성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가결산이익 공정공시는 차별화된 시장반응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0년까지 가결산이익을 공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자와 재무분석가 측면에서 시장반응을 살펴본다. 주된 분석으로는 가결산이익공시일 전후의 누적초과수익률(CAR)을 이용하여 공시유형별로 정보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한다. 또한 시장의 평균적인 기대 변화를 나타내는 주가반응에 추가하여 개별 투자자들의 기대 변화를 살펴보고자 거래량반응도 분석하는 한편, 시장 기대치의 대용치로서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를 이용하여 재무분석가 이익예측분산도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이 수시공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결산이익 발표시점을 전후로 한 비정상거래량도 공정공시의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정공시 가결산이익 공시기업의 재무분석가 이익예측표준편차가 수시공시의 경우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수시공시에 비해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의 정보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비대칭 정도가 높은 소규모기업에서 공정공시 가결산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이 더 두드러졌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and market responses.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first annual earnings announcements have differential information contents across the type of disclosure or not. Managers are required to disclose information on operating performance on a regular basis because earnings disclos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to investors. However, the disclosure of annual and 4th quarter`s earnings can be delayed relatively due to external audit.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s can enhance the timeliness of annual earnings disclosure and improve the weakness of regular disclosure. Preliminary earnings are announced via mandatory timely disclosure or voluntary fair disclosure. Even though these two disclosures convey the same information on operating performance, they have different disclosure channels. Lee et al. (2011) provide the empirical evidence that preliminary earnings through voluntary fair disclosure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through mandatory timely disclosure. many prior studies suggest that more credible information has bigger market reaction. Therefore, preliminary earnings through fair disclosure channel, which are deemed credible due to their accuracy, are supposed to cause more sensitive market response.

      • KCI등재

        이익의 질에 따른 연간공시시점의 차이

        김흥식,신유진,노준화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irms with better(worse) earnings quality make earlier(later)annual earnings announcements using sample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KRX). Annualearnings announcements are operating performance disclosure, earnings change disclosure, or noticefor stockholders meeting, whichever comes first. Operating performance disclosures are pro-formainterim disclosure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stakeholders. Earnings changedisclosures are conditionally mandatory for firms whose predicted sales or earnings change by atleast 30% from the previous fiscal year. To examine the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earnings announcementtiming, we compare the timings of first earnings announcements made by both firms with betterearnings quality and firms with worse earnings quality. Results show that there is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earnings announcement timings. Firms with bigger discretionary accruals tend to make their firstearnings disclosures later than do firms with smaller discretionary accruals. This findings showthat earnings quality influences firms’ disclosure timings. This study has contributions in assistingstakeholder’s investment decisions and financial analyst’s forecasts. 기업은 좋은 뉴스는 상대적으로 빨리 공시하며, 나쁜 뉴스는 상대적으로 늦게 공시하는 경향이있기 때문에 경영자는 재량적으로 이익의 공시 시점을 선택함으로써 시장에서 좋은 뉴스의 효과는극대화하고 나쁜 뉴스의 효과는 최소화하고자 한다. 많은 선행연구에서 이익의 절대적 크기가 좋은(나쁜) 뉴스로 정의되었으나 이익은 절대적 크기뿐만 아니라 질(Quality)도 중요하다. 경영자가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의 공시시점을 조정할 유인이 있고 이익의 질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다르다면, 경영자는 이익의 질이 높은 경우 가능하면 빨리 이익을 공시하려고 할 것이며, 이익의 질이 낮은 경우 가능하면 늦게 이익을 공시하려고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은 가능하면 연간이익을 빨리 공시하고, 반대로 이익의 질이 낮은 기업은 가능하면 연간이익을 늦게 공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이며, 이 기간 중 8,295개 기업-연도를 분석하였다. 이익의 질은 다수의 선행연구에 따라 Kothariet al.(2005) 모형에 따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일수록 이익공시가 유의하게 빨랐다. 이는 좋은 뉴스와 나쁜 뉴스의 시장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은 가능하면 이익을 빨리 보고하려고 할 것이라는 가설 1의 설명과 일치한다. 그러나 이익의 질이 높은 기업일수록 이익공시의 양을 더 많이할 것이라는 가설 2는 지지되지 않았다. 이는 Koh et al.(2008)과 일치하게 경영자가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대신 투자자의 기대치에 미치지 않는 이익공시를 많이 함으로써 투자자의 기대치를 낮추어 목표이익에 맞추거나 약간 초과하는 현상(이익의 meet 또는 beat)이 반영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경영자는 투자자의 기대치를 낮추기 위하여 공시를 더 많이 하지만 이익의 질은 개선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시빈도와 이익의 질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영자가 이익의 절대적 크기뿐만 아니라 이익의 질에 따라서도 공시시점을 조정한다는실증을 제시함으로써 공제제도를 규제하는 기관이나 자본시장 참여자들에게 유익한 의미를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잠정이익 공정공시에 대한 기업의 전략적 공시 행태

        김준현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저널 Vol.27 No.6

        본 연구는 분기별 잠정이익 공정공시에 대한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태를 실증 분석 한 결과를 제시한다. 잠정이익 공정공시는 기업들이 이익 정보를 자발적으로 시장에 전달 하는 주요 매개체로서 투자자들의 의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다. 이에 기회 주의적 동기를 가진 경영자는 잠정이익 공정공시와 관련하여 부정적 뉴스는 가급적 숨기고 긍정적 뉴스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공시 전략을 수립할 가능성이 있다. 일례로, 기업 경영 자들은 손익 정보가 부정적일수록 잠정이익 공정공시를 회피하거나 가급적 늦게 이행함으 로써 시장반응의 충격을 줄이고 부정적 뉴스에 대응할 시간을 확보하려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 비기대이익이 낮을수록 잠정이익을 자발적으로 공시할 가능성은 낮 아지고 공시 시점은 늦어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략된 기업특성의 효과 를 통제하기 위해 증분 변수를 사용한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되며, 부정적 뉴스일수 록 잠정이익 공시를 가급적 회피하는 기회주의적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익공시에 대한 주가 반응 분석 결과, 공정공시를 회피하는 공시전략을 사용한 경우 실제로 비기대이익에 대한 시장 반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이는 기회주의적 잠정 이익공시 전략이 실제 자본시장 반응에 대한 합리적 기대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규모 분기별 표본을 바탕으로 잠정이익 공정공시에 대한 의사결정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동기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최초의 실증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잠정이 익공시 정책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opportunistic behavior of firm managers regarding the fair disclosure of preliminary quarterly earnings. Preliminary earnings announcement made using fair disclosure is a critical event where a firm voluntarily convey the new information on its earnings to the market participants. Firm managers with opportunistic motivation are likely to plan the fair disclosure strategy in a way to hide bad earnings news and highlight good earnings news. In this regard, managers may avoid or delay the fair disclosure of preliminary earnings when the earnings news is bad,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n market response and save time to deal with the bad earnings performance. The test results support the above managerial opportunism hypothesis, showing that firms with lower earnings performance tend to conduct fair disclosure of preliminary earnings more reluctantly and on a more delayed basis. The findings are robust to the additional analysis using the change variable, in order to control for the potential impact from unobserved firm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market reaction to earnings announcement is substantially lower where the strategy to avoid the fair disclosure on preliminary earnings are implemented, which implies that the opportunistic strategies are based on a rational expectation on the market response. This study, using an ample sample of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presents the first evidence that the decision on fair disclosure of preliminary earnings can be affected by the opportunistic behaviors of firm managers, and accordingly have implications on the relevant disclosure policy.

      • KCI등재

        연구논문 : 경영자이익예측공시 유형에 따른 차별적 시장반응과 예측정확성

        박근호 ( Keun Ho Park ),정준희 ( Joon Hei Cheung ),정희철 ( Hee Chul Jung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저널 Vol.23 No.5

        공정공시제도하에서 자발적으로 공시되는 경영자의 이익예측공시는 기업의 주가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이익사건 중 하나로 국내외에서 다양한 각도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국내 언론 및 투자자들에 의한 경영자이익예측공시의 예측정확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대두됨에 따라, 감독당국은 이러한 시장의 비판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영자이익예측공시에 관한 모범규준을 제정하였다. 하지만 당해 모범규준의 실질적 유용성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독당국의 당해 모범규준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범규준 준수에 따른 시장의 반응 및 사후적 예측정확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거래소의 영업실적공시 모범규준을 준수한 기업과 준수하지 않은 기업의 경영자이익예측공시에 대한 시장반응 및 사후적 정확성은 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해 경영자 이익예측공시 모범규준의 유용성에 의문성을 제기하는 한편 향후시장감독당국의 관련 감독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공헌도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감독당국이 제시한 경영자이익예측공시 모범규준의 유용성에 대하여 최초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경영자 예측공시에 대한 모범규준을 제정한 정책당국의 향후 감독정책운용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기존의 경영자 이익예측의 시장반응을 살펴보는 연구에서 경영자의 이익예측공시일이 다른 이익공시사건일과 중복되고 있음을 고려하여 보다 순수한 시장반응을 검토하기 위하여 관련 이익반응의 중복효과의 통제를 시도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연구방법의 시도는 향후 이익사건과 관련된 공정공시의 시장반응연구에 있어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여 줄 것으로 기대한다. Under the Fair Disclosure system, the voluntary disclosure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s one of major accounting events to influence the market response on stock prices, which has been tested by researchers in various ways.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however, have been challenged from local mass media and investors, as some forecasted management earnings significantly deviate from actual earnings numbers. To address the market concern, the Korea Exchange, as a market supervisor, adopted the best practice guideline of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We find that no research has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best practice guideline by the regulator. This motivates u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best practice guideline.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ory guideline on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we review whether the compliance of the best practice guideline leads the difference in the market response and the ex-post forecasting accuracy of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 Our test result shows that the capital market of Korea is indifferent at the compliance of the regulatory best practice guideline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In addition, the market does no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ex-post forecasting accuracy in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The outcome implies that market supervisors may need to revisit the supervisory policy of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questio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regulatory regime on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insights on the policy making of the management earning forecasts. This study also provides insights into the duplication effect of the market response, when the disclosure of the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coincides with other earnings events. The research method taken in the paper will help a future research to measure the pure market response without the duplication effect.

      • KCI우수등재

        손익구조변경공시 시점의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효진,정준희,전규안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학연구 Vol.47 No.1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is the first disclosure of earnings prior to the disclosure of financial statements, and is the disclosure with the highest stock market reactions. Therefore, material change disclosure has been recogn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investor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in material change disclosure, they cannot measure earning quality before the disclosure of financial statements .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BTD (book-tax difference)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as a proxy variable for the earnings quality that can be estimated as financial data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This study investigates in three aspects whether BTD is a useful tool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or measure the earnings quality. First,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is investigated using the B&D model. Next, we examine whether a firm with a high BTD in the material change disclosure has a high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inally, we examine the relevance and R-square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loss avoidance firms. Second, the firms with a high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show a lowe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erial change disclosure BTD and discretionary accrua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ntributions. This study expand the usefulness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 by proposing a proxy for the earnings quality of material change disclosure. 사전공시인 손익구조변경공시는 확정 재무제표 공시 전에 이익을 공시하는 최초 공시로서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공시정보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손익구조변경공시상 현금흐름표 등을 공시하지 않기 때문에 재무제표가 공표되기 전까지 손익구조변경공시 때 발표된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대용변수로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를 제안하고,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를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이익 공시 전에 사전적으로 이익조정을 탐지하고 이익의 질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인지를 세 가지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첫째, 적자회피모형을 이용하여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이익조정의 유용한 측정치인지를 검증한다. 둘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큰 기업이 확정이익 공시 때 이익반응계수가 작은지를 알아본다. 셋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와 재량적 발생액의 관련성 및 설명력을 살펴봄으로써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사전적으로 재량적 발생액의 대용변수로서 유용한지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익구조변경이익 또는 감사보고서상 확정이익이 적자회피구간에 있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손익구조변경공시 이익 또는 확정이익의 유용한 대용치임을 의미한다. 둘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큰 기업이 확정이익 공시 때 이익반응계수가 더 작게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공시된 이익의 질에 대한 유용한 예측치임을 의미한다. 셋째, 손익구조변경공시 BTD는 재량적 발생액과 정(+)의 관련성을 가지며, 높은 설명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손익구조변경공시 BTD가 확정이익 공시전 이익조정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손익구조변경공시상 이익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손익구조변경공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