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윤택 <햄릿>의 처녀 선망과 여성 혐오

        유연주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4 철학·사상·문화 Vol.- No.45

        이 연구는 연극사에서 주목 받았던 작품을 비판적으로 들여다보려는 시도이며, 그 첫 대상은 성폭력 가해자이자 한때 ‘거장’으로 대접받았던 이윤택 각색·연출의 <햄릿>이다. 이윤택의 대본 각색과 무대 해석을 재검토하여 작가이자 연출로서의 관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기존 평가의 정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우선 이윤택의 <햄릿>은 셰익스피어 원작의 전쟁과 정쟁의 맥락이 축소되면서, 거트루드와 오필리어의 처녀성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윤택의 작업에서 거트루드의 처녀성은 햄릿의 출생 및 혈통과 관련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윤택은 햄릿의 친부가 선왕 햄릿이 아닌 클로디어스였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햄릿의 복수와 살인의 근본적인 동기를 바꾸어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윤택은 클로디어스와 오필리어의 정사 장면을 삽입하여 햄릿과 클로디어스를 오필리어의 처녀성을 둘러싼 경쟁자로 만들고 오필리어가 처녀성을 잃은 충격으로 죽음에 이르는 것처럼 보이게 연출함으로써 원작의 서사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접근은 여성 캐릭터의 독립성과 개성을 무시하고 성적 순결을 중심으로 한 남성 중심적 관점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이처럼 이윤택의 <햄릿>은 여성의 처녀성을 둘러싼 남성의 경쟁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며, 그 갈등 속에서 여성 캐릭터가 소모되고 희생된다. 이렇게 여성 인물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남성 중심 서사로 이끌어가는 방식은 현대 연극에서 지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akes a critical look at notable works in the theater histor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Hamlet, rewritten and directed by Lee Youn-taek. Lee diminishes the themes of war and political conflict in the original, leading to an exaggerated focus on the virginity of Gertrude and Ophelia. This obsession is linked to Hamlet’s lineage, as Lee suggests that Claudius is his real father. This twist alters the foundational motives for Hamlet’s vengeance and murder, presenting a controversial reinterpretation. Lee also diverges from Shakespeare’s narrative by incorporating a sexual encounter between Claudius and Ophelia, framing it as a rivalry with Hamlet that culminates in Ophelia’s death due to the loss of her virginity. Lee’s rendition of Hamlet centers around a male-dominated competition concerning the ownership of virginity, leading to the sacrifice of female characters in their conflicts.

      • KCI등재

        <어머니>에 나타난 기억의 형상화 -김명곤과 이윤택의 연출 비교를 중심으로-

        김숙경 한국극예술학회 2013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1

        본고는 기억의 형상화 양상에 주목하여 <어머니>의 고유한 특성과 한계를 재조명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김명곤과 이윤택의 연출 비교를 연구방법으로 선택함으로써 희곡분석 중심이던 <어머니>의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였다. 극작가 이윤택은 희곡 <어머니>에서 기억의 형상화를 위해 이질적인 시공간을 해체시키고 있다. 이 작품에서 시공간의 해체는 ‘혼재’의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이질적인 시공간들, 다시 말해, 어머니가 구술하는 시점인 현실의 시공간, 기억의 대상인 과거의 시공간, 그리고 저승의 시공간 등이 어떤 경계나 분리 없이 동시에 공존하는 것이다. 김명곤과 이윤택은 시공간 해체의 무대화에 있어 ‘무대영역 활용’, ‘인물 해체’, ‘시선 처리’ 등의 관점에서 차이를 보여준다. 무대영역 활용에서 김명곤은 빈 공간의 원리를 활용하여 두 시공간의 이질성을 최소화시킨 섞임을 연출한다. 또한 극의 처음부터 일정한 양상으로 시공간을 해체한다. 반면, 이윤택은 두 시공간의 이질성을 극대화시켜 낯설고 과감한 섞임을 시도하며, 극이 진행되면서 시공간 해체 양상도 ‘확대되는’ 느낌으로 연출하고 있다. 둘째, 인물 해체에 있어서는 김명곤이 최소화시켜 연출한 반면, 이윤택은 희곡에서의 의도를 살려 인물 해체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셋째, 김명곤은 대부분의 회상 장면에서 어머니의 시선을 정면으로 향하게 해, 현재와 과거 사이에 ‘거리를 두는’ 느낌을 연출한 데 반해, 이윤택은 어머니의 시선 처리에 변화를 주어 현실과 과거 간의 관계를 심화시키고 있다. 어머니가 기억하는 과거는 어머니 개인의 사건과 정서로 구성되는 ‘개인적’ 이미지보다 민족 구성원과 관련된 ‘집단적’ 이미지의 비중이 높다. 이 작품에서 집단적 이미지들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수렴되는데, 이는 곧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와 ‘근대사의 상흔의 이미지’이다.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는 오브제, 이야기, 행위, 노래 등 다양한 층위에서 발견된다. 작품 전체에 걸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감나무는 과거 공간의 대표적인 상징물이다. 또한, 옛 마을 사람들의 집단 동작과 합창 등은 과거 삶의 양식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수단들인데, 김명곤이 과거 삶을 성인들 중심의 ‘민중적 이미지’로 연출한 반면, 이윤택은 아이들 위주의 ‘서정적 이미지’로 연출하고 있다. 신주단지 이야기와 양산복과 수영대 이야기는 원형적 ‘이야기’ 모티프로서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는 대표적 예시이다. 민족의 원형적 이미지는 일차적으로 어머니가 기억하는 과거의 시공간과 삶의 양식을 표현하는 기능을 하며, 나아가 익숙하지만 잃어버린 것에 대한 그리움의 정서를 유발시킨다. 어머니의 기억 중 주제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어머니의 ‘아픈’ 생애사이다. 이 작품에서 어머니의 아픈 과거는 근대사의 상흔의 이미지를 통해 내면화되고 있다. 즉, 민족의 아픈 근대사를 집단적으로 이미지화시킴으로써 어머니 개인사와 중첩시키고 있는 것이다. 김명곤은 특히 2막에서의 근대사의 상흔 이미지를 희곡에서보다 확대하여 연출함으로써, 사회적․정치적 메시지를 부각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어머니>는 어머니의 기억에 의존한 생애사를 다루는 작품인 만큼, 어머니의 ‘주관화된’ 회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할 때 극적 효과가 최대화 될 수 있다. 그러 ...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rediscover particular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Lee Yoon-taek's <Mother> focusing on figuration of memory. For this, it has been aimed at directing comparison between Kim Myung-gon and Lee Yoon-taek. Playwriter, Lee destructs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for figuration of memory. The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appears in 'coexist' way.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that is time and space in the present the mother states orally, time and space of memory in the past and time and space in the other world, simultaneously coexist without any border and separation. With regard to staging of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the difference between director Kim and Lee lies in 'usage of stage space', 'character destruction', 'gaze'. Concerning the usage of stage space, Kim directs by mixing minimized heterogeneity of two time and spaces, applying the principle of empty space. He also destructs time and space in a similar aspect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n the other hand, Lee maximizes heterogeneity of two time and spaces and tries to mix them in an unfamiliar and decisive manner and directs seemingly expanding the destruction of time and space as a play proceeds. Second, regarding the destruction of character, Kim directs minimizing it while Lee maximizes it. Third, Kim makes the mother’s gaze straight to the front, which seems distant between present and past, while Lee changes mother's gaze, making various relations between present and past. Most episodes in the past which the mother remember depend on collective images rather than private images. Most outstanding collective memory images in <Mother> are 'national archetypal image' and 'trauma image in modern history'. Firstly, national archetypal image are discovered in various layers such as objet, tales, action, and songs. A persimmon tree, which most frequently appears throughout the work, is a representative symbol of past space. In addition, old villagers' group movement and choir are typical means for imaging life styles in the past. Kim directs a past life as 'popular image' focused on adults, while Lee directs as 'lyric image' focused on children. The stories of a Sin-Ju-Dan-Ji and Yangsanbok and Sooyoungdae are typical examples as a tale motif for establishing national archetypal image. national archetypal image initially function to express time and space in the past the mother remembers and life styles, and furthermore induces the nostalgia for accustomed but lost ones. The theme most related to among mother's memory is mother's painful life history. Her painful history in modern history is internalized through the image of trauma. That is to say, the modern history and mother's history overlap each other by collectively imaging painful modern history. Trauma of modern history is expressed indirectly or along with a daily life related to Confucian ideology in Act 1. On the other hand, trauma in the colonial period and Korean Civil War is expressed more directly. This work covers a life history depending on mother’s memory, so individualized and subjective images should account for more than general historic images. However, in Act 2, the images of trauma in modern history weaken its fun in play and sympathy of mother's pain as 'subjectivity' as the property of memory shrinks.

      • KCI등재

        이윤택의 역사극: "인간의 역사" 쓰기와 한국적 연극미학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istorical imagination, writing strategies, and aesthetic methods of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Lee Yun Taek shown in his main historical plays. His historical plays tend to summon victims of history as specters and to appropriate history in order to create a version of Korean theatrical aesthetics. He focuses on describing ``histories of human beings,`` not ``human beings of History.`` While describing ``human beings of (or, in) History`` may be a method of representation in modern historical plays, describing ``histories of human beings`` focusing on “human beings” such as depicting inner side or daily life of a person may be reflecting postmodern historical discourses. In this study I analyzed Problematic Human Yeounsan, Beautiful Man, and Lady Hyegyongung Hong to identify measures of representing history or memory,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writing, and how theatrical aesthetics (form) expresses history (content). The surface structure and deep structure of Problematic Human Yeounsan may serve as history and mother, which may form homogeny with the dualistic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Yeounsan is represented as a revolutionist who cries for and attempts to realize destruction of an old order and a reform, expressing hi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n Oedipal son. Through such rewriting of history, Lee describes extremely bitter disillusionment on Korean society of the 1990s where the ideals of the 1980’s as the time of revolution are collapsed. Beautiful Man is a musical play depicting periodical responses of the intellectuals based on engraving of the Tripitaka Koreana. A female other is represented as an allegory of national suffering, and rewriting of the problem of selection by th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chaos awakens responsibilities of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Lady Hyegyonggung Hong focuses on ``a drama of human beings`` by bringing up inner side and dailiness of a person. The victims of history appear on the scene as nightmare or specters, requiring settlement of debt on the past and history. The specters play a role of mixing representation of the past and aesthetics of the uncanny, performing a shaman ritual for cleaning of history. Lee``s historical imagination meets the aesthetics of shman ritual, or the view of the world of shman called ``Hae-won-sang-saeng (resentment dissolution).`` He represents history by mixing dailiness and surreality, reality and illusion, and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goal of Lee’s historical plays is not only to restore narrative memory of the victims of history who are forgotten and excluded but to appropriate history to create a version of Korean theatrical aesthetics having totality and universality. 본 연구는 이윤택의 주요 역사극작품들을 대상으로 그의 역사적 상상력과 글쓰기 전략, 역사 재현의 미학적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의 역사극은 역사의 희생자를 유령으로 소환하는 경향, 그리고 한국적 연극미학을 창조하기 위해 역사를 전유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 그는 ‘역사의 인간’이 아니라 ‘인간의 역사’를 그리는 데 치중한다. ‘역사 (속)의 인간’을 그리는 것이 근대 역사극적 재현방식이라면, 개인의 내면이나 일상 등 ‘인간’에 방점을 두고 ‘인간의 역사’를 그리는 것은 탈근대 역사담론을 반영한 것이다. 본고는 이윤택의 < 문제적 인간 연산 > < 아름다운 남자 > < 혜경궁 홍씨 > 3작품을 중심으로, 역사 혹은 기억의 재현방식, 역사쓰기의 방법과 특성, 그리고 연극미학(형식)이 역사(내용)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 연산 >의 표층구조와 심층구조는 역사와 어머니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의식과 무의식의 이원론구조와 상동성을 이룬다. 연산은 오이디푸스적 아들이란 심리적 특성과 더불어 낡은 질서에 대한 파괴와 개혁을 부르짖고 실천하려는 혁명가로 재현된다. 작가는 이러한 역사 다시쓰기를 통해 80년대 혁명의 시대의 이상이 무너진 90년대 한국사회에 대한 쓰디쓴 환멸을 담아낸다. < 아름다운 남자 >는 팔만대장경 판각을 소재로 지식인의 시대적 대응을 그린 음악극이다. 민족 수난의 알레고리로 여성 타자를 재현하고 있으며, 혼돈의 시대 지식인의 선택의 문제로 다시 쓰기함으로써 동시대 지식인의 책무를 일깨운다. < 혜경궁 홍씨 >는 개인의 내면과 일상성을 부각시켜 ‘인간의 드라마’에 초점을 맞춘다. 역사의 희생자들이 악몽/유령들로 등장하여 과거/역사에 대한 부채 청산을 요구한다. 유령들은 과거의 재현과 언캐니(uncanny)의 미학을 혼재시키는 역할을 하며, 굿의 진혼사설을 매개로 역사의 ‘씻김’을 수행한다. 이윤택의 역사적 상상력은 굿의 미학, 해원상생이라는 굿의 세계관과 맞닿아 있다. 그의 역사 재현방식은 일상성과 초현실성, 현실과 환상, 현재와 과거를 혼재시키는 것이다. 이윤택의 역사극이 지향하는 목표는 망각되고 배제된 역사의 희생자에 대한 서사적 기억의 복원 못지 않게 역사를 전유하여 총체성과 보편성을 지닌 한국적 연극미학을 창조하는 것이다.

      • Brecht auf der koreanischen Bühne

        Song, Hi-Young(송희영) 한국카프카학회 2013 카프카연구 Vol.0 No.29

        한국에서의 독일드라마의 수용과 무대 공연은 전후 회복기를 거쳐 1970년대에 본격화되어 나타나는데, 괴테, 막스 프리쉬, 뒤렌마트, 한트케는 이 시기의 한국 관객에게 사랑받았던 대표적인 독일 극작가들이다. 반면 브레히트는 한국의 전쟁사와 냉전 이데올로기로 인해 1980년대 후반에 와서야 일반 대중들에게 선보이게 된다. 물론 브레히트는 독문학자들이나 연극 관련 학자들에게 일찍부터 알려진 바 있으나, 일반 대중이 공연을 통해 브레히트를 만나게 된 것은 1988년 올림픽을 계기로 한 소위 ‘해빙기’ 또는 ‘한국의 개방정책’을 통해서였다.<br/> 1980년 대 후반 이후 수많은 연출가들이 브레히트의 작품을 무대 위에 올리고, 심지어 대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연합 공연도 선보인다. 최근에는 브레히트의 드라마를 한국적인 전통과 접맥시켜 새롭게 공연한 작품들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으며, 심지어 유럽의 본 고장에서는 한국에서 새롭게 각색된 브레히트의 공연에 매료되어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이윤택의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2006) 과 이자람의 판소리 공연 <억척가>(2012)이다.<br/> 2006년 게릴라극장에서 공연된 이윤택의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은 17세기 유럽의 30년 종교전쟁을 6.25 전쟁으로 변형함으로써 브레히트의 드라마를 한국적인 시공간적 무대 위로 올려놓았다. 이윤택의 억척어멈은 6.25 전쟁 중 생존을 위해 두 아들과 벙어리 딸을 데리고 억척스럽게 장사를 하지만, 큰 아들은 전쟁광이 되고 둘째 아들은 전사하며, 벙어리 딸 순나는 마을을 지키려다 총에 맞아 죽어간다. 이윤택은 브레히트의 무대를 6.25 전쟁과 접목시키면서 한국의 이데올로기전쟁과 수난사, 그 속에서 고통을 겪는 민중들의 삶을 조명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노래와 전통적인 창으로 무대를 풍성하게 하고, 전통 가면과 사투리 등의 사용을 통해 외국작품의 성공적인 한국적 수용 및 관객의 높은 호응도를 이끌어내었다. <br/> 일찍이 한국인들에게 ‘예솔’이로 알려져 있던 이자람은 국악을 전공하는 여성예술인으로 성장하여 브레히트의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을 판소리로 재해석하였다. 주인공 ‘순종’은 청순하고 순종적인 처녀였지만, 세파에 시달리며 전쟁 통에 살아남고자 악착같이 몸부림치는 ‘억척어멈’으로 변모한다. <억척가>는 이자람이 1인 15인 역을 맡아 열연하는 모노드라마로 무대 위에는 북과 같은 한국의 전통적인 악기도 등장하지만, 기타, 베이스, 드럼과 같은 대중음악의 악기도 등장한다. 이자람의 판소리는 브레히트의 드라마를 한국적으로 각색한 것으로 내국인은 물론 유럽 공연에서도 각광을 받은 작품이기도 하다.

      • KCI등재

        희곡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역할 연구

        박경선(Park Kyung-Su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9 No.1

          이윤택의 작품 속에는 다양한 지식인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그는 세상에 대하여 하고 싶은 자신의 말을 연극 속에 등장하는 지식인을 통해 하고 있으며, 지식인의 사회적 책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BR>  이윤택은 김남석과의 대담에서 조남명을 통해서, 조남명이라는 선비의 속을 꿰뚫어봄으로써, 지식인의 모습을 그리겠다는 명확한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나 있는 지식인의 역할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책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BR>  첫째, 지적 탐구이다. 지식이란 절대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시대에 따라 변해 왔기 때문에 변해가는 지식을 알기 위해서 지식인은 끊임없이 지적 탐구를 해야 한다. 「시골선비 조남명」의 제1막 1장은 조남명이 유생들과 글 읽는 것으로 시작된다. 글 읽는 행위는 학문을 연구하는 행위이며 지적 탐구를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BR>  둘째, 자신에 대해 알기이다. 지식인이 되는 것은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분명하게 아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끼니 메우기가 곤란해 어머님 뵙기가 민망하다며 친정으로 옮기자는 아내의 말을 따르는 모습과 유생들에게 강론을 하면서 자신의 부끄러운 부분을 숨기지 않고 드러내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모습에서 자신에 대해 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볼 수 있다.<BR>  셋째, 실천이다. 실제로 행동으로 행하는 것을 실천이라고 한다. 조남명은 당대조정에 있던 중신들이 임금의 잘못에 대해 입을 다물고 있자 죽음을 무릅쓰고 상소를 올린다. 그는 상소에서 평소에 자신이 느꼈던 정치의 잘못과 부조리 등을 낱낱이 지적하여 추상같이 준엄한 필치로 상소를 하였다. 진정한 지식인이라면 지도자의 잘못에 대해 바른말을 해야 하고, 옳은 일을 위해서는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하지 못한 일을 조남명은 죽음을 각오하고 실천하였다.<BR>  「시골선비 조남명」에 나타난 지식인의 모습은 꾸준히 공부를 하여 지적 탐구를 하고 자신에 대해 정확하게 알며 자신이 깨우친 것을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이윤택은 현대 사회를 이끌어가는 지식인은 꾸준히 노력하여 지적 탐구를 게을리 하여서는 안 된다는 것을 조남명의 모습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Lee Yoon Taek’s works reflect various images of intellectuals. He expresses what he wants to tell the world through the characters in his books, saying what it takes to be an intellectual on social responsibility and duty. At an interview with Kim Nam-Seok and using Cho Nam-Myung in his discussion, Lee Yoon Taek stated that there was a clear purpose in his attempt to illustrate what being an intellectual entails after having looked into the deeper thoughts of Cho Nam-Myung. Using the role of intellectuals expressed by the rural scholar Cho Nam-Myung, the societal responsibilities and duties required by the modern intellectual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areas.<BR>  First, desire for philosophical knowledge. Rather than valuing the actual acquisition of knowledge, intellectuals must constantly desire philosophical enlightenment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ever-changing nature of knowledge. The first line of the first paragraph in Cho Nam-Myung’s book starts with his reading text with his students. We can construe this act of reading not only as simply the act of studying a subject, but also the act of desiring knowledge and acquiring it.<BR>  Second, knowing oneself.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for a person to achieve intellectual status, one must start by knowing one’s place in the world and his or her connection with it. Finding himself in dire straits in which meal skipping was common, Cho Nam- Myung’s wife, who would be ashamed to look upon the face of her mother-in-law due to their poverty, suggested moving into her parents’ home. After taking her up on her suggestion, he shamelessly told his story to his students during a class and upon doing so recognized his own flaw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all intellectuals should do.<BR>  Third, practice what you preach. Practicing what you preach refers to affirmative action. In Cho Nam-Myung’s time, high ranking ministers and officials would bite their tongue in any situation that arose in which the king himself had made a mistake. However, Cho Nam-Myung, knowingly risking a death sentence, would speak up and denounce the king’s mistakes. He made a written statement denouncing in detail what he generally felt was political wrongdoing and corruption. In order to do the right thing, a true intellectual must not fear death and inform his or her leader of any mistakes made by the latter. Cho Nam-Myung, unlike others in his time, practiced what he preached even in the face of death.<BR>  The intellectual that Cho Nam-Myung portrays is one, who studies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desire for philosophical knowledge, and is enlightened enough through one’s understanding of one’s place in the world to be able to practice what he or she preaches. Lee Yoon-Taek’s vision of today’s intellectuals leading our society follows in the footsteps of Cho Nam-Myung, in that they must be active seekers of philosophical knowledge rather than passive ones.

      • KCI등재

        글로컬화로 완성된 『햄릿』 : 이윤택이 연출한 『햄릿』(1996-2005) 공연 연구

        김동욱(Kim Dongwook)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8 셰익스피어 비평 Vol.44 No.4

        Glocal is a new word combined a word 'global' and a word 'local'. According to the menufesto of Glocalization in 2004, "Glocalization is a new paradigm for international relations and an innovative practice of development coorperation. The Glocalization strategy empowers local communities, linking them to global resources and knowledge while facilitating initiatives for peace and development.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the local communities to direct positive social change in the area that most directly affect them, and to shape an innovative nd more equitable international system." When we apply this definition to our theatre works, such productions as 「Hamyul Taeja」 by Min-Soo Ahn(1976), [Shamanism]「Hamlet」 by Jeong-Oak Kim(1995), [Koreanized]「Romeo and Juliet」 by Tae-Seok Oh(199?), and 「Hamlet」 by Yun-Taek Lee(l996) are good examples that succeed to draw a great attentions from the audiences of the abroad and the local as well. Among these productions, Lee's 「Hamlet」productions, which have been produced more than a decade both for the local stages and the foreign stages as well, are analysed and studied in full detail in order to find out how he has completed the 'glocal' text for the target audiences as well as the local ones. The strategy of Lee's translation(s) with the dramaturgy, D. Kim and his methodology of re-formation from the original text to the stage script will be dicussed at first, then his intercultural set design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mise-en-scene. The shamanistic interpretation of Hamlet's madness represented in such scenes as the appearance of the Ghost, which is directed in shamanistic way, the scene of Ophelia's funeral, and the deconstruction of the play-within-the-play is the key point to understand how Lee re-formed the original text mixing the world-wide cultural resources. His multicultural costumes and Lighting design as well as music, according to R. Bharucha, seem to be a neo-oriental approach, which applies non-western culture to Shakespeare with spectacular performance for the target audience. The most provocative scene among others would be the epilogue scence in which dead Hamlet rises in naked body and walk away slowly into the back stage. Reminding the local audience of the ending of the 'Sitgim Gut', this epilogue would be the most challengable strategy of the director who wants to complete his 'original' intercultural play script for the glocal audiences. Without this, the shamanistic establishment of from the Ghost scene could not be accomplished.

      • KCI등재

        이윤택의 『청바지를 입은 파우스트』 극작법 연구

        김용상(Kim, Yong-Sa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1

        The rule of Lee Yun Taek"s playwriting lies in representation and contemporaneity. He insists that a work should be able to serve as text for performance and at the same time to gain the sympathy of contemporaries. For this aim, Lee Yun Taek uses such techniques as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Dis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do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but are complementary concepts which separate and reorganize the elements of a play to make a new work having new significance. Lee Yun Taek borrowed the format of the "play in a play" in his work『Faust in Blue Jean』in a try to secure Korean contemporaneity by citing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in a reduced form. He transformed the spatial and timely background of the original to the Korean version in the 90s, placing focus on critical events of the then times. The writer even ventured to reconstruct the figures of the original for the purpose of intensifying the dramatic meaning and fun. He didn"t change the names of the figures in the original to Korean ones to heighten the effect of strangeness or "Verfremdungseffekt". Usage of the names that are not well-matched with locality was designed to keep a certain distance from criticism concerning behaviors or awareness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By typifying the plots of figures and characters of the play, the reality and sociality of the play could be amplified and their action became more predictable. 『Faust in Blue Jean』is an example of Lee Yun Taek"s playwriting technique <Now-Here-We> showing his efforts to detail in the drama the structures of Korean timely situation as well as political and social life by paraphrasing the original『Faust』. The writer pursued significance and fun simultaneously in his recreation of Western classical dramas. It is his unique approach to set himself free from sentimental realism which seeks for cheap and meaningless fun and from immature copycat playwriting which pursues only meaning with no fun.

      • KCI등재

        <도솔가-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상호텍스트성 분석

        김숙현 ( Suk Hyu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9 한민족문화연구 Vol.29 No.-

        이 논문은 후기구조주의적 ‘주체’개념과 연루된 상호텍스트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2000년 이 윤택이 쓰고 연출한 <도솔가-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분석함으로써 이윤택 사유의 한 접점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도솔가…>는 신라시대 향가 ‘도솔가’와 서구 19세기 문학적 철학서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선텍스트로 하여, 불교철학을 배경으로 한 원효, 월명, 진감의 서사를 상기시키는 여러 단편적인 텍스트들과 함께 동시대의 ‘테크노’와 한국 현대사의 한 축을 드러내는 ‘독재자’등을 등장인물로 들여오는가 하면, 한편으론 플라톤의 ‘국가론’과 같은 책제목을 파편적으로 삽입하여 전체 서사를 불연속적으로 분절시키면서 독자/관객의 읽기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있다. 또한 <도솔가…>는 여러 사회문화적 컨텍스트, 즉 후기자본주의 문화라는 보편성과 한국의 특수한 사회적 특성을 패러디한 이미지들을 공연텍스트에 인용하고 참조하는가 하면 여러 장르들을 <도솔가…> 안에 혼성적으로 차용하고 있다. 이렇듯 각각의 개별성과 역사성은 상실된 채 동과 서, 전통과 현대, 과거와 최첨단의 이미지가 동시적으로 병존하는 <도솔가…>는 한 문학적 체계에서 다른 문학적 체계로의 위치 전환뿐만 아니라 비문학적 체계가 희곡/공연텍스트의 체계로 전위되는 기호적 과정의 장으로서의 상호텍스트임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기호체계의 텍스트를 상호텍스트적으로 구성한 <도솔가>가 결국, 자기 동일적 주체가 아닌 여러 타자들의 목소리가 아우성치는 후기구조주의적 주체를 강변하고 있는 텍스트임을 입증하고 그것은 곧 작가이자 연출가인 이윤택의 내면이자, 동시대 인간 무/의식을 드러내주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intertextuality involved in the subject of post-structuralism with <Dosolga-Thus spoke Zarathustra> written and directed by Lee Yun-Taek. The concept of intertextuality is to indicate how one or more systems of signs are transposed into others. A `text` is a field in which various signifying systems undergo such a transposition. The subject of post-structuralism is also composed of the intertextual without identity, origin and substance. Base on this presupposition, this study is attempted to analyze how <Dosolga…> has been intertextualized and keep track of the point of view of Lee Yun-Taek. “Thus spoke Zarathustra” and `Hyang-ga` of Shilla, `Dosolga` are the main pre-texts for <Dosolga…>, which is selected from various fragmentary texts of buddhist Won-hyo, Wol-myung, Jin-kam. And <Dosolga…> takes contemporary `technocrats` into the characters. And the title of "The Republic (Politeia)" of Platon was inserted in <Dosolga…>. So the narrative seemed to be disintegrated. Furthermore, the performance text of <Dosolga…> reflects our social cultural contexts, post capitalism culture and unique korean culture such as military situation. It does so with parody and pastiche. In <Dosolga…>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al and modern cultures, and the past and the present images exist simultaneously. It shows that <Dosolga…> is the intertextual text, it does display a transposition not only from a cultural system to another cultural system but also from historical written text to drama/performance text. So, It makes totally new contexts by forming articulation of meanings which is different with original contents and meanings. By communicating with literature and non literature within a variety of cultural contexts, all the texts are combined as one text and the text like a fragmented subject of post-structuralism is displayed. Consequently, This study knew that Lee yun-taek, writer and also a director of <Dosolga…> tried to make systems of various signs of the intertextuality and his own thought and point of view was displayed in it. As a competitive field of many quotations, the thought of Lee Yun-Taek was represented in <Dosolga…>

      • KCI등재

        이윤택의 『우리 시대의 리어왕』

        권오숙(Osook Kwon)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2

        This study examines Korean director, Yun-taek Lee’s adaptation style of King Lear of Our Age (1995). Lee wrote and directed King Lear of Our Age on basis of Gaston Salvatore’s Stalin (1987), which is an adaptation of Shakespeare’s King Lear. Salvatore and Lee borrowed the wilderness scene of King Lear in which Lear’s fool mocks and tries to awaken his lord’s foolishness. In Salvatore’s adaptation, a Jewish actor whose name is Sager and whose main role on stage is King Lear discusses King Lear with Stalin, the dictator of the Soviet Union. Stalin is being bothered by the fear of being dethroned like Lear. Salvatore deals with a tragic history, Stalin’s cruel massacre of Jewish people in this play. Lee replaces Salvatore’s story into a scene of our own history by transferring the dictator of the Soviet Union into Korean military dictator, Doo-hwan Chun in King Lear of Our Age. Chun who is living in a Buddhist temple after stepping down from the presidency feels betrayed to his successor, Tae-woo No and is captivated by wrath like Lear. An actor summoned by the dictator like Sager criticizes his massacre in Gwangju. Lee borrowed the basic structure that an actor confronts with a dictator from Salvatore’s Stalin, but turns the story into a familiar one to the Korean audience by using of a scene of our history. In some scenes the actor plays like Malttugi, a typical character of Korean traditional Mask Dance who is a servant and satires his foolish lord. Lee’s constant challenge and experiment in Koreanized adaptation of western plays results in improvement of Korean theatre through the harmony of tradition and modern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