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도 부지를 활용한 경의선숲길공원 이용행태 연구

        양승열(Yang, Seung-Yeol),유석연(Yoo, Suk-Ye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생활권공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도시구조변화에 따른 폐철도부지 출현과 이를 활용한 공원조성에 주목하였다. 선형공원은 면적공원에 비해 생활권공원으로 기능하는데 유리하며, 일상적인 이용행태가 더 활발할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목적은 경의선숲길공원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및 밀도 특성, 이용자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시간차촬영기법을 이용한 행태관찰과 GIS를 통한 행태지도 분석을 통해 이용자 일반특성과 이용행태 유형별 특성, 그리고 이용자 구분에 따른 이용행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평일과 휴일의 이용행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말에 찾아가는 목적성공원이 아닌 일상적 이용이 지속되는 생활권공원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적행태로는 휴식 외에 대화 등 사회적 교류를 함께 들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개방적인 장소에서 많이 나타났고 그늘, 조망 등 물리적 환경 특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다’행위 중심의 동적행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아 선형의 이용패턴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공원의 형태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휴식, 대화, 구경, 약속장소 등 정적행태 우위의 일반근린공원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적행태 우위의 선형공원에서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선형의 형태적 특성을 반영한 동선계획과 주변 도시조직과의 연계계획 등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ehavior patterns of an urban linear park, which reuse an abandoned railroad, utilizing behavioral mapping in GIS and behavioral observations through time-lap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rban linear park is used consistently without distinctions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Second, resting behaviors prefer open spaces and are affected by external conditions such as shade, scenery, etc. Furthermore, open spaces are jointly used as a social interaction areas for communication behaviors. Third, moving behaviors are emerged as a linear pattern use, due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park. In addition, walk-oriented activities represent an overwhelming ratio of moving behaviors. It shows a definite difference in the conventional neighborhood park’s behavior patterns with respect to rest, talk, seeing, appointed place and so 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irculation plan of the linear park and the link with neighboring urban areas deserve more attention, while the significance of the park facilities is relatively low, due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linear park.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우경숙,서주환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1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공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도시공원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그 기능․의미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라인상의 데이터는 방문할 공원의 선택 혹은 공원 이용행태의 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자료 기반의 특징인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최초 년도인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의 행태 변화를 빅데이터 기법인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이용행태와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변화가 있었다.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의 이용행태는 제 Ⅰ시기는 ‘타다’(동적행태), 제 Ⅱ시기는 ‘찍다’(정보통신서비스 행태), 제 Ⅲ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Ⅳ시기는 ‘먹다’(에너지원 행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행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이고, 양재 시민의 숲은 제 Ⅰ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Ⅱ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Ⅲ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Ⅳ시기는 ‘놀다’(동적행태)로 주로 동적행태 위주의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은 스포츠 및 레저, 문화․예술, 여가와 관련된 요소가 도출되었고, 양재 시민의 숲은 자연자원 요소가 도출되어 주요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상지의 행태는 시기별로 특정 행태에 집중화되어 있으며, 차후 발생하는 행태를 선택하거나 제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지에 다양한 행태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시설 등이 골고루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의 흥미로운 점은 두 공원에서 공통적으로 눈에 띄게 급증한 행태는 에너지원 행태(먹다, 마시다)와 소비행태(사다, 대여하다)이다. 에너지원 행태는 두 공원에서 모두 제 Ⅲ시기에서 제 Ⅳ시기 사이에 10배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다른 행태와 빈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공원에 방문하는 시민들은 식음료비, 자전거 등의 대여비, 이밖에 행사 참여 등과 관련된 소비의사가 있으며, 공원이 도심 내 휴식공간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오늘날 도시공원은 휴식, 산책 등의 역할을 넘어서 시대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며, 소비 성향이 나타나는 놀이공간으로 성향이 변화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현대 도시공원에서 일어나는 행태는 양과 내용이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되는 대규모 집단의 행태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학제적인 논의를 통해 오늘날 도시공원을 시민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ark as a space to support the behavior of urban citizens in modern society. Modern city parks are not spaces that play a specific role but are used by many people, so their function and meaning may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In addition, current online data may determine the selection of parks to visit or the usage of park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of behavior in Yeouido Park, Yeouido Hangang Park, and Yangjae Citizen's Forest from 2000 to 2018 by utilizing a time series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used Big Data techniques such as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usage behavior of Yeouido Park has changed over time to “Ride"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period (I), “Take"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Behavior) for the second period (II), “See” (Communicative Behavior) for the third period (III), and “Eat” (Energy Source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In the case of Yangjae Citizens’ Forest, the usage behavior has changed over time to “Walk” (Dynamic Behavior) for the first, second, and third periods (I), (II), (III) and “Play” (Dynamic Behavior) for the fourth period (IV).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Yeouido Park was had various factors related to sports, leisure, culture, art, and spare time compared to Yangjae Citizens’ Forest. The differences in Yangjae Citizens’ Forest that affected its main usage behavior were various elements of natural resources. Second, the behavior of the target areas was found to be focused on certain main behaviors over time and played a role in selecting or limiting future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pace and facilities of the target areas had not been utilized evenly, as various behaviors have not occurred, however, a certain main behavior has appeared in the target areas.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usage of urban parks using Big Data techniques, and determined that urban parks are transformed into play spaces where consumption progressed beyond the role of rest and walking. The behavior occurring in modern urban parks is changing in quantity and content. Therefore, through various types of discus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ehavior collected through Big Data, we can better understand how citizens are using city parks. This study found that the behavior associated with static behavior in both parks had a great impact on other behaviors.

      • KCI등재

        미디어 이용,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집단의 미디어 신뢰도 평가를 중심으로

        박상호,송종길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미디어 이용, 신뢰도와 정치행태에 관한 연구이다. 즉, 전통적 매체 또는 올드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 그리고 뉴미디어인 인터넷에 대한 대학생들의 신뢰도 평가를 근간으로 미디어 이용과 뉴스이용이 매체별 신뢰도 평가와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정치행태는 미디어 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우선 대학생들은 인터넷이 TV와 신문보다 신뢰도가 높은 매체라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각 매체별 신뢰도와 이용(TV이용과 TV신뢰도, 인터넷이용과 인터넷신뢰도의 관계 등)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TV신뢰도와 신문이용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신문 신뢰도와 인터넷 이용도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인터넷 신뢰도와 TV이용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각 매체별 신뢰도와 뉴스이용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TV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이용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며, 신문 신뢰도와 인터넷 뉴스이용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TV신뢰도에 영향을 미친 정치행태 변인은 정치효능감, 정치적 신뢰, 정치적 흥미, 정당일체감 순으로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정치효능감, 정치적 신뢰, 정치적 흥미는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정치적 흥미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신뢰도에 영향을 미친 정치행태 변인은 정치효능감, 정치적 지식, 정치적 흥미 순으로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며, 정치효능감과 정치적 흥미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치적 지식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신뢰도에 영향을 미친 정치행태 변인은 정치효능감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치행태 변인은 정치효능감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SNS 이용 행태가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

        홍지은(Hong, Jieun),강민주(Kang, Mi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NS 이용 행태를 알아보고 SNS 이용 행태가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총 442명(남학생 197명, 여학생 245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SNS 이용 행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주 이용하는 SNS종류, 이용 빈도, 이용 시간, SNS 친구 수, 이용 행동 등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이들 고등학생들은 자아존중감과 공적자의식을 조사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이용행태를 분석해 본 결과, 고등학생들은 인맥중심의 SNS를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들의 SNS 이용 빈도, 이용 시간, 친구 수는 개인적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용행동의 생산적 활동과 소비적 활동은 중앙값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적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둘째, SNS 이용 행태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공적 자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SNS 이용 행태의 하위 요인 중 SNS 친구 수가 많을수록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이용 행태의 하위요인 중 SNS 이용 시간, 친구 수, 이용행동 중 생산적 활동과 소비적 활동이 높은 경우 고등학생의 공적 자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NS use patterns on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42 (197 boys, 245 girls) high school students recruited from two high schools located in Gyung Gi province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SNS use pattern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questions reflecting the following; their utilization of SNS, the type of most frequently used SNS, SNS usage frequency, usage hours, the number of SNS friends, and their usage behavior patterns.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esteem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questionnaires as well.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hown to use SNS mostly for the purpose of social networking, however, their SNS usage frequency, usage hours per week, and number of SNS friends varied by a wide range among individuals. Moreover,the majo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latively less engaging in productive or consum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median itself. Second, the number of SNS friends were indicated as a variable which significantly predicts the high school students’ high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SNS usage hours per week, the number of SNS friends, and SNS usage patterns such as engaging in productive activities and consuming activities were shown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a generally higher public self-consciousness amongst these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마로니에 공원 이용행태와 만족도 분석을 통한 편의성 증진 방안

        이종희,김덕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4

        연구배경: 대표적 도시공원인 마로니에 공원을 분석의 단위로 한정하여 진행한 본 연구는 문화예술에 특화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 경우 방문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행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원계획의 참조점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마로니에 공원 이용행태에 관한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관찰조사는 두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하나는 거시적 차원으로 방문객들의 이용행태가 유사성을 보이며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영역을 관찰 조사하였다. 다른 하나는 미시적 관찰조사로 마로니에 공원의 공공 시설물들에 대한 세부적 이용행태를 보기 위해 마로니에 공원의 구성요소들(공공 공간, 벤치, 식재 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면접설문조사는 마로니에 공원을 방문한 총 95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이용현황 관찰조사 결과 영역별 이용행태와 요소별 이용행태에서 특징적 차이를 발견하였다. 또한 마로니에 공원 이용행태와 물리적 환경의 행태 지원성 분석에서도 불일치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공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특성과 행태지원성에 부합한 물리적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디자인 개선은 이용자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포괄적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이 필요하다. Background: This study utilizes Marronnier Park as a unit of analysis and a distinctive urban public park. The research aims at providing a reference point to improve convenience, while analyzing use behavior and satisfaction due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A field study consisted of observation and face to face survey was utilized to research use behavior of Marronnier Park. The observation was initiated with two dimensional concerns: (1) a territory-focused observation to analyze a collective use behavior and (2) a component-focused observation to analyze a individual use behavior to the components of park(public space, bench, plantation). A face-to-face survey was conducted to 95 visitors. Result: The study fou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o the territorial and component behavior. In addition, the unconformity between use behavior and behavior affordance was found. In the face-to-face surve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different due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sitor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research concludes that: (1) the park physical improvement needs concern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use behavior and behavior affordance; and (2) the plan or design upgrade of urban public park needs comprehensive design guidelines, consideri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visitors.

      • 사회복지기관 SNS 이용자의 이용 행태와 이용 동기가 홍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아,김한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소셜미디어는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프로슈머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스마트폰의 확산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활성화를 가져왔다.사회복지기관에서도 SNS를 이용하고는 있지만, 아직 사회복지기관 안에서는 SNS를 이용한 홍보에 관한 연구가 사회복지기관에서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사회복지기관의 SNS 이용은 SNS 계정을 통한 정보의 전달만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SNS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SNS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SNS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효율적인 SNS 홍보에 대해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독립변수로서 SNS 이용자의 이용행태와 이용동기를, 종속변수로서 이미지 향상과 자원개발을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구체적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SNS 이용행태와 이용동기가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이용된 SNS는 카카오톡, 페이스북 순으로 나타났고, SNS 이용 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이용자의 이용행태가 성별, 연령, 직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NS 이용행태에 따른 홍보효과성을 분석한 경우엔 SNS 이용빈도와 홍보효과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행태와 이용 동기도 홍보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기관 SNS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게, 이용 동기가 높을수록 홍보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change has brought consumers a chance to develop their own contents and to distribute them throughly. Moreover, spread of Smartphone has revitalized the use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Whil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also use SNS as a method of PR, the study on use of SNS in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were rarely done. Currently, Social Organization Services mostly use SNS to send one sided messages.Thus, the study focused on examining SNS users' behavior and understanding how SNS users' behavior and motivation affects PR using SNS.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and motivations of SNS users as independent variable while set up the quality of image and resource development as subordinate variable, and suggested the study model and the concrete study methods.The Methods presen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questionnaire and draw conclusion of how SNS users' behavior and motivation affects PR effectiveness. The result showed that most frequently used SNS was Kakao Talk follwed by Facebook. In addition, the device that SNS users preferred the most was Smartphone.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NS users' behavior based on their sex, age, and job. Moreov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 effectiveness based on frequency of SNS usage and SNS users' behavior and motivation. The more users used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SNS, the more effectiveness PR had on users. SNS users' motivation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실내 벽면녹화 공간 이용자 행태연구 - 대학구내식당 녹화 칸막이 선호를 중심으로 -

        김혜령,안동만,Kim, Hae-Ryung,Ahn, Tong-Mah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실내벽면녹화가 이용자에게 어떠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공용공간 이용객이 벽면녹화 조성 공간을 선호한다는 실험 가설 하에 벽면녹화가 이용객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실험을 진행하였다. 실내벽면녹화를 설치한 후 행태관찰결과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관찰실험은 실내벽면녹화 선호가 이용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2014년 3월 24일부터 31일까지 총 8일간 진행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행태를 관찰카메라로 녹화하여 영상을 보면서 분석하였으며, 붐비는 시간대는 관찰시간에서 제외하였다. 좌석별 평균이용시간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행하였다. 설문조사는 행태관찰 후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 224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로 실내벽면녹화 선호도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관찰실험, 좌석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과 일반칸막이 공간의 칸막이 인접좌석의 총 이용시간 비교결과, 실내벽면녹화 선호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의 여성이용자 비율이 일반칸막이 공간에 비해 더 높으며, 칸막이와 식물은 좌석선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태관찰에서 나타나지 않는 이용자의 심리적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실내벽면녹화에 대한 선호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칸막이 공간 이용객 94명 중 11.7%(11명)가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앉기를 원하였으나,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에 자리가 없어서' 일반칸막이 공간에 앉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 이용객 130명 중 24.6%(33명)가 '실내벽면녹화를 선호해서'라고 응답하였다. 일반칸막이 공간과 벽면녹화 칸막이 이용객의 64.3%(144명)가 동일조건이라면 벽면녹화 칸막이 공간을 선택하겠다고 응답하여 선호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태관찰에서 선호에 차이가 없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in which users positively identify with indoor green walls and the influences that it has on usage behaviors. Under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users prefer locations with green walls, the effect on their behavior was observed. After installing indoor green walls, behavioral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green wall preferences. The observ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8 days in order to see what influences the preferences for of indoor green walls had on usage behaviors and compare a control group with an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a green wall. The usage time data were put into an SPSS statistics program and used to ru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two days from March 1st to 2nd 2014 after the observation was completed, and was done by 224 users of the two areas.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comparisons between the total usage time of seats adjoined to partitions in both the green walled area and the partitioned area showed that there was no preference for indoor green walls. Second, the results appeared to show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users in the green walled area, compared to the original partitioned area. Third, it showed that partitions and plant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seat choices. Fourth, the questionnaire showed preferences for indoor green walls. Out of the 94 people who sat in the partitioned area, 11.7%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sit in the green walled area, they couldn't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seats. Furthermore, out of the 130 people who sat in the green walled area, 24.6% said they chose the seat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the green wall. Although 64.3% of users of the two areas said that they would choose the green walled area if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the behavior observation did not reflect thi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SNS 상에서 우울감을 언급한 도시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

        오지연(Jiyeon Oh),남성우(Seongwoo Nam),이상훈(Sang-Ho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6

        본 연구는 COVID-19 대유행에 의한 우울감과 공원 이용행태의 관계를 온라인상에 게시된 공원 이용에 대한 게시물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COVID-19 방역이 활발해진 기간 동안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및 카페에서 ‘공원’과 ‘우울’을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우울감을 언급한 공원 이용자는 ‘보다’, ‘산책/걷다’, ‘먹다’의 이용행태를 주로 보였고, 소통 행태인 ‘보다’를 중심으로 다른 이용행태들이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OR 분석 결과, 소통 행태 및 동적 행태의 군집의 경우, 단일 행태 유형으로 군집이 형성되어, 우울감을 언급한 이용자는 공원을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COVID-19의 대유행으로 소통활동과 신체활동의 결핍이 증가되었고 공원에서 이를 해소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우울감의 발생으로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이용행태가 주요한 이용행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민에게 효과적인 공원의 조성 및 관리 계획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후속 연구에서 COVID-19 대유행과 우울감의 유무를 연계한 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park use behaviors using on line posts. During the period of the pandemic prevention activities, text data containing both ‘park’ and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blogs and cafes in the search engine of Naver and Daum, then analyzed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techniques. As a result, the main usage behaviors of park users who mentioned depression were ‘look’, ‘stroll(walk)’ and ‘eat’. Other types of behaviors were connected centering around ‘look’, one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Also, from CONCOR analysis, as the cluster referred from communication behavior and dynamic behavior was formed as a single behavior type, it was considered park users with depression perceived the park as the space for communication and physical activities. As the spread of COVID-19 caused the restriction of communication activities, the users might consider parks as one of the solutions.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passive usage behaviors have prevailed rather than active ones due to the depression. Resulting outcomes would be useful to plan helpful urban park for citizens. It is necessary to further analyze the park use behavior of users in relation to the period of before/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depression.

      • KCI등재

        포털 뉴스 이용동기가 이용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정현(Jeong-Hyun Cho),반현(Hyun Ba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 영향력이 커져가고 있는 포털 뉴스의 이용동기가 이용행태, 이용분야, 이용량의 세 가지 차원의 이용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용과 충족 이론을 근거로 알아보는 것이다. 기존의 이용동기와 충족의 단계를 넘어 본 논문에서는 포털 뉴스 이용자들의 이용동기 요인이 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를 거쳐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항목들을 정리하고 본 조사에서는 수도권 거주 2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포털 뉴스의 이용동기는 총 일곱 가지로 나타났으며, 흥미성 동기, 정보성 동기, 휴식ㆍ오락성 동기, 뉴스 추구 동기, 습관성 동기, 상호작용성 동기, 편리성 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포털 뉴스의 이용 행태의 경우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습관적 클릭형, 일상적 뉴스추구형, 그리고 능동적 활용형 이용행태 등으로 구분되었다. 추가로 이용동기가 이용행태, 이용분야 이용량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이용동기는 서로 다른 이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usage motivations and attitudes of portal news users among 20s in terms of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findings showed seven usage motivations: The "Interest" motivation is to examine if offering a sensational topics or headlines draw users' attention; the "Information" refers to the users' activities to read portal news to seek information they want; the "Entertainment" shows that the portal news of entertainment, sports and other interesting contents are interesting to users. The "Satisfaction" is to examine whether users feel satisfaction by reading portal news; The "Habit" means that users are reading portal news as one of daily activities; the "Interactivity" indicates that users express their opinions and share other users' opinions by replies; the "Convenience" examines if users read portal news by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three types of attitudes were found: the "Habitual Clickers" are the group who click portal news in a random way, as one of habitual activities; the "News Seekers" update the in formation by reading portal news on a regular basis; The "Active Users" tend to search for information via portal news, to show their opinions by replies and moreover to display any favorite news in their own blogs. Given this, this paper had focused on how those motivations are correlated with attitudes among 20s. Different types of usage motivations and attitud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ortal sites. Due to the Internet's hub mechanism, the advantages of portal sites including high accessibility and sensational news-oriented trigger the users' motivations, attitudes, and usage amount.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목적유형에 따른 이용행태 연구

        조희정(Hee-Jung Cho),류석진(Seok Jin Lew),전시홍(Si-Hong Jeon),이헌아(Hun-A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 OUGHTOPIA Vol.30 No.1

        이 글은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의 이용목적유형에 따른 이용행태와 정서요인 비교를 통해 미디어 확장 시대의 이용자 의식을 평가한다. 특히 개인지향형, 정보지향형, 관계지향형의 이용목적유형을 중심으로 이용행태와 소속감·신뢰도·자존감·만족도와 같은 정서요인의 차이를 비교분석한다. 첫째, 미디어 환경 변화와 이용목적에 따라 관계지향형은 수시로 사람들과 연락하고 관계유지를 위해 모바일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도에 있어서도 다른 두 그룹보다 참여도가 높았다. 가입 커뮤니티 종류에 있어서는 개인지향형의 경우, 팬카페, 정보지향형의 경우 경제정보, 관계지향형의 경우 오프라인의 지역 소속의 연장선상에서 지역 커뮤니티 가입률이 높다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관계지향형의 정서요인이 나머지 두 그룹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단지 필요한 정보만 취하고 마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현실공간에 이은 또다른 인간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가능성일 보여주었다. 즉,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핵심요소는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모바일로의 환경 변화, 정서적 측면에서는 관계 그리고 정보 신뢰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valuate the user"s awareness of the media expansion times through a comparison of use form and emotional factors for the type of purpose of the user of the online community. In particular, study of individual-oriented, information-oriented, relationship- oriented usage purpose type and emotional factors such as belonging, reliability, self-esteem, satisfaction.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oriented type heavy use of mobile for contact and relationships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purpose of use. In relation to emotional factors, emotional factors were strongly oriented relative. Showed taste and fun online community of communities, but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only to see that ending is not likely to actively seek another relationship following the real space 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