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요 사설과 향유 이야기의 결합

        박관수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0 No.-

        Folk songs are usually associated with onsite situations: work songs with the act of labor, ceremonial songs with praying rituals, and amusement songs with act of playing. Thus, one must include such associated stories and actions when discussing folk song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insight that folk songs have connections not only with their verses and onsite actions, but also with associated stories. Those associated stories are neither hidden meanings of verses nor onsite actions. They refer to the stories within the minds of singers pertaining to the related verses. Other researchers have not yet dealt with such associated stories. The author of this paper focused on whether associated stories exist. This paper deals with not only folk song verses and onsite actions, but also how they relate to associated stories. That is, researching on how they blend together and how the correlation chang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process as well. 민요는 사설과 현장적 상황이 결합되어 운용된다. 노동요는 노동 행위와, 의식요는 기원 행위와, 유희요는 유희 행위와 결합되어 운용된다. 그러므로 민요 연구는 사설은 물론 관련 행위들과 함께 논의되기 마련이다. 본고는 민요는 사설과 현장적 행위 이외에도 향유 이야기가 결합되어 운용된다는 현상에 관심을 집중한다. 이 향유 이야기는 사설의 이면적 의미도 아니고 현장적 행위도 아니다. 이는 해당 사설과 연관하여 가창자가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이야기를 의미한다. 민요는 일반적으로 단형이다. 이러한 형식적 제약으로 인하여 줄거리를 지닌 이야기를 민요 사설 안에 담기가 쉽지 않다. 즉, 민요 사설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가 민요 사설에는 드러나지 않고 향유자들의 마음속에 향유 이야기로 존재한다. 그러니까 민요는 사설과 향유 이야기가 결합되어 운영된다. 민요가 전승되는 동안 사설과 향유 이야기의 결합은 유지되기도 하고 해체되거나 변화되기도 한다. 본질적으로 민요의 향유 이야기는 당대에만 관련이 있고 지역성을 띨 수밖에 없는데, 민요의 전승되는 과정에서 시대가 변하고 지역이 확산되면서 향유 이야기가 변형되거나 탈락의 과정을 겪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이러한 향유 이야기에 대해 논의를 하지 않았다. 필자는 민요를 채록할 때 이러한 향유 이야기의 존재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 본고는 민요의 사설과 현장적 행위뿐만 아니라, 이들이 향유 이야기와 어떠한 연관을 가지며 민요가 운용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즉, 이들이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검토했고, 나아가 이들의 결합이 전승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되는 지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 KCI등재

        공동체 구술문화 이해를 위한 설화 향유 방법의 실제

        박현숙(Park, Hyeon suk)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0

        This study aims to seek the spontaneity that modern folktale enjoyers could dramatically create the storytelling site and the systematic way to restore the subjectivity of acceptance, inheritance and creation of folktales as a true storyteller. In this paper, the method of enjoying the folktale of each subject is suggest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case with the object that enjoys folktales directed at the subject of the folktale acceptance and creation. As a method of enjoying the folktales by the subject of acceptance, not only a way to enjoy listening to the folktales but also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torytelling site was suggested. While the existing Storytelling the old story focused on how , this paper focuses on where and presents different way of enjoying folktales in the outdoor and indoor spaces of the community area. How to actively enjoy the folktales in the community s local space: ① Enjoying the related folktales in the space that has sense of place of the community, that is, the transmitting place where evidence is present ② Enjoying the folktales of the subject matter related to the daily space of community ③ Enjoying the place of community region through a folktale experience. When enjoying a folktale in an indoor space, it is important to select a folktale that can attract the folktale listener s interest and increase their concentration. There are two ways to enjoy the folktales by selecting appropriate folktales to narrate the folktale with form a tailback( Kkokkomu ) and reflect the folktale listener s needs. There is a way to select the suitable folktale for the storytelling the story with form a tail back and to enjoy the folktale that reflects the listener s needs. The method of enjoying the folktale by the generative subject was applied to the field by designing the steps gradually so that the audience could grow as a messenger and producer of folktale. The process of enjoying the folktale by the generative subject was largely composed of three stages: understanding the folktale, application, and creation. The understanding stage of folktale is a process in which (a) the listener is interested in the folktale while they are listening the folktales and (b) listen to some of the narratives of the original folktale and confirm the original folktale after completing the narrative that will follow. The applying stage of the folktale is (c) the process of regenerating the folktale based on the fragment of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folktale and then confirming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original folktale. The creating stage of folktale is (d) the process of creating new folktales. The process of creating a folktale was structured to lead to the personal creation of the individual from the collaborated creation of form a tailback( Kkokkomu ) step by step. Creating a folktale with form a tailback( Kkokkomu ) defined in this paper means that the next person jointly writes the narrative paragraph following the narrative paragraph written by the previous person. Through the step-by-step process of enjoying folktales of comprehension, application, and creation, the folktale listener can learn the or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olktales and grow into a messenger and creator of the folktale. 이글은 현대의 설화 향유자들이 이야기판을 역동적으로 생성해 낼 수 있는 자발성과 진정한 이야기 주인으로서 설화 수용·전승·창조의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설화 수용 주체와 생성 주체를 설화 향유 대상으로 하여 각 주체의 설화 향유 방법을 제시하였다. 설화 수용 주체가 설화를 향유하는 방법으로는 설화를 듣는 즐거움과 함께 이야기판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면서 즐기는 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옛이야기들려주기’는 ‘어떻게’에 주목했다면, 이글에서는 ‘어디에서’에 주목하여 공동체 지역의 야외 공간과 실내공간에서의 향유 방법을 각기 달리 제시하였다. 공동체 지역 공간에서 설화를 능동적으로 향유하는 방법으로 ①공동체의 장소성을 지닌 공간, 즉 증거물이 있는 전승장소에서 관련 설화 향유하기 ②공동체 일상의 공간에서 그와 연관된 소재의 설화 향유하기 ③공동체 지역 공간에서 설화 체험을 통해 향유하기를 제시하였다. 실내공간에서 설화를 향유할 때는 설화 수용자의 흥미를 끌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설화 선정이 중요하므로 이글에서는 꼬꼬무 설화 구연에 적합한 설화 선정과 설화 수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설화 선정을 통한 향유 방법을 제시하였다. 설화 생성 주체의 향유 방법으로는 설화 수용자가 설화 전달자·생성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점층적 단계의 방법을 설계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설화 생성 주체의 향유 과정은 설화 이해→응용→창조 단계로 구성하였다. 설화 이해 단계는 ⑴설화 수용자가 설화를 듣고 설화에 흥미를 갖는 과정 ⑵원전설화의 서사 일부를 듣고 이어질 내용의 서사를 완성한 뒤 원전설화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설화 응용 단계는 ⑶원전설화의 서사단락 조각을 토대로 설화를 재생성한 뒤 원전설화의 서사구조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설화 창조 단계는 ⑷설화를 새롭게 생성하는 과정이다. 설화 생성하기 과정은 꼬꼬무 공동 생성하기에서 개인의 독자적 생성으로 이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설화 수용자는 설화 이해→응용→창조 단계의 설화 향유 과정을 거치면서 이야기 구술문화적 특성을 체득하고 설화 전달자·생성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 KCI등재

        20세기 중반 영덕・울진 지역의 고전소설 향유 양상

        권미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4 민족문화논총 Vol.56 No.-

        One had believed that the classic novels disappeared completely, by appearing the New-style Novels(신소설). But the users who enjoyed consistently the classic novel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trend reached the peak of his popularity in the moment when ‘YooK-Jeon novels(육전소설), that is printed novels, was published. Even the growth of readership was done also in the country where the traffics were inconvenient through the drifter bibliopoles. Especially in the Northern Kyeungpook, the classic novels was enjoyed popularly by individuals and groups until TV replaced the ludic cultures. Of cours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enjoyment modes by region. The people in Yeongdeok and Uljin who lived in the seashore and made their living from fishing enjoyed not the classic novels or the classic lyrics(가사).This was because they didn't have enough leeway in their households to enjoy them. They hadn’t been involved in th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single clan villages, though they lived in the same zone of life. And Uljin exchanged more with Gangwon-do than Yeongdeok. For all that, the users of the classic lyrics had a genre recognition between ‘the classic lyrics’ and ‘the classic novels.’ The classic lyrics were both the Yangban literature(양반문학) and the necessary cultures. It was common to Andong region. But the readers of the classic novels considered the novels just as ‘old tales.’ Especially for the aged men in Uljin, the classic novels were simply stories were handed down by tradition such as the folk-tales and legends etc. In conclusion, We can kn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enjoyment ways which the readers of the classic novels used,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신소설이 나오고 근대소설이 나오면서 고전소설은 완전히 사라진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1910년대 활자본으로 고전소설이 간행되면서, 근대적 유통체제를 갖춘 서적상에 의해 고전소설은 비로소 전국적인 보급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1920, 30년대에 가장 많이 팔린 출판물은 고전소설이라는 사실을 통해, 고전소설은 근대소설이 나타난 시기에도 여전히 가장 높은 인기를 누리는 소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전소설의 인기는 20세기 중반까지도 계속되는데, 특히 지방에서는 1970년대까지도 고전소설은 여전히 읽히고 있었다. 라디오와 TV가 보급되기 전까지 고전소설은 중요한 놀이문화의 하나였고, 이러한 양상은 경북 북부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이 논문은 20세기 중반 경상북도 영덕과 울진에서 고전소설이 어떠한 방식으로 향유되었으며, 그 특징은 어떤 것인가를 보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이 연구를 위해 2011년 4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영덕과 울진의 현지답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해서 이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1960년 후반~ 70년대 초반까지도 영덕과 울진 지역에서는 고전소설이 주된 서민 문화의 하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고전소설을 즐긴 사람들은 거주 지역이나 계층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도 이번 조사에서 밝혀졌다. 또한 고전소설은 가사와 함께 다루어야 한다는 사실도 이번 조사를 통해 얻은 수확이다. 영덕과 울진 지역에서 바닷가에 살거나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소설이나 가사를 향유하지 않았다. 이는 경제적으로도 심적으로도 소설을 향유할 여유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이들 어업 종사자들은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양반 집성촌의 사람들과는 교류를 하지 않았다. 반면 영덕 지역의 집성촌 사람들은 안동, 혹은 영덕 내의 다른 집성촌 사람들과 혼인이나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울진은 행정구역의 특성으로 인해 영덕 지역보다는 강원도와 좀 더 많은 교류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영덕・울진 지역에서는 가사 향유층에서는 ‘가사’와 ‘소설’에 대한 장르 인식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 이들에게 ‘가사’는 ‘양반문학’이면서 동시에 배우지 않으면 안 되는 부녀자들의 필수 교양이었다. 이는 안동 지역과 동일하다. 그러나 ‘소설’은 그저 ‘옛날이야기’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울진 지역의 노인들은 고전소설은 민담이나 전설과 같은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20세기 중반 영덕과 울진 지역에서 고전소설을 향유할 수 있는 방법은 개인적으로 시장에서 서점이나 책장수에게 책을 구입하는 것과 다른 사람에게 책을 빌려서 필사를 하는 것, 그리고 마을의 강독사를 통한 집단적 향유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이처럼 고전소설의 향유 방식은 지방의 특색, 지리적 조건 등에 따라 조금씩 그 양상을 달리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새흉내내는소리>의 일상생활에서의 역할

        박관수 한국구비문학회 2014 口碑文學硏究 Vol.0 No.38

        The verse of <Mocking the sound of bird-chirping> is short in length. Themeaning within is also extremely vague. For such reasons, quite possibly, therehasn’t yet been any research done on this matter. However, those verses havemore than just their contents on-scene. The singers bring with them certainstories associated with the verses. Thus, their true meaning can be conveyedonly when listeners understand the verses along with the stories. Although they are relatively short, verses of <Mocking the sound ofbird-chirping> utilize the senses as means of expression. While auditory sensestake the largest part, visual, sensory, olfactory, and gustatory senses are alsoused. The associated stories consist of facts and events which are intimatelyconnected with sensory images. In summary, <Mocking the sound of bird-chirping> applies sensory imageand detailed stories in onsite performances. As singers listen to and sing suchverses, this thesis deals with the impacts and influences of the verses on thesingers’ lives. <새흉내내는소리>의 사설은 짧다. 그리고 그 의미도 불명확하다. 그런 연유에서인지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런데 가창 현장에서 그 사설들은 그 문면적 의미만으로운용되지 않는다. 가창자들이 그 사설에 대해 지니고 있는 향유 이야기와 함께 운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사설들과 향유 이야기를 결합하여 이해를 할 때 그 의미는 풍성하게 살아난다. <새흉내내는소리>의 사설들은 짧지만, 대부분 감각을 주 표현 대상으로 삼는다. 대부분의 소리가 청각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시각, 촉각, 후각, 미각 등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향유 이야기는 구체적인 사실이나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여러 감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새흉내내는소리>는 감각과 실제적인 사건을 활용하여 사설을 구성한다. 감각에는 새소리를 지각하는 감각과 가창자들이 자신의 감각을 새에게 투사한 것이 있다. 그리고 실제적인 사건에는 현실적 삶에서 일어나는 일과 그에 대한 가창자들의 욕구나 감정이 들어 있다. 이와 같은 사설 구성은 가창자들이 <새흉내내는소리>를 통해 자신들의 욕구나 감정을 자각하고 개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결국 <새흉내내는소리>는 사람들이 ‘새’라는 매개물을 통해 자신을 드러내고 풍요롭게 삶과 접촉하는 수단이 됨으로써 현장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일조를 한다. 사람들은 <새흉내내는소리>를 통해 자신의 감각을 동원하고 감정을 투사하고 의미를 만들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새흉내내는소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마다 하나의 감각과 하나의 구체적인 사건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그렇지만 <새흉내내는소리>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장르 전체로 봐서는 매우 다양한 현실적 삶이 구체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니까 하나하나의 소리를 접할 때는 일부의 감각이나 하나의 구체적인 삶이 자극을 받겠지만, 여러종류의 소리들이 시차를 두고 재현이 되더라고 결국은 현장적인 삶이 전체적으로 자극을 받게 된다.

      • KCI등재

        설화의 창의적 이해·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웹툰 ≪실질객관동화≫에 나타나는 이야기 전승·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박유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4

        본고는 웹툰 ≪실질객관동화≫와 원텍스트인 설화와의 관계 속에서 이야기의 전승과 향유의 양상을 살펴보고, 웹툰을 활용한 설화의 창의적인 이해·표현활동을 구상해 보았다. 설화의 성근 줄거리와 구조의 단순성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그 틈새를 학습자의 체험과 욕망으로 메워가면서 자신만의 이야기로 새롭게 만들기에 적합한 갈래이다. 본고에서는 설화의 이러한 특성이 창의적인 이해·표현 활동에 적합한 대상으로 여겨, 설화를 창의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한 웹툰 ≪실질객관동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웹툰 ≪실질객관동화≫는 원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기존 설화의 변용, 창출, 재구성을 통해 관점의 전환과 확대를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창의적 이해 표현의 양상에 착안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5단계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기존의 것과 다르게, 넓게 해 주는 창의적 이해표현의 활동의 제재로 설화를 재조명하고, 이야기 전승과 향유의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설화의 구비문학적 요소를 충분히 드러내는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the sto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and its original texts, Korean folk tales, and came up with activities for the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Korean folk tales using Webtoon. The simplicity of the rough plots and structures of Korean folk tales imply the possibility of a wide variety of interpretations, so they are appropriate for turning into learners’ own stories, bridging the gaps with their experience and desire. This study considered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folk tales subjects appropriate for activities of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examined the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that understood and expressed the folk tales creatively. As a result the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was noted that it attempts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of perspectiv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Korean folk tales, centering around the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of the original text. This study proposed a five-step teaching method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spects of these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prepared a teaching method which would sufficiently show the elements of oral literature in Korean folk tale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folk tales as materials for the learners’ activities for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unlike the existing one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the stories.

      • KCI등재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전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월덕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91 No.-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into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that have been taken in process of oral storytelling resources to making cultural contents. There are three steps as follows : 1) discovery and preservation 2) planning and developing 3) use and spread. Firstly, I was to redefine oral storytelling as oral literature According to redefinition, that is oral narrativ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heritage. And digital archives structure of oral storytelling should be built for public use and approach. Secondly, in the step of planning and develop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ral storytelling should be a right storytelling for local residents to share and communicate each other. And I demonstrated that how we can use the local oral stories for a fast-growing performance contents recently. Thirdly, in the step of practical use and the spread I pointed out that data of oral story resources should be shared between users for publicness. Local stories should be reformed as learning and human knowledge.

      • KCI등재

        이야기공학으로서 스토리텔링학의 체계화를 위한 고찰

        안숭범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8

        For field specialists or researchers working at cultural contents industries ‘storytelling’ is classed as the most important tactical term. Lately internal academia’s discourse map about storytelling is getting very subdivided. This study generally examines formation process of discourse about storytelling between Anglo-American researchers, and prospects related internal researcher’s results in relative contexts. Through these process the internal Storytelling Studies’ current address, developing into to Story Engineering, and remaining tasks are reviewed. Storytelling Studies has not a few tasks to acquire autonomy as one efficient Story Engineering. Efforts in various angles should be supported to make interdisciplinary research features, as Storytelling Studies is consilience study that treats technology amalgamative area.

      • KCI등재
      • KCI등재

        구전 이야기 자원의 문화콘텐츠화 방향과 전략 - 전북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연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91 No.-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investigation into the principles and direction that have been taken in process of oral storytelling resources to making cultural contents. There are three steps as follows : 1) discovery and preservation 2) planning and developing 3) use and spread. Firstly, I was to redefine oral storytelling as oral literature According to redefinition, that is oral narrativ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heritage. And digital archives structure of oral storytelling should be built for public use and approach. Secondly, in the step of planning and developing regional characteristics of oral storytelling should be a right storytelling for local residents to share and communicate each other. And I demonstrated that how we can use the local oral stories for a fast-growing performance contents recently. Thirdly, in the step of practical use and the spread I pointed out that data of oral story resources should be shared between users for publicness. Local stories should be reformed as learning and human knowledge.

      • KCI등재

        정선아리랑의 감각적 가사가 가창자에게 미치는 심리치유적 효과

        박관수(Bak, Gwan-su)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논문에서는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게슈탈트 심리치유 이론을 원용했다. 정선아리랑에는 시각, 촉각, 청각, 미각, 후각 등을 드러내는 감각어가 있고, 여러 단어를 조합하여 감각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가사들이 있다. 이와 동시에 게슈탈트 심리치유의 주제어들인 욕구, 행위, 사회적 환경 등을 드러내는 가사들도 있다. 본고에서는 감각적 가사들에 논의를 집중했다. 이를 위해 어느 가창자가 자신의 소리를 녹음한 테이프를 자료로 선택했다. 이 테이프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소리에는 감각적 가사가 존재했다.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가사들을 지속적으로 접하면서, 자신의 감각을 자각한다. In this paper, Gestalt psychotherapy theori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Jeongseongarirang. In Jeongseonarirang, sensuous words that show sight, touch, hearing, taste, and smell, and there are lyrics that indirectly show senses by combining several words. At the same time, there are lyrics that show needs, actions, and social environments, which are the keywords of Gestalt psychotherapy theories. In this paper,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Sensuous lyrics. To this end, a singer selected a tape that recorded his songs as a material. Sensuous lyrics existed in all the songs contained in this tape. Play participants are aware of their senses while constantly encountering these lyr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