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여립 이야기의 전승 양상과 문화적 의미

        김월덕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2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Transmission of Tales of Jeong Yeo-Rip(鄭汝立) Kim, Wol Duk(Chonbuk National University)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stories that were recorded by historians and those that were orally transmitted about Jeong Yeo-Rip(鄭汝立, 1546-1589). Jeong was a literati thinker in the mid-Joseon Dynasty who later suspected of the ringleader of a treasonous disturbance in 1589. After comparing folk stories about Jeong with historical records, we can see how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stories and the common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passed on the stories about Jeong are related to the aspects of story transmission. 이 연구는 조선중기 기축옥사의 핵심인물로 지목된 정여립(鄭汝立, 1546-1589)에 관한 이야기가 문헌과 구전으로 전승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해석한 것이다. 또 구전되는 정여립 이야기가 지역에 따라 전승 양상이 달리 나타나는 요인을 그 지역의 문화적 배경 및 전승집단의 의식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관찬사서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문헌에서 정여립은 역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반면, 구전 이야기에서 정여립은 역적이기도 하고 영웅이기도 하다. 정여립 이야기가 구전으로 전승되는 주요 지역은 그의 출생지인 전주, 활동지인 김제, 사망지인 진안 등지이다. 정여립의 집안이 세거했던 전주와 완주 일대의 전승집단은 그의 역모를 역사적 사실로 인식하면서 정여립을 부정적으로 이야기한다. 이야기의 내용도 정여립의 음모나 악행 등을 중심으로 하여 역사적 기록의 지향성과 일치하며, 전승자들도 대체로 사실(史實)을 전한다는 태도를 취한다. 때로 정여립의 비범성을 이야기한 것도 있지만 ‘영웅’시 하지 않는다. 반면, 정여립이 ‘대동계’를 조직해서 활동했던 김제지역에서는 오뉘힘내기 등과 결합하여 정여립이 ‘영웅’으로 이야기되며, 전승자들은 허구적 진실을 전한다는 태도를 보인다. 진안에서는 단편적인 정여립 이야기뿐만 아니라 정여립 사건에 연루된 신원충이라는 진안의 인물의 이야기가 널리 전승되는데, 정여립과 신원충을 영웅으로 인식한다.정여립 이야기 전승이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은 전승 지역의 역사적문화적 배경과 전승집단의 인식의 차이 때문이다. 조선왕조의 발원지인 전주에서는 건국이념인 유교적 사상을 가장 크게 위배한 역적이 영웅이 될 수 없었다면, 전주에 근접한 지역이면서도 문화적 성격이 다른 김제지역, 특히 혁명적 사상의 모태인 모악산 일대에서는 진보적 사상가이자 활동가였던 정여립에 대하여 ‘그는 역적이 아니다’라고 항변하는 차원에서 나아가 영웅시된다. 정여립이 최후를 맞았던 진안지역에서도 정여립은 영웅으로 이야기된다. 진안지역에서는 이 지역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은 신원충이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여기에 풍수삽화가 결합하여 이야기 전승의 동력을 제공한다. 이런 양상들을 통해 이야기 전승이 지역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이야기 스키마와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심우장(Sim Woo-Jang)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6 No.-

        전승과 변이는 구비설화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이면서 또한 논의하기가 무척 까다로운 주제임에 틀림없다. 이는 채록되어 있는 자료들이 대체로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결과’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과 관점에 입각하여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과정을 이론화하는 시도를 하였다. 새로운 방법론은 ‘전승 실험’이다. 실제 설화를 단계별로 전승시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전승과 변이의 원리를 추적하는 것이다. 새로운 관점은 ‘이야기 스키마(Story Schema)’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다. ‘과거 경험의 능동적인 조직’을 뜻하는 스키마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이해된다. 여기에 기대면 설화의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전승 과정에서 이야기의 내용이 생략되거나 첨가되는 경우, 또는 이야기의 논리가 조정되거나 이야기의 내용이 확장 혹은 축소되는 경우에 이야기 스키마의 영향력이 일정 부분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설화가 고정적으로 전승되면서도 유동성을 가져 각편이 구연될 때마다 역동적으로 변이되어 나가는 과정에 이야기 스키마가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 variation is one of the reese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folk-tales have and one of the most difficult subjects which is discussed. Because folk-tales' texts to be collected don't show processes of a variation, but results of a variation. In this research, we try to introduce a new method and a new point of view and theorize to solve the problem. A new method is a 'experiment of transmission'. We will use it to find out the principles about folk-tales' variation and transmission. A new point of view is a 'story schema'. It is an active organization of past experiences. We think that understanding a story and reconstruction of it are greatly influenced by story schema. In the transmission, skipping and addition of contents, modification of story logics, and extension and reduction of stories are influenced by story schema. In addition, we can understand that a stationary characteristic, a fluid characteristic and a dynamic variation of folk-tales are based on the story schema.

      • KCI등재

        단종 죽음 관련 설화에 담긴 전승의식 연구 -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비교를 통하여

        이승민(Lee, Seung Mi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6

        본 연구는 단종 죽음과 관련된 문헌설화와 구비설화 분석을 통해 서사 속에 담겨 있는 전승자들의 깊은 감정과 역사의식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에서 단종 설화만큼 정치적 죽음이 서사화 되고 4-5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그렇기 때문에 단종 죽음 관련 설화 분석을 통해 전승자들의 의식을 알아내는 것은 역사적 상처의 치유 과정을 알아내는 것과 동시에 비극적인 역사를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깨달음을 얻는 중요한 작업이다. 단종 죽음 설화는 타살과 자살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이야기로 전승되고 있는데, 문헌설화에는 타살 이야기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구비설화에는 자살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2019년 현지조사를 통해 만난 화자들도 영월에서는 자살 이야기를 정설로 여기고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문헌설화가 주로 지식인들 층에서 작성되어 전승되고, 구비설화가 민중들 사이에서 전승되었음을 감안하면 당시 지식인들은 타살 이야기를, 민중들은 자살 이야기에 공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단종 죽음에 대한 이야기는 표면적으로는 타살과 자살의 두 가지 방향으로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지만 깊은 층위에서는 공통적인 의미를 발견하게 된다. 타살과 자살 이야기 모두 단종은 올가미에 목이 졸려 죽게 된다. 더군다나 단종의 목을 직접 조르거나 단종이 시킨 대로 올가미를 잡아당긴 사람은 단종을 가장 가까이에서 모시던 공생과 부엌떼기 등이다. 가장 가까이에 있는 사람이 단종의 죽음을 막지 못하고 오히려 올가미를 잡아당겨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다. 이는 단종을 지켜주지 못한 미안함, 내가 단종을 죽게 했다는 자기반성으로 볼 수 있다. 이야기 분석을 통해 타살 이야기를 통해서는 잔인한 권력에 대한 민중의 비판의식을, 자살 이야기를 통해서는 단종에 대한 포용과 애도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헌설화와 구비설화를 아울러 깊은 층위에는 당시 사람들의 자기반성적 역사의식이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의는 단종 죽음 설화에 담긴 인생사의 진실, 전승자들의 감정과 역사의식을 찾아내는 작업으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역사와 이야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아픈 역사에 대한 애도 과정의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ncovers the deep feeling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contained in the narrative through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oral history related to Danjong s death. It is rare in Korean history that political death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to 500 years after it has been written as Danjong s tale. That is why it is an important task to find out the consciousness of the vi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rrative concerning the discontinuation of death, while at the same time finding the healing process of historical wounds. It is also about realizing that tragic history should not be repeated. The story of Danjong s death is passed down to two kinds of stories: murder and suicide. In literature there were overwhelmingly many stories of murder, and oral tales were mostly suicide stories. Additionally speakers who met through a field survey in 2019 said that they considered suicide stories as an established theory in Yeongwol. Given that the literature was written and handed down from the intellectual class, and that the oral tradition was passed down among the people, it is apparent that the intellectuals shared the story of murder and the people shared the story of suicide. The story of Danjong s death is like to that of a murder or suicide. In both cases, discontinuation was to death by the noose. Furthermore, the man who strangled Danjong himself or pulled the noose as Danjong ordered was a symbiosis and kitchen sheath that served Danjong closest to him. The nearest man could not stop Danjong from dying, but rather pulled the noose to death. This can be seen as an apology for not keeping Danjong and self-reflection for letting him die. Through story analysis, the public s criticism of brutal power was realized through the story of murder, the story of suicide showed the people s tolerance for discontinuance and condolences. Furthe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oral tradition revealed the self-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of the time.

      • KCI등재후보

        산청군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이야기판에 대한 접근방식

        박기현(Park, Ki-hyu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3 民俗硏究 Vol.0 No.26

        본고에서는 산청군 지역의 현장조사 경험과 자료를 바탕으로 설화의 전승적 특성과 이야기판의 변화상, 그리고 이에 따른 연구자의 대응 방법을 고민해 보았다. 이 지역의 설화 전승 환경에서는 특히 자연적 연행 공간의 부재가 두드러진다. 전승의 기본 바탕이 되는 공간의 부재와 이에 따른 문제점은 비단 산청군만의 문제는 아니며, 오늘날 구비문학이 처한 공통의 고민거리이기도 하다. 또 전승 집단의 측면에서 볼 때 산청군은 이야기꾼(storyteller) 을 만나기 어려운 척박한 지역이다.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을 따지기 이전에 기본적으로 절대적인 수가 적다고 할 수 있다. 이야기꾼의 사라짐은 곧 이야기 자체의 사라짐을 뜻한다. 이는 전설의 급격한 쇠퇴 같은 전승 자료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이야기판 자체가 소멸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산청군 자료에서 눈에 띄는 것은 민담과 경험담의 증가이다. 이야기판에서 경험담이 중요한 것은 전통적 이야기판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도 얼마든지 이야기꾼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점이다. 경험담이 많이 구연된다는 것은 이야기의 성격은 달라졌지만 이야기 자체의 가치는 여전히 살아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경험담의 구연은 이야기를 통한 경험의 의미 찾기 과정이며, 그 속에는 세계를 이해하는 오늘날의 방식이 담겨 있는지도 모른다. On the basis of experiences and data derived from a field survey on the Sangcheong County, South Kyeongsang Province,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take a look at in the transmission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narratives of the region and changes in the narrative fields, which the research tried to work out a strategy to cope with. The region’s environment where the narratives have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s, to begin with,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the natural space of performance. Both the absence of the space which functioned as the essential base of transmission and problems with it are not only the concerns of Sancheong Country, but also those of today’s oral-tradition literature. Next, Sancheong County is a barren region, where it is hard to encounter storytellers, in terms of a transmission group. It can be said that the absolute number of storytellers in the area is few, not to mention their quality. The disappearance of a storyteller means that of his or her story itself, which affects a change in transmitted data like a remarkable decline in legend. However, it cannot be assumed that the narrative field itself has gone out of existence in spite of these problems. What is noticeable with regard to data from the area is an increase in fictional narrative and actual narrative. The reason for the significance of actual narrative in the narrative field is that even people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traditional narrative field can be endowed with ample possibilities for becoming storytellers. The fact that experiences are richly narrated also refers to the living value of stories in themselves,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ies have differed. The narration of one’s experiences is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 a story, which may contain today’s vehicles for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world.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비설화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와 그 의미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를 대상으로

        한유진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8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and meaning of narrative interests of the whole tradition group and the tradition group according to gender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 targeting each 26,542 oral narratives in the digital archive of 〈Korea Oral Literature Daegye〉. For this purpose, the noun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morphemes from the titles of 26,542 oral narratives using the Mecab class of the KoNLPy package, and then the high frequencies were extracted using the Counter class of the collection package. As a result, looking at the 30 nouns occupy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oral folktale tradition group consists of ‘the story of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the tale of the ‘tiger’, the story of the ‘goblin’, the narrative showing the ‘relationship of family relationships’, ‘wealth, filial piety, fortune, it is confirmed that he mainly told stories about the values ​​pursued by humans’, such as famous places. The result of the most oral tales of ‘place name origin’ shows that the narrators perceive ‘story that is worth investigating’ as a place name origin story. The story of ‘Tiger’ brought laughter to the enjoyment class and revealed the value of ‘filial piety’. The story of ‘Goblin’ is a means to satisfy ‘story pleasure’ by conveying the fictional situation in the story as if it were a real event and arousing interest to the enjoyment class to feel ‘creep’ or to solv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explain in reality. it became. Among the stories that show ‘family relations’, in particular, the story about ‘daughter-in-law’ was overwhelmingly told, which shows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that causes the most conflict in reality is that surrounding the daughter-in-law. Nouns such as ‘son’, ‘myeong dang’, ‘filial piety’, ‘rich man’, ‘grave’, ‘blessed’, ‘filial piety’, etc. It shows that he cares about ‘filial piety’ above all other ideologies. The character’s earnest wish for this is shown to be realized through ‘Myeongdang’, and it can be interpreted in this context that many stories about ‘myongdang’ and ‘grave’ are handed down. Meanwhile, narrative interest according to gender was examined through 15,088 stories told by 2,916 male narrators and 7,467 stories narrated by 2,004 female narrators. Male narrators recounted many stories about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and female narrators enjoyed telling stories that showed problems between families. This shows that the lives of female speakers are focused on ‘in the home’ with a ‘family’, which is different from male speakers who enjoy telling stories about ‘Park Moon-soo’, ‘Middle’, and ‘Jeong-seung’ and expand their area of ​​interest outside the house. will be. 본고는 〈한국구비문학대계〉 디지털 아카이브에 DB화된 구비설화 각편 26,542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전체 전승집단과 젠더에 따른 전승집단의 이야기적 관심사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KoNLPy 패키지의 Mecab 클래스를 활용하여 구비설화 26,542편의 제목에서 형태소를 분석하여 명사를 추출한 후 collection 패키지의 Counter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위 빈도수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상위 빈도수를 차지하는 30개의 명사를 통해 살펴보면 구비설화 전승집단은 ‘지명유래담’, ‘호랑이’ 설화, ‘도깨비’ 이야기, ‘가족관계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서사, ‘부‧효‧복‧명당 등 인간이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이야기들을 주로 구연한 것으로 확인된다. ‘지명유래담’이 가장 많이 구연된 결과는 화자들이 ‘조사할 가치가 충분한 이야기’를 지명유래담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호랑이’ 이야기는 향유층에게 웃음을 주고 ‘효’를 중시하는 가치를 드러냈다. ‘도깨비’ 이야기는 이야기 속 허구적 상황을 실제 사건인 것처럼 전달하여 향유층에게 ‘오싹함’을 느끼게 하는 흥미를 유발함으로써의 ‘이야기적 쾌락’을 만족시키거나 현실에서 설명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명하기 위한 수단이 되었다. ‘가족관계’를 보여주는 이야기 중에서는 특히 ‘며느리’ 소재 설화가 압도적으로 많이 구연되었는데 이는 현실에서 가장 갈등을 발생시키는 가족관계가 며느리를 둘러싼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들’, ‘명당’, ‘효자’, ‘부자’, ‘묘’, ‘복’, ‘효부’ 등의 명사는 전승집단이 대를 이을 ‘아들을 출산’하고 ‘부자’가 되는 것에 가장 관심을 두고 있으며 다른 여러 이념보다도 특히 ‘효’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인물의 간절한 염원은 ‘명당’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명당’과 ‘묘’ 소재 설화가 많이 전승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젠더에 따른 이야기적 관심사는 2,916명의 남성화자들이 구연한 15,088편, 2,004명의 여성화자들이 구연한 7,467편의 각편을 통해 살펴보았다. 남성화자들은 지명유래담을 많이 구연하였고 여성화자들은 가족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보여주는 이야기들을 즐겨 구연하였다. 이는 여성화자들의 삶이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가정 안’에 집중된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박문수’, ‘중’, ‘정승’ 소재 이야기를 즐겨 구연하며 관심의 영역을 집밖으로 확대하는 남성화자들과는 다른 것이다.

      • KCI등재

        조선족 이야기꾼 박병대 연구

        노영근(Noh, Young Ke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3 No.-

        이야기꾼 연구가 갖고 있는 현실적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조선족 이야기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녕성 성급비물질문화유산인 철령조선족민간문학의 대표성전승인인 박병대에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이다. 그는 부모가 모두 유능한 이야기꾼이었다. 특히 아버지는 가정 뿐 아니라 이웃 마을을 다니며 이야기판을 벌이는 유능한 이야기꾼이었다. 이러한 이야기 유산은 박병대에게 그대로 이어졌다. 그의 생애는 이야기와 교사라는 두 단어로 정리할 수 있다. 아버지에게 전해받은 이야기 유산을 잘 보존하여 유능한 이야기꾼으로서의 자질을 갖춘다. 이와 함께 교사라는 사회적 지위는 그를 지역 사회의 존경받는 인물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요인이 결합하여 그는 강력한 권력을 갖는 이야기꾼이 될 수 있었다. 박병대의 이야기 세계는 인물담을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구연한 자료중 2/3가 인물의 일화에 해당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일상 언어를 사용하여 조선시대 인물들의 일화 중 지혜담에 해당하는 것을 구연하는데 특히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일상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경상도 방언을 기반으로 한 평안도 방언과 중국어 단어가 혼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조선족 언어의 일반적인 측면이기도 하다. 이러한 박병대의 사례를 통해 집단 이주로 이야기의 전파가 이뤄진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또한 이야기꾼이 강력한 권력을 갖을 때, 이야기판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는 것과 이야기꾼의 유지를 위해 사회적 노력이 필요함을 실증하였다. In order to overcome a limit of study on story-teller, we have to focused on Chaoxianzu’s stoty-teller. That is why we focused on Park, Bing-da, who is representative story-teller of Chaoxianzu’s folkliterature in Liaoning, China. His parents were capable story-teller in both. Especially, Not even a family but also neighber town, his father was tell the story. These heritige was hand down to Park, bing-da. His life can abstract by two words:narrative and teacher. He has a capable qualification on the story-telling. And the same time, He was a teacher of Chaoxianzu school. So the two element make him a powerfull story-teller in Chaoxianzu society. He tell the story about human who live in Chaoxian dynasty. He tell a 162 story and 2/3 is episode of notability. He use a general language in story-telling, and so, his language has three aspects:Kyungsang dialect, Pyungan dialect, and Chinese. This aspect also the general aspect of Chaoxianzu’s. We can prove the fact that story was transmitted by mass migration. And when story-teller has a powerfull right about the story-telling, the story-telling situation can be stabled.

      • KCI등재

        지역에 따른 <손병사 이야기>의 전승 연구

        황은주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손병사 이야기>는 손씨 성을 가진 병마절도사에 관한 이야기다. 일반적으로 이야기판은 혈연과 지연 등 오랜 기간 축적된 관계망을 토대로 만들어지는데, 특히 <손병사 이야기>는 지역 사회와 이야기 속 인물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이야기판의 여러 조건이 상호 작용하는 양상 또한 첨예하게 나타날 수 있는 자료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일직손씨의 연원과 <손병사 이야기> 간의 관계를 재고하여 지역에 따른 이야기 전승 양상을 비교하였다. 아울러 <손병사 이야기> 내용이 이야기판에서 연행자의 성격과 상호 작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Tales of Son Byeong-sa is a narrative of a military commissioner whose family name was Son. A storytelling context is generally made on the base of long accumulated relationship network of blood ties or regional relation, and as a narrative of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a community and the character in the narrative, the Tales of Son Byeong-sa shows a sharp interaction aspect between many conditions of storytelling context in the course of the narratives performance. Therefore, this is compared the aspects of the tradition of the tales of Son Byeong-sa according to region by re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origin of Sons from Iljik and the Tales of Son Byeong-sa. And contents of the Tales of Son Byeong-sa examined a interactive aspect with performers' personality at storytelling contents.

      • KCI등재후보

        양주지역 설화의 전승양상을 통해본 이야기문화의 현황과 향방

        강진옥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7

        The Status and Direction of Story Culture Represented in the Transmission Pattern of Folk Tales in Yangjoo ProvinceKang, Jin-Ok(Ewha Wowans university)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study on samples of two Eups one Myeon in Yangjoo area - Joonae Eup, Baikseok Eup, Kwangjeok Myeon. The field study was carried on for 20 days in more than 10 sessions by 15 resear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sidents of the area whose ages range from 10 to 80s. By the result of this field study, more than 330 pieces of legends and folk tales and numerous cases of personal stories were gathered. 이 연구는 설화의 현재적 전승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주지역의 3개 읍면을 표본집단으로 삼아 현지조사한 성과를 토대로 하여 이루어졌다. 전설의 전승은 80대부터 60대에 이르는 노년층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거주지역이 중심이 된 지명 유래가 주를 이루었다. 전설 전승은 쇠퇴했지만, 전설적 관심은 전세대에 걸쳐 귀신이나 도깨비 등을 비롯한 ‘기이’를 주조로 하는 새로운 이야기형태로 자리바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민담의 전승은 60-80대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연령층에 따른 이야기문화의 향유방식에서도 일정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50대 이하 세대가 이야기문화의 전통단절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었음에 비해, 청소년들의 구연목록이 다양하고 풍부하다는 사실은 이야기문화의 향방에 접근하는 중요한 단서를 보여주고 있다. 이야기문화는 현대의 문화적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TV, 인터넷, 동화책 등등 매체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재편되어야 하리라는 것이다.오늘날 변화된 문화적 환경 아래서도 인간의 삶과 함께 해왔던 이야기문화의 가치와 의의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그것을 현실문맥에서 구체화하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이야기문화가 우리의 삶과 문화 안에서 재현될 수 있도록 교육이나 활용에 깊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에는 설화의 문화적 가치를 깊이 인식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역할이 중요할 것인데,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교육 또는 이야기문화체험 프로그램이나 문화콘텐츠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이루어내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일본 근세 ‘이야기’의 전승과 지식 -설화문학 연구방법론 및 전승의 상상력에 관한 시론-

        양성윤 한국일본어문학회 2023 日本語文學 Vol.99 No.-

        이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학술용어로 개념규정이 불안정한 '설화'라는 갈래에 관해 기존의 연구방법론을 검토하면서 전승성과 허구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여러 장르 속에서 다양한 표현양식으로 생성된 옛 ‘이야기’들을 분석하기 위한 시좌를 구성했다. 본론에서 제시한 세 가지 시좌의 입각점은 동시대 세태에 관한 사건들을 기록하고 문예로 표현하는 전승 행위(텍스트 생산)에 있어 선행하는 ‘범인간적 흥미와 보편성의 화제'인 '고토'를 어떻게 재인식하고 <전승의 상상력>을 어떻게 활성화하여 당대의 '문제적 자화상'을 형성시켰는지 탐구하는 것이었다. 생성된 이야기가 표현의 층위(의미의 재현체계)를 어떻게 새롭게 획득하는지 파악하는 것에 주안을 두고, 한 도막의 이야기를 하나의 담론적 실천으로 간주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전승의 상상력-표현의 층위(가능성)-사회적 담론실천’이 서로 어떻게 상관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이다. 이런 관점에서 명녀정비(名女情比) 와 색도대경(色道大鏡) 에 수록된 구모이의 신주사건이 이질적 매체 속에서 어떻게 항설로 되었는지 소묘했다. 또 제염대감(諸艶大鑑) 권7의 제4화「버려진 종이를 실마리로 찾은 상념의 숙소(反古尋て思ひの中宿)」를 예로 들어, 와카와『다케토리 이야기(竹取物語)』및『이세 이야기(伊勢物語)』등 아문맥(雅文脈) 속에서 세련되어 온 <전승의 상상력>이 동시대 유곽 놀이에 관한 지식/정보와 어떻게 상관하며 이야기가 생성되는지를 밝혔다. 이로써 애초에 이야기가 지닌 매력을 부각(浮刻)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methodology of researchi on the nature of the genre "tale“ which has unstable conceptual reference as an academic term,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transmission and fiction and develop a research perspective to analyze texts created by various expressions. The three research methods presented in the text are intended to explore how to reacknowledge the “KOTO(こと)” related to the “topic of pan-human interest and universality” that records events related to contemporary customs and social conditions and expresses them as literature. A story based on contemporary events should be analyzed as a rhetorical practice in terms of the response to and recognition or reinterpretation of the preceding expression, focusing mainly on how the generated story acquired it’s layers (possibilities). It will be a task to determine how the imagination of transmission, stratification of expression (possibility), and speech practices are related.

      • KCI등재

        민요의 전승과 전이 과정 연구

        박선애 ( Park Seon-ae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8

        필자는 1920년대 근대 대중매체인 ≪중외일보≫에 실린 자료를 중심으로 민요 관련 전승 이야기(Narrative)의 유형과 이 이야기(Narrative)의 민요 전이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민요 관련 전승 이야기(Narrative)는 사설의 내용면에서 `개인형 이야기` 두 작품과 `공동형 이야기` 두 작품으로 분류되었다. 개인형 이야기에 해당하는 노래에는 <메나리꽃아 메나리꽃아>와 <울아버지 가는길엔>가 있고, 공동형 이야기에 해당하는 노래에는 <吉州明川 가는배장수야>와 <네놈이 倭將 『淸正』이 아니냐>가 있다. 다음으로, 민요 관련 전승 이야기(Narrative)를 통한 민요 전이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는 첫째, 창자는 이야기 또는 대상(사회상, 풍속 등)을 정한다. 둘째, 숙련된 창자는 필터링(Filtering)을 거쳐 핵심어(Keyword)를 선택한다. 셋째, 핵심어(Keyword)를 선택한 숙련된 창자는 내용을 압축(Compression)하여 율격과 주제 진술을 나열한다. 넷째, 숙련된 창자는 압축한 율격과 주제진술을 장르 관습에 따라 구연한다. 이를 바탕으로 <울아바지 가는길엔>을 적용하여 보았다. 이는 설화가 민요화될 때 장르 전환이 일어나는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 have looked around the transition process of folk songs and related narratives centering on the materials on the ≪Jungoe Ilbo≫ a modern mass media in the 1920`s. The result is like this. First, in the type of folk song related transmitted narrative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individual type` works and two `public type` works. The individual type songs are < Maenari-flower, Maenari-flower > and < On the Road My Father Go >. The public type songs are < The Pear Dealer Going to Gilju-Myeongcheon(吉州明川) > and < Aren`t You the Japanese General Kiyomasa 「淸正」 >. Next, I have looked around the transition process of folk songs through transmitted narratives related with folk songs. In this process, firstly the singer fixes the narrative or the object(social aspect, customs, etc). Secondly the skilled singer selects the keywords through filtering. Thirdly after choosing the keywords, the skilled singer compresses the content and arranges versification rules and content statements. Fourthly the skilled singer recites the compressed versification rules and content statements according to the genre custom. On the base of this < On the Road My Father Go > was tried.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model of genre change when a tale becomes a folk s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