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정래필(Jeong, Rae-Pil)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이야기 전달 매체 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 형성과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김경철(Kim Kyung-Chul),장연주(Chang youn-ju),홍정선(Hong Jeong-S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이야기 전달매체(그림책, 그림책비디오) 유형이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 형성과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A(그림책집단) 유아 13명, 실험집단 B(그림책비디오집단) 유아 13명 총 26명이다. 실험집단 A는 그림책으로 이야기를 들었으며, 실험집단 B는 그림책비디오로 이야기를 들었다. 그 결과 첫째, 그림책과 그림책비디오 모두 유아의 이야기 구조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중 그림책이 그림책비디오보다 이야기 구조 개념 발달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과 그림책비디오 모두 유아의 상상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특정 매체 유형의 이야기 경험 보다 다양한 매체 유형의 이야기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의 논리적이고 창의적인 언어능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y delivery media types on young children's narrative structure and imagina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picture book group) in this study were 13 children in a kindergarte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B(videos on based picture book) were 13 children in a kindergarten. All participants were 26 children. Experimental group A was listened by picture book and Experimental group B was viewed by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picture book and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were positively effective for children's narrative structure. Picture book was more effective than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for children's narrative structure. Second, picture book and videos based on picture book were positively effective for children's imagination.

      • KCI등재

        이야기그림책 읽기의 敍事敎育 內容 硏究

        정래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6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4 No.3

        This paper reports narrative picture books to the sub-genre of narrativ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how to read the method of narration and discourse of the story. Each of them a story and discourse shown in the picture and story to story writing were analyzed. The story refers to the ‘content’ of the story, discourse refers to a ‘method’ of delivering its contents. Visual and verbal narrative have a different way of structuring a nuclear event and satellite events. Therefore, the reader should be able to infer the contents of the omitted par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nd narrative information how the two events in the bonding and integration of each story. Verbal narratives mainly through the narrator, picture story will tell a story through focalization. The reader can evaluate the attitude of the narrator through the narration and focalization. Reading books is a hermeneutical cycle. After reading the text, the reader can expand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by applying it to their own experiences and the world. 本 論文은 이야기그림책을 敍事의 下位 장르로 보고, 스토리의 敍述 方式과 談論 生成의 觀點에서 이야기그림책 읽기 교육의 내용을 검토했다. 특히 스토리와 談論 관계를 통해 서사의 작동 방식을 탐구한 構造主義 敍事理論과 讀者 中心의 解釋學을 참조하여 이야기그림책 읽기교육의 성취기준과 內容要素를 탐구했다. 이야기그림책은 글 이야기와 그림 이야기를 동시에 지닌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이야기그림책 독자는 이야기 세계를 이해하고, 담론화 과정에 나타난 의미를 탐색하고, 독자 자신의 삶에 텍스트의 의미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먼저 이야기 세계의 이해를 ‘事件 展開 方式 把握’과 ‘省略된 內容 推論’ 등으로 나누어 제시했고, 담론화 과정에 나타난 의미 탐색을 ‘이야기 傳達 方式의 確認’과 ‘選擇한 情報로 意味 探索’ 등의 관점에서 검토했다. 마지막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독자의 삶에 適用하는 방법을 탐구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각각의 과정에 필요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교육의 成就基準과 內容要素도 함께 제시했다.

      • KCI등재

        그림책의 콘텐츠 활용 연구

        우현옥(Woo, Hyoun-Ok),이건웅(Lee, Gun-Woong)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급속하게 성장한 우리 창작 그림책의 다양한 콘텐츠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조화를 이루어 각 장면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어느 장르보다 OSMU로 전환이 용이하다. 이야기가 재미있고, 캐릭터가 살아 있다면, 그림책은 종이책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낸다. 분량의 제약이 강한 장르적 특성상 그림책에서는 다 하지 못한 이야기를 영상예술과 결합하여 더욱 풍부하게 재생산해낸다. 반대로 이야기가 독자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캐릭터의 매력이 없다면 아무리 좋은 글과 그림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다양한 콘텐츠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국내 창작 그림책의 한계로도 지적되는 ‘이야기 부재’를 극복하고 국내 아동문학에서 가장 성공적인 사례 중의 하나인 백희나 작가의 『구름빵』의 콘텐츠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구름빵』의 캐릭터 확장을 통해 서사를 발전시킨 것에 주목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는 앞으로 우리 그림책이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해서 보다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utilization of various contents in the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which have a rapid growth since 2000’s. It is easier to convert picture books into multi-media than any other literature genre because scenes are composed with harmony of writing and picture. If a picture book has interesting stories and attractive characters, it can voyage through a lot of new contents beyond paper books. With the combination of picture book and media art, we can reproduce plentiful stories which can’t be written due to the strong quantity constraints of picture book genre. However if there are no interesting stories and attractive characters in picture books, it is impossible to convert picture books into various contents although those have highest quality of writing and picture. This paper survey the most successful utilization of contents of “Cloud Bread” written by Huina Baek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hich overcame the absence of story, the limit of Korean creative picture books. Especially we examin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characters of “Cloud Bread” on story development. This concerns with the purpose of various utilization of contents through the production of interesting stories and creation of attractive characters.

      • KCI등재

        여성 노인 독자의 그림책 독서 활동에 나타난 집단적 자기서사 연구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문학치료연구 Vol.47 No.-

        이 논문에서는 그림책 독서 활동을 일종의 ‘이야기판’으로 보고, 이 공간에서 이루어진 이야기 소통 방식을 ‘집단적 자기서사’로 해석하였다. 여성노인 독자는 그림책 독서 활동에서 다음과 같이 집단적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1) 참여자는 이야기꾼이자 청중이 되어 협력적으로 이야기를 만든다. 참여자간의 동질감과 공유할 수 있는 경험이 자기서사의 요건이 된다. 2) 이야기꾼의 구술 생애담에 청중이 개입하여 이야기를 함께 만든다. 이야기꾼은 ‘이야기되는 나’를 행위의 주체자로 묘사하여 당시의 상황을 해석하고, 그가 무엇을 생각했고,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는 ‘이야기하는 나’의 시점에서 설명한다. 청중은 구술 생애담에 대해 질문과 평가를 하면서 이야기의 완결성을 높인다. 집단적 자기서사에는 이와 같은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백세 시대를 앞두고 노인들이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노인들을 위한 이야기판이 필요하다. 독서 모임은 책을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야기판을 펼쳐 참여자간의 동질감과 공유된 기억을 활성화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논문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문학치료 방법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a book circle regarded as a type of “storytelling site”, and the story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space is interpreted as “collective epic of self”. The elderly women at the book circle produced a story together as follows: 1) The participants become storytellers and audiences and completed one story cooperatively. The story is made from the sense of identity and shared experiences of participants. 2) The storyteller composes her oral life stories with the help of the audiences. The storyteller describes the situation of the time by describing the narrated narrative as the subject of the narrative, and explains what she thought and why she acted in the narrative. The audience improves the final story by questioning and evaluating the life story. Thus, a collective epic of self have two ways in the above. For someone to be physically and mentally healthy at the age of 100, a storytelling site for the elderly is needed. A book circle is a space where storytelling naturally unfolds, centering on the book, and it can activate shared feelings and memories among participants.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demonstrate a method of the literary therapeutic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정보그림책 혹은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쓰기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찬숙(Lee Chan-Sook),조경선(Cho Kyung-Se),현은자(Hyun Eun-J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7

        본 연구는 정보그림책 혹은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이 유아의 쓰기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강동구에 소재한 A, B, C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6명(실험집단 A와 실험집단 B, 통제집단 각 12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을 주 1회씩 10주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A는 이야기그림책을 읽은 후 쓰기를 하였고, 실험집단 B는 정보그림책을 읽고 난 후 쓰기를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정규 어린이집 보육과정에 따른 평소의 일과활동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보그림책 혹은 이야기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이 표기능력, 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 글 구성력 등 유아의 기초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이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 보다 그림?말?쓰기의 협응성, 쓰기의 유창성, 쓰기의 상세성의 쓰기능력 증진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그림책 혹은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문학프로그램 모두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야기그림책을 활용한 쓰기가 정보그림책을 활용한 쓰기보다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ffective the literature program using IPB or NPB to help writing activities for preschoolers is on the improvements of preschoolers’ writing ability and in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children at the age of five(12 of experimental group A, 12 of experimental group Band 12 of control group), who are the member of childcare center located in Gangdong-gu, Seoul.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program using picture book has been operating for 10 weeks, once a week. 12 of experimental group A are led by writing after reading NPB, while 12 of experimental group B are led by writing after reading IPB. For the control group, regular childcare program has been run without any change. The result of this as follows : First, the literature program using IPB or NPB can improve basic writing ability for preschoolers such as spelling, vocabulary, sentence and structure. Second, in point of improving co-working among drawing, speech and writing, fluency in writing and details in writing, the program using NPB is more effective than using IPB. Third, both of writing activities have been brought success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but it shows that writing using NPB is mor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i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an writing using IPB.

      • KCI등재

        그림이야기책의 전달형태에 따른 유아의 이야기 인식 능력과 이야기 다시 말하기 능력 비교

        유구종 ( Ku Jong Yoo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육활동에 있어서 컴퓨터 그림이야기 책이 활용될 경우 인쇄그림이야기 책만큼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인쇄그림이야기책 활동 집단과 컴퓨터그림이야기책 활동 집단으로 무선배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이야기 구성요소 검사에 있어서는 인쇄그림이야기책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야기 다시 말해보기 검사와 이야기 회상 그리기 검사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if children`s responses to stories delivered by a computer are similar to children`s responses to stories read by a human reader. Story book reading to children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a predictor of later success in reading. Since reading to children is such an important event, it would be efficacious for teachers to spend as much time with this activity as possible. But teacher time is and always has been a precious and scarce commodity. The electronic storybook may be one tool that can simulate the read aloud story by a human reader. If the electronic story can serve to provide some of the elements derived from a human book reading experience, then time spent with these electronic stories can give children some building blocks that will aid in their acquisition of literacy. A posttest experimental group design was used to compare children`s responses to stories delivered by a computer and children`s responses to stories read by a human reader. The study employed a 2(picture storybook mode)×2(time) ANOVA with one between subjects factor (picture story book mode) and one within subjects factor (time). Participants were 40 six year olds, 20 boys and 20 girl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al aloud picture storybook group (20) and Computer picture storybook group(2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young children`s ability in Story elements measures were different by each picture story book mode. 2. The young children`s ability in Story retelling evaluation were not different by each picture story book mode. 3. The young children`s ability in Drawing recall evaluation were not different by each picture story book mode.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만들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내러티브 탐구

        송서정,박혜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s of young children in creating a story through picture book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8th and November 30th, 2018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 a research journal and a story note made by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finds that the narrative of children i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processes: meeting with the main character of the picture book, reproducing the experiences of my life and finding a solution in the story. The young children copied the story of picture books while building their own world of stories. They also reconstructed the contents by connecting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they made stories richer through imaginative narratives using various words. Through these studies, creating a story through picture books provided the young children with an incentive to make stories and a chance to develop into story writers by continuing their intere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narratives of young children in creating a story through picture books. Participants were 8 four-year-old children of the same clas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8th and November 30th, 2018 and the collected data include a research journal and a story note made by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is study finds that the narrative of children is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processes: meeting with the main character of the picture book, reproducing the experiences of my life and finding a solution in the story. When children were reading the picture book together, the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while creating a storyline. The young children copied the story of picture books while building their own world of stories. They also reconstructed the contents by connecting their experiences. In addition, they made stories richer through imaginative narratives using various words. Through these studies, creating a story through picture books provided the young children with an incentive to make stories and a chance to develop into story writers by continuing their interest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만들기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참여유아는 만 4세 학급의 유아 8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10월 8일에서 11월 30일까지이며, 수집한 자료는 유아들이 만든 이야기 활동기록물, 연구일지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책을 통한 유아의 내러티브는 그림책 주인공과 만남 이어가기, 내 삶의 경험들을 재현하기, 이야기 속에서 해결방법 찾기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유아들은 그림책을 읽고 함께 이야기를 만들면서 서로가 서로의 반응을 이끌어 주는 모습을 보였다. 유아들은 그림책의 이야기를 모방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구축하고, 자신들의 경험을 연결시켜 내용을 재구성하기도 하였다. 또한, 다양한 어휘를 사용한 상상적 내러티브를 통해 이야기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림책을 통한 이야기만들기는 유아에게 이야기를 만들고자 하는 동기를 제공하고, 흥미를 지속시켜 주어 이야기를 창조하여 능동적인 주체로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숙이(Kim, Sook-Yi),신애선(Shin, Ae-S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9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I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의 유아 36명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을 14주 동안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동일한 갈등상황이 내포된 그림책을 읽어주었으나 이야기꾸미기는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이야기책의 갈등상황에 따른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언어능력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이 시사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In this study, we explore and demonstrate the effects of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nd linguistic ability based on story production of picture-story boo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6 children at the age of 5 attending a nursery school located in J city, Junrabuk-do, South Korea.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story production activities, which were two times for fourteen weeks, and a pretest and a posttest to measure perspective-taking and linguistic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rspective-taking 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story production of picture-story books and the control group using fairy tale retelling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linguistic expression among the word production, word connection, sentence expression and story reproduction.

      • KCI등재

        유아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 활동이 이야기재구성 능력 및 친사회성 요소에 미치는 효과

        김숙이(Kim, Sook-Yi),박금미(Park, Gum-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9

        본 연구는 유아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 활동에서 이야기재구성 능력과 친사회성의 요소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 실험집단은 I시에 위치한 P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0명과 비교집단은 C유치원 만 5세반 유아 20명으로 총 40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 활동에서 이야기재구성 능력 척도(단어, 문장연결, 이야기부분 재구성 및 이야기전체 재구성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보면 유아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를 통한 이야기재구성을 시도했던 실험집단 유아의 이야기재구성 능력 점수가 이야기재구성 활동을 하지 않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 활동에서 친사회성 요소(지도성,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나눔, 도움주기, 접근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과 조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보면 그림이야기책의 가상놀이 활동과 연결하여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의 활동 등을 시도했던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음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검증하고자 하는 교사의 교육활동 및 지도,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 경험, 유아 집단구성 방법을 통해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중요한 역할로 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story repro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 using the children’s picture-story books on pretend pla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 children of age of 5 attending at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Junrabuk-do.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conducted by pretend play activities with the story repro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 which were 16 times for 8 weeks, and pretest and posttest to measure reproduction of the story and pro-social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ory reproduction elements(word recognition, sentence connection, the part of story reproduction and total story reproduction) 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story repro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 using the children’s picture-story books on pretend play.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social behaviors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meaningfully. The scores of seven sub categories of pro-social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t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young children’s story repro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s by showing cooperative pretend activities using picture-story 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