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世紀傳敎士報刊刊載中譯伊索寓言的流傳與影響

        高飛,,淳邦 한국중국소설학회 2013 中國小說論叢 Vol.41 No.-

        “청말 기독교선교사의 定期刊行雜誌가 없었다면 어찌 《海國妙喻》가 나올 수 있었겠는가?”19세기 기독교선교사의 정기간행잡지와 中譯 이솝우언의 관계 탐구는 19세기 이솝우언의 중국 번역 전파사 연구에 있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이지만, 그러나 학계에서는 거의 연구가 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1810년대부터 1880년대까지 《察世俗每月統記傳》ㆍ《東西洋考每月統記傳》ㆍ《遐邇貫珍》ㆍ《中西聞見錄》ㆍ《萬國公報》等 기독교선교사가 간행한 中文雜誌에 게재된 이솝우언을 조사 정리하였고, 아울러 당시 가장 영향력이 컸던 로버트 탐의 《意拾喻言》을 참조하여, 이솝우언의 中譯 소개와 전파, “寓言”ㆍ“娛目”ㆍ“警心”의 提倡과 影響關係, 이솝우언의 中文 改寫와 模寫 등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 논술하여, 19세기 중국의 정기간행잡지에 게재된 中譯 이솝우언의 궤적을 조사 정리하여 淸末 중국에 번역 소개된 이솝우언의 다음과 같은 전파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첫째, 《察世俗每月統記傳》은 19세기에 이솝우언을 처음으로 中譯 소개한 최초의 中文期刊雜誌이다. 둘째, 《東西洋考每月統記傳》과 《遐邇贯珍》은 로버트 탐의 《意拾喻言》을 잡지에 轉載하여 이솝우언을 널리 宣傳하고 보급시켰다. 셋째, 《中西聞見錄》은 이솝우언을 번역 소개하거나 改寫하였고, 또한 이솝우언의 번역에 참여한 역자층이 이 잡지에서 더욱 확대되었다. 그리고 字典의 의미에서 벗어나 中国文学의 관점에서 처음으로 “Fable”을 “寓言”이란 문학적 體裁로 번역 사용하였다. 네 번째, 《萬国公報》는 독자들에게 동시대의 다른 정기간행잡지에서 제공할 수 없는 중요한 지면을 제공해주었으니, 번역과 창작이란 두 가지 우언작품을 게재하여 이솝우언의 中譯作品과 중국의 토착 창작품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었고 문학장르명 “喻言”과 “寓言”의 논쟁에 실증적 주석을 제시해 주었다. 이와 동시에 로버트 탐의 《意拾喻言》은 선교사의 중문정기간행잡지를 통하여 영향력을 확대시켜 나갔고 다른 작가의 손을 거쳐 점차 변형되었다. 이솝우언은 19세기에 기독교선교사가 간행한 中文定期刊行雜誌의 번역 소개와 보급 전파를 통해 대중의 호응을 얻었고 결국 문인사대부의 주목을 받아 널리 전파되었다.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곽영근(Young Kue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이솝우화』의 개별 우화와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우화 정보와 이유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도덕교육에서 도덕 발달의 형식성을 추구하기 위해 『이솝우화』를 통한 주요 학습 질문과 간략한 활용 방안을 예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202편,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85편,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46편,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서 25편의 관련을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19가지 내용 체계 질문과 성취기준에 연결될 수 있었다. 또한 『이솝우화』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인 ‘성실’, ‘배려’, ‘정의’, ‘책임’과 이에 더해 ‘성윤리’의 측면에서 주의해야 할 192개의 우화를 추출하고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도덕교육의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을 위해 우화별로 도덕적 질문을 제안하고, ‘늑대와 개’ 우화를 선정하여 도덕 발달의 형식적 접근으로 활용한 일부 예시를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오랜 기간 도덕 이야기 자료로 활용되어 온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에 의한 접근,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비도덕적 요소에 대해 주의를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논의를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Aesop's Fables in moral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individual fables of Aesop’s Fables by link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asons for fables to be careful when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pursue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in moral education, I tried to illustrate major learning questions and simple utilization measures through Aesop’s Fables. Results Aesop’s Fables were related to 202 in the “Relationship with oneself” section, 85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46 in the “Relation with Society and Community” section, and 25 in the “Relation with Nature” section, which is the content system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tail, Aesop’s Fables could be linked to 19 content systems of ques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from Aesop's fables, I was able to extract 192 fables to be careful about in terms of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core value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exual ethics”. And, moral questions for each fable were proposed for an approach to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Finally, I was able to select ‘Wolf and Dog’ fable and present some examples of using them as a formal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Conclusions Aesop's Fables, which has been used as a moral story resource for a long tim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story material for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forms. However, caution should be taken regarding non-moral elements, an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on specific utilization strateg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근대 초기 이솝우화가 갖는 의의

        정혜원(Jeong Hye W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1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1

        근대 초기 대한제국은 서구 열강의 침약에 대항하여 대한제국의 독립과 자강을 꾀하던 시기였다. 신지식인이라 자칭하는 지식인들은 무지한 민족을 계몽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애국계몽에 힘썼다. 신지식인들은 서구의 신문물과 신지식에 열광했고 아동을 계몽하기 위해 서구의 문학이나 미담을 번역하여 교과서와 아동잡지 속에 수록하였다. 근대 초기 교과서와 아동잡지아동신문에 게재된 이솝우화는 많은 의미를 함의하고 있다. 우화는 동물이든 사람이든 등장시켜서 일정한 성격을 부여하여 비유적으로 어떤 교훈을 주는 문학이다. 당시 아동 독자가 만난 이솝우화는 그때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문학이었기 때문에 더 관심을 가졌다. 이솝우화가 처음 수록된 곳은 『신정심상소학』이었다. 이 논의의 대상은 교과서인 『신정심상소학』, 『초등소학』, 『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과 아동잡지 『소년』, 『아이들보이』, 『새별』, 아동신문인 『붉은져고리』이다. 교과서 초기에는 이솝우화도 아동들에게 필요한 보편적 덕목으로 편성되었다. 아동잡지나 아동신문 역시 초반에는 그런 방식을 고수했으나 뒤로 갈수록 일제의 탄압과 검열의 영향으로 일제에 편입된 내용을 수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솝우화 속에 교훈도 당대와 전혀 무관할 수 없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다. 이솝우화가 한국 아동문학사에 있어 분명히 영향을 끼쳤고, 나름대로 그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이솝우화가 동화 대신 동화의 위치에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둘째는 이솝우화가 도덕성을 강조하는 도덕 Historically,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Korean Empire was an arena for competition between other stronger nations and its people tried to be independent from the world powers. A newly emersed group of intellectuals strove to enlighten their nations in various ways and we call it ‘enlightenment campaign rooted in patriotism’. They were extremely excited by the new Westerm culture and knowledge and made great efforts in enlightening children by containing Western stories which were translated into Korean on their textbooks and magazines for children. Among them, Aesop’s Fables, timeless stories with a moral, gave children a refreshing jolt because the stories used appropriate figure of speech using humans and animals’ attributes. The first book contained Aesop’s Fables was ‘Shin Jeong Shim Sang So Hak’, a textbook for children which was publish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lso this paper treated with textbooks, ‘Cho Deung So Hak(An Elementary Korean Book)’, ‘Kuk A Dok Bon(Korean reading 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gzines, ‘So Nyun(A Boy)’, ‘Ai Deul, Boy(The children, Boy)’, ‘Sae Byul(A New Star)’ and the newpaper for kids, ‘Bulgen Jeogori(The Red Jacket)’ which included various stories of Aesop’s Fables at the early stage of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At the earlier textbooks and newspapers, Aesop’s Fables stressed on universal morals for children but later all the stories were strongly infected by censorship and suppression of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and were perverted. It means moral aspects of Aesop’s Fables cannot be free from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a nation. Aesop’s Fables influenced the moder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ignificantly. First of all, it performed its own roles when modern children’s literature was in its embryonic stage in Korea. Secondly, Aesop’s Fables played a textbook role for morality. Thirdly, it was regarded and recognized as a new genre of children’s literature. Finally it has contributed to children’s literary attainments in many ways. I tried a new aspects of study to examine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Aesop’s Fables in the underdeveloped stage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and treated with the interesting traces of Aesop’s Fables in the whol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 KCI등재

        《小孩月報》所刊載的伊索寓言敍述特點硏究

        高飛,,淳邦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7 No.-

        19세기 후기부터 이솝우언은 선교사가 창간한 신문잡지에 게재되기 시작하였는데, 중국 최초의 아동잡지인 《小孩月報》에도 이솝우언이 연재되었다. 이솝우언은 1876년부터 1881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게재되었는데, 편집인 미국장로회선교사 화른함(J. M. W.Farnham, 范约翰, 1829-1917)은 당시 서양의 선진된 인쇄술을 도입하여 정교한 그림과 문장을 함께 편집한 잡지를 출간하여 중국독자들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본 논문은 《小孩月報》가 이솝우언을 게재한 취지와 원고 來源으로부터 시작하여 게재된 이솝우언의 언어와 내용, 사용한 삽화 등 세 가지 측면에서 《小孩月報》에 게재된 이솝우언의 “兒童化” 경향의 문학적 가치와 이의 전파 의의를 집중적으로 분석 탐구하였다. 《小孩月報》에 게재된 이솝우언들은 언어가 쉽고 명확하였는데, 최대한 “官話化”하려고 노력하였다. 우언의 故事와 情節 그리고 논리 전개도 “兒童化”하였고, 삽화와 문장을 병행 배치(圖文並茂)함으로써, 중국에서 이솝우언이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兒童이라는 특정한 집 단을 독자대상으로 하는 잡지는 분명한 편집방침을 가지고 잡지의 언어와 내용, 형식의 “兒童化”를 지향하였고, 이 잡지에 게재된 이솝우언은 바로 《小孩月報》의 “아동화” 편집경향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게다가 이솝우언의 官話白話文으로의 翻譯은 객관적으로 淸末 1890년대 후반부터 일기 시작한 白話雜誌의 흥성을 촉발하는 선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In the late 19th century, Aesop's fables were on the Protestant Missionary Chinese Presses. One of them, The Child's Paper, the earliest Children's newspaper in China was carried them. This pap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newspaper’s language content, structure and illustrations of Aesop's fables, tries to discuss its literary value to childre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ate Qing Dynasty(1870’s to 1880’s):the language was simple, basic Mandarin. The plots and morals were understood by children, and the illustrations were exquisite and elaborate, mostly by famous illustrators. Objectively, the Mandarin in Aesop's fables in The Child's Paper was a sign of the rise of Vernacular Chinese in the late Qing Dynasty.

      • KCI등재

        『이솝우화』의 Anthropomorphism 용례 분석

        정용수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이솝우화』는 그리스의 노예 신분이었던 아이소포스가 만든 우화작품으로 고대 이후 인간들의 행동적 특성을 설명하거나 도덕적 판단이 필요한 상황에서 개인의 심리 상태 등을 예화적으로 보여줄 목적으로 만든 작품이다. 단순히 동화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딜레마 상황을 묘사하고 있어서 아동들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인성 형성에 보조적 수단으로 현대에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우화에는 거의 모든 편에서 우화의 마지막 부분에 교훈을 붙여서 이해를 돕고 이기도 하다. 『이솝우화』에서는 인간의 심리 상태나 행동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로서 Anthropomorphism이 등장한다. Anthropomorphism은 인간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신과 인간은 같은 형상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신인 동형 동성설)와 아울러 동물과 여타의 생명체를 인간으로 유비하여 의인화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중의적인 표현이다. 이 논문이 의도하는 것은 『이솝우화』에서 Anthropomorphism의 사용례를 분석하고, 그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솝우화』 안에서 Anthropomorphism의 특징을 살피는 것이다. 연구자는 Anthropomorphism의 용례를 분석하여 『이솝우화』의 Anthropomorphism은 신인 동형동성설의 특징보다는 의인화의 특징을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용례에서 신인 동형동성설보다는 주로 의인화의 특징을 가지면서 동시에 표유류를 의인화하는 경우가 월등하게 많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간의 형상과 더 유사한 대상에의 근친성을 통해서 인간을 잘 표현하리라는 희망에서 출발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Aesop’s Fables is an allegorical work created by Aisopos, a Greek slave, and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umans since ancient times or to illustrate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state in situations where moral judgment is needed. It is used not only as an assimilation element but also as a moral dilemma situation, and it is widely used in modern times as an auxiliary means for forming desirable personality for children. Anthropomorphism appears in Aesop’s Fables as a device for explaining human psychological state o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thropomorphism is an important expression in the sense of humanism, in that it means that God and humans have the same shape and characteristics, and that it has the meaning of anthropomorphism by analogizing animals and other living things to hum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e cases of Anthropomorphism in Aesop’s Fabl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nthropomorphism in Aesop’s Fables based on such analysi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use of Anthropomorphism, and confirmed that Anthropomorphism in Aesop’s Fables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ter’s meaning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s meaning. In the use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cases of personification of stray animals while having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meaning. These phenomena seem to originate from the hope of expressing human beings well through intimacy with objects more similar to the human form.

      • KCI등재

        이솝 우화의 번역에서 문체의 번역 방식과 대상 독자와의 관련성

        박옥수(Park, Ocksue)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5 No.-

        이솝 우화는 주로 동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이야기에 담겨 있는 암시와 시사를 후세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교훈이라는 이름으로 처세의 방법, 혹은 훈계의 조언을 덧붙인 것으로 대상 독자는 어린이부터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솝 우화에 대해 우리가 쉽게 간과하고 있던 사실은 주요 장르가 동화로 인식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솝 우화는 권선징악을 강조하거나 세상을 선악으로 이등분하는 동화적 담화를 전달하기 보다는 인간의 처세술이나 생존을 위한 지혜를 알리고, 순진함이 주는 어리석음에 대해 경고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솝 우화의 유래와 수용 과정을 살펴보고, 영문판의 번역에서 그 번역 방식과 문체를 논의할 것이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번역 의도와 대상 독자, 번역자의 전략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의 저본은 펭귄에서 1954년에 출판된 Fables of Aesop으로 에밀 샹브리가 1929년에 내놓은 《이솝우화집》과 다른 책을 편집해서 핸드포드가 번역하였다. 세 권의 번역본을 원문과 대조분석하였는데, TT1은 민음사의 문고판으로 세계문학전집 시리즈의 한권으로 출판되었고, TT2는 소담 출판사의 ‘베스트 셀러 월드북 시리즈’ 중의 한 권이다. TT3는 YBM 시사 영어사에서 발행된 ‘영한대역문고’ 시리즈 중 한권이다. 내용 분석에서는 원문과의 대조 분석을 통해서 지문의 경어 사용여부를 살펴보고, 번역어의 우리말과 한자어 사용 빈도, 인용문의 번역 방식을 살펴보았다. 형식 분석에서는 번역문의 문단, 문장 숫자를 분석해서 원문과의 통사적 등가 여부를 분석하였다. Aesop’s fables are a collection of tales from the Greek story teller, Aesop who was a slave in ancient Greece. Most of the characters in Aesop’s fables are animals. Aesop uses qualities and natural tendencies of animals to focus on human nature and survival method. He delivered allusion and implication for maintenance of existence through stories. Each fable has an accompanying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tale. Aesop’s fables continue to be reinterpreted and translated in different verbal registers. The Genre of Aesop’s fables have been regarded as a fairy tale. Therefore there is a general public perception that Aesop’s fables belong to children’s story. However, Aesop’s fables have a diversity of readers from children to adults. The lessons of the genre are the art of living, the secret of success in life, and worldly wisdom as well as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ceptable process, satire and lessons of Aesop’s fables. Then the English version and Korean version are examined in the views of translation strategy and style. Finally it shows how the results have a relation with translation purpose & target readers and translation strategies. The source text is Fables of Aesop published by Penguin and translated S.A. Handford at 1954. Its original script was written by Emile Chambry and published at 1929 . The three translations are compared with the ST. Target text 1 is one of the complete series of world literature published by Mineumsa, TT2 is one of best-seller series of world books published by Sodam, TT2 belongs to English-Korean literary series by YBMsisa. In the analysis of contents, we investigate the honorific form of narration, the frequency of pur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and translation strategy of quotation sentences. The results show the translation is written in colloquial style or literary style. As for the formal analysis, the numbers of sentences and paragraphs are analyzed to examine the equivalence of the source text. The results reveal the translation is focused on faithfulness to the original or communication with target readers. We draw an inference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define the style of each target text,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ults and target readers of each translation.

      • KCI등재

        이솝우화의 교육적 해석 : 우화로서의 특징과 그 교육적 기능을 중심으로

        장정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9 敎育思想硏究 Vol.33 No.4

        본 논문은 이솝우화를 대상으로 그 교육적 기능과 의의를 고찰하고 나아가 그것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이솝우화의 기본 요소를 의인화, 비유, 교훈의 세 가지로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이솝우화의 동물 의인화는 다양한 캐릭터의 조합을 통해 대결 구도를 형성하고, 나아가 이야기의 심리적 전개와 분위기를 직관적으로 간파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가 된다. 두 번째로, 이솝우화는 그 자체로 완성도 높은 비유적 이야기로서, 그 자체로 메시지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하는 힘을 갖고 있다. 의인화와 비유는 이솝우화에 담긴 교훈들을 흥미로우면서도 명확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중요성을 갖는다. 세 번째로, 이솝우화는 교훈의 전달을 최종 목 적으로 하며, 그것은 기본적으로 인간 삶에 대한 분별과 통찰을 중시하는 현실 중심적 성격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솝우화는 세속적 지혜의 보고(寶庫)로서, 아동들에게 인간 삶에 대한 폭넓은 안목과 인식의 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동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SF와 이솝의 언어,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소설 「노변의 피크닉」

        이희원(Lee, Hee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7 외국문학연구 Vol.- No.68

        The novel Roadside Picnic by Strugatsky Brothers, one of the most prominent authors in the field of Soviet science fiction, was created during the period when the myth of space conquest was used as a way of maintaining and promoting social system. In this novel criticism of the Soviet social structure and insight into human nature are embodied by Aesop s language as the device of a different speech . Alongside the distinctive feature of Aesop s language in Russian SF ‘hybrid plots’ are the remarkable elements of Aesop s poetry that is implemented in Roadside Picnic . In this study, Borrowing Hannah Arendt s analysis of totalitarianism, we tried to interpret symbolic meaning of visit , area , artifact , shipment and picnic which are shaped in this Aesopian dystopia. Hannah Arendt s insights into world alienation and internal asylum, isolation and taboos, and the problems of evil and conscience have provided an adequate interpretation for the Strugatsky Brothers critique of the Soviet society through Roadside Picnic . 소비에트 공상과학소설의 대표적 작가들인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소설 󰡔노변의 피크닉󰡕(1972)은 브레즈네프 정체기, 우주정복 신화를 체제유지 선전으로 활용하던 시기에 창작되어 사회구조적 비판과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이 스트루가츠키 형제 특유의 ‘다르게 말함’으로 구현된 대표적 작품이다.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 참사 이후 이 소설의 예언적 성격에 대해 주목된 것처럼, 이 작품의 ‘다르게 말하기’-‘이솝의 언어’적 특징은 농후한 상징성과 다의성으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검열로 인해 다르게 말하는 ‘이솝의 언어’적 특징과 공상 과학소설 장르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노변의 피크닉」에서의 이솝의 언어를 분석했다. 알레고리, 패러디, 완곡어법, 생략, 인용, 위치변화, 귀류법과 불합리한 추론 등과 러시아 공상과학소설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별적 이솝의 언어로서 ‘하이브리드 플롯’은 「노변의 피크닉」에서 구현된 이솝시학의 대표적 요소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이 ‘이솝적 디스토피아’에서 형상화된 ‘방문’, ‘구역’, ‘유물’, ‘산송장’, ‘피크닉’ 등에 대해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를 해석하는 도구를 통해 분석을 진행했다. 세계소외와 내적망명, 고립과 금기, 악과 양심의 문제 등에 대한 한나 아렌트의 통찰은 「노변의 피크닉」을 통해 소비에트 사회에 가하고자한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비판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한국 우화와 이솝우화의 서사 구조와 담론 비교 –동물우화를 중심으로–

        김복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복순, 2023, 한국 우화와 이솝우화의 서사 구조와 담론 비교, 어문연구, 198 : 329~357 본고는 동물우화를 중심으로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나타나는 담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서사 구조와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 그리고 텍스트에 나타나는 지배담론의 성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이솝우화와 한국 우화에 공통적인 화소가 포함되거나 유사한 줄거리를 가진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사 구조의 경우, 이솝우화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를 이루는 인물들의 행위들이 필연적 논리로 연결되며 담론 형성에 필수적인 서사 요건만을 중심으로 간결하면서도 치밀하게 연결된 해결의 플롯으로 구성된 반면, 한국 우화는 서사의 구조적 논리가 다소 느슨하기는 하지만 인격화된 인물을 구축하여 개연성을 높이는 폭로의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담론 주체의 세계 인식은 이솝우화는 자연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담론을 형성하는 반면, 한국우화는 사회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과응보와 상생의 담론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이솝우화는 개인주의적 생존을 지배 담론으로 삼은 반면, 한국 우화는 집단주의적 상생을 지배 담론으로 삼는다.

      • KCI등재

        「금도끼 은도끼」의 전승 양상과 시사점

        한명숙 ( Han Myoung-sook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99 No.0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 있는 「금도끼 은도끼」이야기의 전승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이야기가 개화기 교과서인 『신정심상소학』에서 이솝우화 속 이야기를 소개하며 우리나라에 유입되었다는 설명은 사실이 아니다. 개화기 교과서 중에서 『초등소학』에 실린 「斧」(도끼) 이야기가 유사한 화소를 보이나 인물과 사건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솝우화 속의 「헤르메스와 나무꾼」이 「금도끼 은도끼」와 비슷하나, 몇몇 화소의 차이가 있고, 우리 구비문학 채록 자료에서만 볼 수 있는 독자적인 화소 및 제목이 있으므로, 이솝우화가 유입되어 「금도끼 은도끼」로 전승이 되었다는 증거를 찾을 수 없다. 첫째, 도끼 수여자가 다른데, 이솝우화에서는 헤르메스나 머큐리지만, 한국 설화에서는 산신령, 누님, 노인 등으로 전승되고 있다. 둘째, 나무꾼이 도끼를 잃은 곳이 이솝우화에서는 강물이지만, 한국 설화에서는 연못으로 차이가 뚜렷하다. 셋째, 이솝우화 속의 헤르메스와 머큐리는 강물로 들어가 도끼를 가지고 나오지만, 한국 설화 속의 산신령은 연못 속에서 도끼를 들고 나타난다. 이야기 화소 분석 결과 및 「금도끼 은도끼」가 북한을 비롯한 한반도 전역에 두루 분포해 있으며, 전승 지역에 따라서 화소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등을 고려할 때 이 이야기가 이솝우화에서 들어와 한반도에 전승되었음을 입증하지 못하고, 제목을 포함한 이야기 자체가 한반도에서 창작 및 전승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금도끼 은도끼」는 한반도에서, 「헤르메스와 나무꾼」은 그리스에서 각각 발생 및 전승해 왔을 가능성을 함의한다.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ransmission pattern of the story of “The Golden Ax and the Silver Ax”, which is widely spread in Korea. The explanation that this story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the introduction from Aesop’s fables in 『Shinjeongsimsangsohak』, an old elementary textbook, is not true. Aesop’s Fable’s “Hermes and the Woodcutter” has several episodes differences from “The Golden Ax and the Silver Ax” as a Korea oral literature. First, the recipient of the ax is different. In Aesop’s fable, it is Hermes or Mercury, but in Korean oral literature, it is handed down as a mountain spirit, a old sister, or an old man. Second, the place where the ax was lost is a river in Aesop’s fable, but in the Korean oral literature, it is a pond, so there is a clear difference. Third, Hermes goes into the river and comes out with an axe, but the mountain spirit appears from the pond holding an axe.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it is impossible to prove that this story came from Aesop’s Fables and was passed down to Korea. This result suggest that this story may have been created and passed down in Korea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