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비와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군자/ 소인, 진유/ 속유, 대장부, 유ㆍ불ㆍ선

        이동건 영남퇴계학연구원 2014 퇴계학논집 Vol.- No.15

        현대의 수많은 가치와 전통과 현대의 갈등 속에서 현대인들은 가치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의 혼란을 넘어 개인과 사회의 정체 성과 가치 있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그 지표가 되는 ‘이상적 인간상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동양사상의 큰 주류인 유(儒)ㆍ 불(佛)ㆍ도(道)의 이상적 인간상을 간략하게 일별한 후, 주로 ‘선비’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 인간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선비’라는 이상적 인간상 은 출세간적(出世間的) 성격을 띤 불교나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과는 달 리, 세간적(世間的)이고 현실참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선비’ 라는 인간상은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현실적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이상적 인간상인 까닭에 현실적인 적용의 가능성 또한 불교나 도가의 이 상적 인간상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비’라는 이상적 인간상은 ‘어떻게 인간으로서 이상적인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유교적인 해답이다. 선비란 요약하여 말하자면, 수기(修 己)를 통해 학문과 덕성을 닦고, 자신이 배운 도(道)를 치인(治人)을 통 해 사회에 구현하며, 항상 개인의 사욕보다는 공공의 정의[義]를 지향하 는 사람이 바로 ‘선비’이다. 한마디로 ‘선비’란 무엇인가 소유함으로 해서 행복해지고자 하는 소유지향적인 삶이 아닌, 좀 더 인간다워짐으로써 행 복해지는 존재지향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다. 그리고 군자(君子), 진유 (眞儒), 대장부(大丈夫)와 같은 도덕적 인간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통 해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선비라는 인간상의 다른 이름인 것이다. ‘선 비’는 분명 현대사회의 이상적 인간상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쩌면 개인의 행복과 인간다움을 물질의 소유로 대체한 체, ‘인간다운 이상적 인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별로 묻지 않는 현대의 소유지향적인 삶에 대해 그 부족한 부분을 일깨울 수 있는 가치지향적인 내용을 ‘선비’의 인간상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과거의 이상적 인간상을 어떻게 현대와 조화되게 조율할 것인가는 우리가 고민해야 할 일이다.

      • KCI등재후보

        자기성찰기반 교양수업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이상적 인간상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박소연,이성훈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deal self of current college student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value education in the university setting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ho explore their ideal self and make efforts to change in an introspection-based class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deal self of college students shown in the introspection-based class were found largely in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of the students who reflected on the problem that they have lived not their own lives but someone else's life by being overly self-conscious of other people's standards, then set their ideal self as "the person who knows what it means to be me and live my own life," and made efforts to change through a series of introspection activities that facilitated looking into themselves which was an exercise to which they hadn't previously given much attention. The second type is of the students who reflected on the problem that they have overly pressured themselves or had fallen into a self-rationalization mode but ultimately lived lazy lives due to the absence of a dream and life goal, set their ideal self as "the person who has a dream and challenges themselves passionately to achieve that dream" and attempted to change through self-management processes such as goal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competency management. Finally, the third type is of the students who reflected on the problem of being in superficial relationships due to their indifference to their environment and people in their surroundings, set their ideal self as "the person who pays attention and cares about others and their surroundings," and sought to assertively express themselves to others in a non-aggressive or non-passive way and behave in an appropriate manner within their relationships starting from those people closest to them such as their family and further to relationships between themselves and even nature itself. 본 연구는 자기성찰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이 이상적인 인간상을 탐색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현 시대 대학생의 이상적 인간상을 이해하고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가치관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성찰기반 교양수업에서 나타난 대학생의 이상적 인간상은 크게 3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여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삶을 살아온 문제를 반성하고, “나다움을 알고 나의 삶을 사는 사람”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설정하여, 이제까지 관심을 주지 않았던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는 자기성찰을 통해 변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두 번째 유형은 꿈과 목표가 없어 스스로를 지나치게 압박하거나 혹은 자기합리화를 하며 나태한 삶을 살았던 문제를 반성하고, “꿈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도전하고 노력하는 사람”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설정하여, 목표관리, 시간관리, 역량 관리 등 철저한 자기관리를 통해 변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유형은 주변사람 및 환경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한 피상적 관계의 문제를 반성하고, “관심과 배려가 있는 사람”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설정하여, 가까운 가족에서부터 멀리는 자연환경에 이르기까지 관계 맺어진 것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상적 인간상을 도출하는 수업을 통해 자기성찰기반의 가치교육 수업의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儒家의 理想的 人間像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고희선(Ko Hee Sun)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4 No.-

        본 논문은 中正之道로 대표되는 유가의 이상적 인간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정신치료영역에서 인간의 정신건강을 담보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 속에 내재된 대극적 성격들 간의 균형과 통합과정으로, 이는 유가 수양론에서 말하는 中正개념과 상통된다. 유가에서는 우주 만물의 이상적 존재방식을 中에 두고, 이를 인간 속으로 내재화시키고 인격화시켜 聖人 또는 大人이라는 이상적 인격상으로 이해한다. 그런데 이러한 유가의 中正개념은 분석심리학에서 인간 전체정신의 균형과 중심을 이루는 '자기(Self)'의 특성과 그 의미상 일치한다. 분석심리학에서 인간의 본질로 규정하고 있는 '자기'는 인간 전체정신의 中心으로, 이는 유가에서 바라보는 中의 의미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평균적 중간으로서의 中의 의미가 아니라 수시로 변하고 갈등하는, 즉 인간 정신으로 하여금 균형과 중심을 유지하게끔 하는 隋時處中으로서의 中의 의미와 일치하고 있는 것이다. 이로써 분석심리학에서 말하는 자기실현과정이란 곧 中의 실현과정이고, 이는 곧 유가에서 말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그 실현양상이라 할 수 있는 中正之道의 의미와 일치한다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analytic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n ideal human character in Confucianism through the middle right way.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ecure human mental health in the area of healing human mental spirit is a process of balance and integration between antipolar characters inherent in human nature, which may be nearest to the concept of middle right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ng mind in Confucianism. Confucianism places ideal existence method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onto middle, let this internalize and personalize into a human, and understands this as a model of ideal personality, saint or magnanimous man. But the concept of middle right in Confucianism corresponds semantically to the characteristics of 'Self' composed of balance and center of whole human spirit in analytic psychology. 'Self' defined as the human nature by analytic psychology is a symbol and a center of whole human spirit, thus in the same manner of the meaning of middle, this is the meaning of middle not as a fixed average medium but as a center weight which lets human spirit frequently changing and conflicting keep its balance and center. Therefore, self-realization process which is mentioned in analytic psychology is a realization process of middle, so this may match with the meaning of the middle right wa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human personality mentioned in Confucianism.

      • KCI등재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사람들의 이상적 인간상

        나희라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3 동국사학 Vol.55 No.-

        Epitaph is the documentary literature in that individual life is reconstructed and evaluated. Reconstruction and evaluating of individual life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 ideal human of the time. So in epitaphs of Goryeo dynasty, we can see Goryeo people’s valuation basis of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The writers of epitaphs of Goryeo expressed their thoughts that the valuable life was to get a high status, live a long life and in splendor and have many descendants. By the way they emphasized a person who wanted to get them had to have the moral personality and behavior. In this way they as the ruling class rationalized social inequality. Regardless of sex, they said that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was ‘modesty, frugality, politeness, honesty, benevolent, intelligent, diligence, quiet attitude and neatness’. Especially they emphasized person in wealth and honor should have the attitude of modesty and frugality. And they strictly distinguished between social roles of men and women, evaluated the personality and behvior of men and women differently. They praised the men unconcerned in household affair and the women devoted to household. Epitaphs of Goryeo dynasty was not only the writings for praising the personality and behavior of man or woman but also the media for forming a good reputation by being read. Therefore epitaphs of Goryeo was the production in that Goryeo’s ruling circles expressed their model thought recognized formally. They praised the ideal personality and valuable behavior in their epitaphs, and learned and passed down them. So they had constructed the formal and ideal human character. 묘지명은 개별 인간을 다룬 기록문학으로서 개인의 일생을 재구성하고 그의 행적을 평가하는 글이다. 여기에 당대인의 인간에 대한 가치관이 개입되게 되므로, 고려의 묘지명에는 고려시대 사람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이나 행위에 대한 평가기준이 나타나있다.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흔히 높은 지위와 명성을 얻고 장수하며 자손들과 함께 부귀영화를 누리는 삶이 가치 있는 삶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세속적 삶의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무나 가능한 것은 아니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도덕적 품성과 생활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여 지배계층으로서 자신들이 획득해야 할 것에 대한 계층적 불평등성을 합리화하였다. 남녀를 불문하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품성과 태도는 흔히 ‘겸손, 검소, 공손, 정직, 인자, 총명, 부지런함, 조용, 단정’과 같은 덕목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貴하나 겸손하고 富하나 검소한 품성과 태도가 강조되었다. 한편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엄격히 구분하여 남성과 여성의 덕목을 차별하여 각기 그 품성과 행적을 평가하였다. 남성은 집안일에 관여하지 않는 태도를, 여성은 가정 내에서의 역할에 충실한 태도를 칭송하였다. 묘지명은 사람의 일생 동안의 행적을 정리하고 그의 품성과 행위를 칭송하기 위해 지어진 글이다. 그리고 묘지명은 남겨진 사람들의 위신을 높이기 위해 읽혀지고 이를 통해 평판을 형성하는 매체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묘지명은 개인의 창조적인 창작물이기보다는 지배층들 사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어떤 모범적인 사고를 표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묘지명에서 칭송한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과 가치있는 행위는 고려 지배층들에게 학습되고 전승됨으로써 그들의 공식적이며 이상적인 인간상을 구성해나갈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중국으로부터 주자성리학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인학자들이 주로 그 작성에 참여했던 14세기 후반의 묘지명에는 지위나 부귀와 같은 외적 가치보다 개인의 학문이나 행동거지를 중시하는 표현들이 많이 나온다. 개인의 생활태도에서 엄숙하고 단정함을 칭찬하며 侍墓를 효행의 중요한 판단 근거로 제시하였다. 주자성리학을 어떻게 인간 삶의 구체적인 부분에 적용시킬 것인가, 주자성리학의 입장에서 인간의 품성과 행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찬자들의 입장이 묘지명에 은연중에 드러난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묘지명을 통해 본 고려시대 사람들의 이상적 인간상

        나희라 ( Hee La Na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5 No.-

        묘지명은 개별 인간을 다룬 기록문학으로서 개인의 일생을 재구성하고 그의 행적을 평가하는 글이다. 여기에 당대인의 인간에 대한 가치관이 개입되게 되므로, 고려의 묘지명에는 고려시대 사람들이 생각했던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이나 행위에 대한 평가기준이 나타나있다. 고려시대 묘지명에서는 흔히 높은 지위와 명성을 얻고 장수하며 자손들과 함께 부귀영화를 누리는 삶이 가치 있는 삶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세속적 삶의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무나 가능한 것은 아니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도덕적 품성과 생활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여 지배계층으로서 자신들이 획득해야 할 것에 대한 계층적 불평등성을 합리화하였다. 남녀를 불문하고 좋은 인간으로서의 품성과 태도는 흔히 ‘겸손, 검소, 공손, 정직, 인자, 총명, 부지런함, 조용, 단정’과 같은 덕목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貴하나 겸손하고 富하나 검소한 품성과 태도가 강조되었다. 한편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엄격히 구분하여 남성과 여성의 덕목을 차별하여 각기 그 품성과 행적을 평가하였다. 남성은 집안일에 관여하지 않는 태도를, 여성은 가정 내에서의 역할에 충실한 태도를 칭송하였다. 묘지명은 사람의 일생 동안의 행적을 정리하고 그의 품성과 행위를 칭송하기 위해 지어진 글이다. 그리고 묘지명은 남겨진 사람들의 위신을 높이기 위해 읽혀지고 이를 통해 평판을 형성하는 매체이기도 했다. 그러므로 묘지명은 개인의 창조적인 창작물이기보다는 지배층들 사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어떤 모범적인 사고를 표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묘지명에서 칭송한 이상적인 인간의 품성과 가치있는 행위는 고려 지배층들에게 학습되고 전승됨으로써 그들의 공식적이며 이상적인 인간상을 구성해나갈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중국으로부터 주자성리학을 수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문인학자들이 주로 그 작성에 참여했던 14세기 후반의 묘지명에는 지위나 부귀와 같은 외적 가치보다 개인의 학문이나 행동거지를 중시하는 표현들이 많이 나온다. 개인의 생활태도에서 엄숙하고 단정함을 칭찬하며 侍墓를 효행의 중요한 판단 근거로 제시하였다. 주자성리학을 어떻게 인간 삶의 구체적인 부분에 적용시킬 것인가, 주자성리학의 입장에서 인간의 품성과 행적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찬자들의 입장이 묘지명에 은연중에 드러난 것이다. Epitaph is the documentary literature in that individual life is reconstructed and evaluated. Reconstruction and evaluating of individual life is based on the values of the ideal human of the time. So in epitaphs of Goryeo dynasty, we can see Goryeo people`s valuation basis of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The writers of epitaphs of Goryeo expressed their thoughts that the valuable life was to get a high status, live a long life and in splendor and have many descendants. By the way they emphasized a person who wanted to get them had to have the moral personality and behavior. In this way they as the ruling class rationalized social inequality. Regardless of sex, they said that the ideal personality and behavior was ‘modesty, frugality, politeness, honesty, benevolent, intelligent, diligence, quiet attitude and neatness’. Especially they emphasized person in wealth and honor should have the attitude of modesty and frugality. And they strictly distinguished between social roles of men and women, evaluated the personality and behvior of men and women differently. They praised the men unconcerned in household affair and the women devoted to household. Epitaphs of Goryeo dynasty was not only the writings for praising the personality and behavior of man or woman but also the media for forming a good reputation by being read. Therefore epitaphs of Goryeo was the production in that Goryeo`s ruling circles expressed their model thought recognized formally. They praised the ideal personality and valuable behavior in their epitaphs, and learned and passed down them. So they had constructed the formal and ideal human character.

      • KCI등재

        일반논문 : 전통 결혼담과 결혼 담론에 나타난 이상적 여성상과 남성상

        류정월 ( Jeong Wol Ryu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전통 혼례의 과정에서 생산된 결혼담과 결혼담론에서 이상적으로 여겨지던 여성상과 남성상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교적 관념에서 생각되는 이상적 인간상은, 구체적 삶의 지점에서 마련되는 이상적 인간상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념/현실 사이의 괴리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구체적 삶 속에서 남/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젠더 규율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전통 혼례에 대한 기존 연구는 혼례식의 순서, 의복, 폐백, 화장법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혼례 당사자들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본고에서는 혼례 당사자들 가운데 신랑과 신부를 ``새식구``로, 신랑과 신부의 자질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사람들을 ``주체``로 명명할 것이다. 새식구를 고르는 결혼담에는 공개적이며,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시험 유형과, 은밀하면서도 사적으로 이루어지는 만남 유형이 있다. 결혼담에는 사위(남성)의 자질보다는 며느리(여성)의 자질이 손쉽게 시험·판단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다. 며느리의 자질은 객관적 시험의 대상이 되며, 시험자의 의도가 그대로 관철되면서 새식구가 결정된다. 반면 사위의 자질은 주관적 시험의 대상이 되며, 시험자의 의도는 뜻하지 않게 좌절하기도 한다. 여성이나 남성을 우연히 만나 새식구로 들이기를 결심하는 결혼담에서는, 시험을 하는 것처럼 필요한 자질들을 확실하게 검토할 수 없다. 우연하게 알게 되는 한두 가지 자질들이 판단 기준이 된다. 이때 며느리 고르기가 ``하나``라는 지엽적 면모를 확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면, 사위 고르기는 그의 전체적인 면모를 한 번에 조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지엽적인 한 가지 자질을 통해 다른 자질을 추론하는 것에 비하면, 한 눈에 사람의 전체적인 자질을 조망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인지감(知人之鑑)이 아니고는 한 눈에 총체적인 면모를 알아보기 어렵다. 새식구로서 남성의 자질은 지인지감을 가진 특별한 이의 판단 대상이 되기도 한다. 반면 새식구로서 여성의 자질은 일반인의 상식적 판단 대상이 된다. 여성이 이인(異人)으로서, 특별한 자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결혼의 사유가 되지 않는다. 여성이 가진 자질의 특별함을 판단할 수 있는, 여성을 총제적으로 보는 시각 자체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주관적이거나 신비한 직관을 통해 남성의 자질이 판단된다는 것은, 남성의 자질을 판단하는 일반적 기준이 여성에 비해 구체화되지 않았거나 소통되지 않았을 정황을 가정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학, 『계녀서』, 남녀 교육 등 보다 넓은 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러한 가정을 검토한다. 이어서 이 논문은 결혼담과 결혼담론에 나타나는 이상적 여성상과 남성상을 체와 용의 관점으로 읽어 낸다. 또한 새식구로서 여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풍부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소통되는 데 비해, 새식구로서 남성을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은 거의 마련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 언급한다. This paper studies about ideal gender types which are expressed in traditional marriage. For the purpose I focus on marriage stories and discourses. In Korean old stories, people test to choose new family members(intentional test stories). Test for women is objective but for men subjective. In other stories, father or male relative meets a man or a woman, who becomes their new members later(accidental encounter stories). When he meets accidentally a young man or woman, he finds one good feature of him(her) and determine to marry him(her) with his daughter(son). At this moment, female`s feature would be likely to be judged by one concrete behavior but male`s feature to be judged by an abstract aspect. In the latter the subject of judgement has "Jinjigam[知人之鑑], good judgment of human nature" It is believed that one thing about a woman can say a lot about the rest of her. but one thing about a man can say nothing about the rest of him. In the discourses about marriage, a lot of standards to be applied for bride, phrenology for fecundity, writings to train daughters[Gnyeseo 戒女書]. But there are no phrenology or writings for groom. This imbalance of information to choose women and men means the difference of ideal gender types in traditional marriage. Aftter that, I read the imbalance with the code of substance and function and explain the reason why the information on ideal male feature is not enough in the discourse.

      • KCI등재후보

        東洋의 理想的 人間觀

        장세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3 남명학연구 Vol.16 No.-

        The way of recognizing the existing things in the East is to see the things as they are. The East thinks that everything exists not by being created by something, but by being naturally, even without the beginning of it. It isn't important for the East from where it comes or to where it goes. How things are created and perished isn't important for them, neither. What the East is interested in is how the thing becomes to be, and, above all, the human life itself. The problem is how he has to live. Where he comes from or goes to is not the focus of their interest. Therefore realistic life of human being is valued above everything else, while the next world is considered as meaningless. Not only Confucian and Taoist but also Buddhism regard the realities of human life as most important. In particular, Confucian sets a high value on human duties and makes a person attain a stage of “the union of Heaven and man" through a moral life. Taoist aims to get a man reach a stage of "the union of the nature and man” by making him dismiss the selfish desire and thus keep the pure mind. Buddhism aims to make a man to attain a stage of spiritual enlightenment by making him give up the human desire, and thus restore the pure nature which had essentially been in the human mind.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view of life in the East emphasizes the restoration of the pure nature in human mind as well as the effort to keep such a nature by getting rid of the human desire. >동양에서의 사물의 존재에 대한 생각은 원래 있는 그대로를 중시한다. 존재하는 모든 사물은 어떤 무엇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 아닌 원래 시작도 없이 그냥 존재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그 존재하는 것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사물이 어떻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되어 가느냐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소위 서양철학에서 발달한 형이상학의 문제가 동양적 사고방식의 문제에서는 관심이 적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형이상학보다는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불교·성리학·도가의 형이상학도 있지만 무엇보다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에 더 관심이 많은 것이다.인간의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연에 있어서의 인간의 위치가 어떠한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바로 인간의 사유능력과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능력을 중시하는 인간본위의 측면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신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인간관과는 전혀 상이한 것이다.동양의 사상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유가, 도가, 불교에서 주장하는 이상적 인간상이 어떠한 것인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각 사상에서 강조하는 이상적 인간상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추구하여야할 실천방법이 다를 수가 있는 것이다. 각 사상의 이상적 인간상의 실현을 위하여 수반되는 구체적 수양방법이 뒤따라야 한다. 유가·도가·불교에서 주장하는 많은 수양방법 중에서 대표적인 것을 살펴봄으로써 각 사상의 수양론의 특징도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결국 동양에서 내세우는 이상적 인간관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가는 인간의 욕망의 절제를 내세우고 인륜을 중시하여 도덕적인 삶을 통하여 궁극적인 천인합일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가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을 버리고 순수한 인간의 마음을 지켜나감으로서 자연과 합일되는 경지의 인간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끝으로 불교는 인간의 욕망을 끊어버리고 원래 우리의 마음속에 내재하는 순수한 본성을 되찾음으로써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 개혁의 이념

        강선보(Kang Sun-B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독일에서 발달된 대학의 연구이념, 영국에서 발달된 대학의 교육이념, 그리고 미국에서 발달된 대학의 사회봉사 이념을 합쳐 이 세 가지 이념을 우리는 흔히 대학의 이념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 세 가지 대학이념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특정 이념이 두드러지게 강조되기도하였다. 그러나 동일한 시대라 하더라도 각 대학이 처한 상황에 따라 세 가지 이념이 적절한 비율 배분으로 조화롭게 조합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지식기반사회가 선호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비추어 볼 때,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교육개혁의 이념은 수월성의 이념, 다양성의 이념, 자율성의 이념, 개방성의 이념, 전체성의 이념, 인간화의 이념, 계속성의 이념이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BR>  Universities have a key part to play in this new era. They have always been important centers for the generation and application of knowledge. As knowledge and services become more significant products and as the technological underpinnings continually change, universities and their graduates become even more important. But universities also have an international outlook. We know that knowledge has never respected national boundaries. Leading academics have always worked internationally and they will collaborate with the other leaders in their fields regardless of where they are located. Knowledge transcends boundaries and, when the best people work together, knowledge can advance significantly.<BR>  Universities are expected to create knowledge, to improve equity, and to respond to student needs. They are increasingly competing for students, research funds and academic staff. Such changes inevitably create tensions. They need to a creative balance between academic mission and executive capacity, and between financial viability and traditional values. And also government have to balance the encouragement of excellence with the promotion of equity.<BR>  In an increasingly complex and interrelated policy environment, th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have to be established. The ideas of university education reform that we have to pursue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are as follows; idea of excellence, idea of diversity, idea of openness, idea of totality, idea of humanization, and idea of continuity.

      • 16세기 조선 유교사회와 竹川(朴光前)의 선비정신

        윤사순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16세기 조선의 선비관과 竹川(朴光前, 1526-1597)이 지녔던 선비다운 인간상 및 그 정신을 살피는 데 이 고찰의 목적이 있다. 선비는 유교의 많은 이상적 인간상 중의 하나다. 이것은 완전 무결하다고 상정되어 실상 실현 불가능한 聖人 보다 하위에 있는 것으로, 이른바 君子 賢人 등과 비슷한, 실현 가능한 인간상이다. 그 실현 조건으로는 지식의 습득과 수양에 의한 덕성의 함양과 도덕적인 가치의 실천을 가장 중요시한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이러한 조건에 더하여, 공자가 그의 역사서인 『春秋』에 제시한 덕목, 특히 관리로서 행하여야 할 '의로운 준칙(義理)의 철저한 이행을 선비의 필수조건처럼 여겼다. 특히 16세기에 이르러서는, 더 나아가 국민을 위하는 '奉公精神'의 투철함이 선비다운 요건이라는 사고가 '士林派'에 의해 일반화되었다. 죽천은 왕자의 스승이 될 정도로 우수한 성리학자의 대열에 드는 높은 지식의 소유자였고, 公과 私를 엄격히 변별하면서 爲民의 公務에 충실한 관리생활을 45세부터 64세 때까지 하였다. 이 사실만으로도 그는 당대의 선비로서 손색없는 인물이었다. 그렇지만 그를 더 선비답다고 평하게된 것은 관계를 떠난 뒤, 67세 때 임진왜란에 대처한 그의 행동이다. 그는 당시 老患으로 고통받던 野人의 신분이었음에도 700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웠고, 정유재란 때에는 義兵將으로 수많은 왜적을 섬멸하였다. 이렇게 국난타개를 위하여 자기희생의 모범을 보인 데서 그가 지닌 봉공의 선비정신은 빛을 더 발하였다. 임진왜란 시기 그의 행동 가운데 우리의 눈길을 끄는 것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의병 모집을 위해 지은 그의 檄文 내용이다. 당시 지식층에서는 대체로 국난타개를 곧 임금에 대한 충성으로 간주하던 사고가 일반화되었던 시대였다. 그러나 그의 격문에 담긴 국난타개의 동기는 일반 '인민(生民, 生靈)의 보호와 안녕'을 기하자는 데에 있었다. 일반 개인이 아닌 인민의 보호라는 애민 애족의 정신을 가지고 외족의 침략에 대처한 인물이 바로 그였다. 애민 애족의 정신이 임금에 대한 충성에 섰던 점에서, 그의 선비정신은 전근대적 사고로부터 '한 발 나아간 생각까지 띠었다는 판단이 나온다. 그의 이런 정신이 조선 말기 의병정신의 선구적 의의도 지닌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dea of "seonbi" in sixteenth-century Chosun, and the seonbi-like personality and ideals that Juk-cheon Pak Gwang-Jeon embodied. The seonbi is one of the many idealized human personalities of Confucianism. Categorically placed beneath the "saint" (聖人) that is posited as a perfect, complete being and therefore practically unrealizable, it is a realizable ideal along with the gunja (君子) or the sage (賢人). The prioritized conditions for its realization are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 attainment of virtue through self-cultivation, and the practice of moral values. In addition to the above mentioned conditions, from early on in the Chosun era, the strict observation of just principles (義理) as a government official--an item of virtue which Confucious mentioned in Chunchu (『春秋』)--was also considered a requisite for the seonbi. By the sixteenth century, the thought was generally spread by the Sarim(士林派) that a rigorous practice of the ideal of serving the public was a precondition of the seonbi status. One of the most intellectual Neo-Confucianists, Juk-cheon was a possessor of such loft knowledge as to become the royal instructor, and served as an official from the ages 45 to 64, strictly differentiating the public from the private and focusing on the public service for the people. Such a fact already suffices to entitle him a seonbi at the time. However, what made him even more of a seonbi is his behavior and attitude regarding the Japanese intrusion (壬辰倭亂), which was after he retired from public office at 67. Despite his status as an ordinary citizen suffering from illnesses of old age, he collected some seven hundred men to organize civilian militia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intruders; during the intrusion of the jeong-yu year (丁酉再亂), he defeated a large number of Japanese intruders as a militia captain. His spirit of serving the public as a seonbi is lightlighted by his exemplary sacrifice at a time of the national crisis. Another activity of his during the same time also deserves our attention. It is the letter of appeal that he composed in order to encourage people to join the militia.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generally thought that they showed effort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ecause they were faithful to the king. However, the purpose that he identified in his letter of appeal was to protect the ordinary people and to preserve their well-being. He was a man who stood up against foreign invasions with a patriotic and nationalistic spirit of protecting the people and not just the king. In the sense that his patriotic and nationalistic spirit preceded his loyalty to the king, we may conclude that his spirit of seonbi perhaps took a progressive step beyond its premodern limitation. He is also significant as a spiritual model for later-Chosun militia activities.

      • KCI등재후보

        李退溪와 本居宣長의 理想的人間像 -情과 理를 통해서-

        徐希定 영남퇴계학연구원 2013 퇴계학논집 Vol.- No.12

        퇴계 이황과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근접한 시대를 살아나가며 이상과 현실사이의 괴리에서 그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뇌하였다는 점에서 시 대의 실천적 사상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당시의 보편적인 지 식, 사상, 정치체계였던 성리학에서 리와 정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에서 동일한 사상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 라 리와 정이라는 두 중심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시켜 궁극적으로 는 사회의 절대적 안정을 이루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충분한 비교연구가 치를 제공해준다. 퇴계의 세계는 공과 사가 대립되는 세계이다. 개인은 공적임과 사사 로움 사이에서 언제나 고민하지만 결국 사사로움을 극복하고 공을 향해 흘러가야만 한다. 퇴계는 이러한 세계의 근원을 사단과 칠정으로 구성 된 개인 내부의 문제로 귀납시킨다. 따라서 ‘공-사’를 비롯한 ‘군자-소 인’, ‘천리-인욕’등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양을 통해 사사로운 정감과 욕망을 억누르고 선하게 발현되도록 잘 다스려야 한다. 그러할 경우 인간은 모든 ‘사사로움’을 극복하고 결국 하늘의 리와 합일된 경지 에 이르게 되는데, 그 본보기가 바로 ‘성인’이다. 반면 노리나가의 세계는 공과 사의 경계를 의식하지 않는 세계이다. 왜냐하면 이들 개개인 배후에는 이미 그들은 선한 공동체라는 신앙이 전 제되어있기 때문이다. 선한 공동체는 두 가지 함의를 지닌다. 첫째, 그들 은 그들만의 신의 보호를 받고 있기 때문에 공동체 안에서의 모든 행위 는 신으로부터 그 정당성이 보증된다. 따라서 개인은 선과 악 사이의 도 덕적 고민들은 신에게 맡겨두고서 열심히 살아가야만 한다. 이때 선한 공동체 외부에 위치한 타국의 존재는 절대악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자국 의 존재를 더욱 선하게 응집시킨다. 둘째, 공동체는 사사로운 ‘정’으로 통일되어있다. ‘정’은 인간이 어찌할 수 없는 진실된 마음으로 인간이라 면 누구나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사사로운 감정이 증폭된 세계, 그것이 곧 공적세계이다. 이때 ‘리’의 존재 인간의 내부와 외부 모 두에서의 그 모든 효용성을 상실하며, 단지 ‘정’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 한 반어적 개념으로서만 그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노리나가는 모든 리 를 배제시키고 사적인 감정을 거침없이 발현해내는 모습을 이상적 인간 상으로 지향하고 있다. 살펴본 퇴계와 노리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