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신재식(Shin, Jae-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조선후기 경화세족 일각에는 청대 고증학이 인식되고 이를 향유하는 문화가 정착한다. 김정희에 의해 본격적으로 알려진 청대 고증학의 계보와 지식은 19세기 경화세족 문인학자들의 학문 경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는 주로 경학연구와 관련하여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과거 주자학 일변도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좀 더 실증적이며 객관적인 태도로써 漢ㆍ唐의 注疏와 같은 다양한 주석을 참고하고 활용하게 된 것이다. 청대 고증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인물로는 노론계열 문인학자 이상수가 있다. 이상수는 젊어서부터 윤정현과 같은 김정희의 문인과 교유하면서 고증학 관련 지식을 간접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자신의 학문에 직접 적용하기에 이른다. 그의 문집 『어당집』의 저작들을 살펴보면, 20대 중반까지의 저작들은 문학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많은 반면, 윤정현을 만난 30대 이후부터는 문학적 경향이 희미해지고 비교적 학문적 성향이 짙은 저작이 대거 창작됨을 볼 수 있다. 이는 이상수가 윤정현을 통해 청대 고증학자인 최술, 완원 등과 관련한 고증학 서적을 대거 탐독하고, 이에 경도되어 그의 학문적 경향이 변화했음을 짐작케 한다. 이후 이상수는 함경도 북청에 유배되어 있던 김정희를 직접 방문하여 학문적 훈도를 받고, 이를 경학연구, 교육 활동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하면서 그의 고증학적 학문 경향은 더욱 성장하게 된다. 이것이 이상수가 당대 학자들의 무비판적인 학문 태도에 대해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다. In late Chosun Dynasty, Kyounghwasejoks(京華世族) understood and enjoyed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Qīng Dynasty. A bibliographical study that known by Jung-hee Kim(金正喜) had an impact upon them. This study added variety to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As a result, a new academic trend that emphasizes specificand realistic features began to emerge freeing itself from Neo-Confucianism. Those affected by this trend consulted and applied annotations of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in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No-Ron Group’s Sang-soo Lee(李象秀) was influenced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He associated with a favorite student Jung-hyun Yoon(尹定鉉) of Jung-hee Kim, learned the bibliographical study from Jung-hyun Yoon, and applied the knowledge he learned in himself study scientifically. When examining his works in the anthology Uhdangjib(峿堂集), those written in his early twenties are more like a novelette, while rhe literary features disappear and a polyhistoric and academix tendency begins to emerge as he enter his thirties, because he met Jung-hyun Yoon. This implies that Sang-soo Lee had received a huge influence from the academic trend of Choi-Sul(崔述), Wan-Yuan(阮元). Later, Sang-soo Lee call at Jung-hee Kim in exile on Bukchung of the Hamgyong Dialect, and sat at Jung-hee Kim's feet, which gave him an access to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bibliographical study. In such circumstanses, his academic tendency toward bibliographical study could grow up. As a result, he criticized non-critical study attitudes, and proposed an alternative plan.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史記』 評述에 대하여

        이현호(Lee Hyun-H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본고는 峿堂李象秀(1820-1882)가 『사기』에 대해서 남긴 비평적 저술을 살핀 논문이다. 이상수는 텍스트의 선택이나텍스트의 선본에 관심을 갖지않고 독서하는 방법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의 독서법이 잘못되었기에 글을 잘 짓는 자가 드물다 하면서, 맹목적 독서가 아닌 能思의 독서를 해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상수의 독서론은 ‘虛讀’이 아닌 ‘實讀’이라 명명할 수 있는데, 독서에 潛心해야 志向이 정해지고 見識이 분명해져 결국에는 작자의 本心을 파악하며 글 전체의 大義를 구명할 수 있게 된다 하였다. 또한 이상수는 독서를 작문의 기초단계로 파악하지 않고, 오히려 작문 이후에 더 독서를 잘 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곧 작문법을 독서론에 적용하여 체계적이고도 분석적으로 글을 읽어야 글에 나타난 작자의 묘처를 알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독서작문론을 『사기』에 적용하여 비평적 언술을 남기게 된다. 혹리열전 에서는 저작의도를 후세의 경계가 아닌 한무제의 어리석고 현명하지 못함을 기롱하고 풍자하는 것이라 하였고, ‘脈理’에 입각하여 입전 순서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화식열전 에서는 작자의 本心과 宗旨를 글의 표면에서 찾지 않고 글에 드러나 있지 않은 곳에서 찾고 있으며, 사람들이 재화의 증식만 추구하여 올바른 가치를 망각하는 모습을 안타까워한 것이 이 傳을 創立한 사마천의 본심이라 하였다. 또한 문장의 ‘摺’과 ‘承’이라는 段落구성에서 접속 기법의 차원으로 화식전 에대하여 수사학적 분석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에서 이상수의 독서작문론의 의의와 『사기』에 대한 평술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critical review by Lee Sang-Soo (pseudonym: eh-dang, 1820-1882)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Shiji or 史記, Sima Qian;109 BC - 91 BC). Lee focused on the mode of reading, rather than on the choice and content of text. He pointed that most people employ an improper mode of reading and hence good writers are rare, thereby he urged to exercise truthful and proper reading instead of pointless reading. Such a theory of reading by Lee can be defined as true reading (實讀), as opposed to a vain reading (實讀), where he asserted that being engrossed in reading is what offers the inclination of messages and firmly sets the insight of reader; only then, one can eventually recite the true intention of the writer and be able to define the ultimate message of the whole text. Further, Lee did not identify reading as a prerequisite step for writing but instead expressed that reading can be improved with writing exercise. In other words, applying writing skills to the reading theory that one should read text in an orderly and analytic manner in order to appreciate the writer's merit from the text. He applied this theory of reading-by-writing in his critical review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He stated that the Biographies of Cruel Officials (Kuli liezhuan, 酷吏列傳) of the Records is not intended as a discipline for succeeding generations but to deride and satire the Emperor Wu of Han for his folly and poor wisdom, arguing that the contents are connected by the thread of logic in consecutive manner, without disruption. While discussing on the Biographies of Usurers (Huozhi liezhuan, 貨殖列傳), he finds the writer's true intention and ultimate message from the unmentioned context instead of the textual contents, that frustration was the real intention behind Sima Qian's establishment of the Records, for people becoming obsessed with material wealth and in turn oblivious to the value of morals. He also conducted rhetoric analysis on the Biographies of Usurers in terms of conjunctive method on the paragraph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remit and receiving. Such are the particulars that present the significance of Lee's reading-bywriting theory, as well as the insight to his critical assessment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 KCI등재

        峿堂 李象秀의 『史記』 評述에 대하여

        이현호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The present study analyzes a critical review by Lee Sang-Soo (pseudonym: eh-dang, 1820-1882)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Shiji or 史記, Sima Qian;109 BC - 91 BC). Lee focused on the mode of reading, rather than on the choice and content of text. He pointed that most people employ an improper mode of reading and hence good writers are rare, thereby he urged to exercise truthful and proper reading instead of pointless reading. Such a theory of reading by Lee can be defined as true reading (實讀), as opposed to a vain reading (實讀), where he asserted that being engrossed in reading is what offers the inclination of messages and firmly sets the insight of reader; only then, one can eventually recite the true intention of the writer and be able to define the ultimate message of the whole text. Further, Lee did not identify reading as a prerequisite step for writing but instead expressed that reading can be improved with writing exercise. In other words, applying writing skills to the reading theory that one should read text in an orderly and analytic manner in order to appreciate the writer's merit from the text. He applied this theory of reading-by-writing in his critical review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He stated that the Biographies of Cruel Officials (Kuli liezhuan, 酷吏列傳) of the Records is not intended as a discipline for succeeding generations but to deride and satire the Emperor Wu of Han for his folly and poor wisdom, arguing that the contents are connected by the thread of logic in consecutive manner, without disruption. While discussing on the Biographies of Usurers (Huozhi liezhuan, 貨殖列傳), he finds the writer's true intention and ultimate message from the unmentioned context instead of the textual contents, that frustration was the real intention behind Sima Qian's establishment of the Records, for people becoming obsessed with material wealth and in turn oblivious to the value of morals. He also conducted rhetoric analysis on the Biographies of Usurers in terms of conjunctive method on the paragraph composition characterized by remit and receiving. Such are the particulars that present the significance of Lee's reading-by- writing theory, as well as the insight to his critical assessment on the Records of the Great Historian. 본고는 峿堂 李象秀(1820-1882)가 사기에 대해서 남긴 비평적 저술을 살핀 논문이다. 이상수는 텍스트의 선택이나 텍스트의 선본에 관심을 갖지 않고 독서하는 방법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의 독서법이 잘못되었기에 글을 잘 짓는 자가 드물다 하면서, 맹목적 독서가 아닌 能思의 독서를 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상수의 독서론은 ‘虛讀’이 아닌 ‘實讀’이라 명명할 수 있는데, 독서에 潛心해야 志向이 정해지고 見識이 분명해져 결국에는 작자의 本心을 파악하며 글 전체의 大義를 구명할 수 있게 된다 하였다. 또한 이상수는 독서를 작문의 기초단계로 파악하지 않고, 오히려 작문 이후에 더 독서를 잘 할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한다. 곧 작문법을 독서론에 적용하여 체계적이고도 분석적으로 글을 읽어야 글에 나타난 작자의 묘처를 알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독서작문론을 사기에 적용하여 비평적 언술을 남기게 된다. 「혹리열전」에서는 저작의도를 후세의 경계가 아닌 한무제의 어리석고 현명하지 못함을 기롱하고 풍자하는 것이라 하였고, ‘脈理’에 입각하여 입전 순서가 단절되지 않고 연속되어 있음을 논증하고 있다. 「화식열전」에서는 작자의 本心과 宗旨를 글의 표면에서 찾지 않고 글에 드러나 있지 않은 곳에서 찾고 있으며, 사람들이 재화의 증식만 추구하여 올바른 가치를 망각하는 모습을 안타까워한 것이 이 傳을 創立한 사마천의 본심이라 하였다. 또한 문장의 ‘摺’과 ‘承’이라는 段落 구성에서 접속 기법의 차원으로 「화식전」에 대하여 수사학적 분석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것들에서 이상수의 독서작문론의 의의와 사기에 대한 평술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청년으로서 번역가 이상수와 번역의 운명

        박진영(Park, Jin-Young) 돈암어문학회 2011 돈암어문학 Vol.- No.24

        이상수는 김억, 홍난파와 함께 1920년대 상반기에 활약한 전문 번역가다. 소설과 희곡의 번역을 통해 세계 문학의 시대를 이끈 이상수는 문학청년의 면모를 보이면서 장편 소설 창작으로 나아갔으며 독자적인 출판사를 소유하고자 했다. 이상수가 충분한 창작 역량을 갖추지 못한 채 번역과 창작을 동시에 중단한 사태는 김억, 홍난파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포착된 현상이다. 이상수의 숨은 행적과 번역 활동을 재구성함으로써 1920년대 상반기의 전문 번역가가 공통적으로 지닌 문제성과 번역 출판의 역사적 한계를 재평가할 수 있다. Yi Sang-su was a prolific and professional translator along with Kim Eok and Hong Nan-pa in the first half of 1920s. Three translators as a literary youth had translated world literature with a new cultural sensibility into Korean. Inter alios Yi Sang-su had translated several novels and plays. Before long he wrote a novel and published it by his own publishing company, then gave up both writing and translation in the same way as Kim Eok or Hong Nan-pa. The research on his hidden past and literary works enables to revaluate translators and translations in the first half of 1920s historically.

      • KCI등재

        어당(峿堂) 이상수(李象秀)의 「당문평(唐文評)」 연구

        申在湜 ( Shin Jae-si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朝鮮後期 文學史를 이해하자면 그 핵심이 되는 唐宋派 文學의 수용 사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李象秀는 조선후기 당송파 계열의 문장가이다. 그는 農巖系 文人과의 교유를 통해 당송파의 文學論을 습득하여 독창적인 문학론을 창안하고 독서와 작문에 실천한다. 특히 「唐文評」(『峿堂集』 권20)은 이상수의 文學觀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당송파의 전범이 되는 唐나라의 문학작품을 대상으로 창작에 동원된 논지와 구성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문학비평인데, 당송파의 문학론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이상수 문학론의 정수가 반영되어 있다. 이상수 비평의 특징은 창작에 동원된 간결한 구성, 엄선된 제재, 컨텍스트 파악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간결한 구성이란 최소한의 언어량으로 최대한의 묘사를 해내는 것으로, 제재의 엄선, 유기적 조직, 정리된 표현 등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는 당송파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엄선된 제재란 엄격한 기준으로 선별한 창작의 단서가 되는 주제인데, 주로 ‘국가의 치세’와 ‘군주의 덕망’에 유용한 내용으로 儒家의 修己治人에서 나온 것이다. 컨텍스트란 텍스트가 이루어진 상황이나 맥락으로 작품의 주제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관건이다. 이러한 컨텍스트의 파악은 폭넓은 독서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여기서 일정한 법도가 있다고 여겨서 그 법도를 습득하면 우수한 작품이 된다는 논리가 당송파의 문학론을 계승한 것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다만 古文의 범주에 對偶文을 포함시켜 그 중요도를 높이고, 당송파의 창작론을 비평에 적용시켜 컨텍스트의 파악에 바탕한 텍스트의 분석을 비평의 단서로 삼은 것은 이상수의 진일보한 창작과 비평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history of embracing the literature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hich is in the core. Sang-soo Lee is the Tang-Song style writ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learned the literary theory of the Tang-Song school through the associating with literary people associated with Nongam and created his own original literary theory which he practiced in reading and writing. Especially, 「Review of Tang's Literature」 is a typical work that fully represents Sang-soo Lee’s literary view. It is a literary review which analyzed the literary works from the Tang Dynasty, which becomes the predecessor of the Tang-Song School, in two aspects: the thesis and composition, and it reflects the essence of the literary theory of Sang-soo Lee who succeeded to and further developed the literary theory of the Tang-Song School. The characteristics of Sang-soo Lee's review can be generally summarized into concise description, select theme, and context identification. Concise description means to describe maximum by using the least amount of language, and it undergoes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the careful selection of theme, organic composition, and neat expression, which are influenced by the Tang-Song School. Select theme is the carefully selected theme that becomes the clue for creation, and it was mainly the contents useful for 'State Governance' and 'Moral Influence of the Monarch' from the idea of 'cultivating oneself before appeasing others' in Confucianism. Context is the matter of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theme of the literature based on the circumstance in which the text is formed. Identifying the context requires extensive reading. The logic that there is a certain custom in literature and any author who masters that custom can create excellent literature is no doubt the legacy of the literary theory of the Tang-Song School. However, including antithesis in the category of ancient Tang-Song literature to increases its significance and applying the creative writing theory of the Tang-Song School in reading to use the analysis of text based on context identification as the clue for criticism and creation are from Sang-soo Lee's own analytical literary theory. This demonstrates the substance of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Tang-Song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鄭敬源의 『峽遊日記』연구

        이태희(Lee, Tae-hee)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장서각 Vol.0 No.29

        이 글은 19세기 후반의 遊記인 『峽遊日記』를 소개하고, 漢文散文으로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협유일기』는 구한말의 중앙 관료였던 鄭敬源(1851~1898)이 1877년에 스승 李象秀(1820~1882)를 모시고 충청북도 西郡(丹陽, 淸風, 堤川, 永春)과 寧越을 유람하고 지은 遊記 2편을 실은 책이다. 여기에는 단형 유기 「峽遊記」와 일기체 유기 「東遊日記」가 실려 있고, 말미에는 李象秀의 발문과 崔秉善의 「東遊錄序」가 붙어 있다. 2편의 유기에는 이상수가 정경원의 작문지도를 위해 쓴 批注와 批點이 남아 있다. 『협유일기』의 글쓰기 방식은 두 가지 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遊記의 筆記雜錄化 방식이다. 이것은 18세기 遊記 창작에서 성행했던 글쓰기 방식으로, 작자는 유기 속에 유람 도중의 다양한 견문과 생각을 자유롭게 서술해 넣는다. 그리고 각각의 화제들을 분리된 형태로 두는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정경원은 유람지에서 見聞한 지리의 역사, 지질의 특성, 역사 유적의 유래 설화, 지명 유래 등의 화제를 기록하였다. 그 예가 많지 않지만, 필기잡록화 방식의 글쓰기가 19세기 후반가지도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된다. 두 번째 주목해야 할 점은 전대 문장의 수용이다. 정경원은 전대의 문장을 그대로 가져오거나 재조합해서 문장을 구성하는 방식을 자주 사용하였다. 표절로 보이는 이 방식을 이상수는 그대로 용인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19세기 전반의 관료문인 洪敬謨에게서도 흔히 나타나는 방식으로, 당시의 글쓰기 방식의 관행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보건대 베껴 쓰기는 19세기를 아우르는 글쓰기 관행이었음이 분명하다. 한편, 『협유일기』의 인용 범위에는 袁宏道의 유기가 많이 들어있는데, 이를 통해 원굉도의 유기가 19세기 후반까지 계속해서 읽혔음을 짐작할 수 있다. Hyeopyuilgi (峽遊日記) written by Jeong Gyeong-won (鄭敬源, 1851~1898), includes his two travelogs, Hyeopyugi (峽遊記) and Dongyuilgi (東遊日記). The writer traveled Four Guns-Danyang (丹陽), Cheongpung (淸風), Jecheon (堤川) and Yeongchun (永春)-and Yeongwol (寧越) over one month during the autumn of 1877 then wrote the two travelogs. Four Guns were so famous for their scenic beauty during Joseon period that many writers traveled these areas and left poems and travelogs. Jeong went there after his teacher Lee Sang-su and admired the scenic beauty to write the travelogs. The readers could understand the writer focused on the seeing, feeling and expressing of beautiful scenes. Besides two travelogs, Hyeopyuilgi has an epilog written by Lee Sang-su in the February of 1878 and a preface written by Choi Byeong-seon (崔秉善) in 1903. In Hyeopyuilgi,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Lee read proofs Jeong’s two travelogs in person. Such evidences help us understand the teaching method of composition at that time. Hyeopyuilgi has two features. One is that it was written by the method of plagiarism. It was a common statement construction in travelog writing to express effectively writer’s feeling and thought by quoting others’writings. Jeong made frequent use of this method and often used others’writings, as if it were his own, without referring the sources. However, Lee, who read proofs for Jeong, conceded such method. According to the advanced studies up to now, that kind of writing trend was found in others and is supposed to be accepted generally in the atmosphere of Joseon’s writing and literary world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Hyeopyuilgi is one of the evidences that plagiarism was acknowledged as a method ofwriting at that time. The other feature is that Jeong quoted the travelog of Yuan Hongdao (袁宏道) several times. From it, it can be said that Jeong was familiar with Yuan’s works. the miscellaneous articles of the late Ming period influenced so deeply the literary world of the late Joseon that the literary trend of Joseon changed. The travelogs of Yuan held an important position in his miscellaneous articles and were read widely, getting a favorable review, in Joseon. Yuan had been studied until the early 19th Century however mainly in the 18th Century. Through the works of Jeong Gyeong-won, it was found that Yuan Hongdao was read still in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블록체인 투자에 관한 사건연구

        이정환,손삼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This paper surveys recent trends of global blockchain industry and tries to confirm whether such tendency appears in Korea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major trends in the global blockchain industry presented by McKinse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lockchain commercialization of the financial industry will fail to enter the second phase of the industrial life cycle. Second,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blockchain business is active in the industries such as the distribution service and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rd, the uncertainty in the crypto-currency market is likely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f blockchain in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is type of blockchain trends exist in Korea, this paper conducted event studies of 176 block-chain investment announcements from 2014 to 2018. Based on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found that the main tendency of the global blockchain industry were partially appeared in Korea. The fact that the major trends in the global blockchain industry are domesticated in Korea helps to clarify the current complex and erroneous discussion on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 본 논문은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최근 동향을 확인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그러한 경향이 국내에서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McKinsey가 제시한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산업의 블록체인 사업화의 2단계 산업 라이프사이클 진입 실패 가능성이다. 둘째, 유통업, 제조업 등의 업종에서 블록체인 사업 활성화 경향이다. 셋째, 크립토커런시 시장의 불확실성 증대와 여타 산업분야의 블록체인 사업화 활성화 가능성이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유형의 블록체인 산업동향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2014년~2018년 사이에 이루어진 176개의 블록체인 투자표본에 대한 사건연구를 실시한 후 다음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금융업종에서 블록체인 투자의 이상수익률은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유통서비스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통업과 기술제조업의 블록체인 투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상수익률을 나타내었다. 셋째, 크립토커런시 시장심리가 침체되는 시기에 이상수익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시장심리가 상승하는 시기에 이상수익률은 작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경향이 우리나라에서도 부분적으로 관철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강건성 검정으로 상하위 5% 극단적 수익률을 제거한 이후에도 이상수익률의 유의성은 유지되었다.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동향이 국내에도 관철되고 있다는 사실의 시사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신재식 동양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4 No.-

        In late Chosun Dynasty, Kyounghwasejoks(京華世族) understood and enjoyed the bibliographical study of Qīng Dynasty. A bibliographical study that known by Jung-hee Kim(金正喜) had an impact upon them. This study added variety to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As a result, a new academic trend that emphasizes specificand realistic features began to emerge freeing itself from Neo-Confucianism. Those affected by this trend consulted and applied annotations of Han Dynasty and Tang Dynasty in Studies of Confucian Classics. No-Ron Group’s Sang-soo Lee(李象秀) was influenced by the bibliographical study. He associated with a favorite student Jung-hyun Yoon(尹定鉉) of Jung-hee Kim, learned the bibliographical study from Jung-hyun Yoon, and applied the knowledge he learned in himself study scientifically. When examining his works in the anthology Uhdangjib(峿堂集), those written in his early twenties are more like a novelette, while rhe literary features disappear and a polyhistoric and academix tendency begins to emerge as he enter his thirties, because he met Jung-hyun Yoon. This implies that Sang-soo Lee had received a huge influence from the academic trend of Choi-Sul(崔述), Wan-Yuan(阮元). Later, Sang-soo Lee call at Jung-hee Kim in exile on Bukchung of the Hamgyong Dialect, and sat at Jung-hee Kim's feet, which gave him an access to a professional knowledge of a bibliographical study. In such circumstanses, his academic tendency toward bibliographical study could grow up. As a result, he criticized non-critical study attitudes, and proposed an alternative plan. 조선후기 경화세족 일각에는 청대 고증학이 인식되고 이를 향유하는 문화가 정착한다. 김정희에 의해 본격적으로 알려진 청대 고증학의 계보와 지식은 19세기 경화세족 문인학자들의 학문 경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는 주로 경학연구와 관련하여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과거 주자학 일변도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좀 더 실증적이며 객관적인 태도로써 漢․唐의 注疏와 같은 다양한 주석을 참고하고 활용하게 된 것이다. 청대 고증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인물로는 노론계열 문인학자 이상수가 있다. 이상수는 젊어서부터 윤정현과 같은 김정희의 문인과 교유하면서 고증학 관련 지식을 간접적으로 습득하고, 이를 자신의 학문에 직접 적용하기에 이른다. 그의 문집 『어당집』의 저작들을 살펴보면, 20대 중반까지의 저작들은 문학적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많은 반면, 윤정현을 만난 30대 이후부터는 문학적 경향이 희미해지고 비교적 학문적 성향이 짙은 저작이 대거 창작됨을 볼 수 있다. 이는 이상수가 윤정현을 통해 청대 고증학자인 최술, 완원 등과 관련한 고증학 서적을 대거 탐독하고, 이에 경도되어 그의 학문적 경향이 변화했음을 짐작케 한다. 이후 이상수는 함경도 북청에 유배되어 있던 김정희를 직접 방문하여 학문적 훈도를 받고, 이를 경학연구, 교육 활동 등 다방면에 걸쳐 활용하면서 그의 고증학적 학문 경향은 더욱 성장하게 된다. 이것이 이상수가 당대 학자들의 무비판적인 학문 태도에 대해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다.

      • KCI등재

        이상수의 속리산유기(俗離山遊記)에 드러나는 의론(議論)의 강화와 그 특징

        김용남 ( Kim Yong-nam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9 고전문학과 교육 Vol.17 No.-

        이 글은 조선후기를 대표할만한 산수유기 작가 중의 한 사람인 峿堂 李象秀(1820~1882)의 속리산유기를 검토한 것이다. 속리산유기는 17세기 초·중반부터 19세기 후반까지 꾸준히 창작되었다. 속리산유기의 작가는 충북 보은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인물이거나, 우암 송시열과 수암 권상하의 학통을 잇는 제자들로 이 지역과 무관할 수 없는 인물들이다. 한편 대부분의 속리산유기는 속리산의 산세지리와 유람 중 견문한 사실을 노정을 따라 기록하고, 산천경물을 매우 핍진하게 묘사하며, 때로 경물에서 촉발된 자신의 의론을 펼쳐 보이는 등 일반적인 유산기의 서술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상수는 <遊俗離山記>를 통해, 늘 생각만 하고 결행하지 못하는 삶의 태도에 대해 한번쯤 깊이 생각해 보자는 議論을 펼쳤다. 또한 인간관계와 일의 처리에 있어 조화와 변통을 통해 바람 같고 물 같은 인생을 순하게 살 것을 제안하며, 의론 끝에 울울한 개인적인 심회를 풀어나가는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어당은 <俗離會遇記>를 통해 가까운 친구들의 죽음과 쓸쓸한 가을 속리산의 모습, 그리고 인생의 가을을 보내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인생의 무상에 대한 깊은 철학적 이치를 드러내며, 사람들로 하여금 인생의 철리에 대한 깨달음을 촉구하였다. 또한 친구로 인해 산수를 찾게 된 감회에 유달리 의미를 부여하여 의론을 개인적 감회와 긴밀히 얽어서 썼다. 이상수의 속리산유기는 의론체 산수기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고, ‘의론의 강화’ 현상은 어당 속리산유기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수에게 있어 의론은 유람 중에 만난 어느 한 경물로 촉발된 것이 아니라 유람을 마치고 난 후 총괄하여 제시하는 형식의 의론이다. This thesis studies songnisanyugi(俗離山遊記), which is written by Uhdang Lee, Sang-soo. H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ansuyugi(山水遊記) wri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ongnisanyugi had been written continuously by many writers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late of 19th century. The writers of songnisanyugi are related to Boeun, Chungbuk directly or indirectly, or pupils of Uam Song, Si-yeol or Suam Kweon, Sangha, who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is region. Uhdang, through Yusongnisangi(<遊俗離山記>), tries to tell people to think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lives, in which they always think about something but do not practice it. Like this, when a writer tries to tell his opinion and discuss about it, it is called 'euiron.'(議論) He suggests that they should live a life based on the law of the world, through harmony and versatility. And through this, he can soothe his gloomy mind. In Songnihoiwoogi(<俗離會遇記>), he describes his closest friends' death, lonesome scenery of Mt. Songni in fall, and transience of life through looking back himself, who is in the twilight of his life. Also, he gives much significance to the fact that he goes there because of his friends, and he combines his personal feelings with his unique 'euiron.' His songnisanyugi can be included 'euiron' travelogue, and 'reinforcement of 'euiron' i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his writings. His 'euiron' is not a writing form resulting from the scenery, which he meets during his trip, but one thing, which is summarized and suggested after the trip.

      • KCI등재

        「春秋三傳同異攷序」를 통해 본 峿堂 李象秀의 학문성향

        신재식(Shin Jae si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조선후기 학계에서 朱子學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자 『四書五經大全』에 대한 검토에서 朱子의 정론을 확정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심화되고 있었다. 특히 韓元震을 위시한 老論 湖論系 학자들은 朱子의 정론을 파악하기 위해 明末淸初의 실증적 학설을 수용하는 유연한 학문태도를 보였다. 峿堂 李象秀(1820-1882)는 湖論의 학풍을 계승하였다. 특히 考證學에 정통한 金正喜의 문인 尹定鉉과 교유하면서 고증학적 지식을 습득한다. 이는 기초적 자료인 경서에 근거하여 성인의 대의를 도출하는 朱子學의 格物 연구를 중시한 데서 나온 것이다. 이상수 학문의 실증성은 『孟子』「離婁下」의 '좌우에서 취하여 그 근원을 찾는다[取之左右, 逢其原]'는 구절로 요약할 수 있다. 특히 『春秋三傳同異攷』는 그러한 성향이 잘 드러난다. 『春秋三傳同異攷』는 『春秋』의 三傳, 『左氏傳』ㆍ『公羊傳』ㆍ『穀梁傳』의 同異處를 검토한 연구물이다. 그 연구 과정에서 동원된 실증적 방식에는 그가 습득한 당대 학풍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본고는 그 서문인 「春秋三傳同異攷序」 분석을 통해 이상수의 학문성향을 파악해보았다. 텍스트의 同異處를 대조하는 방식은 그가 계승한 湖論系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수의 『春秋三傳同異攷』의 분석 역시 韓元震의 『朱子言論同異攷』와 유사한 면이 많다. 또한 正祖는 傳注로 인해 經文을 오인한 문제를 지적하고 經文 자체의 본의 파악에 주력할 것을 강조한 바 있다. 다만 經文만 가지고 『春秋』를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三傳의 장단점을 취사하여 가장 적합한 해석을 찾을 필요가 있었다. 이상수 역시 朱子의 설에 따라 『春秋』와 三傳의 개념을 정의하고 각 傳의 장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그 내용을 판단할 때 『春秋』 經文을 위주로 삼고 『左氏傳』을 보조로 삼는다. 그러므로 이는 좌우에서 취하여 근원을 찾는 노론 호론계의 학문법과 명말청초 학술을 참고하고 경문의 대의를 우선한 정조 연간 학풍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볼 수 있다. After researching Chosun's Academic history,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The Examination of DaeJunBon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 nism, the Influx of anti-neo-confucianism and threat to neo-confucian system. It made an impact on Joseon's neo-confucianists and took steps to protect neo-confucianism because of Joseon's political system. This issue spurred neo-confucianists on to tighten neo-Confucian theory. They took note of early Qing's scholarly books to develop a strategy for tighten neo-confucian theory. Noron's horon Group's Sang-soo Lee(李象秀) was influenced by the horon Group's Won-jin Han(韓元震). He associated with a favorite student Jung-hyun Yoon(尹定鉉) of Jung-hee Kim(金正喜), learned early Qing's scholarship from Jung-hyun Yoon, understood its theory as Zhu Xi's theory, and utilized it for the study to tighten neo-Confucian theory. After researching Sang-soo Lee's chūnqiūsānchuántóngyìkǎoxù, we can see the following facts. Defining chūnqiūsānchuán according to Zhu Xi's theory. When veriyfing their authenticity, focus more on Zuoshichuán than gōngyángchuán or gǔliǎngchuán. And again focus more on chūnqiū than Zuoshichuán. This implies that scholars in late Chosun Dynasty including Sang-soo Lee criticized non-critcal study attitudes, and applied a illustrative method of Qīng dynasty to neo-confucianism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