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회영(李會榮)과 이상설(李相卨)의 독립운동론과 독립운동 비교

        박걸순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4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are related, and they are also friends who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research examines and compare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ory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these two figures to identify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Their initial direc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coincided as they bot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First, Sangseol Lee disposed of his family’s fortune and fled the country in 1906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rmed struggle. Sangseol Lee sold his land and house in Jincheon and Seoul to fund the independence movement. Disposition of Hoeyeong Lee’s properties is one of the most famous stories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was a result of directions given by Sinminhoe and his agreement with Sangseol Lee.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not only provided tremendous amount of funds to the movement, but also engaged themsel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oblesse oblige . The gathering of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in 1908 at Vladivostok was important as it determine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time and locational differences in their activities caused discordance in their approaches. Hoeyeong Lee accepted anarchism and became an anarchist because of the periodical and locational conditions that he encountered at the time.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had special relationships with Gojong (高宗). Since both planned and attempted Gojong’s asylum,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their identities were free from the idea of protection of and loyalty to the king. The fact that Sangseol Lee was chosen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Government should be not interpreted that he repudiated his relationship with Gojong. However, Hoeyeong Lee’s recognition and identities regarding Gojong should be understood in a sense that he accepted anarchism and changed his thoughts after the death of Gojong and exile to Beijing. That is, Sangseol Lee had not deviated significantly from the identity around Gojong whereas Hoeyeong Lee had developed a new identity instead of being fixated by his initial ideas. 이회영과 이상설은 인척 간으로 죽마고우이자 동지로서 한국 독립운동사에서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이 글은 두 사람의 독립운동론과 독립운동을비교사적으로 고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들의 초기 독립운동의 방략은 독립운동 기지 개척론으로 일치하였다. 먼저 이상설이 가산을 정리하고 1906년 망명하여 무장투쟁의 기틀을 닦았다. 이상설은 고향 진천의 토지와, 서울의 토지와 저택을 매각하여 독립운동 자금으로충당하였다. 이회영의 재산 처분은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 이또한 신민회의 방략에 따르고 이상설과 협의한 결과이다. 이회영과 이상설은 막대한 운동 자금을 지원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 독립운동을 실천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1908년 이회영과 이상설의 블라디보스토크 만남은 향후 독립운동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회동이었다. 이회영은 이상설이 강조한 국제 정세를 이용한기회포착론을 귀국 직후 실천에 옮겨 나갔다. 그러나 활동의 시·공간적 차이는두 사람 간 사상과 방법론의 차이를 초래하였다. 이회영이 아나키즘을 수용하고 아나키스트로 전회한 것은 그가 처해 있던 시대적·지역적 조건의 차이에 따른것이었다. 이회영과 이상설은 고종과 특별한 관계를 지닌 인물이었다. 두 사람 모두 고종의 망명을 계획하고 추진하였다는 점에서 그들의 정체론이 보황주의나 근왕적 사고로부터 탈피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상설이 대한광복군정부 정통령에 추대된 것을 두고 고종과 절연한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후이회영의 고종 인식과 정체론은 고종의 죽음과 베이징 망명 이후 아나키즘의 수용으로 변화하였다고 이해함이 타당하다. 즉 이상설이 고종을 중심으로 한 정체론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던 반면, 이회영은 당초의 정체론에만 고착되지 않고 새로운 정체론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수학자 이상설이 소개한 근대자연과학: <식물학(植物學)>

        박영민 ( Young Min Park ),김채식 ( Chae Sik Kim ),이상구 ( Sang Gu Lee ),이재화 ( Jae Hwa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논문집 Vol.25 No.2

        본 원고는 2004년 과학사학자 박성래 교수가 독립 운동가이자 한국 근대 수학교육의 아버지로 부르기 시작한 보재 이상설(李相卨, 1870-1917)이 자연과학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국수학사학회지 2009년 11월 호에 자세히 소개된 〈數理〉를 쓴 시기를 전후하여, 같은 시기에 이상설이 붓으로 쓴 것으로 여겨지는 〈植物學>(이상설, 1899)은 총 4면의 초록 필사본이며, 그 대본(臺本)은 〈植物學啓蒙〉 (Edkins, 1886)으로 영국의 Joseph Edkins(艾約瑟, 1823-1905)가 번역하여 1886년에 간행한 〈西學啓蒙〉 16종 가운데 하나이다. 이상설의 〈植物學>은 이 〈植物學啓蒙〉을 읽으면서 그 책의 내용 중 당시의 조 선 학자가 모르고 있던 새로운 내용을 중심으로 메모를 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산학과 근대서양수학을 연결하는 〈數理〉를 저술했으며. 우리나라의 정규 교과과정에 수학과 과학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하고, 첫 번째 수학교과서 〈산術新書〉를 발간함으로 당대 최고의 수학자로 평가된 이상설이 쓴 〈植物學〉을 발굴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최초로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당시 조선의 서양 과학, 특히 식물학에 대한 이해 수준을 분석하고 〈植物學〉의 원전인 〈植物學啓蒙〉 과 <西學啓蒙〉의 저자에 대하여 알아본다. 이는 당시 수학교육자가 자연과학분야에 행한 교육적 기여를 이해 하는데 필수적인 연구이다. This paper deals with contents that Sang-Seol Lee contributed to the natural science in the 19th century Korea. Prof. Sung-Rae Park, the science historian, called Sang-Seol Lee Father of the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of Korea. Sang-Seol Lee wrote a manuscript Botany with a brush in late 19th century. Botany was transcribed from Science Primers: Botany (written by J. D. Hooker), which is translated into Chinese by Joseph Edkins in 1886. The existence of Sang-Seol Lee`s book Botany was not known to Korean scientists before.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ntents of Botany and its original text. Also we analyze people`s level of understanding Western sciences, especially botany at that time. In addition, we study authors of 16 Primers for Western Knowledge. We study the contribution of mathematician Sang-Seol Lee to science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Korea.

      • KCI등재

        수학자 보재 이상설(李相卨)의 근대자연과학 수용 -『백승호초(百勝胡艸)』를 중심으로-

        이상구 ( Sang Gu Lee ),박종윤 ( Chong Yun Park ),김채식 ( Chae Sik Kim ),이재화 ( Jae Hwa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논문집 Vol.27 No.4

        본 논문은 한국 근대수학교육의 아버지 이상설(李相卨, 1870-1917)이 자연과학―물리학―에 기여한 내용을 다루고있다. 이상설은 ?수리(數理)?를 쓴 시기를 전후하여, 같은 시기에 붓으로 총 8면에 걸쳐 『백승호초(百勝胡艸)』라는이름의 고전물리학 원고를 써서 남겼다. 분석결과 이 책의 원전은 1879년에 동경제대 의학부 교재로 발간된 『물리학(物理學)』이다. 이상설은 『백승호초』에서 먼저 개념을 정의하고, 일상에서 나타난 대표적 현상을 선록하여 한문으로번역하였고, 『물리학』의 전체 분량에서도 특히 ‘통유성(通有性)’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였다. 동양에서 서양의 수리과학이 들어와야만 말할 수 있는 ‘질량보존의 법칙’, ‘타성(惰性, 관성)’과 같은 고전물리학의 중요개념을 포함하는 내용이 19세기 말에 이미 이 책에 소개된 것으로 보아 이상설은 당대의 다른 저술에서 보기 힘들 정도로 당시 일반물리학의 최고수준의 원서를 통해 최신 정보를 수용하고 전파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음을 볼 수 있다. Sang-Seol Lee(1870-1917) wrote a manuscript BaekSeungHoCho(百勝胡艸) in the late 19th century. BaekSeungHo-Cho was transcribed in classical Chinese from the 1879 Japanese book Physics(物理學) by Teizo Ihimori (1851-1916). Sang-Seol Lee, a famous independence activist, is also called Father of the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of Korea,because of his early contribution to the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19th centu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contents of his manuscript BaekSeungHoCho for the first time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is book. Also, we show his constribution on the introduction to modern physics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

      • KCI등재후보

        국치 전후 李相卨의 연해주지역 독립운동

        朴敏泳(Min-Young Park)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7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29

        독립운동가 이상설은 1909년 4월 22일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떠나 7월 14일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하였다. 연해주에 도착한 이상설이 가장 먼저 착수한 독립운동 사업이 봉밀산 독립운동기지 개척이었다. 봉밀산에 건설된 한인거주지는 네 곳이 확인되는데, 이상설은 이들네 곳 개척에 모두 관계하였다. 이상설은 연해주에서 항일의병세력 통합에도 노력하였다. 의병세력 통합노력은 한말 의병의 상징적 인물인 제천의병장 유인석과 함께 추진하였다. 1910년 6월 21일에 결성된 십삼도의군은 그러한 통합노력의 소산이었다. 이상설은 십삼도의군의 사무와 조직을 관리하던 실질적 책임자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설은 유인석과 연명으로 십삼도의군 편성 직후인 7월 28일 황무황제에게 상소를 올려 연해주로 파천하기를 요청하였다. 당시 광무 황제는 여전히 한민족의 정신적 구심체였고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인물이었다. 그러므로 광무황제가 파천하게 되면 국제공론을 환기할 수 있고 국내 인심을 고취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십삼도의군을 편성하고 광무황제 연해주 파천계획을 수립한 것은 국망 저지를 위한 방략이었던 것이다. 이상설은 1910년 8월 국치에 즈음해 병탄 무효를 선언하고 병탄반대투쟁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성명회를 조직하였다. 성명회는 십삼도의군이 국망을 계기로 한 단계 더 발전된 형태로 조직된 것이다. 이상설은 성명회의 활동내용 가운데 핵심되는 선언서를 집필하였고, 대규모 병탄반대 서명록 작성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성명회는 1911년까지 해체되지 않고 존속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Sang-Seol Lee, an esteemed independence activist left San Francisco on the 22nd of April, 1922 and arrived at Vladivostok on the 14th of July. When he arrived at Vladivostok, the first busines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he set to work was to establish a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Mt. Bongmil. 4 places of Korean residence established at Mt. Bongmil were identified and he was connected with their establishment. He made an effort to unify the forces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Primorie. Such his effort was propelled with In-Seok Yoo who was the symbolic man of note as the head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Jecheon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thirteen provinces” which was formed on the 21st of June, 1910 was the outcome of his unification effort. It seems that he was the actual leader managing the clerical work and organization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thirteen provinces”. Right after the formation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thirteen provinces” under joint signature with In-Seok Yoo he presented a memorial to the Emperor Gwangmoo on the 28th of July and asked him to flee from the palace to Primorie. Because the Emperor was still the spiritual center of Koreans and symbol of the Korean Empire at that time, if the Emperor fleed from the palace, he could arouse public opin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get Koreans’ mind. The formation of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thirteen provinces” and his plan of royal refuge were the stratagem to obstruct the fall of Korea. He declared the ineffectiveness of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t the time of National Humiliation Day and organized Seongmyeonghoi to develop the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systematically. It seems that Seongmyeonghoi was the organization that “The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of thirteen provinces” took a step forward. He wrote a manifesto which was one of core activities of Seongmyeonghoi and led making a book containing the signatures of the people who were against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t is verified that Seongmyeonghoi existed till the year of 1911.

      • KCI등재

        이회영의 민족혁명과 자유사상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49 No.-

        이 글은 아나키즘의 독립운동가로 알려진 우당 이회영의 사상적 연원이 19세기 말 이후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민족혁명 과정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우당의 70여 평생은 새로운 시대를 향한 자유와 평화라는 궤도에서 끊임없이 이뤄낸 혁명가의 삶 그 자체였다. 10대 후반에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꿈꾸었던 우당은 30대 초 제왕의 시대를 극복하고 사민 자유평등의 시대를 선구적으로 열어 나갔다. 그리고 자유를 향한 우당의 꿈은 스러지는 민족의 운명 앞에서 독립운동으로 전환되어 갔다. 구시대 타파를 위한 사회 개혁의 바램이 독립운동으로 분출되어 간 것이다. 그에게 독립운동은 인간의 자유, 민족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결단이었다. 우당의 독립운동에는 인간의 자유와 평등을 지향한 신념이 일관되게 관철되고 있었다. 그리고 해외 독립군기지 건설을 선구적으로 개척하면서 독립전쟁을 통한 독립 달성의 길을 열어 나갔다. 이런 우당의 독립군기지개척은 신민회가 독립군기지를 계획하던 것보다 선행한 것이었고, 1910년 우당 일가가 서간도에 독립군기지를 개척하기 위해 집단 망명을 단행하기까지에는 을사늑약 이후 치밀한 계획에 의해 추진된 것이었다. 우당의 독립운동은 무엇보다 광대하고 선이 굵었다. 우당은 이 과정에서 동지 이상설과 안과 밖을 이루며 독립운동의 험난한 가시밭길을 헤쳐 나갔다. 독립운동사에서 찬연하게 빛나는 이런 자취들은 국제정세에 밝았던 이상설과 국내정세를 궤뚫고 있던 우당이 힘을 합쳐 일궈낸 독립운동의 산물이었다. 우당이 1920년대 초 아나키즘 노선을 표방한 것은 자신의 혁명사상과 아나키즘이 상통한 때문이었다. 우선 아나키즘은 인간의 자유를 최고의 가치로 삼고, 자유를 억압하는 권력과 독재를 배척하고, 제국주의 타도를 기치로 삼아 인류평화를 추구하는 점, 그런 아나키즘이 한국 독립운동의 정의에도 어긋나지 않는 점, 그리고 제국주의 타도를 위해 강력한 투쟁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점 등에서 이제까지 걸어온 우당의 혁명노선과 크게 다를 바가 없었던 것이다. 이처럼 우당이 내세운 아나키즘 노선은 젊은 시절부터 쌓아온 경륜과 독립운동의 경험이 어우러져 생겨난 것이지, 젊은이들처럼 아나키즘의 사상적 수용을 통해 습득된 것과는 분명 다른 것이었다. 우당에게 아나키즘은 사상적 전환이 아니라 독립운동의 방략적 차원에서 받아 들여졌던 것이다. This thesis aim to reveal that the ideological origin of Lee Hoe-yeong, who known as an anarchism’s independence actvist, was formed in the progress of national revolutionary movement seeking freedom and equality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Some 70 years of Woo Dang’s life was a revolutionary’s life itself, which was constantly being achieved in freedom and peace track for a new era. Woo Dang, who was seeking of freedom and equality in his late teens, overcame the era of kings in early 30’s and started opening the era of social freedom and equality. And his dream, which was seeking for freedom, transformed the independent movement at the front of the destiny of nation which was disappearing. The wish of social reform for breaking down old era was being vented as the independent movement. The independent movement was decision to protect a freedom of human and nation for him. A belief toward the human freedom and equality was being carried consistently in the Woo Dang’s independent movement. And he went a way of achieving independence thorough the war of independence by pionee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broad independence army base. This pionee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broad independence army base by Woo Dang was far ahead of the plan of Sinminhoe(新民會) for constructing the independence army base. And it was a carried by an elaborate plan after Protectorate Treaty(乙巳勒約) until the time, which his family fled the country to pioneer the independence army base. Above all things, the independent movement of Woo Dang was extensive and bold. In this progress, he got through rough a thorny path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his colleague, Lee Sang-Seol. These glittering bright trails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w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movement, which reclaimed to work together by Woo Dang, who was penetrating the domestic situation, and Lee Sang-Seol, who was familiar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early 20th, he reason why Woo Dang claimed to support anarchism was that his revolutionary ideas share many things in common whit anarchism. First of all, anarchism evaluate freedom of humanity as a best value, and exclude authority and dictatorship which suppress freedom. And anarchism pursue peace for mankind by fighting under the banner of overthrowing imperialism, and it’s meaning is not different with the justice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Furthermore, the thing that anarchism adapt the strong struggle policy for overthrow of imperialism is similar to Woo Dang’s revolutionary lines. So, anarchism of Woo Dang was not an adapting accept of ideological anarchism, but the thing from his experience of independent movement and knowledge. It was big different from younger persons who adapted anarchism ideologically. The anarchism for Woo Dang was adapted as not an ideological change, but a strategic plan.

      • KCI등재
      • KCI등재

        근대교육사에서의 서전서숙의 위상

        박주신 ( Joo Shin Park )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이 연구는 서전서숙 설립 100주년을 맞은 시점에서 서전서숙의 한국독립운동사에서의 역사적 의의 및 한국 근대교육사에서의 위상을 재조명해 본 것이다. 서전서숙은 1906년 간도(현재 중국 연변조선족자치주)에 이상설을 중심으로 한 민족지사들이 설립한 민족주의 계열의 사립학교이다. 설립목적은 1905년 11월 「을사늑약」이후 일제에 의하여 외교권이 박탈되고, 식민지주의 교육이 노골화되어가자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인재를 양성하여 항일민족교육을 전개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 학교는 비록 1년 미만의 짧은 역사로 끝났지만, 간도지방 한인동포들을 위한 최초의 근대식 민족주의교육기관인 동시에 항일 조국독립운동의 원류로서 그 의미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서전서숙의 설립 중심인물들과 출신들은 모두가 민족정신이 투철하고 반일적 성격이 강했던 애국지사들로서 국내외 각지에서 교육자 또는 항일독립운동가로서 민족주의교육과 독립운동을 실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해외 독립운동기지화의 계기를 마련하여 후일 항일민족운동을 전개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The first education for the Korean settlers in Gan Do area of China started out at a modernized, yet small, private school early in 1906, which was like a village school of what was called "Seojeon Seo-Sook". This research re-investigates Seojeon Seo-Sook on its historical meaning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its status in the history of modern education of Korea, as of its 100th anniversary. Seojeon Seo-Sook was a nationalist private school established by Lee Sang-Seol, a leading nationalist in Gan Do area of China(Yanbian Korean self-governing province of China in present), 1906. The purpose of the school was to inculcate anti-Japanese consciousness in the minds of the Korean students so that they may play patriotic roles after the treaty that deprived Korea of its diplomatic rights was imposed in November, 1905, the so called ``Ulsa`` agreement(을사늑약), whereby the condition for education was worsened. Although the school ceased to exist in a year, its historical status as the first private school established for Korean emigrants in Gan Do, and a center for anti-Jap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stands out. Moreover, the school produced promoters who played major roles in the construction of nationalist educ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s teachers or anti-Japan nationalist activists, the men of "Seojeon Seo-Sook", with strong anti-Japanese sentiment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forming a strong overseas basis.

      • KCI등재

        제2회 헤이그 만국평화회의 特使에 대한 일본의 대응

        한성민(韓成敏)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1 No.-

        1907년 고종은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이상설?이준?이위종 및 헐버트를 특사로 파견하였다. 이러한 고종의 움직임을 사전에 파악한 일본은 평화회의 의장국인 러시아에게는 집요하게 한국의 참가 불허를 요구했다. 하지만, 고종의 특사 파견을 사전에 저지하려 하지도 않았고, 헤이그에서 한국특사단의 활동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제지를 하지 않고 방관하였다. 여기에는 2가지 중요한 정치적 의도가 있었다. 한국의 만국평화회의 참가문제는 ‘한국병합’을 추진하고 있던 일본에게 커다란 타격을 가할지도 모를 중대 사안이었다. 한국이 이 회의에 정식으로 참가하게 되면 그 자체로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조약은 死文化 될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독립국으로 공인받는 하나의 계기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반대로 한국대표가 회의 참가를 허가받지 못할 경우 그 자체로 한국에 대한 일본의 권리를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공인받는 계기가 될 것이었다. 일본은 포츠머드조약에 근거하여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하지만 이 조약에서 규정한 일본의 한국에 대한 ‘보호, 지도 및 감리’의 범위가 불분명했기 때문에 애초에 한국의 외교권 박탈의 근거로 이용되기에는 불충분했다. 한국의 평화회의 참가 문제는 이러한 일본의 고민을 열강들과의 특별한 협의과정 없이 해결할 수 있는 기회였다. 일본은 열강과의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였다. 첫째 국제사회를 향해 일본은 한국특사단의 공개적인 반일활동을 허용할 정도로 한국에 대해 자유롭고 문명적인 지도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도 다른 서구 열강과 동일하게 식민지를 통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둘째 이 사건을 빌미로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한층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이러한 일본의 의도는 제2회 만국평화회의 기간 동안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일본은 열강으로부터 한국의 회의 참가 불허를 약속받음으로써 한국에 대한 보호권을 공인받았다. 그리고 고종의 강제 퇴위와 한국의 내정권을 박탈한 제3차 한일협약(丁未條約)을 체결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였다.

      • KCI등재

        恥齋 李範世의 生涯와 交遊

        李恩英(Lee, Eunyoung)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6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직전 관직에서 물러나 자정의 길을 택한 恥齋 李範世(1874~1940)의 생애와 교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치재는 土門勘界使로 활약한 二雅堂 李重夏(1846~1917)의 외아들이다. 만 15세에 문과에 급제한 그는 을사늑약 직후부터 관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관료로서의 저항적 삶을, 경술국치 후에는 독립자금 모금, 언론사와 신간회 활동을 통한 일제에 대한 투쟁 등 망국민으로서의 저항적 삶을 살았다. 치재는 교유했던 인물들에 대해 경술국치 전후를 기준으로 크게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하나는 함께 신학문을 공부하다 망명을 떠나 독립운동에 투신하는 인물들과 만나지 못해 그리워하는 모습이다. 또 하나는 직접적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국내에 남아 있던 인물들과 함께 망국에 대한 슬픔과 나라 잃은 백성들의 아픔을 시로 토로하는 모습이다. 그밖에 치재는 이상설을 비롯한 양명학자들과 교유를 가진 사실도 확인되었다. This paper is about the life and social intercourse of Chi-Jae, Bum-Se Lee(1874~1940), who had resigned from government service for self-regularity just befor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rted. He is the only son of Yi-A-Dang, Jung-Ha Lee(1846~1917), who played a important role as a Tomungamgyesa. As a promising youth passing the examination aforementioned at the age of 15, his resistance came up to the surface right after the Ulsaneukyack. After the Kyungsulgukchi, he helped the independence with fund-raising and activity of Shinganhoe as a homeless race until his depth. He had 2 different attitudes to his acquaintances from Kyungsulgukchi. To the one group, who studied the new-learning with him, he felt sorrow at parting to the persons going in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ir exiled places. With the other group he wrote poems about the sorrow of the national ruin and the emotional injury of the ruined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e fact is confirmed that he associated with the school of Wang Yang-ming including Sang-seol Lee.

      • KCI등재

        북만주 烏雲縣의 독립운동 근거지 倍達村 연구

        박민영(Park, Min-you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0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72

        북만주 오운현의 올라카하 유역에 1916년 최초로 한인마을이 형성된 것은 러시아 연해주 한인사회의 정치적 변동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1917년 볼세비키혁명이 그것이다. 이러한 정변의 결과 연해주 한인사회는 북만주 일대의 중러 변경지대에 새로운 독립운동 근거지를 설정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던 것이다. 그 사업을 주도한 인물은 이상설을 비롯하여 조성환, 박찬익 등의 독립운동가들이었다. 오운현에 한인마을이 들어섰던 올라카하 지역은 오늘날 올라카하 강 유역으로 짐작된다. 올라카하라는 지명은 우루깡, 올라까 등을 비롯하여 오랍간, 울우간, 우루간 등 다양한 이명으로 나타난다. 그 마을의 명칭은 한인 마을이라는 고유한 의미에서 처음부터 배달촌으로 불렸다. 올라카하 배달촌은 1921년 마적단의 습격으로 오운현 치소가 있던 溫河鎭(현 舊城村) 외곽으로 이주하였다. 또 온하진 배달촌도 1928년 대홍수로 인해 큰 수재를 입고 다시 새로운 장소인 현재의 오운진 동남쪽 외곽지대로 이주하여 안착하였다. 배달촌의 마을 규모는 줄곧 1~2백 호 규모로 유지되어 오다가 만주국 시기에는 50호 아래로 줄어든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오늘날 배달촌은 완전히 폐촌이 되어 과거 한인이 살았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북만주 오운현의 배달촌은 시기에 따라 이동하면서 세 곳에 자리를 잡았다. 마을의 형성 배경에 독립운동이 바탕으로 깔려 있던 만큼, 전 시기를 통틀어 독립운동의 흐름에 동참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북만주, 연해주 일대에서 활동한 독립군단인 血誠團의 활동 근거지였다는 사실과 만주 독립군단의 중러 국경 이동 근거지였다는 사실 등이다. 그뒤 만주국 시기인 1941년에는 한, 중 공동항일투쟁을 전개하던 동북항일연군의 유력한 지도자들인 김책, 이조린 등이 소련을 왕래할 때 이곳 배달촌을 거점으로 삼아도강한 사실도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사실로 보더라도 북만주 중, 러 국경지대에 자리잡은 배달촌은 1945년 해방 때까지 독립운동 근거지로서의 소임을 다했다고 할 수 있다. The formation of the first Korean village in 1916 in the Olakaha basin in Ohun-hyeon, North Manchuria,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fluctuations of the Korean community in the coastal region of Russia. The outbreak of World War I in 1914 and the Bolshevik Revolution in 1917.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base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border zone of China and Russia in northern Manchuria emerged. The leaders of the project were independence activists such as Lee Sang-seol, Jo Sung-hwan, and Park Chan-ik. The Olakaha region, where Korean villages were built in Ohun-hyeon, is now vaguely guessed as the Olakaha River basin. The names of Olakaha appear in various names, including Urukang and Olika, as well as Orapgan, Ulugan, and Urugan. The name of the village was called the Baedahlchon village from the beginning in the unique meaning of a Korean village. In 1921, the delivery village of Olakaha moved to the outskirts of the Onhah-jin where Ohun-hyeon’s center was located in 1921. In addition, the Baedahlchon village of Onhah-jin was flooded with a great flood in 1928 and relocated to a new location, the southeastern outskirts of Ohun-jin, and settled. It is presumed that the size of the Baedahlchon village has been maintained at a scale of one to two hundred units, and then decreased to less than 50 units in the Manchuria period. Unfortunately, however, today’s Baedahlchon village is completely abandoned and there is no trace of how Koreans lived in the past. Baedahlchon villages in Ohun-hyeon, North Manchuria, moved according to the season and settled in three places. As the independence movement was laid in the background of the village’s formation, it is confirmed that it participated in the flow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are the fact that it was the base of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corps Hyeolseongdan unit, which was active in northern Manchuria and the coastal region, and the fact that it was the base for the movement of the Manchurian independence corps to China-Russia border. It is also noteworthy that in 1941, the period of Manchuria, the leading leaders of the Northeast Anti-Japanese Alliance, who were engaged in a joint anti-Japanese struggle between Korea and China, made their way to and from this Baedahlchon village when they traveled to and from the Soviet Union. Even from these facts, it can be said that the Baedahlchon village, located on the border of north Manchuria, China and Russia, fulfilled its role as the ba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until liberation in 19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