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의 ‘현실감각’

        유홍림 한국정치사상학회 2019 정치사상연구 Vol.25 No.2

        Isaiah Berlin is renowned for his contribution to the contemporary discourse on liberalism and pluralism; and his distinction of two concepts of liberty triggered the game of interpretation over the meaning of liberty among liberals and republicans. What has been neglected, however, is his contribution to the lasting debate on ‘the proper study of mankind,’ i.e., how to understand and illuminate our historical and political experience. Berlin’s repudiation of logical positivism, scientism and historical determinism is based upon his practical reasoning that appreciates the complexity of human life, the primacy of freedom of choice, and a recognition of the conflict among values in the thick texture of social reality. Berlin’s practice of the history of ideas, favoring empathetic understanding of values, purposes, and world-views, has been guided by his ‘sense of reality’ or ethical-political judgment, which he argues is the central virtue of both political theory and practice.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his pluralistic understanding of moral reality, political advocacy of negative conception of liberty, and moderate position against extremes are not so much logical components of an architectonic system as practical expressions of his sense of reality. 이사야 벌린(Isaiah Berlin, 1909-1997)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정치사상가로서 전체주의에 대항하는 자유주의와 다원주의 관련 담론을 발전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자유의 두 개념에 대한 논의는 자유 개념의 의미와 위상을 둘러싼 자유주의-공화주의 이론가들 간의 해석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역사와 정치에 대한 탐구방법 및 정치(학)적 역량을 다루는 벌린의 저술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벌린은 현실 상황에 대한 진단과 실천적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치 세계의 특성과 정치행위자의 역량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에세이’ 형식의 저술을 통해 이론가와 행위자 모두에게 필요한 ‘현실 이해’의 방식과 ‘윤리적-정치적 판단’의 특성을 구명하려 노력했다. 벌린의 사상사 연구는 역사와 정치에 대한 적실한 이해 방식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논리실증주의와 과학주의, 역사적 결정론에 대한 벌린의 비판과 대안 모색은 이론적 관심을 넘어 현실적 동기를 갖는다. 복합적 역량으로서의 ‘현실감각’은 이론과 실천의 긴장을 되살려내고, 학문적 탐구의 주제와 방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촉구한다. 벌린의 윤리적 판단으로서의 가치다원주의, 정치적 판단으로서의 소극적 자유 옹호, 그리고 실천적 지혜로서의 중용적 태도는 그의 폭넓은 경험과 연구를 통해 형성된 현실감각의 표현이며 실천이다. 이러한 현실감각은 논리적 명증성보다는 복잡한 현실의 갈등과 불확실성을 수용하는 실천적 사유능력으로서 고통과 잔인함을 줄일 수 있는 다원주의적 세계관의 기반이다.

      • KCI등재

        이사야 벌린의 소극적 자유론과 한국헌법 제10조

        안준홍 한국법철학회 2010 법철학연구 Vol.13 No.3

        The division into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as “the absence of interference” and the positive concept of liberty as “self-government” which Berlin has given the main role in the concepts of liberty has a classical meaning among the modern theories and debates on liberty. There are critics who suggest the single concept of liberty as one and the same triadic relation of agents, preventing conditions, and aims, or as the negative freedom which designates the positive one for its own value. However, first, the negative concept of liberty is an opportunity-concept, whereas the positive one is an exercise-concept. Secondly, we can admit both as concepts of liberty according to our ordinary and general linguistic usage. Thus, individuality and validity as a concept of liberty can be applied to both concepts. Moreover, one can argue that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re exists one, two or even more concepts of liberty.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re are differing concepts(or conceptions) of liberty representing different views of the man and the world. Accordingly, Berlin's two concepts of liberty are beneficial to understanding the differing positions on liberty. Berlin has accentuated the rivalry of the two concepts,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negative and the positive liberty cannot be conceived wholly opposed to each other. Both concepts are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 since the negative liberty is a condition of the positive liberty whereas the positive liberty can and must be the value of the negative liberty to some extent. So a synthetic concept of liberty is the appropriate one. The debates on the concept of freedom relate to the value of freedom. The differing positions on the value of freedom may be divided broadly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One category views it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and the other as a condition of autonomy. In general, negative liberty relates to the former, and positive liberty relates to the latter. Berlin has found the value of freedom in the human condition in which a man transforms himself through choices among incommensurable and absolute claims. Thus, Berlin’s view can be read to belong to the want-satisfaction theory, but his unique contribution to the theory is his emphasis on the value of freedom as a condition of the human being’s self-determination. The autonomy- based doctrine of freedom allows discrimination between more valuable and less valuable freedoms, according to their contribution to the ideal of autonomy. But it cannot accept the various kinds of human lives as broadly as the want-satisfaction doctrine does. Thus, the basic value of liberty must be seen as a means to want-satisfaction. Thereafter, the autonomy theory can and should play the secondary role of making the freedoms orderly. This can be viewed as a two-step theory on the value of freedom.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Human dignity and worth”. It is the leading ideal of the constitution, and the other constitutional rights serve to guarantee it. Thus the interpretation of “human dignity and worth” relates to the debate on the value of freedom. In Korea, some autonomy-based interpretations have been raised. But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above-mentioned,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the clause basically as meaning that human “self-determination” which conceives the autonomy as an option for choices and permits even irrational choices. This makes the clause more effective by permitting broader ranges of human lives to be acceptable. The autonomy can and should be the secondary criterion which makes the various human lives thus accepted orderly.

      •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에 대한 통일사상적 분석 :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와 벌린의 「자유의 두 개념」을 중심으로

        기나미 아키요시 통일사상학회 2023 통일사상연구 Vol.25 No.-

        ‘자유’는 중요한 가치이면서도 오늘날 자유의 이름으로 여러 가지 질서파괴나 일 탈 행위가 일어나기도 한다. 그러한 자유개념을 기반으로 한 LGBT문제, ‘다양성 존 중’ 등에서 비롯되는 가치의 혼란상태도 심각하다. 이에 본 논문은 에리히 프롬 (Erich Fromm)의 『자유로부터의 도피』와 이사야 벌린 (Isaiah Berlin)의 「자유의 두 개념」을 사용하여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에 대해 통일사상의 관점에서 분석하 고 고찰했다. 통일사상의 존재의 이단구조 개념을 통해 통일사상의 ‘자유’ 개념을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와 관련하여 고찰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자유 개념의 혼 란을 수습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소극적 자유’는 국가, 종교 등 공동체 로부터의 구속이나 강제를 배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적극적 자유’는 공동체에서 다 른 사람들과 더불어 공동선을 추구함에 참여함을 의미한다.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서 프롬은 독일에 민주주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대전 후에 나치즘(Nazism)이 출현한 이유를 분석하고 있다. 그는 독일 국민들이 소극적 자유의 획득에 의하여 초래된 고독함으로부터 도피하려고 한 결과 나치즘이 나타났고 한다. 그리고 이 모순에 대한 해답으로서 적극적 자유가 있다고 믿는다. 벌린은 「자유의 두 개념」에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는 원리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고 결론내리고 소극적 자유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존재의 이단구조에 기반한 통일사상의 자유 개념을 통해 프롬과 벌린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때, 현대사회의 자유개념의 혼란극복을 위해서는 소극적 자유만이 아닌 적극적 자유의 관점이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 통일사상의 ‘심정’을 터로 한 ‘자유’개념도 필요하다. While freedom is a precious value, today, various acts of disorder occur under the name of freedom. This includes the breakdown of families and serious confusion in the concept of freedom, such as issues related to LGBT based on the foundation of freedom and the notion of “respect for diversity.” This article utilizes Erich Fromm’s Escape from Freedom and Isaiah Berlin's essay, “Two Concepts of Liberty” to analyze and discuss negative freedom and positive freed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nification Thought. The concept of “dual structure of existence” is also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concept of freedom in the Outline of the Unification Thought. The paper aim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freedom in the Unification Thought, contributing to the confus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al concept of freedom. “Negative freedom” refers to eliminating constraints and coercion from the community, such as the state and religion. On the other hand, “positive freedom” signifies the freedom to participate with others in the pursuit of common good within the community. In Escape from Freedom, Fromm analyzes the emergence of Nazism in Germany despite the presence of democracy, attributing it to the attempt of the German people to escape from the loneliness brought about by the acquisition of negative freedom. He believes that positive freedom is the answer to this contradiction. Berlin, in his essay “Two Concepts of Liberty,” carefully examines negative and positive freedom, concluding that they are fundamentally incompatible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negative freedom. Through the analysis by Unification Thought on Fromm's and Berlin's discussions, it becomes evident that overcoming the confusion in the contemporary societal concept of freedom requires not only negative freedom but also a perspective on freedom from positive freedom and even the concept of freedom in the Unification Thought.

      • KCI등재

        자유의 세 개념과 실현조건

        이상형 대동철학회 2023 大同哲學 Vol.104 No.-

        이 글의 목적은 정치사회적 의미에서의 자유개념에 대한 분석과 그로부터 도출될 수 있 는 현대 사회에 적절한 자유개념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사야 벌린이 자유개념을 소극적 자 유와 적극적 자유로 구별한 후 이 두 자유개념은 대립적, 논쟁적 관계로 이해되었다. 벌린 은 간섭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를 옹호하며 적극적 자유의 전체주의적 성격을 비판한다. 왜냐하면 그에 따르면 적극적 자유개념은 자아실현을 목적으로 하며 이 때 개인은 더 큰 전체 속에서 자신을 실현할 수 있고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전체주의로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적극적 자유에 대한 이런 해석에도 불구하고 현대 공동체주의자인 찰스 테일러는 소극적 자유의 형식성을 비판하며 현대 사회에 적극 적 자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왜냐하면 우리에게 선택의 자유가 주어진다고 하더라도 어 떤 기회를 실질적으로 선택할 우리의 역량이나 조건이 부족하다면 그 기회는 나에게 무의 미하며 따라서 나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의 이런 논쟁 속에서 이 두 개념을 중재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정치적 관계의 문제점을 새롭게 파악하기 위해 공화주의자들은 비지배적 자유를 제안한다. 비 지배적 자유는 간섭이 아니라 지배나 종속에서의 해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소극적 자유와 다 르며, 해방이라는 개념 안에 특정한 목적에 대한 추구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적극적 자 유와 다르다. 오늘날 간섭이 없지만 자신의 삶이 타인의 힘에 좌우되는 상황에서 비지배적 자 유는좋은삶을위한필수조건이아닐수없다. 그렇다면적극적자유와비지배적자유가실현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그리고 이 세 가지 자유개념은 서로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필자는 자유의 세 개념에 대한 분석과 종합을 통해 오늘날 적절한 자유개념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liberty in its political and social sense and to propose a concept of liberty appropriate to modern society that can be derived from it. Isaiah Berlin distinguished the concept of liberty into negative liberty and positive liberty, and conceived of these two concepts as mutually antagonistic and controversial relationship. He advocates negative liberty, which means liberation from interference, and criticizes the totalitarian nature of positive liberty. Because, according to him, the positive concept of liberty aims at self-realization, and realizing that this self-realization is sometimes possible in the totalitarian self, it is possible to judge that an individual’s life can only have meaning within the whole. However, despite Berlin’s criticism of positive liberty, Charles Taylor, a modern communitarian, criticizes the formality of negative liberty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ctive liberty in modern society. Because even if we are given a chance to choose, if we lack the ability or conditions to actually choose it, the opportunity is a meaningless opportunity to us and therefore we are not free. In this debate between negative and positive liberty, republicans propose liberty as non-domination in order to mediate between these two concepts and at the same time to newly grasp the problems of social and political relations. Non-dominant liberty differs from negative liberty in that it frees from domination or subordination rather than interference, and it differs from positive liberty in that it does not pursue a specific goal after escaping from domination. Today, liberty as non-domination is a prerequisite for a good lif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interference but one's life depends on the power of others. Then, what are the conditions for the realization of non- dominant liberty? And how does non-dominant liberty relate to negative and positive liberty? This thesis seeks to explore the conditions for a good life in modern society while synthesizing the three concepts of liberty.

      • KCI등재

        합리주의와 실용주의: 영국 보통선거권의 역사를 중심으로

        전보람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s: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rationalistic thinking in the political realm and to resolve conflicts by accepting pragmatism. · Research background: The rationalist creed has been trying to find the right answer since the brilliant success of natural science. These efforts are seen as a tendency to obtain results through a scientific approach even social studies that require understanding of humans today.Especially, the realm of politics is difficult to predict in advance, like pre-written puzzle pieces, so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nsciousness of problem that the excess of rationalism does not help solve the problem.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expansion of universal suffrage, or the concern of excessive rationalism. However, this study differs in that it found pragmatism from the British experience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the formation of a healthy political culture. · Research method: This study proposes pragmatism, a way to overcome the excess of rationalism, because seeking a solution to conflicts in a practical direction is a realistic step to solve the knot. I would like to find the significance of practical approach in the history of British universal suffrage. The process of winning the universal suffrage, which began in 1832 with the Great Reform Bill, for about 170 years, shows the practical aspects of political parties and citizens. · Research results: From our experience of expanding the British universal suffrage, we can confirm the importance of gradual practice. Politics is much more likely to resolve conflicts when viewed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uch as compromise or political rationality, rather than a schematized framework of theor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Accepting a pragmatic perspective through gradual practice in the political realm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healthy political culture in the long term. · 연구 주제: 정치 영역에서의 합리주의적 사고를 경계하고 실용주의를 수용함으로써 갈등을 해결해 나가려는 태도가 중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 연구 배경: 합리주의 신조는 자연 과학의 눈부신 성공 이래 정답을 찾아가려는 노력을 경주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오늘날 인간에 관한 이해가 필요한 사회 연구마저도 과학주의적 접근을 통해 결과를 얻으려는 경향으로 나타난다. 특히 정치의 영역은 미리 짜여진 퍼즐 조각들처럼 사전에 예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본고는 합리주의의 과잉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의 연구들은 합리주의의 과잉을 우려하거나 영국 보통선거권 확대의 역사적 의의를 조명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본고는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실용주의를 발견하고 건강한 정치 문화 형성을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연구방법: 본고는 합리주의의 과잉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인 실용주의를 제안한다. 실용적인 방향으로 갈등 해결을 모색하는 일은 조금씩이나마 매듭을 풀어갈 수 있는 현실적인 발걸음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실용적인 접근의 유의미함을 영국 보통선거권의 역사에서 찾고자 한다. 1832년 대개혁법을 시작으로 약 170여년 간 진행된 보통선거권의 쟁취 과정은 정당과 시민의 실용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 연구결과: 영국 보통선거권의 확대 경험으로부터 우리는 점진적인 실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는 도식화된 이론의 틀이 아닌 타협이나 정치적 합리성과 같은 실용적인 관점으로 바라볼 때 갈등이 해소될 여지가 훨씬 더 커진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정치 영역에서 점진적인 실천을 통한 실용주의적 관점을 수용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건강한 정치 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경계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전보람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3

        본고는 경계 만들기 과정을 탐구하는 일이 경계의 본질을 제대로 포착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경계가 비교적 인위적 소산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일이 우리 사회에서 더욱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는 진단을 통해 인간의 사유 형식을 환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경계의 본질을 탐구함으로써 그 맥락적인 특성을 파악한다. 경계가 지닌 정치적 속성을 탐구하기에 앞서 경계 일반이 가진 속성을 파악하는 일은 해당 주제의 진상에 접근하는 중요한 통로다. 이어서 경계의 정치적 속성을 탐구하기 위해 경계에 개재되어 있는 권력작용을 드러내고 경계에 내재한 포섭과 배제의 이중적인 의미를 확인했다. 그리고 과학적 합리주의에 근거한 정확함과 부정확함의 경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러한 경계에 내재한 폭력성이 다원성을 상실하게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줬다. 이를 통해 경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시각을 점검하고 새롭게 하는 일이 사회 저변의 갈등을 조정하는 역량과 관계된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후보

        ‘자유’의 자유주의적 맥락

        문지영(Moon Jiyoung) 한국정치사상학회 2004 정치사상연구 Vol.10 No.1

        이 논문은 존 로크(John Locke)의 사상에 나타나는 자유 개념의 내용과 함축을 살펴봄으로써 자유주의적 자유를 적절히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크의 자유 개념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관 및 종교적 세계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로크의 관점에서 진정으로 자유로운 인간이란 그 자신의 이성에 의해 인도되는 인간이며 그러한 이성의 능력은 영원한 구원을 찾고 얻을 수 있도록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존재 원리이자 본성이다. 이렇듯 이성이 인간의 본성으로 인식됨에 따라 그는 자유를 인간의 보편적 속성으로 규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크는 자연적 자유도 사회상태의 자유도 모두 ‘법(률)’과 연관 지움으로써 이른바 ‘멋대로 자유’와 자신이 옹호하는 자유를 단호히 구분했다. 게다가 그에게서는 자유가 권리이자 동시에 의무로 인식되었다. 신의 피조물로서 신에 대해 의무를 지며 신의 뜻을 좇아 영원한 구원에 이르러야 하는 인간이 권리에만 탐닉하며 ‘멋대로 자유’를 누릴 수는 없는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이러한 맥락에서 로크는 자유를 ‘좋음으로 향하는 능력 혹은 경향’으로 간주하였다. 이렇게 볼 때, 로크에서 출발하는 자유주의적 전통의 자유는 단순히 외부적 간섭의 부재를 의미하는 소극적 자유로 규정되거나 무차별적이고 다양한 선택지의 문제로 치부될 수 없으며 ‘인간이 자신의 일차적 욕망을 마음껏 추구할 수 있는 상태’는 더더욱 아니다. 그것은 올바른 것을 할 자유일 뿐만 아니라 그 올바름에 대한 판단이 각 개인 스스로에 의해 내려진 결론이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자유이다. 자유에 대한 로크의 인식은 부분적으로 불명료한 점이 있고, 이후 자유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확대 강화되어 나타날 몇몇 문제점들을 다분히 노정한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크적 자유의 핵심이 스스로 올바른 것을 판단, 선택하고 행하는 인간의 능력 또는 상태로 요약될 만한 것이라는 점은 인정되어야 한다, 로크와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는 그러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ppreciate and evaluate the liberalist liberty by examining the contents and implications of John Locke's conception of liberty. In my opinion his conception of liberty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 conception of man as rational being and his religious world-view. From his point of view a genuinely free man is a man who is guided by his own reason, and that power of reason is the principle of his being and the nature which God gives him in order for him to seek and find eternal salvation. This conception of reason enables him to define liberty as universal essence of man. By connecting both natural freedom and social freedom with ‘law’, Locke distinguishes his own concept of liberty from ‘liberty at one's convenience’. Moreover, for him liberty is taken to be obligation as well as right. It is natural that man, who as a creature of God has obligation to him and should follow his will and reach eternal salvation, cannot just indulge in right and enjoy 'liberty at his convenience'. In this context Locke considers liberty as ‘a power or disposition towards goodness’. This taken into account, liberty in liberalist tradition from Locke cannot be understood just as negative freedom (which means the absence of external intervention) or as the situation of choice from various indifferent alternatives, still less as ‘the condition in which man can pursuit his basic appetites to his satisfaction’. It is rather freedom to do right things, and the judgement about rightness here should be made by each individual independently. Of course, Locke's conception of liberty contains in part some unclear aspects and some problems which are to emerge enlarged later in developmental process of liberalism. But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the core essence of Locke's liberty is man's power or condition to judge, choose and do right things on his own. It is only on this basis that the fair and fitting evaluation of Locke's liberalist thought can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