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우리 국문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전통인문학이 수입인문학과 상생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람 이병기는 전통인문학의 한 갈래인 고시조를 시대변화에 발맞추어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시조혁신론을 주창하였다. 본고는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가람 이병기가 시조문학에 있어 시도했던 전통인문학과 수입인문학의 조화로운 통합을 이룩하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람 이병기는 우리 시조문학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모습인 간결성과 명료성을 구심점으로 하면서 표현 방법, 주제선택, 리듬 창조 등에서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아들여 발전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여기서 시조가 가지는 간결성과 명료성은 이미지즘이 동양시문학에서 받아들인 부분이다.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를 ‘시조의 의미와 운율, 시조의 비유,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등으로 나누어 고구(考究)했다. 먼저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공통점으로는 ‘시조의 비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조의 비유’ 부분에서 범위를 확대하면 비유뿐만 아니라 말씨와 관계된 분야까지 포함하므로 모두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한정된 언어 사용이나 한자어구 사용은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시대와 장르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시조의 의미와 운율’,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부분에서는 모두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이미지즘 이론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시조의 의미와 운율’에서 가람 이병기는 황진이 시조를 비롯한 고시조의 악곡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대체물로써 ‘격조의 변화’를 새롭게 도입했다. 그 ‘격조의 변화’를 위해 ‘정형적 자유시’를 구사했으며 ‘행구분의 다양화’를 시도했다. ‘극적 상황’에서는 작가의 다양한 연출 상황이 요구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와 소재의 선택이 확장되어야 한다. 황진이 시조의 경우 주제와 소재가 한정되어있으므로 가람 이병기는 이 부분을 지양하고 있어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취재범위의 확장’으로 보완하고 있다. ‘복합성과 통일성’에서는 많은 내용을 담되 내용의 통일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가람 이병기는 시조의 복합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시조’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황진이 시조의 경우 6편 모두가 단시조로 이 부분도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가 가지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이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조 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결성과 명료성이다. 간결성과 명료성 외에 시조혁신론을 통해 리듬이나 주제와 소재 선택 등에서 보여준 변화는 시대와 장르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변화였으며 상생적인 변화였다. 그 능동적이고 상생적인 변화를 위해 가져온 것이 이미지즘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 이미지즘 이론의 뿌리는 전통인문학에 닿아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which imported humanscience element was integrated into the traditional human-science element that Hwang Jin-i Sijo had possessed, resulting in having formed the Lee Byeong-gi Sijo literature, through difference that these works have while considering comparison between Garam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The biggest problem of our human science is what most of the traditional human science failed to be co-existentially harmonized with the imported human science. However,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classic Sijo(古時調),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in line with a historic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by being divided into ‘poetic rhythm & meaning, poetic accent & metaphor, dramatic situation, complexity & unity,’ thereby having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by harmoniously integrating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which is one branch of the imported human science, into the classic Sijo,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and that the main axis of forming the Sijo reformism theory was the harmonious integration betwee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being possessed by classic Sijo, and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 KCI등재

        근현대 시조의 격조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본고의 목적은 이병기가 시조혁신론에서 주창한 격조의 변화가 이호우와 김상옥 시조에서는 어떻게 변모했는가를 살피는 가운데 시조 정체성을 찾는 데 있다. 가람 이병기는 격조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 자수의 융통성, 자유로운 행갈이 등을 주장했으나 격조 변화를 위한 명료한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독자 제씨에게 더 많은 변화의 여지를 남겼기 때문에 오늘날 시조의 정체성은 불분명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이 된 시점부터 변모 과정을 진단해 가다보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호우와 김상옥은 문장지를 통해 이병기의 추천을 받아 문단활동을 시작했으므로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두 사람은 영향받은 바는 동일하나 그 형태는 같지 않다. 이호우는 격조를 살리고 국민시로서의 면모를 다지기 위해 시조 자수에 융통성을 주었다. 이에 비해 김상옥은 두 번째 출간한 시조집 『삼행시육십오편』에서 삼행시라 하여 구, 음보, 음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삼행만 살려놓는 파격적 시조를 창작했다. 이는 의미에 치중하다 보니 시조 정형을 간과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김상옥은 이병기의 시조혁신론 제 1항 이미지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 그는 시는 물론 시조, 동시 등에서 조형적인 이미지를 살리는 데 주력했다.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에 이어 이호우의 ‘국민시’, 김상옥의 ‘조형시’를 살펴본 결과 오늘날 현대시조가 나아갈 길은 자수의 가감에 어느 정도 융통성을 주는 격조론을 추구하되 자수의 완전한 파괴로 나아가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일찍이 이병기나 이호우가 우려했던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수의 융통성을 둔 격조를 살리면서 특정한 어미 사용이나, 음 · 어절의 반복을 살리는 병치 기법, 이미지 기법 등으로 리듬과 의미가 조화를 이루는 시조 미학을 살려가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ijo identity and Sijo aesthetics amidst examining how a change in tone(格調) that Lee Byeong-gi advocated in the theory of Sijo reformation was transformed in sijo(s) by Lee Ho-u and Kim Sang-ok. Garam(嘉藍) Lee Byeong-gi(李秉岐) asserted the meter(字數) flexibility and the free line shift in order to promote a change in tone(格調), but did not suggest a clear method for a change in tone. Thus, the sijo identity ended in being ambiguous these days. As a result of having figured out Lee Ho-u`s `national poem` and Kim Sang-ok`s `formative poem` following Lee Byeong-gi`s theory of Sijo reformation, the way to which the contemporary sijo will need to advance nowadays is thought to be unlikely the way of being proceeded the complete destruction in meter(字數) while seeking the theory of tone(格調), which comparatively gives flexibility to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meter(字數).

      • KCI등재

        이병기 「제주(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

        김아연 ( Kim A Y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2

        시조작가이자 문화민족주의자인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박한영(朴漢永, 1870~1948), 권덕규(權悳奎, 1890~1950)와 더불어 1924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 제주에 다녀왔다. 이병기는 이때의 체험을 재현한 시조 「濟州ㅅ길에」를 지어 1924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에 발표했다. 「濟州ㅅ길에」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고구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병기 일행의 제주 기행은 1920년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목적지는 민족의 성지 중 하나인 한라산이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투영한 『가람日記』 삽입시조를 초고로 하여 9개 부제 아래 20수로 완정되어 있으므로, 그 갈래를 내용상 기행시조, 형식상 연작시조로 분류할 수 있다. 「濟州ㅅ길에」의 내용은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시간순으로 재현하고, 이병기가 체득한 영산강 유역-제주의 인문지리 정보를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가 현재의 관점에서 관찰한 조선의 자연 공간, 역사적 공간, 신성 공간 및 조선인의 일상 공간을 담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영산강 유역-제주를 중심으로 지리적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이병기는 자신과 독자들이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Yi Byeung-gi(李秉岐) traveled to Jeju Island with Park Han-yeung(朴漢永) and Gwon Deok-gyu(權悳奎) from 31 July to 12 August 1924. He composed 「On the Road to Jeju」 on the experiences for part of the travel and published in 『Donga Ilbo(東亞日報)』 on 25 August 19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ir travel was as a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1920s.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Halla, sacred mountain on Jeju Island. Comparing 「On the Road to Jeju Island」 with insertion Sijo works in 『Garam's Diary(가람日記)』, this paper has been estimated that a first draft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insertion Sijo works. 「On the Road to Jeju Island」 consisted of 20 Sijo works below 9 subtitles. Accordingly, the genre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Travel Sijo and Series Sijo. The content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have represented experiences of his travel and Human Geographic Information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analyzed natural space, historic space, sacred space in Korea and Korean living space. The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image geographies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image geographie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let Korean share and discover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가람 이병기의 신재효 연구와 신재효 위상의 확립

        조은별 ( Jo Eun-byeo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본고는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가 국문학 연구에 있어 판소리 개작가(改作家) 신재효(申在孝, 1812~1884)에 특히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것에 주목하여 가람의 신재효 연구의 실제와 이에 따라 신재효의 위상을 확립한 양상을 살폈다. 김재철, 조윤제, 김태준, 정노식 등에 의한 초기 국문학 저술들이 대체로 신재효라는 인물을 단편적으로 다루었던 것과 달리 이병기는 신재효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오랜 시간에 걸쳐 신재효 판소리 가사들을 확보하고 정리해내었다. 『가람일기』에는 이병기가 1930년대 초반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의 꽤 오랜 시간 동안 신재효의 생애를 조사하는 한편 신재효의 판소리 가사를 수집 및 정리하고 그 결과 6책 분량의 『신오위장본집』을 엮어낸 과정이 상세하게 드러나 있다. 이후 이병기는 자신이 수집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해 『국문학전사』, 『국문학개론』 등 국문학 논저를 저술하고 신재효 판소리 가사 중 <가루지기타령>의 교주본을 출간하면서 신재효의 존재와 그의 판소리 가사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신재효에 대한 이병기의 이 같은 천착은 초기 판소리 연구에서 신재 효라는 인물의 우뚝한 위상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후대 연구자들의 판소리 연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Garam Lee Byong-Gi(李秉岐, 1891~ 1968)'s interest about Pansori adaptor Shin Jae-Hyo and investigates substance of Garam's study about Shin Jae-Hyo. Most of early studies about Korean literature mentioned Shin Jae-Hyo fragmentarily, but Garam collected and arranged Shin Jae-Hyo's Pansori lyrics for a long time with great interest about Shin Jae-Hyo. Garam's investigation about Shin Jae-Hyo's life and process of publishing 『ShinOwijangbonjip』 are verified minutely by records of 『Garam's Diary』 from early 1930's to late 1950's. After this, Garam wrote books about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Gukmunhakchunsa』, 『Gukmunhakgaelon』 based on research materials he had collected and annotated < Garujigitaryeong > which is one of the Shin Jae- Hyo's Pansori lyrics, and published it. Thereby Garam gave worth to Shin Jae-Hyo's existence and his Pansori lyrics. Garam's interest in Shin Jae-Hyo established Shin Jae-Hyo's status in early study about Pansori, and had an important effect on later studies of Pansori.

      • KCI등재후보

        한글문예운동과 근대 서정시의 규범 만들기

        조별(Cho, Byul) 돈암어문학회 2014 돈암어문학 Vol.27 No.-

        이 글은 이병기의 시조론을 한글문예운동의 논리에 입각한 논의로 파악하고, 시조혁신론의 전략적 토대를 해명한다.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이라는 상징적인 사건을 배경으로, 문인들은 문어로서의 한글을 문학을 통해 정립해야 한다는 책무를 맡게 되었다. 이 시기의 많은 문인들처럼 이병기 또한 한편으로는 미학적 성취를,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적 언문일치의 글쓰기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책임의식 아래 연구와 창작을 이어나갔다. 통일안의 제정과 계속적인 한글정비사업의 결과 한글은 구어체계에서 문어체계로 새로운 존재기반을 갖게 되었지만, 새로 문제된 것은 새로운 글쓰기의 기준을 만드는 일이었다. 이병기가 지속적으로 한글로 된 고전작품을 발굴하고 주해했던 것은, 한글 글쓰기의 규범을 찾기 위해서였다. 그는 한글고전소설과 내간체 수필, 국문시가 양식인 시조에 관한 논의로, 한글이 기존에 문학어로서 어떻게 기능해왔는지를 추출하려 했다. 이러한 성찰은 시조를 한글 서정시의 규범으로 제시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이 맥락에서 이병기는 근대적 경험과 생활언어를 포괄할 수 있는 시조 형식의 혁신을 주장했다. 이병기의 시조 논의는 이 점에서 국민문학파의 시조부흥론이 목적한 ‘조선심’의 고취와는 변별되는 문예미학적 논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병기는 근대적 한글문예의 규범적 표준으로 시조를 사유했고, 이를 문학사적 토대에 안착시키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해 시조를 서정시의 본질에 가장 충실한 양식으로 의미화했다.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은 문어로서의 한글이 추구해 나갈 글쓰기 방법을 제시하는 한글문예운동의 소산이었음과 동시에, 국문 서정시의 규범을 설정하는 미학적 지향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This paper gives explanation to Lee Byeong-gi’s theory of Sijo reformation as literary campaign of Hangul on 1920~30’s, and reveals it’s strategic foundation. After 1933’s legislation of unified korean spelling system, writers―including Lee―took on the duty to set up a specific plan for korean literary language through their works. Lee’s works are under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making direction guidance to modern korean writings, especially poetry. Lee’s continual research on classics was for finding the norm of korean writing. He wanted to extract Hangul’s potentials as literary language by studying existing classical writings. Therefore he found Sijo, the existing form of Hangul poem, and this discovery led his study to making a new standard of Hangul poem based on the traditional Sijo style. In that context, Lee insisted the Theory of Sijo reformation, and this theory emphasized embracing modern experiences and language of modern life. Lee considered Sijo as a standard form of Hangul poem, and made an effort for settling down modern Sijo on modern literaure as a new norm of Hangul poetry. And to conclude, his logical strategies are for making Sijo as the most suitable form of korean lyric poetry.

      • 이병기 시의 유교적인 생태학적 상상력 연구

        김옥성 ( Ok Sung Kim ) 경북대학교 퇴계학연구소 2011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48 No.-

        본고는 이병기 시의 유교적인 생태학적 상상력을 탐구한다. 같은 동양 종교이지만 불교와 도교의 생태학은 생명중심주의에 해당하는 반면, 유교적 생태학은 포용석 휴머니즘에 해당한다. 이병기는 유교와 깊이 관련된 삶을 살았을 뿐 아니라 일기를 비롯한 다양한 산문에서 자신의 유교 생태학적 사유를 드러내고 있다. 본고는 이병기의 시조에 나타난 유교 생태학적 상상력을 ``생명 평등 의식’. ``양화의 상상력``. ‘자연과 문화의 이원론적 일원론’. ‘농촌 공동체의 상상력’ 등의 네 차원에서 탐구한다. 이병기의 유교적 생태시학은 심층생태학의 보편적 토대인 생명 평등 의식을 포함하면서, 유교적 생태학 고유의 면모를 다채롭고 깊이 있게 전개하고 있다. 이병기의 유교적 생태시학에서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참여, 그리고 인 위와 문화에 대한 존중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그의 생태시학의 이상은 자연, 인간, 문화의 하모니이다. 지금까지 한국 현대시의 유교적 생태시학에 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한국현대시사에 잠재하는 유교적 생태시학의 계보에 대한 탐구의 장로(長路)을 향해 내디딘 작은 시론(試論)으로서의 의미를 지니다.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Lee Byeong-gi`s Poetry is based on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In the Confucian thought. all things are equal, because they are composed of the same ch`i(氣). So, a11 living things are equal in the deepest dimension of the Lee`s ecological imagination. The consciousness of life equality is imagined by the method of deep- ecological identification. Lee`s experience of floriculture is internalized in his poetry. By the identification with the plants, the narrator extend the self toward the cosmos. This imagination is similar to the deep-ecological Self-realization. In the Confucian ecology. li(理) mediate the cosmos and the human society-culture. Bath are different but connected by li. Therefore Confucian ecology is dualistic monism. The imagery of the room in the Lee`s poetry is the Confucian ecological space reflecting the harmony of the cosmos and the culture. The ideal ecological community is the agricultural community in the Lee`s poetics. The cultivation enriches the human society and the land and all living things. 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the human society and the nature and all living things are in harmony.

      • KCI등재

        이병기 시조와 정완영 시조의 비교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5 No.-

        본고의 목적은 이병기 시조와 정완영 시조에 나타난 격조의 변화와 배행 방법을 비교 고찰하는 가운데 그들이 추구한 자유로운 리듬이 어떠한 형태였는지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현대시조의 정체성을 찾는데 있다. 격조란 의미와 조화를 이룬 리듬으로 억지를 부리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추구한다. 〈시조혁신론〉 6개항 가운데 시조의 자유로운 리듬 추구를 위해 마련된 항목은 ‘4항 격조의 변화’, ‘5항 자유로운 행갈이’, ‘6항 연작즐겨쓰기’ 등인데 혼란의 주된 원인은 ‘5항 자유로운 행갈이’에 있음을 오늘날 쓰이고 있는 시조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자유로운 행갈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의 결과이다. 자유로운 리듬 추구를 하더라도 정형성을 깨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무분별한 행갈이로 일부 시조에서는 시조 정체성의 주체인 장(章)의 본래 의미가 사라졌거나 왜곡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이고 보니 자유시와의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시조의 존재가치마저 위협받게 되었다. 그런데 〈시조혁신론〉에서 자유로운 행갈이를 주장했던 이병기는 실제 창작에서 자유로운 행갈이를 하고 있지 않으며 정완영은 중기, 동시조집인 『꽃가지를 흔들 듯이』에서 잠시 자유로운 행갈이를 하지만 그 이후에는 하지 않는다. 또한 행갈이를 하더라도 장(章)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짐을 그의 작품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자유로운 리듬 추구를 위해 이병기와 정완영의 경우, 융통성 있는 자수의 배치와 연시조 창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정완영의 경우, 잠시나마 자유로운 행갈이도하고 있지만 그 보다는 병치기법, 반복기법, 어휘 간의 긴밀성에 의한 역동성 등을 통해 리듬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병기 시조와 정완영 시조에서 알 수 있듯이 현대시조의 정체성을 살리고 시조 미학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행갈이를 자제하고, 하더라도 정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Lee Byung-ki’s Shijo and Jung Wan-young’s Shijo. It’s specifically meant to shed light on what form of Gyeokjo they pursued in an effort to build the identity of modern Shijo. Gyeokjo refers to natural rhythm that is meaningful, harmonious and not awkward. Three out of the six clauses of “the theory of Shijo innovation” were prepared to ensure the natural Gyeokjo of Shijo: Clause 4 “the Changes of Gyeokjo,” Clause 5 “Free Hanggali,” and Clause 6 “Yeokjak Zlgyeosseugi.” Among the clauses, it is Clause 5 “Free Hanggali” that throws poets into confusion. Indiscreet Hanggali sometimes resulted in eliminating or distorting the true meaning of chapter that is a primary part of the identity of Shijo. However, Lee Byung-ki and Jung Wan-young sticked to the form of fixed verse. They only gave changes to Gyeokjo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letters in a flexible way or composed Yeon Shijo in pursuit of free Gyeokjo without doing “Free Hanggali” or eliminating the division of chapters. In order to ensure the identity of modern Shijo, indiscreet Hanggali should be avoided, and free rhythm should be sought after without undermining the set pattern.

      • KCI등재

        동향 :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저작물에 관한 기초 연구

        이민희 ( Min Heui 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가람 이병기는 시조시인일 뿐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해 시조, 일기, 수필, 기행등의 문학작품과 방대한 양의 평론과 잡문, 저서 등을 남긴 저작자요 초기 국학자이다. 가람의 진면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람 저작물 전체를 개관하는 일이 긴요한데, 그 동안 많은연구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람 저작에 대한 총량 파악과 그 실체를 본격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가람전집 간행과 전체 저작물에 대한 목록화 등 자료 정리의 필요성이 이에서 요구된다. 이에 본고는 문헌자료 정리와 총량 파악, 그리고 가람 저작물의 성격과 관심사를 큰 틀에서 개관하고자 했다. 가람이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40여 년 간 지면을 통해 발표한 저작물은 총 774편을 헤아린다. 전작 저서가 12권, 주해서 8권, 번역서 및 선집 8권, 교육용 교재(교과서) 11권이 간행되었으며, 26종의 신문에 319편, 78종의 잡지 및 학술지에 271편의 글을 발표했다. 이를장르별로 나눠 보면, 창작 시조가 308편, 수필 및 기행문 80편, 문학 관련 각종 평론이 150편, 딱히 장르 귀속이 어려우면서 수필과 평론의 성격을 지닌 잡문이 130편, 한시를 번역한 번역시가 13편, 일본어로 쓴 글이 3편, 그리고 기타로 묶을 만한 저작물이 그 나머지를 차지한다. 신문과 잡지를 통해 발표한 저작물이 전체의 3/4에 이른다. 지면을 통해 발표한 글들을 통시적으로 조망해 볼 때, 시기별로 그의 관심사와 영역이 점차확대, 변모되어 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거칠게 말하자면 ‘시조 창작과 연구→한글 연구→ 국어교육 연구→시가 문학 및 고전문학 연구→문헌학적 연구→문학사 기술’로 그 연구의 폭과 깊이가 변모해 갔다고 할 것이다. 이에서 가람을 시조시인, 시조학자, 수필가, 교육자, 국어학자, 민족어 운동의 선구자, 고전의 발굴과 해제를 선도한 고전연구자, 문학사가, 서지학자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여러 학문 분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람을 이해하는 것이 관건이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서지학, 국어교육, 국어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의 학제 간 종합 연구가 가능하다면 가람의 학문세계를 ‘가람학’으로 새롭게 정립해 본격적인 평가와 논의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1891∼1968) is not only the Sijo(時調) poet, but also the initial classic scholar of the country activated in various fields. He was presented in essay, travelogue such as works of literature and a massive amount of criticism and unsystematic writings, books etc. through various media. To understand Garam properly, it is first required to identify the contours of all works. Despite studies on Garam accumulated for a long time, operation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otal amount of Garam`s work did not yet been achieved. That is why the complete works and the list of all works for Garam are needed to work up.This paper was purposed to survey the total amount of works, and from it to overview and identify academic interests of Garam briefly in a large frame. Garam announced a lot of works over 40 years through various media since the 1920s until the 1960s. You can see the total of 774 works. The 12 books, the 8 notes on a text, the 8 translations and anthologies, 11 educational materials(textbooks) were published. Total of 319 articles were published in 26 kinds of newspapers, and 271 articles have been included totally in the 78 magazines or journals. When divided by genre, creative Sijo 308 works, essays and travelogue 80, various reviews related to literature 150, and 130 semi-essays & semi-criticisms with no apparent genres, translated poetry 13, 3 articles written in Japanese, and other works might be accounted for the rest. works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correspond to 3/4 of total. We can judge contents of Garam`s Studies, while exploring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research for Garam through these basic materials. When we look at the work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it can be checked that interests and capabilities of Garam enlarged and transformed little by little. That is why Garam can be re-estimated not only as a Sijo poet and Sijo specialist, but also as a essayist, educator, language scholar, a pioneer in the national language movement, classic researcher who leads the excavation and study of classics, researchers, writer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philologist. There is a need to reassess about Garam and his academic results, through searching for total works universally. It is key to understand the Garam`s works, considering comprehensive disciplines in a various way. Garam`s study looks likely to hold that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bibliography, language education, Korean linguistics, etc. can be provided in a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시조부흥‘운동’ 전후, 사설시조의 행방—가람 이병기의 경우

        조해숙 한국현대문학회 2023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71

        이 글은 1910년 이후 식민지 상황과 매체의 이동이라는 문학장의 변화 내에서, 전통 시가인 시조가 문학 양식으로 정착하며 시대적 대응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을 살피는 작업의 하나이다. 특히 고시조 연구와 현대시조 창작에 탁월했던 가람 이병기의 경우를 중심으로, 고시조 변모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1920년대 시조부흥론과 그 전후 시조 관련 쟁점을 재점검하면서, 그간 조명을 받지 못한 가람의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했다. 시조는 한국 근대문학 형성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변모와 자생적 대응을 보여왔다. 시조부흥 논의 이전 1910년대 시조는, 비록 양적 열세인 데다 저항성이 쇠퇴하고 계몽성을 부각하면서 잡지 중심으로 수록되긴 했으나, 시사물보다 문예물의 성격을 띠며 형식 면에서 이전 신문 수록 시조보다 자유롭고 구호적·반복적 리듬을 벗어나는 등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렇게 이어지던 시조는 1920년대 중반 시조부흥의 기치 아래 일종의 ‘운동’의 대상으로 소환되어 문학 노선 논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면서 커다란 굴절을 경험한다. 반대론자들은 시조가 소극적·퇴영적인 양반 계급문학이어서 시효가 지난 갈래라고 단정했고, 시조 부흥론자들은 계급을 초월한 민족 문학의 정수로 시조를 부각하며 의의를 부여했으나 사실에 근거한 반론 준비에는 미흡했다. 시조부흥을 둘러싼 논란 과정에서 가람 이병기(1891~1968)가 나아간 방식은 독특하다. 그의 시조 인식은 최남선의 ‘조선주의’와는 차이가 있고, 다른 부흥론자들이 주장을 넓혀가는 방식과도 다른 길을 열었다. 이병기는 시조의 당위성을 제창하는 대신 부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견해에 귀 기울이고, 고시조 비평과 시조 이론을 정립함으로써 문제점 해결과 문학적 대응에 힘썼으며, 시조 고유의 속성 탐구로부터 현실에서 시조를 되살릴 방안을 찾았다. 시조부흥 논의를 통해 얻은 것과 잃은 것에 대해서는 객관적으로 평가할 부분이 남아있으나, 이것이 시조를 대중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된 점만은 분명하다. 다만 시조부흥 문제가 제기된 후, 시조사에서 1910년대까지도 활발했던 사설시조의 창작이 배제된 것이나 관련 논의가 사라진 점, 이후 연구사도 이를 소홀히 했던 점은 주목할 지점이다. 여기서는 가람 이병기가 남긴 사설시조 작품을 고찰하면서 관련 논의와 의미를 점검했다. 『가람문선』 수록 작품 총 167편 중 사설시조로 뚜렷한 작품은 4수이다. 범속한 삶의 반영과 수평적 시선의 견지, 관찰자로서의 객관적 응시를 통한 대상 재현이라는 사설시조 고유의 특성을 담으면서도, 세계와 자아가 어긋난 순간의 시적 태도나 문제 해결방식은 새롭다. 기존 사설시조에서 인간 욕망의 집요함과 곤경이 빚어낸 풍경을 끌어안는 해학적·풍자적 태도가 흔하다면, 이병기의 사설시조 주인공이 처한 어려움은 사회적 현실 조건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설시조의 인물형이 ‘욕망의 주체’로 전형화되는 반면, 가람 사설시조는 ‘나’가 형상화하는 개인적 형상과 태도가 도드라지는 것이다. 또 서술형 어미와 종장 첫 구의 선택 변화 등도 나타나, 가람 사설시조는 노래로부터 온전히 개인 서정시로 전환함으로써 현대시조다운 성취를 보였다. 『가람문선』 외 잡지 발표 사설시조 4편은 상황 인식과 내면 표출이 한층 선명해, 현실 세계를 향한 작가의 날카로운 시선과 현실의식을 드러낸다. 이병기의 경우를 통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ijo, a traditional Korean poetic form, within the context of changes in the literary landscape due to colonial situations and shifts in media since 1910. Particularly shedded light upon is the overlooked works of Garam Lee Byeong-gi, who excelled in the study of classical Sijo and the creation of modern Sijo. This paper reexamined his undervalued Sijo revival theory in the 1920s which provoked transformation in ancient Sijo, and the issues of the time surrounding Sijo. Sijo has demonstrated a natural transformation and adaptive response in the process of shaping modern Korean literature. Sijo in the 1910s, which was before the discussions on the Sijo revival, while facing quantitative disadvantages and a decline in resistance and eventually retreating to be included in few journals, showed positive changes-breaking away from the repetitive and chant-like rhythms of earlier Sijo in newspapers and becoming more of a literature than of a think piece. Sijo then underwent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n the mid-1920s, summoned as a target of a kind of ‘movement’ under the banner of Sijo revival. It became a significant tool in literary debates. Opponents asserted that Sijo was a passive and obsolete aristocratic-class literature, declaring it as a thing of the past. On the other hand, advocates of the Sijo revival emphasized its essence as a national literature transcending social classes, attributing significance to Sijo. However, their counterarguments lacked sufficient grounding in reality. Dur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Sijo revival, Lee Byeong-gi’s approach stands out. His perception of Sijo was unlike other revivalists and also differed from the ‘Chosun-centric’ approach of Choi Nam-sun. Instead of asserting the intrinsic value of Sijo, Lee Byeong-gi took negative or conservative views seriously, focused on classical Sijo criticism and established Sijo theory to address issues and find literary responses. Through these approaches, he explored Sijo’s unique attributes and sought ways to revive Sijo in reality. While there still are rooms for objective evaluations regarding gains and losses from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it is clear that this period became a catalyst for widespread awareness of Sijo.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after the Sijo revival discussions, the creation of Saseol-Sijo, which was active until the 1910s, was suspended and excluded from Sijo studies or related discussions. The study delves into the works of Lee Byeong-gi, particularly his Saseol-Sijo, as part of the broader discussion on the Sijo revival and its significance. Out of a total of 167 works in “Garam Moonseon,” only four can distinctly be categorized as Saseol-Sijo. While embody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aseol-Sijo, such as reflecting the breadth of ordinary life, adopting a horizontal perspective, and reproducing subjects through objective observation, Lee Byeong-gi’s Saseol-Sijo demonstrates a novel poetic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pproach in moments of discord between the world and the self. In contrast to the prevalent sarcastic or satirical attitudes towards human desires and difficulties in traditional Saseol-Sijo, Lee Byeong-gi’s characters in Saseol-Sijo are connected to social conditions in real life. Therefore, while the character type in traditional Saseol-Sijo is often a ‘subject of desire,’ the individual’s distinctive form and attitude, which is embodied by the ‘self,’ stands out in Garam’s Saseol-Sijo, Moreover, changes in narrative endings and the choice of the first sentence of the last verse also appear, indicating that Garam’s Saseol-Sijo demonstrated itself to be a modern Sijo, by achieving full transition from song to personal lyric poetry. four Saseol-Sijo published in several magazines including “Garam Moonseon,” have a clearer perception of situations and inner expressions, revealing the author’s sharp...

      • KCI등재

        嘉藍 李秉岐의 書誌觀 攷 - 書卷氣와 관련하여 -

        박영학,정현욱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50 No.-

        Garam Lee Byuong Kee has long been known as a scholar who had made a notabl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tyle Korean poetry. However, his perspective on Korean literature did not attract much of researchers' concern, when compared with his scholastic fame. Lee’s fame is firmly rooted on his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classical literature. He was one of the annotators who critically reviewed the classics and set up the reference of criticism. His scholastic life has undergone a long journey, He originally started from the traditional school, grounded on the sound understanding of linguistics and old poetry. However, before long, he separated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and moved onto the renaissance movement. At the final stage, he was standing on the front line which had dreamed of writing a poem transcendent from the time and space. As a Korean literature scholar, he found out such invaluable writings as Hanjungnok, Inhyun-Wanghu- jeon, Yeokdae-sijoseon, Euiyudang ilgi, Kunjo-naeganseon, Ou-yadam, and Karujigi- taryeong. He also translated and annotated them from a modern perspective. His approach shown in these works could be named as “Seogwongi”. 가람 이병기는 현대 시조 중흥조로, 국문학자로 알려져 있다. 이런 명성에 비해 서지학자 이병기에 대한 관심은 덜한 편이다. 이병기가 누리는 명성은 그 바탕에 고전에 대한 서지학적 깊은 이해가 깔려 있다. 이병기는 고전을 추적하여 비평의 기준을 세운 주석가이다. 확실한 어학적 토대와 古歌謠를 깊이 이해한 식견에 바탕 하여 전통에서 출발했으나 그 전통과 결별하고 다시 시류에 초월한 시조 중흥의 위치에 섰다서지학자로서 이병기가 남긴 업적은 「한중록」․「인현왕후전」․「역대시조선」․「의유당일기」․「近朝內簡選」․「於于野談」․「가루지기타령」 등 귀중한 고전문학 작품을 발굴․번역․교주한 점이다. 이병기의 이런 고전 감식안을 ‘書卷氣’로 명명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