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F에 나타난 이방인 정체성과 장소감의 문학교육적 의미

        김수지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본 연구는 SF에 등장하는 이방인 인물이 낯선 세계에서 체득하는 이방인 정체성과 장소감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SF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SF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를 통해 SF가 현실의 이방인 문제를 어떻게 문학적으로 재현하는지를 확인하고, SF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방인이 익숙한 세계에서 낯선 세계로 이동하여 마주하는 타자의 응시는 두 세계의 경계를 드러냄으로써 이방인이 이방인 정체성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된다. SF 이방인 서사는 현실의 이방인 문제를 분명하게 환기하면서도 현대 사회의 구체적인 사건이나 특정 현상을 직접적으로 조명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독자는 SF 이방인 서사를 읽으면서 누구나 언제든지 이방인이 될 수 있다는 이방인-되기의 역설을 확인하고, 이방인 또는 이방인을 마주하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타자를 대해야 하는지의 문제에만 집중하여 사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편의 SF 작품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SF 이방인 서사의 문학교육적 의미를 정리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마련하고자 교육의 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blem of identity and sense of place that stranger characters in SF acquire in an unfamiliar world and to explore the literary and educational meaning of stranger narratives in SF based on this. Through the stranger narratives in SF, we identified how SF reproduces the real-life stranger problem literarily and explored the literary educational meaning of SF stranger narratives. The gaze of the other, who moves from a familiar to an unfamiliar world, reveals the boundaries of the two worlds, causing the object of the gaze to have a stranger's identity. The SF stranger narrative reminds us of the real-life stranger problem but does not directly address specific events or specific phenomena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hile reading the SF stranger narratives, the reader can confirm the paradox of becoming a stranger-being that anyone can become a stranger at any time and focus only on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the other. Based on the analysis of two SF literary works, this study summarizes the literary educational meaning of the science fiction stranger narrative and presents a proposal for educational methods to prepare a specific methodology.

      • KCI등재

        우리는 이방인-이웃을 사랑할 수 있을까?

        류보선(Ryoo Bo-su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9 No.-

        바야흐로 지구시대다. 이와 더불어 한국도 다문화시대 혹은 다국적시대로 접어들게 되었고, 이에 맞춰 한국 사회에도 여러 새로운 이방인-이웃이 속속 도래하고 있는 중이다. 한국적인 것에 대한 동경과 기대를 품고 한국 사회에 이주한 이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태도는 그러나 환대의 그것과는 거리가 멀다. 적대감과 오리엔탈리즘적인 편견으로 가득 차 있고 이러한 적대의식은 이방인-이웃들에 대한 인식론적이고 구조적인 폭력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방인-이웃에 대한 전방위적인 차별과 폭력 문제는 한국 사회의 하루빨리 치유해야 할 또 다른 핵심적인 사회적 증상이라 할 수 있다. 이방인-이웃에 대한 차별과 폭력의 문제가 한국 사회의 핵심적인 증상으로 자리하면서 최근 한국문학 역시 이방인-이웃에 대한 차별 문제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지구시대와 더불어 속속 우리 곁에 도래하고 있는 이방인-이웃 중 최근의 한국문학이 특히 주목하는 이방인-이웃은 탈북민과 동남아의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이다. 이 두 이방인-이웃은 모두 한국 사회를 선망하고 온갖 시련을 이겨내고 옮겨온 이들이나 정작 한국에 와서는 누구보다도 비인간적인 적대와 편견에 시달리는 존재들인 까닭이다. 한국문학의 이 두 이방인에 대한 관심은 크게 두 가지 방향성을 보인다. 첫 번째 경향은 두 이방인에 대한 편견이 얼마나 폭력적인가를 재현하고 그 편견이 어디에서 기원하는가를 밝혀내는데 초점을 맞춘다. 『찔레꽃』(정도상), 『리나』(강영숙), 『파프리카』(서성란) 등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경향의 작품들은 한국 사회의 이방인-이웃에 대한 적대감이 모든 인간을 걸어다니는 교환가치로 인식하는 물신화된 가치관과 한국인의 의식에 잠복된 오리엔탈리즘적 오만과 편견에 뿌리가 닿아 있음을 날카롭게 밝혀낸다. 또 하나의 방향은 이러한 부조리한 의식을 넘어설 수 있는 실재의 윤리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작품들인데, 『바리데기』(황석영), 『나마스테』(박범신) 등으로 대표되는 이들 작품은 환대의 윤리와 모성의 회복을 그 실재적 윤리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We are in the midst of a global era. Korea, too, has entered a multicultural and multinational age, with several new foreign-neighbors appearing in Korean society today. However, the attitude of Koreans toward these foreigners, who have immigrated with longing and expectation for Korea, is far from hospitable. The Korean people’s hostility and orientalistic prejudice are manifested as epistemological and structural violence aimed at these foreign-neighbors.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imed at stranger-neighbors has become a core issue in Korean society today and Korean literature, too, has begun to show interest in this problem. The stranger-neighbors who have come into the spotlight in Korean literature are North Korean defectors, and migrant workers and wives from Southeast Asia. These two groups of people overcame all sorts of tribulations to come to Korea because they aspired for a Korean dream but experienced extremely inhuman and hostile prejudice after arriving here. Korean literature shows interest in these groups in two ways. The first focuses on showing how violent the prejudice toward these groups is and on discovering the source of this prejudice. Jeong Do-sang’s Wild Rose, Kang Young-sook’s Rina are representative examples that expose the fetishistic values that rate the exchangeable value of humans and the orientalistic pride and prejudice latent in Korean people’s consciousness. The second way actively explores ethics of the real that can overcome such irrational prejudices. Hwang Sok-yong’s Princess Bari and Park Bum-shin’sNamaste suggest the ethics of hospitality and the recovery of motherhood as ways of overcoming prejudices.

      • KCI등재후보

        가족의 구성과 이방인의 문제

        오은경(Oh, Eun-kyeo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글로벌 시대로 서술되는 오늘날 “이주라는 유령”이 세상을 떠돌고 있다. 이주가 일상화된 현대사회는 모두가 이주민이고 이방인이다. 하지만 여전히 국가와 민족, 문화와 종교의 경계는 존재하며 이방인과의 갈등도 계속되고 있다. 21세기에도 계속되는 이슬람과 서구의 전쟁, 2015년 유럽을 뒤흔든 테러와 이주민 문제는 이방인과의 갈등이 여전히 인류가 해결할 과제임을 확인시켜준다. 오늘날 이주민에게서 그 존재를 발견하게 되는 이방인은 뜻밖에도 우리 가장 가까운 곳에서 항상 우리와 함께 있었다. 가장 친밀한 관계로 여겨지는 가족은 결혼을 통해 끊임없이 이방인을 받아들였고, 가족 안에서 이방인과의 동거는 가부장제 사회 이후 계속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들에서 확인 가능하다. 오이디푸스 가족의 비극과 메데이아의 자식 살해는 모두 가부장 가족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혼란을 반영하며, 따라서 이 글은 가족이 이방인을 받아들인 과정을 그리스비극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문화의 공존을 전제로 하는 글로벌 사회에서 발생하는 이방인과의 갈등의 원형을 우리는 가족 안에서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은 서구문명의 오랜 문화적 전통인 환대에서 이방인과의 소통과 공존 가능성을 확인하고 현재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방인과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The “phantom of migration” is haunting today’s globalized world.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migration is a norm, everyone is both an immigrant and a stranger. However, distinct boundaries still separate nations and ethnicities as well as cultures and religions, and the society is still plagued by conflicts with strangers. Strangers, whom we consider immigrants as today, actually have been near us the whole time. The most intimate relationship that we have in our family was created through a marriage with a stranger, and such risky cohabitation was continued amid a patriarchal society. Stories of the Greek mythology reflect the confusion caused in the process of a patriarchal family being established. Hence, family is where we come across the origin of conflict with strangers. This article verified that problems with strangers could be solved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implementing hospitality, a long-time western cultural tradition, from today’s perspective.

      • 이사야 56장 1~8절 이방인에 관한 연구

        김영준 한남대학교 기독교문화연구소 2021 기독교문화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이사야 56장 1~8절 본문의 이방인을 주목한다. 연구자는 회복 될 성전과 공동체의 이상을 묘사하는 본문 그리고 부정적인 이방인을 의미 하는 히브리어 단어 노크리 연구를 통해, 본문에서 나타난 이방인에 대한 이 해를 고찰하고, 이방인에 대한 이사야 56장 1~8절의 보편주의적인 경향을 분석한다. 이 글은 이사야 56장 1~8절은 안식일과 언약을 지켜 야훼 신앙 을 받아들인 이방인 또한 공동체에 수용될 수 있음을 말하며, 본문은 배타적 으로 배척당하는 이방인 노크리를 통해 역설적으로 예언자의 보편주의적인 이상을 강조한다. 연구자는 먼저 이방인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한다. 이방인은 성서에서 게르와 노크리라는 어휘로 표현된다. 게르는 대부분 복 지가 필요한 사람들로서 국가의 보호와 사법적인 혜택을 받는 외국인을 의 미한다. 이에 반해 노크리는 이스라엘 주변에서 그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 칠 가능성을 지닌 이방인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연구자는 이방인에 주목하는 이사야 56장 1~8절의 주요 학자들의 해석을 분석한다. 학자들에 연구에 따르면 이사야 56장 1~8절은 포로 후기 이스라엘 언약 공동체에 편입하고 자 하는 이방인에 대한 야훼의 수용을 말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선행된 연 구에 더하여, 이사야 56장 1~8절의 본문이 배척당하는 이방인을 통해 역설적 으로 성서의 보편주의적 이상을 강조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노크리는 게르와 비교해 부정적이며 경계해야 할 외국인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이에 본문은 만 민이 기도하는 성전과 회복될 이스라엘 공동체를 묘사하면서 이같이 배척당 하는 이방인 노크리를 그 이상에 참여시킨다. 이로 인해 새롭게 회복될 성전 과 언약 공동체에 대한 이사야 56장 1~8절은 역설적으로 배타적인 관점에서 배척당하는 이방인 노크리를 통해 구약성서의 보편주의를 강조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Gentiles in the text of Isaiah 56:1~8. Through a study of the scripture that describes the ideals of the temple and Israel community to be restored, and the Hebrew word nokri, which means foreigners, the researcher seeks an understanding of the Gentiles in the text and reveals the universalism of Isaiah 56:1~8. The text stated that Gentiles who have accepted the faith of Yahweh by keeping the Sabbath and the covenant could be accepted into the community. The researcher first introduces the research of scholars on Gentiles in Old Testament. Gentiles are expressed in the Bible by the words ger and nokri. Ger refers to sojourners who are mostly people in need of welfare and who receive state protection and judicial benefits. On the other hand, nokri refers to foreigners who has the potential to negatively affect them around Israel. the researcher analyzes the interpretations of major scholars who focus on the Gentiles in the text of Isaiah 56:1~8. According to research by scholars, the scripture described Yahweh's acceptance of the Gentiles who seek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srael covenant community. The researcher argues that the text of Isaiah 56:1~8 paradoxically emphasizes the universalism of the Old Testament through Yahweh's acceptance of Nokri which means foreigners who have the potential to negatively affect to Israel.

      • KCI우수등재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

        김봉철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erodotos’ multicultural awareness shown in his Historiai. After the Greco-Persian Wars, the Greeks became proud of their own values and culture, encouraged by their brilliant victory. Since then the Greeks(Hellenes) became inclined to feel their own superiority over the non-Greeks(barbaroi). This Greek-centric mind appeared in most of ancient Greek documents in those days. Herodotos, however, was an exception to this tendency, and unlike other Greeks he expressed frequently quite impartial view on the non-Greek culture. Of course, as a Greek he also often revealed Greek-centric attitude. Nonetheless his view on the non-Greeks was less partial and less exclusive than any other Greeks. For in Historiai he showed open-minded multicultural awareness in many respects. (1)He dealt with the non-Greeks in larger space of his history than with the Greeks. (2)He provided more informations about physical environment, history, institutions, and customs of various non-Greeks than any other Greeks. These (1) and (2) above could be realized as a result of his respecting of non-Greek culture. (3)He wrote histor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genealogy of Persian kings, who were non-Greeks. (4)He estimated highly and praised some superior merits of non-Greeks, especially their pioneering creativity, spiritual virtues, excellent techniques, and worthy customs. (5)He claimed that many Greek customs were imported from non-Greek countries. (6)He advised that all the customs of the world have their own unique values and therefore should be esteemed equally. Herodotos did not apply the Greek standard to diverse non-Greek peoples and their culture. While he locally held Greek-centric values, he sought to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locality through cultural relativism. 이 논문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헤로도토스의 다문화 인식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큰 승리에 고무되어 자신들의 가치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우월감을 갖게 되었다. 당시 그리스의 많은 문헌들에서는 그리스 중심적인 사고가 대세를 이루었다. 하지만 헤로도토스는 이런 흐름에 매몰되지 않고 타문화에 대한 공정한 시각을 제기했다. 물론 그는 그리스인으로서 자기중심적인 관점을 자주 드러냈다. 그는 이방인과 이방인 지역에 대한 표현과 명칭에서, 또 이방인에 대한 일부 인식에서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보였던 것이다. 하지만 헤로도토스의 이방인 인식은 당시 그리스인들에 비해 덜 편파적이고 덜 폐쇄적이었다. 그는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아울러 그것을 견제할 균형추를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이었다. 헤로도토스의 다문화 인식은 여러 측면에서 확인된다. (1)<역사>에서의 이방인 서술 분량은 그리스인 서술 분량을 능가한다. (2)이방인 종족들의 환경과 역사, 제도, 문물 등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1)과 (2)의 서술 경향은 헤로도토스가 이방인과 이방인 문화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3)이방인에 해당하는 페르시아 왕의 계보를 역사서술의 기본적인 시대 기준으로 삼는다. (4)이방인의 장점과 우월성을 아낌없이 찬미한다. 그는 특히 이방인의 선구적 독창성, 정신적 탁월성, 기술적 우수성, 훌륭한 관습을 높이 평가하고 칭찬한다. (5)그리스인들의 많은 문물이 이방인들에게서 전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이방인들의 문화가 그리스 문화보다 더 선구적이고 우수함을 인정한 것이다. (6)모든 종족들의 관습은 각기 최상의 것으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사항들에서 헤로도토스의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이 분명히 드러난다. 헤로도토스는 세계의 다양한 종족과 문화들을 서술하면서 단일한 기준을 적용하지는 않았다. 그는 그리스인과 이방인을 무분별하게 차별하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그리스인을 옹호하거나 이방인을 비판하지도 않았다. 그는 지역적으로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는 탈지역적인 관점을 지향했던 것이다.

      • KCI등재

        동방박사의 예수 경배 서사에 내포된 이방인 수용의 신학적 의도

        신인철(In-Cheol Shin)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1

        이 논문은 마태복음의 동방박사 경배 서사가 이방인을 마태공동체 구성원으로 수용하려는 신학적 목적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시도를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동방박사 경배 서사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비평적 관점에서 새롭게 평가하고, 마태복음에 언급된 경배의 유형도 분석하였다. 즉 마태복음에 언급된 동방박사는 이방인이라는 학설에, 본 단락의 서사 구조분석을 확장 정리하였고 동방박사가 행한 경배의 유형에 담긴 신학적 의도를 고찰하였다. 이 주장은 세 가지 관점에서 증명되었다. 첫째, 동방박사가 인종학적으로 유대인인지 이방인인지를 증명하였다. 동방박사의 이방인 정체성은 본 논문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둘째, 마태복음 1-2장이 이방인 수용을 위한 서사 플롯으로 구성되었음을 전제로, 마태가 이 단락에 이방인 수용의 당위성을 직간접적으로 배열시켰고, 예수 탄생에 유대인과 이방인의 대립적 반응을 통해 이방인 수용의 필요성을 더욱 심화시켰음을 관찰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하여 마태복음 1-2장의 서사 구조가 이방인 동방박사 경배를 통해 이방인 수용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마태복음에 나타난 다양한 경배 유형 분석을 통해 동방박사가 예수를 향해 행한 신적 현현의 경배에는 이방인 수용을 위한 마태의 특별한 신학적 의도가 가미되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clear that the narrative of the visit of the Magi"s worship to Jesus implies the purpose of the gentiles inclusive theol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ritically reexamines the current scholarship of the text of the visit of the Magi"s worship to Jesus and the type of analysis used on the Magi"s worship. This topic has been proved in three ways. First, it has discussed Magi"s ethnical identity as a gentile. Second, the precondition of Matthew chapter 1-2 narrative structure is composited for the gentiles inclusive. Matthew had structured this narrative for the gentiles inclusive as a direct and also a indirect way. According to this way, the narrative structure of Magi shows that it is more deeply insighted of the gentiles inclusive tendency as Jews have a negative response and gentiles have a positive response against the birth of Jesus. Thirdly and finally, Magi"s epiphanic worship type revealed by the worship type analysis of the text of the visit of magi is a theological purpose implied in an attempt of including gentiles by Matthew"s community.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노인자살 특징의 분석을 근거로 한 위기목회신학과 개입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2008 신학과 실천 Vol.0 No.15

        우리나라 노인자살에서 질환, 경제문제, 혹은 가족문제와 같은 스트레스에 긴 세월 시달려서 자살행동을 선택하는 취약형 자살이 가장 많다. 이런 경우에 자살을 동경하거나 반대하는 태도를 갖는다. 그리고 만성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살을 촉발하는 사건은 부부관계에서 발생한다. 부부싸움이나 배우 자의 가출 혹은 죽음이 발생하면 자살충동은 크게 증가한다. Dykstra는 위기를 이해하기 위해 이방인이라는 상징을 사용한다. 위기는 낯선 상황이고 혼란된 상황으로 이방인이라는 은유로 표현할 수 있다. 이방인은 두려움의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방인은 외집단의 구성원으로 배척당한다. 무시되거나 배척되는 이방인에 대해 기독교인은 환대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에는 생물학적 환대, 정치문화적 환대, 그리고 신학적 환대를 포함한다. 그런데 각각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위기에서 목회자와 하나님을 이방인으로 경험할 수 있다. 노인자살의 위기에서 목회자는 주인의 역할을 하고 노인은 이방인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위기개입 전문가의 태도다. 그러나 노인에게 이방인을 환대하는 주인의 역할을 하도록 목회자가 허용할 수 있다. 더구나 일상에서 낯설게 느껴지는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기를 경험하면 위기이전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새로운 변환이 나타난다. 자살위험성이 있는 노인은 이방인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은 사회적 지지와 과거를 환대하는 회상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the old suicides has risen rapidly. They took their own lives because chronically they have suffered from their psychological or physical diseases, economic hardship, and family conflict. Their chronical stress cannot be tolerated any longer because of their brokeup with their partners or their loss of their partners. To understand crisis and crisis intervention, Dykstra makes use of the metaphor of stranger. Crisis is understood as stranger, because the core experience of crisis lies in the radical newness or radical strangeness. And a stranger brings about a risk at crisis. Strangers are feared and ignored in the individualist culture. Furthermore they are ostracized and attacked in the collectivist culture. Hospitality to the stranger is called in the Christian tradition. To explain crisis intervention ministry to the old suicides, Dykstra makes the themes of the pastor as stranger and God as Stranger. Not only does the pastor play host to the old suicides as strangers, but allows them to play host to the pastor as stranger. In crisis the pastor can see God as Stranger because sanctuary may be found in very strangeness of the situation itself. Therefore the old suicides are transformed so that they cannot go back to their pre-crisis state of internal equilibrium. In the crisis intervention ministry for the old suicides, it is necessary that they should feel that they are strangers no longer. It is accomplished by means of providing social support, the basis for human health and well-beings. And hospitality to their own past is called by means of reminiscence.

      • KCI등재

        개별화된 주체로서의 이방인과 수평적 공존의 가능성 -백수린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도미 ( Jeong Do-mi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3 No.-

        2000년대 들어 이방인의 존재가 한국문학의 담론 장 내부로 소환된 이래, 그들의 존재는 타자성을 핵심 논제로 삼아 논의에 부쳐져 왔다. 이에 본고는 2000년대 문학이 특정 상황 및 구도를 반복하며 타자로서의 이방인의 재현에만 몰두해 온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품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방인에 덧입혀진 타자의 이미지는 그들을 우리 사회 내 인정을 베풀어야 할 대상으로 규정하는가 하면, 관용과 환대의 윤리적 담론을 실천하게 한 발판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로부터 20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우리 사회는 더 이상 이방인의 출현이 낯설지 않을 만큼 탈국경·탈경계의 시대에 접어들었고, 이방인들 역시 사회의 제도와 문화, 가치 체계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존재로 부상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고는 이방인을 논함에 있어 국적·민족·언어·문화적 이데올로기에 따른 편견을 허물고 동시에 이방인을 쉽사리 타자로 규정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때 짐멜과 슈츠가 이방인에 대해 사유한 내용은 본고의 문제의식과 일정부분 맞닿아 있었다. 그들은 이방인이 이동성과 객관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에 주목하였고, 그러한 특징이 곧 정주민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이방인만의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본고는 이렇듯 짐멜과 슈츠의 논의에 입각해 백수린의 서사적 사례들 속 이방인의 면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타자로서의 혐의를 벗어던진 개별적 주체인 이방인이야말로 우리와 수평적 관계를 이루고 상생과 공존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From the 2000s, Stranger began to be mentioned in a discourse on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Strangers have been discussed as others. Therefore, This paper began with questioning that Literature at the time repeatedly pointed out the stranger as the others. The Stranger was reproduced as the image of the other. The image defined strangers in our society as the object of deficiency. As a result, An ethical discourse of tolerance and hospitality toward strangers was created. However, 20 years have passed since then. Our society has reached an era of globalization where the emergence of strangers will no longer be unfamiliar. As a result, Strangers have become beings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stitutions, cultures, and value systems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says that nationality, ethnicity, language, and cultural prejudice surrounding strangers should be broken down. In addition, This paper says that strangers should not be hastily defined as others. Schutz and Jimmel's thoughts surrounding the stranger are similar to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paper. They paid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trangers, mobility and objectivity. They said that such characteristics lead to the possibility of strangers alone. This paper analyzed the stranger in Baek Su-rin's novel based on the discussion between Jimmel and Schutz.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 subjective stranger, not the other, could establish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us.

      • KCI등재

        차이와 갈등의 의례 네트워크: 이방인의 수용 과정

        배종훈,김민수,김영규,박상찬,이승윤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3

        This study proposes a process model for accepting people who are not granted a social position within a group, namely, strangers,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ritualistic properties of social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i.e., micro-rituals. A micro-ritual is an interaction order that regulates the initiation or termination of social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in-person proximate engagements in public places. It is informed by procedural knowledge rather than by content and as such it differs from organizational culture or work routines which regulate the content of interac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initiation of social interactions, regulated by micro-rituals, on the acceptance of strangers in the workplace.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s Erving Goffman’s symbolic interactionist view of social acts as well as social network models. The authors suggest that a stranger will be accepted into a network of actors sharing common values when the stranger avoids civic inattention by engaging in micro-rituals with members of the network. On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ensure that institutional changes will improve stranger acceptance, it is necessary for these institutional changes to take into account the micro-rituals that govern proximate interactions in public places. 본 연구는 이방인, 즉 공동체 내부의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지 못한 행위자의 수용 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이다. 특히 이방인과 상호작용을 개시하는 방식, 즉 미시적 의례가 이방인 수용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연구이다. 미시적 의례는 물리적으로 근접한 타자와의 대면 상호작용을 즉각적으로 규율하는 것으로, 문화와 루틴과 구분되는, 즉 상호작용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을 규율하는 절차적 지식이다. 내용이 없는 의례이다. 상호작용 몰입의 정도와 등가성의 정도, 두 가지 구성요소 측면에서 미시적 의례를 무시, 강제, 손님, 시민 의례로 대별하고, 미시적 의례의 작동 방식이 이방인 수용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상호작용의 제도적 토대를 규명하는 Erving Goffman의 상호작용 모형과 네트워크 이론을 원용한다. 이방인이 사회적 관계에 참여하고자 할 때, 사회정체성이 없는 행위자의 정체성의 평가와 승인을 위한 별도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미시적 의례는 그러한 상호작용의 과정을 규율하고 조율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이방인의 수용은 특정 행위자 네트워크에서 공유된 미시적 의례에 해당 이방인이 참여하고 있는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미시적 의례는 개인 수준의 인지 과정과 집단 수준의 제도화 과정에 선행하는 일차적 사건이고, 인지 과정과 제도화 과정의 중요한 투입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방인의 수용을 두 단계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이방인과 상호작용을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인정 단계가 첫 번째 단계이고, 특정 미시적 의례가 활성화된 이후 이방인을 이방인, 주류, 비주류 구성원으로 분류하게 되는 것이 두 번째 단계이다. 본 연구 모형의 주요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미시적 의례의 활성화가 없는 경우, 이방인의 수용과 관련된 공식 제도의 효과성을 담보할 수 없다.

      • KCI등재

        <최고운전(崔孤雲傳)>의 `이방인 서사`와 고전텍스트 읽기교육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3 No.-

        고전텍스트 읽기교육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지금의 독자`에게 의미 있는 독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고전은 현재의 독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줄 수 있어야 하며, 고전 읽기 교육은 그러한 방법을 독자들과 함께 모색하는 장이 되어야 한다. <최고운전>에서 `이방인 서사`를 도출한 것은 소외와 갈등이 만연한 현대사회에 유의미하다. <최고운전>은 역사적ㆍ문화적 맥락에서 우리가 나와 다른 사람, 즉 이방인을 어떻게 인식해왔는지를 잘 보여주는 텍스트이다. <최고운전>에 나타난 이방인 서사를 어떻게 읽는가, 어떻게 읽도록 지도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일은 `이방인 서사`가 우리의 현재적 삶과 무관하지 않기에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방인`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다른 공간에서 온 사람을 의미한다. 공간이 다르면 문화도 다르고, 사는 모습도 다르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로 이방인이라는 말에는 익숙하지 않은 문화와 외양에 대한 배타 심리를 포함한다. <최고운전>의 역사적 인물 최치원을 중심으로 이방인에 대한 배타적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기실 이방인이란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의 문제이다. 관계가 `배타성`을 띠게 되면 상대는 나와 다른 `이방인`이 되는 것이다. <최고운전>은 관계의 배타성을 점층적 공간구성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지하세계-신라-중국`으로 확장되는 공간구조 속에서 이전 공간은 새로운 공간에서의 배타적 관계를 형성하는 원인이 된다. 즉 내가 온 곳이 내가 있는 곳에서 형성되는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나를 이방인으로 만든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출신지, 출신학교, 지난 경력 등을 이유로 끊임없이 배타적 관계를 만들어가는 현대사회의 병리와 그 속에서 상처 입는 사람들의 문제로 치환된다. 이처럼 끊임없이 이방인을 만들어내는 고리를 어떻게 끊을 것인가. 고전 읽기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을 해명하는 과정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고전의 서사가 현재 내가 사는 세상의 서사와 무관하지 않음을 인식하고, 이방인 서사와 자기 서사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화해 지향`의 읽기 교육 방법을 제안해 본다. Classical reading education has to be helpful for discovering a key narrative meaningful in `the present of a reader`. Deriving a `Epic of Stranger` from < Choi-Gowoon Jeon > is reasonable in the context of narrative understanding.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e modern society alienation and conflict are prevalent. The reason is that < Choi-Gowoon Jeon > is a text showing properly how we have recognized a `stranger`, or the one who is different from us from the historicalㆍcultural contexts. A `Epic of Stranger` is relevant to our present life. Therefore, consideration about how we should read a stranger narrative in < Choi-Gowoon Jeon >, how we should instruct to read it will be a meaningful thing. `Stranger` is a man who is from different space. < Choi-Gowoon Jeon > shows the formation of exclusion to a stranger. < Choi-Gowoon Jeon > `s space is expanded, underworld-Silla-China. Past space is the cause of the present exclusive relation. When reading a stranger narrative, for readers, reading while listening to saying of a `stranger` carefully. As an act to understand others and close the distance from them, reading of courteous listening is `sympathetic reading` putting oneself into others` shoes. Eventually sympathetic reading is a `reconciliation-oriented` reading education method to recognize that the epic of a stranger has something to do with one`s own narrative and close the distance between a stranger narrative and self-narrative. Such reading has significance in healing `alienation and hurt` hidden in the inner side of self-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