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도시이미지 형성방안 연구

        박철희(Park, Cheol-Hee),이정수(Lee, Jeong-S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도시로서 부여의 바람직한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이미지의 개념과 전략사업 유형을 조사하고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형성요소를 바탕으로 부여에 대해 현황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형성요소별 이미지 평가에서 부여는 역사부문은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으나, 문화예술, 도시경관, 산업ㆍ경제, 주민의식부문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사문화도시로서 긍정적인 도시이미지 형성을 위해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역사부문은 단순히 역사문화자원의 보존이 아닌 역사자원의 홍보와 브랜드화를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는 문화예술, 도시경관, 경제, 문화공동체 의식부문은 부문별 체계적인 종합육성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 형성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사문화도시 이미지 형성 요소 및 접근방법을 바탕으로, 추후 형성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도시이미지 형성 방안이 도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make th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 of city image and types of strategic business are drawn through theoretical and precedent study, and then, survey and analysis about the elements of city image are conducted with a focus of Bu-Yeo. A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n the image elements of Bu-Yeo, we found that the image of historical sector is formed affirmatively, while the image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sector are formed negatively. To create a positive image of Bu-Yeo as a historic & cultural city, historical sector needs to make a brand and marketturastrategyhis to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ot just to preserve. The sector of culture and art, urban landscape, industrial economy and resident awareness ne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system and promote strategic business about each sector. Based on the elements of city image, the proposals for image-making are suggest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more reasonable scheme for image-making of city through the critical and weighted analysis on the image-making elements of historic & cultural city.

      • KCI등재

        한국의 국가이미지 연구 경향

        유재웅(Jae Woong Yoo),진용주(Young Ju J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4

        우리나라에서의 국가이미지 연구는 한류 붐과 함께 본격화되어 여러 학문 분야에서 증가추세에 있다. 국가이미지와 관련한 연구경향을 종합 분석한 연구로는 2003년에 90년대 석, 박사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염성원, 2003)가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10년간의 활발한 연구 성과들에 대한 분석은 아직 제시된 바가 없어, 근래의 국가이미지 연구경향을 종합 분석해 미비점과 개선점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이미지 연구의 수준을 한 단계 제고하고자 한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국가이미지 주제의 논문을 전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한 것이다. 2010년 7월 말까지 게재된 국가이미지 논문은 총 122편이다. 연구 분석 결과, 국가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학문 분야는 신문방송학, 인문학, 무역학, 미술학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세부 주제는 국제스포츠 및 국제광고 등의 요인을 통한 이미지 연구, 한국의 국가이미지 제고방안, 국가이미지가 경제와 해당국가 기업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순으로 조사되었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 사례연구, 우편 설문조사, 개별면접조사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구 조사 대상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 순서이며, 연구 대상 제품은 자동차, 휴대폰, 의류, 화장품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국가이미지 제고 문제는 마케팅 차원을 뛰어넘어 국가의 전략적인 글로벌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향후 국가이미지 관련 연구는 연구 대상 국가를 확장하고, 연구 주제의 편중현상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마케팅 관점이 강한 미국 방식의 연구와 함께 문화 등 국가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는 유럽식 관점의 연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을 이 연구는 제시하고 있다. Research on the Country Image of Korea in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has been on a rapid increase since the final decades of the 20th century in tandem with the spread of Hallyu, the phenomenon of the international popular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Almost all of the theses published on the theme so far in Korea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 Image and a specific subject. With the aim of assessing relevant theses and articles during the hiatus, this study reviewed 122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listed on the roster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fter a content analysis, the disciplines that produced the most theses involving Country Image, in order of their frequency, were found to be journalism/broadcasting, humanities, and international trade. The most popular subjects, in order, were on (1) the key factors that affect the image of a country through international sports and advertising, (2) the methods to enhance Country Image, and (3) the effects of Country Image on the national economy or on the products of a particular country.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country, in order, was Korea,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products, in order, were automobiles, cellular phones, clothes, and cosme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a set of propositions is possible regard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 enhancement of the Country Image should be recognized in terms of Korea`s global objectiv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go beyond the selling of the products of the country.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diversify the countries and themes to be researched.

      • KCI등재

        영화 속 여배우 캐릭터 이미지 특징에 따른 미용요소 연구 -여배우 전도연이 출연한 작품을 중심으로-

        한아름 ( Ah-lum Han ),이정민 ( Jeoung-min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6 No.1

        This research has examined Jeon do-yeon' s characters and characteristic changes on her roles in each film by analyzing image making factors dividing sectors such as makeup, hair etc. screened from 1997 to 2011 referredto preceding paper, professional books, journals, books, news, internet, etc. As a result, Actress’ s make-up of beauty elements is determined by the occupation or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whilst beauty elements in the movie provides a clue to predict the plot and even main actor/actress' s profession, psychological state, and characteristic of the age. As the fact of the limitation that by analyzing a person’ s work cannot be assigned to all the film, more substantive and analytical studies may be needed.

      • KCI등재

        TV드라마에 나타난 구미호 캐릭터 분장 이미지 비교 분석

        윤고은 ( Go-eun Youn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TV drama analysis regarding Kumiho (fox) -related drama aired from the 1990s to the 2000s and to observe the fox character’s persona by referencing the leading papers, technical books, journals, books, news articles and Internet, and so forth and to examine the distinctive change of character by times by means of dividing image-building elements into makeup, hair and details. As a result, while uniform and standardized in the 1990s, its appearance in the 2000 show a variety of Kumiho aspects such as fox having more humanity than before, more sexy and beautiful, and motherly love. Beginning with this study, I think it needs to continuously expand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structured horror hero of Korea’s drama based on various and objective data in the future.

      • KCI등재

        걸 그룹의 해외활동 스타일링 분석 - 소녀시대, 원더걸스, 카라를 중심으로 -

        윤고은 ( Go-eun Youn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2 미용예술경영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style and image forming elements including clothes, make-up and hair style with website of entertainment company, news, articles, magazines, internet and promotion materials for overseas released albums of relatively well-known top three groups that have actively performed abroad among selected girl groups as ‘The top 10 singers of this year’ by Korean Gallup in 2007-2011. According to the result, style forming elements and images of girl groups are different from each album, but Girl’s generation consistently has shown refined sexy. Wonder Girls and KARA have been retro and lively cute, respectively. For styling elements, they have shown a variety of matches with diverse silhouette, colors and materials but they did not have big difference for hair style.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asic material for development of Korean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and entering overseas with consistent and intensive styling analysis of celebrities who have rich overseas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