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의심: 시민의 덕으로서 회의함

        이주석 ( Lee Jooseok ) 한국윤리학회 2021 윤리학 Vol.10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의심”을 시민의 덕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오늘날 정보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반면 오히려 그 정보를 선택하는 것은 오히려 어려워졌다. 정보를 선택하는 행위자는 정보의 사실 여부를 충분히 검토하기보다 직관적이고 편향적으로 정보를 선택하곤 한다. 그리고 행위자가 하나의 믿음을 승인하고 그 믿음에 근거해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그것은 의견이 된다. 그리고 자기의 믿음에 근거한 의견은 다른 믿음에 뿌리를 둔 의견들은 쉽게 배제한다. 이러한 독단과 배제는 피할 수 없는 대립과 갈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시민의 덕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상황에서 우리가 가장 먼저 생각할 덕목이 믿음 혹은 신뢰의 회복일 것이다. 그러나 이미 독단에 빠져 갈등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믿음은 무력하다. 오히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의심이다. 예컨대 자기의 의견이 틀릴 수 있다는 의심과 상대의 견해가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의심은 심각한 갈등 상황에서 벗어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에 답변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의심이 덕이 될 가능성에 관해 검토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의심의 형태를 여섯 가지로 분석하여 부덕한 의심과 유덕한 의심을 구분한다. 세 번째로 믿음이 위태로운 덕목임을 세 가지 측면에서 논하고 이에 비해 의심은 믿음이 가지는 위험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을 보여준다. 나아가 의심은 회의적 탐구를 통해 판단을 유보함으로써 행위자를 평정으로 이끈다. 이를 통해 행위자는 충돌하는 의견들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고 공정한 검토를 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시민의 덕으로서 의심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 어떠한 이바지를 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첫째로 의심은 독단에 빠지지 않도록 돕는다. 둘째 정보들의 충돌에서 오는 혼란을 해소한다. 셋째 시민 사회의 핵심 덕목들이 작동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는 점이 의심의 기여다. 그뿐만 아니라 의심이 가지는 대중성은 시민의 덕으로서 가지는 매우 중요한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논자는 오늘날 시민들에게 의심을 권장할만한 시민의 덕으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oubt" as a civic virtue. With dramatical increase of the information, the individuals have been put on difficult situations where they must make decisions on what to accept and what not to amongst the random information. ‘Agent’ often select information based on their intuition, which tends to be biased, before fully examining the authenticity of the information. Selecting information based on one’s belief is a process of forming an opinion. However, the opinion rooted in a personal belief may exclude other opinions, often causing dogmatism and conflict. To address such situation,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a civic virtue. People who attribute the conflict to the lack of faith or the loss of faith may suggest faith as an important virtue. However, this virtue becomes powerless before dogmatism. Ironically, the key to the solution lies in the doubt. Doubt can help avoid the serious conflict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that one’s own opinion may be wrong, and that other’s opinion may not be completely wrong. To present some possible solutions to this issue, I organized the paper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whether the doubt can be classified as a virtue. Second, it divides the doubt into 6 different types and distinguishes virtuous doubts from vicious doubts. Third, it discusses that faith is a dangerous virtue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doubt is free from such risks. Rather, the study argues that the doubt leads the agent to calm down by having them reserve their judgment through skeptical exploration. This allows the agent to mediate between conflicting opinions and examine the matters from an objective view. Lastly, the article cites specific examples of the contributions that doubts can make to the society. First, doubt prevents one from falling into a dogma. Second, it resolves the confusion that comes from the conflicting information. Third, it creates a condition that vitalizes the core virtues of the society. Besides, doubt has a popular appeal, and this gives more justification that doubt can be a civic virtue. For the above reasons, I suggest that doubt is worth being encouraged as a civic virtue.

      • KCI등재후보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변증적 교리 설교의 필요

        이병일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3 No.1

        본 논문은 교회 안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의심 아래 있는 청년들에게 신앙적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이 청년들의 대부분은 부모의 신앙에 의해 어려서부터 교회생활에 익숙한 자들이다. 이들은 유년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청년에 이르는 몸의 성장을 겪으면서 동시에 정신적으로도 부모로부터 독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부모의 신앙’을 의지하던 단계에서 ‘자신의 신앙’으로 넘어가는 과정, 즉 신앙적 독립 과정에서 의심의 시기를 보내게 된다. 어렸을 때는 의심 없이 받아들였던 성경 이야기가 의심이 되고, 성경에서 모순처럼 보이는 구절을 발견하거나 기독교의 교리가 비논리적이라 여겨질 때 의심하게 된다. 이 의심이 교회 생활을 통해 해결 받지 못했을 때 형식적인 신앙생활을 하게 되거나 신앙에 흥미를 잃게 되며, 심지어 신앙을 포기하고 교회를 떠나기까지 한다. 이렇게 교회 안에서 있으면서도 의심의 구름 아래 있는 청년 세대들을 돕기 위해서는 ‘변증적 교리 설교’가 필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논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네 가지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의심하는 청년들(청년세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들이 의심하는 이유와 의심의 내용을 알아야만 그들을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의심하는 청년들을 위한 교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교회 안의 청년들이 갖는 의심의 성격이 ‘교리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른 교리에 대한 이해가 있다면 그들의 의심은 많은 부분이 해소될 수 있다. 셋째, ‘교리 설교’의 필요를 깨달아야 한다. 물론 청년들에게 교리를 가르침에 있어 ‘설교’보다는 ‘교육’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오늘날 주일오전예배만 출석하는 청년들이 대다수인 것을 고려할 때, 교리를 설교형식으로 전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넷째, 변증적 설교가 필요하다. 교리 설교를 하되, 그 설교가 변증적으로 이루어져야만 의심하는 청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기독교신앙은 성령의 역사로만 발생한다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신앙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성령의 역사의 결과이지 인간의 변증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변증을 통해서 믿음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본 논문은 변증적 교리 설교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이 비논리적이거나 맹목적인 것이 아니라 합리적이고 성경적인 것임을 설명하고, 또한 비이성적인 것이 아니라 초이성적 것임을 설명함으로써 의심하는 청년들을 신앙적으로 도울 수 있다고 말하고자 한다. This study suggests ways to give religious help to young people who are in church but also under doubt. Most of these young people are those who are accustomed to church life from their youth by their parents’ faith. They are going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through the growth of their bodies to the youth, and at the same time mentally seeking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And, from the stage of relying on ‘the faith of their parents’, They ar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assing onto the stage of ‘their own faith’, that is, the period of doubt in the process of religious independence. At an early age, when the Bible story that they accepted without doubt became doubtful, when they find doubtful verses in the Bible, or when the doctrine of Christianity is considered illogical, they get doubts. When this doubt is not resolved through the life of the church, they will live a formal religious life, or lose interest in the faith, even giving up their faith and even leaving the church. It is the point of this study that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is needed to help young generation in the church, even under the clouds of doubts. To this end,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must be four ‘needs’.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young generation in doubt. It is because we can help them if we know the reasons for their doubting and the contents of the doubt.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ed for a doctrine for doubting young people. It is because the nature of the doubts of young people in the church is ‘doctrinal’. Therefore, if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the right doctrine, much of their doubts can be resolved. Third,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need for ‘doctrine preaching’. Of course, ‘education’ is more effective than ‘preaching’ in teaching doctrine to young people. But considering that the majority of young people only attend Sunday morning worship these days, it is realistic to convey doctrine in a preaching form. Fourth, apologetic preaching is needed. Even at preaching a doctrine, the preaching must be conducted in an apologetic way to give real help to the doubting young people. It is the Bible’s teachings that Christian faith occurs only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aith is the gift of God, a result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not created by human apologetics. Therefore, it is not the belief that comes through apologetics. Through apologetic doctrine preaching, this study just attempts to explain that Christian faith is rational and biblical, not illogical or blind, and that it is not irrational but super-rational to convey that we can help in faith the doubting young people.

      • KCI등재

        간화선 화두간병론(話頭揀病論)과 화두의심의 의미

        박태원(Park, Tae-won)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화두 의심의 출발점은 '모르는 마음'이다. 그리고 이 '모르는 마음'에서 두 유형의 '모르는 마음 상태'가 분기될 수 있다.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과 '오직 모르는 마음'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택하는 길은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인데, 화두 의심이 촉발시켜 주려는 것은 '오직 모르는 마음'이다. 간화선 화두 참구법이 무분별지를 여는 돈오견성과 인과관계를 갖는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할 때, 화두 의심은 '분별(앎/이해/답)을 겨냥하고 있는 모르는 마음'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 데 '알고자 하는 모르는 마음'은 '모름'을 부정하고 '앎'을 긍정하려는 마음이어서, 항상 앎/이해/답을 목표로 삼아 겨냥하고 있는 '모르는' 마음이다. '특정한 분별 개념적 내용으로 규정하고 확정하는' 앎/이해/답을 갈구하는 이 '모르는 것을 알고자 하는 의심'은, 그 속성상 간화 십종병으로 지칭되는 다양한 '앎/분별'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이런 의심은 무분별지의 국면을 여는 돈오견성의 길에 반(反)하는, 반(反)화두 의심이다. 이에 비해 화두 의심의 그 '모르는 마음'이 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길인 '오직 모르는 마음'은, '앎/이해/답을 구하는 모르는 마음'이 아니라, '앎/이해/답을 겨냥하지 않는 오직 모르는 마음'이다. 이 모르는 마음은, 특정한 분별 개념적 내용으로 채우거나 확정하기를 자발적으로 거부하는 마음 상태이다. 모든 분별 개념적 규정과 칸 지르기를 거부하는 '자발적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이다. 바로 이 '오직 모르는 마음'이 화두 의심의 본령이라 생각한다. 돈오견성/깨달음/해탈은 '분별적 규정(희론)'으로 인한 존재 왜곡과 오염이 해소된 국면이다. 분별적 규정 습벽의 지배에서 해방되어, 개념/언어를 페기하는 것이 아니라 개념의 환각에서 벗어나, 개념으로 분류하고 지칭되는 존재들의 참 모습(실재)을 있는 그대로 직관하게 된 국면이다. 이러한 돈오견성/깨달음/해탈국면을 열려면, 무시이래 뿌리 깊게 내면화된 '분별적 규정(분별지)의 습벽(업력)'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분별적 규정 습벽'에 휘말려들지 않는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를 자발적으로 계발하고 수립해야 한다. 아울러 수립된 이 '자발적 무규정/불확정 의 마음 상태'를 순일하게 챙겨가, '분별적 규정 습벽'에서 완전히 풀려나기에 충분한 정도의 힘을 축적해야 한다. 화두에서 촉발되는 '오직 모르는 마음'은 바로 이러한 성격의 '자발적 무규정/불확정의 마음 상태'이다. 간화선에서 역설하는 화두 의심은 일체의 분별적 규정을 거부/해체하는 '규정하지 않는 모름'이다. 앎/이해/답을 겨냥하여 구하지 않는 '오직 모름'이다. 이러한 의심/의정을 의단(疑團)으로 발전시켜 오롯하게 챙겨감으로써, 중생에게 내면화되어 있는 분별적 규정의 습벽(분별지의 업력)에서 완전히 해방될 수 있는 지점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 간화선 화두 참구가 제창하는 돈오견성/깨달음/해탈 체계의 핵심 발상이다. The school of Seon(禪宗), especially the Seon of seeing the Gong-An(公案), asserts that the doubt of the Wha-Doo(話頭疑心/疑情) leads to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頓悟見性). There are two views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One view is that the mind that desires to know the unknown column creates the acquiring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is view observes the ordinary meaning of the word 'doubt'. The other view is that the doubt of the Wha-Doo is a method for concentration that makes the mind not-divided. However, these two views are not a valid argument to explain the causal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e beginning point of the Wha-Doo's doubt is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From this point two kinds of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are able to come into being. 'Not Knowing State of Mind that Wants to Know', the other is the 'Only Not Knowing Mind'. Wha-Doo's doubt is the 'Only Not Knowing Mind'. The 'Not Knowing State of Mind that Wants to Know' always aims at discriminating knowledge. The individuals that practice with this kind of doubt necessarily falls into the ten illnesses of Wha-Doo(看話十稚病). However, the Wha-Doo's doubt must necessarily lead to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which manifests the 'Not Dividing Mind'(無分別知). Wha-Doo's doubt must not be the kind of 'Not Knowing Mind that Wants to Know' but the 'Only Not Knowing Mind that Never Desires a Prescribing Answer'. The doubt of Wha-Doo has the aspect of non-prescription.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is aspect of non-prescription to understand the causal interrelation between the doubt of the Wha-Doo and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The 'Only Not Knowing Mind that Never Desires a Prescribing Answer' is the state of mind voluntarily denying the conceptual prescription. The seeker of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is to take the aspect of a voluntarily non-prescribing state of mind in Wha-Doo and concentrate on it to acquire Sudden Enlightenment and Seeing Reality.

      • KCI등재

        감염병예방법 상 감염병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의 헌법적 문제점

        황성기 ( Hwang¸ Sung-gi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1

        2019년 12월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방역 및 대응인 K-방역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모범적인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전략은 민주성, 투명성, 개방성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략의 수행과정에서 개인정보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향후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점검 및 개선에 있어서는,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라는 공익과 개인의 인권 간의 충돌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라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등장할 것이다. 특히 감염병 예방 및 확산 방지를 포함한 공중보건시스템의 효율성 도모와 개인정보를 포함한 프라이버시 보호의 문제를 균형있게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여, 이 연구는 감염병예방법 제76조의2가 채택하고 있는 감염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의 헌법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다 헌법합치적이고 인권친화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집되는 정보주체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감염병의심자라는 개념과 관련하여, 감염병의심자의 범위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다는 점에서 명확성원칙 위반의 의심이 있다. 둘째, 권력적 행정조사로서의 법적 성격을 갖고 있는 감염병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는 감염병의심자의 개인정보를 정보주체의 사전동의 없이 강제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강제적 수집이 법관의 영장 없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영장주의 위반의 의심이 있다. 셋째, 압수·수색에 준하는 목적의 권력적 행정조사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감염병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는 행정의 효율성에만 치우쳐있고, 절차적 통제장치는 미흡하여 적법절차원칙 위반의 의심이 있다. 넷째, 감염병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는 과잉금지원칙에 반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침해할 가능성이 높다. 다섯째, 감염의심자 정보 제공 요청제도가 위헌은 아니라고 할지라도,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장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향후 입법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K-Defense, Korea's quarantine and response to Coronavirus Infection-19, a viral respiratory disease that occurred in Wuhan, China in December 2019, is currently in the spotlight as an exemplary model worldwide. Korea's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Corona 19 can be summarized as democracy, transparency, and openness, and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se strategies is essential. In the future check and improvement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system, the question of how to reconcile the conflict between the public interest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e human rights of individuals will b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to find a way to balance the issues of promoting the efficiency of the public health system, including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protection of privacy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Starting from raising these issues, this study analyzes the constitutional problems of the system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adopted by Article 76-2 of the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ct, and proposes more constitutional and human rights-friendly improvement meas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ncept of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formation subject to be collected, there is a suspicion of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clarity in that the range of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is comprehensive and over-broad. Second, the system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which has a legal character as a powerful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llows for compulsory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without the prior consent of the data subject, and that such compulsory collection is possible without a warrant from a judge. In this regard, there is a suspicion of a violation of warrant system. Third, the system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which has a legal character as a powerful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for the purpose of seizure and search is focused only on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the procedural control device is insufficient, so there is suspicion of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of law. Fourth, the system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is highly likely to infringe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ary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 Fifth, even if the system for requesting information on person suspected of contracting an infectious disease is not unconstitu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guarantee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t needs to be improved legislatively in the future.

      • KCI등재

        여성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치매의심군 그리고 비치매 대조군간의 신경인지기능 비교

        이은하,안석균,오병훈,김기현,이연희,오희철,김승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1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치료에 있어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임상적으로 치매의 진단 기준을 맞추지는 않으나 주관적인 기억력 저하의 호소와 인지적으로 정상이 아닌 치매의심군이란 개념이 소개되었으며, 1982년 Hughes등은 임상치매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 이하 CDR)란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 CDR 점수가 0.5점인 대상을 치매의심군으로 정의하였다. 치매의심군에 대한 장기간의 추시를 통하여 치매의심군은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매우 조기 단계(very early stage)일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진단에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예민한 도구는 적절한 문진(good history)과 신경인지기능학적 평가를 통한 이차성 기억력 특히 지연회상(delayed recall)의 장애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치매의심군을 진단하기 위해서 치매의심군의 신경인지기능학적 특징을 아는 것은 치매의심군의 진단과 치매로 진행할 지의 여부를 결정짓는 예측인자를 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치매군 및 비치매 대조군 간의 주의력, 기억력, 시지각공간능력, 언어능력 및 고위피질기능 등의 신경인지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치매의심군의 신경인지기능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주군 정신보건센터의 노인 낮병원 등록된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중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5명, 치매의심군 9명 및 비치매 대조군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성 치매를 배제하기 위해 Hachinski 허혈지수상 4점이 넘는 경우와 우울증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에 대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단축형노인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 ; 이하 SGDS)상 8점이 넘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진단은 노인 낮병원 퇴원시점에서 치매연구회의(노인정신과 전문의, 정신과 전문의, 전공의, 임상심리사, 사회사업사, 간호가 각 1인으로 구성)에 의해 진단과 통계편람 Ⅳ 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 이하 DSM-Ⅳ) 및 CDR을 기준으로 내렸다. 주의력은 Wechsler 기억검사 수정판(Wechsler, 1987 ; 이하 WMS-R)의 소검사인 숫자따라하기(Digit span), 도형따라짚기(Visual span) 및 비엔나검사총집(Schufried, 1993 : 이하 Vienna test system)의 소검사인 지속적주의력(Continuous atten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기억력은 WMS-R의 논리적기억력(Logical memory)의 즉각회상(Immediate recall)과 30분 지연회상(delayed recall), 언어적연상학습(verbal paired associate learning)의 즉각회상-쉬운짝연상(easy pair)/어려운짝연상(hard pair), 30분 지연회상-쉬운짝연상/어려운짝연상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지각공간능력 중에서 시지각능력(Visual perception)은 WMS-R의 시각기억검사를 응용하여 평가하였고, 시공간능력(Visuospatial abilities)은 신경행동학적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creening Examination : 이하 NCSE)의 구성능력검사(Construction)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언어능력은 한국판 성인용개인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 이하 K-WAIS)의 이해력검사(Comprehension) 및 한국신경인지기능연구회의 신경인지검사집상의 실어증등급척도(Aphasia severity rating scal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고위피질기능(Higher cortical function)은 NCSE의 유사성검사(Similarity), 판단력검사(Judgment), Go-No-Go 검사, Vienna test system의 가설형성검사(Hypotheis formation test), 부속증검사(Perseveration te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진단을 독립변수로 , 각종 신경인지기능검사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설계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 이를 보인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도 알쯔하이머형 치매군 5인, 치매 의심군 9인 및 비치매 대조군 14인을 대상으로 신경인지기능을 평가한 결과, 언어적연상학습의 즉각회상 중에서 쉬운짝연상(경도 치매군, 치매의심군, 대조군 각각 4.80±3.34,6.0±2.0, 8.85±2.14),구성능력검사(0.50±0.58, 1.00±1.55, 3.50±1.87), 실어증등급척도(2.83±0.40, 3.78±0.67, 4.71±0.47), 유사성검사(2.80±3.56, 2.11±1.54, 7.36±1.98)에서 치매의심군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경도치매군과는 수행정도 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치매의심군의 인지적 특성이 정상노화보다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에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치매의심군은 정상 노화라기 보다는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전단계일 가능성이 시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fferentiate the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from the questionable dementia and non-demented elderly using the neurocognitive assessment. Subjects of 28 women who were registered to Kwangju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ere as follow : 14 non-demented, 9 questionable dementia, 5 mild dementia of Alzheimer type. The diagnosis were made using DSM-Ⅳ,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ere assessed with following test tools 1) attention : Digit span, Visual span, Continuous attention ; 2) memory : Logical memory, Verbal paired associates-easy/hard 3) visual perception and visuospatial ability : Visual recognition test, Construction ; and 4) language : Comprehension and Aphasia severity rating scale ; 5) higher cortical function : Hypothesis formation, Perseveration, Similarity, Judgment, and Go-No-Go test.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with one way ANOVA test in SPSS 8.0 for win and LSD method as post-hoc analysis. The questionable dementia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al paired associates-easy pair, Construction, Aphasia severity rating scale and Similarity from the non-demented normal control group but showed no difference from the mildly demen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questionable dementia is actually very early or very stage of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 다단계-다중설비 제조 공정의 우선순위규칙을 고려한 결함 의심 설비 선별 방법 개발

        최승현,김영관,김주영,배영목,오영찬,이동희,김광재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

        다단계-다중설비 제조 공정은 다수의 연속된 공정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공정 단계에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다수의 설비가 배치되어 있다. 결함 설비는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설비를 의미하며, 저품질 제품의 생산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품 품질 향상을 위해 결함 설비를 탐색하는 것은 대량 생산에 주로 활용되는 다단계-다중설비 제조 공정에서 중요한 과업이다. 결함 설비의 탐색은 설비 진단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비용집약적인 과업이다. 따라서 진단 비용을 줄이기 위해 공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함 의심 설비를 선별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기존의 결함 의심 설비 선별 방법은 전후 공정 단계의 설비 간의 무작위 작업 할당 (random dispatching)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정 환경에서는 특정 설비 간의 제품 이동이 집중되어 일어나는 우선순위규칙이 존재한다. 이때, 실제로 결함이 있는 설비로부터 정상 설비로 불량 제품이 다수 이동되는 경우, 정상 설비가 결함 의심 설비로 선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선별된 결함 의심 설비 간의 결함 의심인과 관계를 추정하고자 한다. 결함 의심 인과 관계란 실제로 불량 제품을 야기하는 결함 설비와 이로부터 불량 제품이 다수 이동하여 결함 의심 설비로 선별된 오탐 (false-alarm) 설비 간의 관계를 의미한다. 결함 의심 인과 관계는 결함 의심 설비의 의심도와 설비 간 생산 제품의 유사도를 바탕으로 추정한다. 우선순위규칙이 존재하는 가상의 다단계-다중설비 공정 환경을 구현하여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검증하였으며, 본 방법을 오탐 설비의 진단 횟수를 줄여 다단계-다중설비 제조 공정의 진단 비용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바로크와 환상문학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3

        바로크와 환상문학은 공히 17세기에 태동한 근대성의 산물인 동시에 그것에 대한 반응이다. 근대성과 관련된 바로크 미학과 환상문학의 비교 연구를 위해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는 것은 ‘의심'이다. 근대성이 야기한 세계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바로크 시대에는 모든 것이 의심의 대상이 된다. 환상문학 역시 이성이 지배하는 19세기 사회에서 현실에 불쑥 침입하는 초현실적 현상에 대한 당혹감과 의심에서 비롯된다. 애매모호한 세계 내에서 야기되는 불확실성의 느낌인 의심은 환상성이 발생하는 필수 조건인 것이다. 시대적 배경과 관련하여 환상문학은 바로크 미학과 동일한 발생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상과 실재의 괴리에서 빚어지는 불확실성과 불안감이 그것이다. 이는 환상문학이 서구 계몽주의에 대한 반발로 탄생한 낭만주의 시대의 장르라는 점과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최초의 근대적 낭만주의로 간주되는 바로크와 낭만주의의 본류를 형성하는 환상문학은 공히 근대성에 대한 미학적 반응으로서 규범과 이성에 대한 일탈과 감성의 승리를 꾀하는 것이다. 바로크 문학과 환상문학에 공히 나타나는 의심의 양태를 살펴볼 때, 전자가 “진정한 현실이란 무엇인가?”라고 존재론적 물음이라면 후자는 “내가 속한 이 세계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라는 인식론적 물음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가 “우리의 마음이나 생각과 독립해 존재하는 어떤 실재가 있는가?” 묻는다면, 후자는 그 실재를 전제하고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따라서 바로크의 의심은 세계에 대한 의심이고 환상문학의 의심은 내 인식 차원에 대한 의심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환상문학은 이성이 정착된 세계의 질서를 흔들어보는 모반이자 근대적 낙관주의에 대한 풍자로 읽힐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근대성의 산물로서 현실을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were fruits and reaction of the modernity conceived in 17th century. The important bond that connects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is doubt. The uncertainty of the world caused by the modernity put everything in doubt. The primary conditions of fantastic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are also doubt, hesitation, and uncanny feeling at the supernatural phenomena that intrude into a reality. We can say that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share sam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ambiguity and uncertainty caused by the breakup of reality and appearance. The relation between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fantastic literature is a sub-genre of romanticism born to resist the enlightenment. The baroque considered as a f fst romanticism and fantastic literature are aesthetic reaction to modernity and declare the victory of emotion and transgression over reason and norm. When it comes to the character of doubt of the baroque and fantastic literature, we might say that the former is a ontological one asking what is true reality and that the latter is a epistemological one asking how we can interpret that reality. In other words, the baroque asks whether there exists a reality independent of human perception while fantastic literature presupposes that reality and seeks how to perceive it. Accordingly, doubt of the baroque is on the reality itself and that of fantastic literature is on human perception. As a result, fantastic literature could be read as a revolt to shake the reason-established world and, at the same time, a parody of modern optimism. The baroque novel and fantastic novel, nevertheless, have a ultimate goal in common as a result of modernity: total understanding of reality. That has been a background and reason of being of modern novel.

      • KCI등재

        형사재판에 있어 합리적 의심의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조현욱(CHO, Hyun-Woo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法學硏究 Vol.16 No.1

        형사재판에서 범죄사실을 유죄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입증을 요한다. 판례에 따르면, 우리 대법원은 영미법상의 "합리적 의심을 넘는 정도의 증명"과 독일법상의 "법원의 확신에 이를 정도의 고도의 개연성을 가진 증명"이라는 기준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모든 증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종합고려설의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영미법계의 표현에 가까운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이라는 명문규정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이 대륙법계 국가에서 규정하고 있는 ‘법원의 확신’이라는 표지에 주목하여 그 판단기준을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마도 영미법계와 대륙법계라는 제도적 차이에서 오는 이유뿐만 아니라, 우리 형사소송법 제30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유심증주의 원칙에서 연유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배심원에 의한 형사재판이 주를 이루고 있는 영미법계 국가에서는 ‘합리적 의심을 넘는 정도의 증명’이라는 용어가 일반인에게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체화(體化)되었을 것이나, 대륙법계에 속하는 우리 형사소송법의 체계 아래서는 개념정의와 판단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형사사건이 갖는 특성에 비춰 유죄의 입증은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을 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구속력 있는 판단기준으로 ‘법관의 확신’과 이를 객관적으로 담보하기 위한 논리칙과 경험칙 내지 과학법칙 나아가 유죄판결에 있어 증거요지의 설시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법관의 확신’이라는 용어는 현행 형사소송법에는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판단기준을 설정함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합리적인 의심이 없는 정도의 증명’이라는 용어가 부담스럽다면, 초기 대법원판례가 판단기준으로 제시한 ‘법관의 확신’이라는 표지를 제308조의 자유심증주의 조문에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로운 확신에 의한다’라고 새롭게 규정하는 것도 용어의 불확실성에서 발생하는 판단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어린이집 원장의 아동학대 의심사건에 대한 경험 탐구

        임해진(Heajin Im),조성웅(Sungwoong Cho)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 의심사건 신고에 대한 내용과 원인, 아동학대 의심사건 판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어린이집 아동학대 의심사건에 대한 경험이 있는 서울과 경기도 내 민간어린이집 원장 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타 관련 자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 의심사건 신고에 대한 내용과 원인, 아동학대 의심사건 판정에서 겪은 어려움의 2개 주제로 범주화했다. 아동학대 의심사건 동기와 시작점, 보육현장을 고려한 체계적인 행정지원 부재로 인한 어려움, 아동학대 의심사건 관련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어려움, 아동학대 의심사건으로 인한 어려움, 그 이후의 4개 영역 및 10개의 의미범주로 구분되었다. 결론: 아동학대 의심사건은 교사들 간의 갈등, 교사와 원장의 갈등, 학부모와 원장의 갈등 등 다양한 원인이 아동학대 신고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원장은 다양한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원장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실제 경험은 현장을 고려한 효과적인 아동학대 자료 및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 및 실천적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학대 관련 정책을 활용하는데 실질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causes of reports of suspected cases of child abuse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determining cases of suspected child abuse. Methods: This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lated data with three heads of private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d experience in suspected cases of child abuse at daycare centers. Result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two topics: the contents and causes of the report of a suspected child abuse case, a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determining the suspected child abuse case. The difficulties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administrative support considering the motive and starting point of the suspected child abuse case, to the negative perception related to the suspected child abuse case, and to the suspected child abuse case, were separated into four areas and 10 meaning categories. Conclusions: In the case of suspected child abuse, various causes such as conflict between teachers, conflict between the teacher and principal, and conflict between the parents and principal led to child abuse reports. During this process, the ledger faced various difficulties, which negatively affected the ledger. These practical experiences will provide implications and practical knowledge for developing effective child abuse data and prevention programs considering the field.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o suggest practical ways to utilize child abuse-related policies.

      • KCI등재

        <여우구슬>과 <백사전>의 비교를 통해 본 의심과 신뢰의 서사

        강미정 ( Kang Mi-je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이 글의 목적은 <여우구슬>과 <백사전>의 비교를 통하여 의심으로부터 신뢰로 옮겨가는 서사를 파악하려는 데 있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설화인 <여우구슬>을 중국의 작품인 <백사전>과 바로 연결 짓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여우구슬>의 여러 각편과 <백사전>으로 완성되기까지의 백사고사와 관련된 몇몇 작품들을 주요 논의 자료로 삼았다. 그에 따라 이 글은 <여우구슬>과 <백사전>의 관련성을 살피고, <여우구슬>과 <백사전>에 나타난 의심과 신뢰의 서사를 밝히는 방식으로 진행 되었다. <여우구슬>과 중국의 작품인 <백사전>을 연결 지어 보려는 논의가 지닌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의의는 서사의 다기성이라는 개념을 개별적인 작품 사이의 연결로 구체화 했다는데 있다. 서사의 다기성(多岐性)이란 서사가 진행되는 동안 요소요소마다 서사의 분기점(分岐點)들이 있고, 이 분기점에서 다른 서사로 나아갈 수 있는 있음을 말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에 따르면 하나의 작품은 분기점에 따라 다른 내용으로 변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체적인 맥락에서 서로 다르게 보이는 작품도 원래의 요소가 유사하면 연결 가능하게 되는 특성이 나타난다. 두 번째는 <여우구슬>이란 작품을 문학치료적 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여우구슬>을 문학치료적 접근방식으로 탐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우구슬>에는 스승이 주인공에게 비밀을 알려주어서 그가 위기를 모면하게 되는 내용이 있다. 이 내용에서 어른의 말을 잘 들어야 한다는 교훈을 단순하게 유추하지는 않아야 한다. 이를 문학치료적 연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간의 내면에서 매번 일어나는 의심에 관한 서사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그 과정을 통해 의심이라는 테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찾아야 한다, 이것이 바로 문학치료적 연구로서의 시작점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여우구슬>로부터 <백사전>에 이르는 서사의 경로를 따라가면서 의심을 거두고 신뢰를 회복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된다. 의심이 의심에서 끝난다면 그 마음을 일으킨 계기와 효과는 사그라질 것이다. 의심이 신뢰로 이어질 때에만 의구심을 일으킨 가치가 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여우구슬>과 같은 의심의 서사가 어떻게 신뢰의 서사로 옮겨질 수 있는가를 풀어간 본 논의는 신뢰 회복을 위한 문학치료적 성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lies to understand the epic which moves from doubt to trust by comparison of < The Bead of Fox > and < White Snake >. By the way, there` re some difficulty that I connect the tale of Korea < The Bead of Fox > to the tale of China < White Snake > directly. So, I used some works which connect with the old story of white snake-until the works were completed as < White Snake >-and some volume of `The Bead of Fox` as main reference discussion. Thus, I explored a connection between < The Bead of Fox > and < White Snake > and conducted the research focuses on the epic of Doubt and Trust is shown in the < The Bead of Fox > and < White Snake >. Here are some of the significances for this discussion to connect < The Bead of Fox > with the work of China < White Snake >. First, there is significanc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independent work was to defined as the concept of the divergence of epic This concept of the divergence of epic means that the epic have some junctions in every element during the epic and proceed to the others. 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content of one work is could be changed by junction. And, Even though these works seem different in whole contexts, they can connect with each other at the similarity of basic element. Secondly, the work < The Bead of Fox > is to available to be used as Literary Therapeutics study. The process of Literary Therapeutics study for < The Bead of Fox > is as follows. < The Bead of Fox > has contents which main character have averted the crisis with the help of his master who tell him the secret. To use this work as Literary Therapeutics study, you should be focusing on the epic of doubt which have been every time in the inner workings of humankind. Thus, following the path of epic ranging from < The Bead of Fox > to < White Snake >, you will have experience which cast out doubt and restore trust. If you finish the doubt as the literal meaning of the word, the reason and effect for the your mind`s first condition would be blow itself out. At this point, this discussion to explore how to transfer from the epic of doubt like < The Bead of Fox > to the epic of trus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literary therapeutics effect for restoring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