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義城 鵝州申氏家의 가계 이력과 향촌 재지 기반

        張弼基(Jang Pil-Ki)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이 연구는 義城 鵝州申氏家의 고문서를 가지고 이 가문의 가계 이력과 향촌 재지 기반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의성의 아주신씨가는 조선중기 이래 명망있는 가문으로 누백년 동안의성읍과 봉양면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며 세거하여 왔다. 이 중에 특히 邑派라 불리는 內府令公派와 龜派라 불리는 鳳州公派는 의성읍과 봉양면 귀미리를 중심으로 세거하면서 많은 걸출한 인물과 전적을 남겼다. 영남 재지사족이라고 할 수 있는 이들 가문의 고문서 자료들을 토대로 그 가계 이력과 사회ㆍ경제적 기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의성의 아주신씨 읍파는 16세기 초 申元祿으로부터 번창하기 시작하였다. 원록은 周世鵬과 退溪, 南冥에게 배워서 학문적 기반을 쌓았다. 이를 바탕으로 長川書院을 설립하여 학문 진흥과 향약실천에 힘썼다. 이어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 이후 이 가계의 후손들이 寒岡 鄭逑와 旅軒 張顯光 등 영남의 巨儒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아 향촌사회의 학문 진흥과 사회 구제 등 오직 성리학적 질서에 따른 전통유지에 힘쓰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의성을 중심으로 유명한 양반 사족가문으로서 사회적 기반을 가지게 되었다. 봉주공파는 의성 봉양면의 귀미리를 중심으로 대대로 살아 왔다. 귀미의 입향조 申之悌는 일찍이 惟一齋 金彦機와 鶴峯 金誠一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1589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중앙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이 과정에 중앙의 여러 영남 출신 관직자들과 교유하기도 하였다. 그의 아들 弘望은 16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중앙관직과 풍기군수, 울산부사 등 지방 수령을 역임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의 호구단자ㆍ준호구 등에 나타나는 노비들이 의성을 중심으로 하는 인근 지역과 멀리는 울산, 창원 등지에 이르기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이 가계의 학문적 연원 또한 김성일ㆍ유성룡ㆍ장현광 등에게 배워 한 고장을 중심으로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는 위치에 있었다. 혼인은 두 가계 모두 의성과 안동권을 중심으로 한 인근 고을의 사족들과 인척을 맺어 그들의 사회ㆍ신분적 기반을 더욱 굳건히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바탕에 더하여 경제적으로도 부족하지 않는 규모를 지니고 있었다. 이들 가계의 경제 규모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제한적이기는 하다. 그렇지만 일부 고문서에 나타난 내용 등을 통하여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해 볼 때 이 가계의 경제 규모뿐만 아니라 한 고장에서 차지하는 향촌 재지적 기반이 상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look into the history and a social economic base of Uiseong (義城) Aju-Sinssi's Family(鵝州申氏家) using their menuscripts. Uiseong Aju Sinssi's Family devide two family groups that were called Naeburyounggongpa (內府令公派) and Bongjugongpa(鳳州公派). Naeburyounggongpa group had prospected during 16 century by Won Rok-Sin(申元祿). He was teached by Sae Bung-Joo(周世鵬), Whang-Lee(李滉) and Sik-Jo(曺植). Through the learning he founded Jangchen Seowon(藏川書院) and tried to do the pursue of teaching and Hyangyak(鄕約) that was a rule of country controling its constituent member. From 16 century to 17 century Uiseong Aju Sinssi's Family concentrate on learning after Hogaepa's(虎溪派) three brothers as Jeok Do(適道), Dal Do(達道) and Yeol Do(悅道), keeping on academic tradition of Hyun Gwang-Jang(張顯光). Specially this family was affected by the famous scholars of Youngnam(嶺南) area. Consequently they tried to make only order of the Confucianism society and have authority as the nobility in Uiseong. Bongjugongpa have leaved in Uiseong Bongyang-meon(鳳陽面) Gwimi-ri (龜尾里). The first man entered the Gwimi-ri was Ji Jae-Sin(申之悌). He learned into Aeon Gi-Kim(金彦機) and Seong Il-Kim(金誠一) from early. In 1589, he passed an examination for the first class(gap gwa;甲科) of jeng-gwang-mun-gwa(增廣文科) and taking many center government positions. In this process, he associated with public service personnel come from Youngnam area. When keeping Changwon, he seized Myung Hwa Jeok(明火賊), Dae Ib-Jung(鄭大立) and so on and it was stabilized a public sentiment, received a court rank; Tongjeongdaebu(通政大夫). His son was successful the third class(byeong gwa;丙科) in examination that called byeol-si-mun-gwa(別試文科), took a local governor in Ulsan(蔚山) and Punggi(豊基). As a result, their servants ranged from Uiseong in the center to Ulsan and Chang won places it reaches. This family line was having education origin, from Seong Il-Kim(金誠一), Seong Ryong-Yu(柳成龍) and Hyun Gwang-Jang (張顯光). They were located in taking local education and ancestor worship on one region. The two family lines were enter into a connection with a relative by marriage to the neighborhood on Uiseong(義城) and Andong(安東). They strengthened their social position through continual the marriage Uiseong Kimssi, Andong Kimssi, Andong Gweonssi, Youngyang Namssi, Haman Jossi, Hanyang Bakssi, Youngcheon Leessi, Indong Jangssi, Pungsan Ryussi, Pungyang Jossi, Hanyang Jossi, Kwangsan Kimssi and so on. Also two family has a bulk of budget. The data are confined to know their family line budget. But we make a conjecture as a census family register, menuscript of distributing their ancestor’s estate and certificate of the government's office. They have many servants almost 60-100 people and a bulk of economy base seen to the record of estate and certificate. Especially it is mentioned to seen a record of distributing family's budget. Therefore this family line has social and economical power into a local community.

      • 조선어의성의태어의 특징 및 사용현황 분석

        목덕룡(穆德?)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4 중국조선어문 Vol.194 No.-

        조선어의성의태어는 그 수가 상당히 많고 또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편이다. 그러나 중국인조선어학습자들은 조선어의 의성의태어를 잘 습득하지 못하고있다. 본 론문은 조선어의성의태어를 음운론적특징과 형태론적특징 두 령역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조선어교재에 나타난 의성의태어사용빈도를 통계하며 학습자들의 의성의태어사용현황을 분석하여 조선어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군현 제의 공간 변화의 상징적 의미 해석 -의성군의 성황사와 진민사, 오토산을 중심으로-

        김덕현 ( Kim Duk-hyu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이 연구는 의성군의 지리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의성의 지역 공동체 제의 공간인 성황사와 진민사의 입지 변화를 해석하고, 오토산 김용비 묘에 대한 전통 지리학적 이해를 추구했다. 경상분지 안의 소분지인 의성읍과 금성면은 의성군의 대표적인 역사적 생활공간으로 의성군의 제의 시설이 집중된 곳이다. 의성군 금성면 고분군과 의성읍의 성황사ㆍ진민사는 모두 초월적 세계와 소통하여 공동체의 번영을 기원하고 정체성을 확인 강화하는 지역공동체의 제의 공간으로 시작되었다. 성황사에서 기원하는 충렬사와 진민사는 조선시대의 유교적 제의화 과정에서 쇠퇴하거나, 성격을 바꾸어 발전하는 상반된 적응 현상을 나타냈다. 조선시대 후기에 진민사는 운영 주도 집단이 의성읍민(향중)에서 의성김씨(문중)으로, 입지는 의성 읍내에서 김용비의 묘소가 있는 오토산으로 이동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통지리학적 관점에서, 의성군의 지리는 산줄기 계통으로 설명된다. 오토산은 금성 모양의 토산으로 풍수적으로 자손을 번성시키고 많은 백성을 보살피는 명당으로 알려졌다.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 제의는 지역공동체 축제의 문화적 기초이다. 금성산 고분과 비봉설화, 그리고 오토산 풍수형국은 산을 매개로 자연과 감통(感通)하여 천인합일(天人合一)하고자 하는 우리 전통지리 사상이 현대 한국인과 다시 친근해지는 스토리텔링의 소재가 된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geography of Uiseong-gun,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shrine to the village deity, Jinminsa, and the traditional geographical interpretation about the location of Kim Yong-Bi's tomb on Autosan. Uiseong-gun is a small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Small basins such as Uiseong-eup and Geumsung-myeon are representative historical living spaces of Uiseong-gun. I examined the changing trends of regional commemorative rite such as Chungyeolsa and Jinminsa. Jinminsa, the shrine that made a commemorative rites for the Uiseong-Kim’ prime ancestor developed successfully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y movement of its location. In late Joseon dynasty, the hegemonic group of Jinminsa was changed from regional community to clan community of Uiseong-Kim and the location of Jinminsa moved from inner city to mountain area of Kim Yong-Bi's tomb on Autosan. In the standpoint of traditional Korean geography, The advantageous positions of Uiseong-gun were studied and fengshui perception about Autosan explored. In contemporary societies, traditional place and story off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Community Festival. Also, it is a useful material of storytelling to the Korean people who want to become familiar with the nature.

      • KCI등재후보

        한·중 의성의태어 대조 연구

        제진(Qi Zhe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논문은 한·중 의성의태어의 특징을 대조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중국에서도 한국어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한국어 의성의태어에 관한 교육은 많이 부족한 편이다.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말을 잘 구사할 수 있어도 한국인처럼 의성의태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한·중 의성의태어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더욱 어렵다. 본 논문은 한·중 의성의태어를 음운, 형태, 의미의 세 가지 측면에서 대조하여 한·중 의성의태어의 특징을 고찰한다. 이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의성의태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성의태어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onomatopoeia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Even one who can be quite fluent in Korean can hardly speak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esid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 between China and Korea that make it more difficult for Chinese to learn Korean. This thesis explains commonality and differenc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of both Korea and China by classifying character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to phonemes, forms and meanings. With all they have been written above, the aim of writhing this thesis is to help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find the most suitable way to learn Korean onomatopoeia well.

      • KCI등재

        의성 진민사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례적 성격

        김미영 ( Kim Mi-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이 논문은 의성김씨 문중 사우인 오토산 진민사鎭民祠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례적 성격을 조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진민사는 의성군 사곡면 토현리 오토산五土山에 자리하고 있으며, 제향인물은 의성김씨 중시조 김용비金龍庇이다. 그는 고려 명종 때 의성지역에 거주하면서 민란을 평정한 공적을 세워 지역민들의 추앙을 받았으며, 진민사는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당이다. 이처럼 당시 김용비가 세운 공적은 지역공동체를 넘어 국가의 위기를 구한 것이기 때문에 그를 위한 추모공간인 진민사 역시 지역성에 기반한 공묘公廟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진민사가 의성읍내 관아 근처에 세워졌다는 점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이후 진민사는 퇴락과 화재 등으로 수차례에 걸친 중수와 이건 등을 거듭하다가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읍내에 자리하고 있던 사당이 헐리면서 지금의 오토산으로 옮겨간다. 이때부터 오토산은 단순한 자연경관을 넘어 의성김씨의 상징적 제의공간으로 자리잡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진민사의 주도권은 지역사회로부터 의성김씨 문중으로 점차 넘어오게 되는데, 그 기점은 성리학적 가문의식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16세기 무렵이다. 즉, 문중의식의 강화로 인해 후손들은 혈통적 근원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고 이는 결국 진민사에 대한 주도권을 행사하려는 결과로 이어졌던 것이다. 이에 반해 의성읍민들 역시 진민사를 공공의 지역유산이 아니라 혈통적 차원에서 인식하게 됨으로써 결국에는 특정 성씨의 사묘私廟로 간주하게 된다. 그런데 진민사의 제향인물인 김용비는 의성지역 출신으로, 지역민들을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고 난적亂賊을 물리치는 공적을 세웠으며, 또 지역에 뼈를 묻었다. 이는 특정 혈통을 넘어 모든 후대인들의 귀감龜鑑이 될 만한 행적이며 우리 모두가 추구해야할 보편적 가치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진민사, 나아가 진민사가 자리한 오토산은 단순히 특정 혈통의 뿌리가 깃든 장소가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본받을만한 정신문화를 간직한 공간으로서의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진민사가 특정 가문과 혈통을 넘어 지역의 문화유산으로 거듭나야할 이유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historical cultural value and Ritual Character of Jinminsa Shrine of Oto Mountain, which is a family shrine of Uiseong Kim Family. Jinminsa Shrine is located on Oto Mountain in Tohyeon-ri, Sagok-myeon, Uiseong-gun. The enshrined person is Yongbi Kim, the second progenitor of Uiseong Kim Family.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he lived in Uiseong and was held in high esteem by residents for successfully suppressing a riot. Jinminsa Shrine is a shrine constructed to admire his achievement. Since the achievement of Yongbi Kim at the time saved the entire nation from crisis beyond regional community, Jinminsa Shrine was considered as an elite shrine based on regionality. This is also shown by the fact that Jinminsa Shrine was built nearby the government office of Uiseong-eup. Jinminsa Shrine was repeatedly repaired and rebuilt because of ruining and fire. After the demolition of Jinminsa Shrine in Uiseong-eup with the lecture hall demolition order in 1868, it was rebuilt on Oto Mountain. Ever since this time, Oto Mountain became a symbolic place for Uiseong Kim Family beyond simple natural landscape. During this process, the hegemony of Jinminsa Shrine was gradually shifted form the community to Uiseong Kim Family. This shift started in the 16th century when the neo-Confucian family consciousness began to settle in. In other words, with the increase of family consciousness, descendents paid greater attention to the origin of the family and showed efforts to gain the hegemony of Jinminsa Shrine. On the other than, residents of Uiseong-eup also started to recognize Jinminsa Shrine as a private shrine of a specific family without regionality. However, Yongbi Kim the person enshrined at Jinminsa Shrine lived in Uiseong, risked his life to protect residents by defeating rioters, and died in this place. His deeds present a role model to future generations and a universal value to be pursued by all, not limited to a specific family. In this sense, Jinminsa Shrine and Oto Mountain where Jinminsa Shrine is located are not simply places for a family but have value and meaning as places that keep the exemplary spirit and culture for modern people. This is the reason why Jinminsa Shrine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cultural heritage of the region.

      • 조선어의성의태어 형태구성의 류형에 대한 연구

        김성희(金星姬)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4 중국조선어문 Vol.189 No.-

        조선어의성의태어는 사물현상의 어떤 행동, 상태, 성질, 모양, 소리 등을 감각되는 그대로 상징하여 나타내는 부사의 일종으로서 그 기본구성 단위는 다른 보통의 단어들에서와 마찬가지로 형태소다. 그런데 의성의태어의 구성요소로 되는 형태소는 보통의 단어들의 형태소와 비교해볼 때 일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의미적일관성”과 “분포의 다양성”을 형태소의 표식으로, 그 성립조건으로 보고 그것을 기준으로 조선어 어근반복형의성의태어의 형태구성 류형과 그 특성을 고찰하기로 한다. 이는 의성의태어 사전편찬, 의성의태어의 통사론적 기능과 화용론적 기능 등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아주 중요하고 필요한 작업이다.

      • KCI등재

        의성 지역 역사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제안 : 조문국 금동관과 토기를 중심으로

        이은주,김미경,김영선 한국지역문화학회 2019 지역과 문화 Vol.6 No.3

        삼한시대 조문국(召文國)이 존재하였던 의성지역의 금성산 고분군에서는 금속제 장신구, 의성양식 토기 등 다수의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나 출토된 유물을 문화상품 개발에 활용한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성 금성산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 중 조문국 문화를 잘 표현할 수 있는 대표 유물을 선정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기본 디자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상징 유물을 선정하기 위하여 탑리리 고분군과 대리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속제 유물의 조형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고찰 결과, 탑리리 고분 출토 금동관을 의성 조문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상징유물로 선정하여 기본 디자인을 도출하였다. 기본디자인은 세움 장식 가장자리의 새 깃털 형상과 봉의 서식지인 봉대(鳳臺) 기록을 근거로 새 모습으로 표현하였으며 새의 얼굴 표정에 변화를 준 응용디자인을 제시하여 일례로책갈피 도안에 적용해 보았다. 한편 의성지역 출토 토기는 토분으로 활용하여 실내 공기를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에 적용하였으며 금동관에서 도출한 디자인을 토분 팻말에 적용하여 식물 이름과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 그리고 식물의 관리법 등을 적는 용도로 활용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재해석하고 재구성한본 연구의 결과는 조문국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연구의 결과는 의성지역에 소재한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위한 기초적 디자인을 제시하고 접목한 사례에 불과하지만 의성지역 문화재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추후 의성지역 문화상품개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3부 일반논문 및 서평 : 스콜라철학의 일의성 이론의 두 버전 -둔스 스코투스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일의성이론을 중심으로-

        이상섭 ( Sang Sup Lee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존재하는 것들의 다양성과 다수성에서 통일성을, 혹은 역으로 존재라는 언표의 통일 성 속에서 차이와 다수성을 발견하고 정식화하는 것은 서양 존재론 혹은 형이상학의 오래된 그리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이다. 철학사에서 이러한 노력은 유비, 일의성 및 의성이라는 해심개념들을 낳게 되었다. 이중에서 스코투스의 ”일의성” 개념은 들뢰즈에 의해 새로이 현대철학의 조명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스코투스의 일의 성이론과 철학사가들에 으해 소홀히 취급되거나 잔혀 다뤄지지 않고 있는 에크하르트 의 일의성 이론을 비교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스코투스는 유비이론이 신에 대한 자연적 인식을 불가능하게 만들며 일의적 존재자 개념만이 신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상한 다. 그의 주장은 실재의 차원에서 신과 피조물의 공통성에 토대를 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개념’ 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스코투스는 일의성이론을 통해서 신과 피조물의 차 이를 사상하려는 것이 아니라 신과 피조물을 공통 관점에서 사유할 수 있는 개념적 바탕을 찾고자 한다. 한편 에크하르트의 일의성 이론은 개념전 차원이 아니라 실재적 차원에서의 신과 피조물의 일의적 인과관계 및 단일성에 관한 이론이다. 그의 관심사는 신에 대한 사유가능 조건이나 사유에 접근하기 위한 개념의 마련과 같은 것이 아니라 신과 피조물의 실재적 일치에 비탕 한 자기인식 및 그 인식에 따르는 실천에 있다. 다른 한편 이상의 고찰은 스코투스와 에크하르트의 일의성 이론이 각각 비판하고 있는 유비이론 역시 인식론적으로 또는 언어철학작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자면 존재론의 문제로 이해할 수도 있다는 젓을 보여준다. It is an old, but still valid question even today how to find and formulate the un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great variety of things which exist, in the appropriate philosophical concepts. The efforts to answer this question have given risen to the key concepts such as analogy, univocity and equivocity. Among them, the Scotus`s concept of univocity has been given renewed attention by contemporary philosophers like Deleuze. This article has as its objective to review the Scotus`s theory of univocity and compare it with the another important theory of univocal univocity developed in the late scholasticism, which despite of its importance has been neglected, that is, Eckhart`s theory of univocity. Both theories critically approached the theory of analogy, bu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Scotus argued that the theory of analogy would not allow the human mind to come to come to the cognition of God in a natural way and that the univocal concept of being could only make possible the natural knowledge of God. His concept of univocity is not based on some real characters God and creatures have in common, but on the ‘concept’ of being. With his theory of univocity of being, Scotus did not nobliterate the real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God and creatures, but tried to establish the conceptual framework within which they would be commonly considered. Eckhart`s theory of univocity, however, pursued the matter not on the basis of concept. It concerned the ontological unity or indistinction of God and creatures, specifically human soul. Eckhart`s concern is not about the conditions or concepts which enable us to think about God, but about the insight into the true-self contemplating the real unity of God and human soul, The difference of both theories reveals, on the other hand, that the theory of analogy which they both take to be insufficient could be considered either in a epistemological as well as logical point of view or in an ontological perspective.

      • KCI등재

        의성김씨의 유래와 五土山 鎭民祠 사적

        김윤규 ( Kim Yun-ky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의성의 읍민들과 의성김씨 문중에서 오랫동안 향사하고 기념하던 오토산 진민사의 문헌들이 일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는 이 문서들이 가진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이 문서가 생산된 오토산과 진민사의 문화유적이 중요한 민족문화의 일부임을 확인한 일이다. 의성김씨는 시조 金錫의 후손으로 그 중 대부분이 고려태자첨사 金龍庇의 후손이다. 이들은 고려시대부터 한국의 중요한 성씨 중 하나로 국가적 사명을 담당했으며, 지금도 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큰 씨족이다. 이들의 조상인 김용비는 고려시대에 의성읍의 사람들에게 큰 공덕을 끼쳐 지역민들이 사당을 지어 향사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록된 수백년의 제향기록은 잘 해석되고 설명되어 민족문화유산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오토산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는 지질시대의 유적인 공룡화석산지로부터 신라 이전시기인 조문국 유적과 신라시대의 탑리오층석탑 유적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선비문화를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는 유서깊은 마을들이 있다. 이 중에 고려시대의 오토산 유적을 연결하면 한국사 전 시기의 중요한 역사와 유적을 연계하여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유적지구가 될 것이다. 오토산 지역은 “역사문화유적지구”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역의 지질시대 유적은 이미 전국적 지명도를 가지고 있고, 삼국시대 전후의 국가발생 유적도 보기 드문 특징을 가지고 발견되고 연구되었으며, 신라 후기 최고의 유적 중 하나인 탑리 오층석탑은 국보로서의 위엄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문가의 학자들이 근처에서 생장했으며 조선의 위기와 일제 강점기에는 수많은 의병들과 우국지사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이다. 일련의 역사시기 중에 흠결이 되었던 고려시대의 유적으로 오토산 묘소와 진민사 사적이 조명됨으로써 모든 시기가 일관된 역사유적으로 설명될 수 있도록 완성되었다. 이제 필요한 노력은, 산재한 이야기들과 유적들을 서로 연계된 이야기의 틀로 연결하는 일이다. 선대의 삶과 노력이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고 공감하게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Documents from Jinmin-sa(鎭民祠) of Mountain Oto(五土山) has long been commemorated by Uisung citizens and Uisung Kim’s Clan(義城金 氏), and now the documents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This designation represents appreciation of the historic value of these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confirms that cultural remains of Mountain Oto and Jinmin-sa, where the documents were generated, are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Uisung Kims are descendants of progenitor Soek Kim(金錫), and most of them are descendants of Yongbi Kim(金龍庇), the Taejachumsa(who educated the crown prince) of Koryo Dynasty. Uisung Kim's Cl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an of Korea ever since the Koryo Dynasty, and it took responsibilities of various national duties. It is also a big clan with 300 thousand people belonging. Their ascendant Yongbi Kim practiced great and generous deeds to Uisung citizen in Koryo Dynasty, so people built a shrine for him and commemorated him until now. All the records of commemoration should be well interpreted and demonstrated to be provided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region surrounding Mountain Oto has many historic remains, from dinosaur fossils of geological period to Jomunguk nation's remains of pre-Shinla period and Tapliochungsuktop(Tapli 5 storied stone pagoda) of Shinla Dynasty. There are also historic and distinguished villages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culture of sunbi(scholars) of Chosun Dynasty very closely. If we connect Mountain Oto with these historic remains, we can establish a historic district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and learn about every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with all the remains from every dynasty connected. Regions surrounding Mountain Oto should rightfully be designated as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The remains from geological period already earned national recognition, the traces of countries that rose in the area around the Three-Countries-Period have been found and studied due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Tapliochungsuktop, one of the best remains from late Shinla Dynasty, has its authority as National Treasure. In Chosun Dynasty, scholars of noble family were raised around this region, and at the crisis of Chosun and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umerous civil volunteer armies and patriots rose in the area. There had been one absent period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but now since the remains of Mountain Oto and documents of Jinmin-sa are acknowledged as historic remains of Koryo Dynasty, this area now has a complete explanation of Korean history. Now, we need to put our effort in gathering scattered stories and remains into one connected story frame. We should try to explain how ancestors' life and effort are related to our life, and to make people sympathize with their story.

      • KCI등재

        의성 씨름의 전개 양상과 역사적 의의

        이정렬 ( Jeong-Ryul LEE ),문성국 ( Seong-guk Moon ),이가람 ( Ka-ram Lee ) 대한무도학회 2021 대한무도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한국 씨름의 역사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의성 지역 씨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시도했다. 의성 지역은 독립 이후 한국 씨름의 패권을 잡았던 경북 대구 씨름과의 교류 아래 독자적인 군민씨름대회 개최와 의성씨름향우회의 후원으로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 이후 1960-70년대 의성 씨름은 봉양중, 의성중, 의성고 씨름부의 창단을 통해 체계적으로 지역 씨름 인재들이 배출되고, 씨름의 집과 같은 지역 씨름인들의 훈련 공간이 마련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을 경험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된 의성 출신 씨름인들은 학교 씨름부의 전국화와 민속씨름의 태동과 대중화에 공헌함에 따라 한국 씨름의 체계적인 전승과 공간적 파급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history of Ssireum in the Uiseong region as part of securing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 Ssireum. The Uiseong region laid a foothold for growth with sponsorship of the Uiseong Ssireum Association and by holding an independent regional Ssireum competition under exchanges with Daegu Ssireum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had seized the supremacy of Korean Ssireum after independence. Afterwards, Uiseong Ssireum in the 1960s and 1970s experienced full-scale development as local Ssireum talents were systematically produc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sireum clubs at Bongyang Middle School, Uiseong Middle School, and Uiseong High School, and a training space for local Ssireum players such as Uiseong Ssireum House was provided. The Ssireum players from Uiseong produced in this process contributed to the nationalization of the school Ssireum clubs and the birth and popularization of folk Ssireum,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systematic transmission and spatial ramifications of Korean Ssir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