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말선(Kim Mal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학생 중에서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공고된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 22명을 선정하고 이를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적용하였으며, 한 회기에 소요시간 120분씩,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대인관계능력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인관계에 관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 가정적 자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또는 진행과정에서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의 구성과 효율적인 진행방안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실험 결과로 보아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감 향상을 통한 대학생활 적응과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한 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대학생 뿐 아니라 성인 및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os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for Interpersonal Relation Improvement` which was publicly noticed and hosted by Student Counseling Center.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1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self -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me-related skills as one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betwee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and the other group who didn`t.
여성 탈북민 의사소통 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신성만,이다인,오성은,백진주,원재순,김윤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탈북민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함으로써 남한사회 적응을 도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22)이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 이론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인식, 의사소통 태도, 의사소통 지식, 의사소통 기술의 4가지 모듈형으로 개발하였다. 인식 모듈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태도 모듈의 목적은 남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개방적 태도와 의사소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지식 모듈의 목적은 남한사회의 언어, 생활방식, 의사소통 차이 등을 이해하는 것이고, 기술 모듈의 목적은 남한 생활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기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여성 탈북민 10명에게 이틀에 걸쳐 회기 당 50분,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의사소통 지식, 기술, 인식이 증가하였고,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관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에서 자신감 상승, 변화의 필요성 인지, 의사소통 문화 차이 이해, 타인 공감, 새로운 내용의 습득, 의사소통 습관 파악에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탈북민 집단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by enhanc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our modules: communicative attitudes, communicative knowledge, communica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awareness by apply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oposed by Kim et al (2022). The purpose of the attitude module is to improve openness and motivation to communicate with South Koreans, and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module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lifestyle, and communicative differenc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e skills module i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to build meaningful relationships in South Korean life, and the goal of the awareness module i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out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As a result of the 16 sessions of the program, 50 minutes per session, over two days, for 10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communicative knowledge, skills, and awarenes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action man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understand communication culture differences, empathize with others, learn new content, and identify communication habi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또래집단미술치료(PGAT)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황은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상담원에서 개발한 또래상담훈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또래집단미술치료(PGAT)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대안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 교사의 권유 또는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7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고 동학년에서 무선적으로 배정한 통제집단 7명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 프로그램은 2008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 자료는 SPSS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기술 하위 영역인 표현의 명확성과 자아개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나 PGAT 프로그램은 의사소통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셋째, 질적 변화를 종합해볼 때, 집단원간의 친밀감 형성, 적절한 의사표현, 수용적 태도, 자기 개방 등으로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타인을 돕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PGAT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학교현장에서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로 인한 문제 예방과 적응적 발달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중학교 여학생의 대인갈등 대처 양식에 미치는 효과
신봉호 한국상담평가학회 2008 상담평가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대인갈등 대처 양식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실시할 수 있는 이론적 뒷받침을 마련하고 동시에 가족관계 및 교우관계 등에서 심한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중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갈등 대처를 도와주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의 의사소통 훈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받은 학생들은 대인갈등 대처양식에서 강요 정도와 회피 정도가 감소할 것이며, 순응 정도와 타협 정도 및 협력 정도가 증가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양시에 소재한 K여자중학교 3학년 한 학급 34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매주 90분씩 8주간 8회의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Thomas와 Kilmann이 제작한 측정도구로 집단별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t검증을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Satir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은 대인갈등 대처방식의 강요 정도와 회피 정도를 줄이는 효과와 협력 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순응 정도와 타협 정도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인갈등을 많이 겪게 되는 중학생들에게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여 부모, 교사, 친구 등과의 갈등을 줄이고 관계를 원만히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고, 현재 겪고 있는 대인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삶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돕는 것으로서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유림,이재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4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FCT) on self-injurious behavior in preschooler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he maintenance effect of intervention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 developmentally delayed 5-year2-month preschooler enrolled in a special class at an integrated day-care center exhibiting self-injurious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tudy is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Preschooler’s self-injury behavior. An reversal design (ABAB design) was used to verify the changes in the self-injurious behaviors of the study participant. Functional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self-injurious behaviors of preschool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interventions were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self-injurious behaviors in preschooler decreased when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and the frequency of self-injurious behaviors increased when the intervention was removed for the reversal phase. When the intervention condition was applied again, the frequency of self-injurious behaviors decreased.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self-injurious behavior continued in the maintenance perio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self-injurious behaviors in preschoole with developmental delay, discusses the effectivenes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or self-injurious behaviors, and suggests its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CT)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중재의 유지, 일반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유아는 주먹으로 머리를 때리는자해 행동을 나타내는 통합어린이집 특수학급에 재원 중인 5세 2개월의 발달지체 유아 한 명이였다. 연구의독립변인은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며, 종속변인은 발달지체 유아의 자해 행동이다. 연구 참여 유아의 자해 행동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반전 설계(ABAB design)를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 유아의 자해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였고, 기능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발달센터에서 기능적 의사소통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중재를 적용하자 유아의 자해 행동 빈도는 감소하였고, 반전 단계에서 중재를 제거하자 자해 행동 빈도는 증가되었다. 다시 중재를 적용하자 자해 행동의 빈도는 감소를 나타냈다. 자해 행동의빈도 감소는 유지 구간에서도 지속되었으며, 가정으로 일반화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의사소통 훈련은 발달지체 유아의 자해 행동에 효과적인 전략임을 시사하였고 자해 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의 효과성을 논의하고 그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육혜련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티어가족상담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구조화된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운영해 봄으로써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D대학교에서 수업의 일 환으로 진행되었다. 본 수업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연구의 목적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고 참여하기를 희망한 3-4학년 36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운영되었으며,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 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사전-사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 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시 조사대상자의 내면 변화에 대한 수기자료의 공통적인 내용을 정리․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티어 의사 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의사소통의 일치성(전체)에서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더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치성의 하위영역인 대인간 차원, 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에서 대인 간 차원 영역과 심리내적 차원 영역은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 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사대사자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티어 프 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내면 변화를 통해 내적 힘을 키우고 내면의 힘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그들의 내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effectiveness on conformity of communication and changes of self-esteem by operating a program with application of a structured training program of an unparalleled agency that educates the Sati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o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it was operated with a clas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D universit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enrolled the class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15 weeks. The pre and post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36 juniors and seniors who wanted to join the study among students who took the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s for the analysis method of the study, a match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 and post program, and the common things that were written by the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internal changes upon completing the program were organized and analyzed and utilized.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ho joined the Sati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d higher conformity(the entire) of communication than before joining the program. Looking into it by subordinate domains with concrete classification,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were improved in terms of interpersonal level, psychological level, interpersonal level and psychological level domain among spiritual levels more than before they joined the progra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was improved after their participation more than before.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Satir program that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nal growth. by enhancing internal strength through internal changes and improving conformity of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based on the internal strength.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 결혼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친밀감을 중심으로-
최정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3
Objectives: This grounded-theory study examined how participants in a Satir-based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self-esteem and formed intimacy. Methods: The researcher gather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ouples. Results: Grounded theory analysis yielded 88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a identified were self-esteem and intimacy. Conclusion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participants in one of three ways-as growthcouples, nourishment couples, or conflict couples.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model was effective i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the relationships of the couples in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intimacy. 본 연구는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 3쌍과 신혼부부 2쌍을 대상으로 면접과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88개의 개념과 30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훈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중심현상은 ‘자존감’과 ‘친밀감’ 이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결혼 결정 후 불안한 마음’, ‘결혼준비교육에 대한 기대’ 등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이었다. 중재적 조건으로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실시’를 하였다. 작용/상호작용으로 참여자들은 의사소통의 변화로 ‘자존감 증진’, ‘친밀감 향상’이 되었으며, 그 결과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의 변화를 통해 ‘성장부부’, ‘양육부부’, ‘갈등부부’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을 받으면서 기대단계, 갈등단계, 자각단계, 수용단계 등 4단계의 적응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은 참여자들에게 자존감증진과 친밀감향상을 가져 왔으며, 그 결과 커플관계의 상호작용에 변화와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정현민(Jeong, Hyun Min),전상신(Jeon, Sang Sh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틱 장애로 진단된 만 6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 2회 총 16회의 독서치료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이 가정내 독서활동을 통하여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치료자가 독서활동을 계획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총 5회기의 모-자간 독서활동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영역에서 의사소통훈련 실시 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틱 장애 아동의 심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아동의 틱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느끼는 불편감은 의사소통훈련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틱 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심리적 편안함의 증가는 틱 증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틱 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시 부모 의사소통훈련을 통해 양육태도와 의사소통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의미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때 독서치료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on mother and child with tic disorder. Metho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wice a week, a mother of 6 - year - old child diagnosed with tic disorder was administered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In addition, the therapist planned the reading activity so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could have time to communicate through the reading activity at home. Based on this, the author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five sessions of mother - child reading activities and provided feedback on them. Result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improved in affection, rejection, and autonomy than before communication training. Second, there wa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child with tic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discomfort felt by the mother about the child"s tic symptoms was reduced than before the communication train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hild with tic disorder had higher levels of self-expression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showed that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mediator. Therefore in psychotherapy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s, it is a meaningful approach to bring about changes in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tyle through parent communication training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이 중학생의 또래관계기술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김성현(Kim, Sunghyun),백현옥(Baek, Hyunok)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3
이 연구에서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이 중학생의 또래관계기술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은 중학생의 또래관계기술에 어떠한 효과 있는가이었고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G시 소재 중학생 학부모 22명과 중학생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또래관계기술척도와 학교적응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이 중학생의 또래관계기술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은 중학생의 학교적응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훈련과 중학생의 또래관계기술,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raining on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id parent-child communication training have on the peer relationship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cond, what effect did parent-child communication training have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 city and 22 middle school students. The peer relationship skill scale and school adaptation scale were used as research tools, and frequency, t-test, and covariate analysis (ANCOVA)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training improves the peer relationship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parent-child communication training was found to enhance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to adapt to school.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in the educational field regarding communication training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eer relationship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school adap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