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급단위 비폭력 의사소통훈련이 중학생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영옥 ( Young Ok Lee ),천성문 ( Seong Moon Cheon ),류위자 ( Wi Ja Ryu ),정환경 ( Hwan Gyeong Jeong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2

        본 연구는 비폭력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실시하여 중학생의 의사소통 및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있는 D중학교 2학년 남학생 2개 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07년 10월 26일부터 2007년 12월 28일까지 매주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1회씩 매회 45분 정도로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장소는 D중학교 2학년 교실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처도 취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전과 실시 직후에 의사소통과 또래관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가지고 SPSS/MIN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그리고 실험통제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각 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점수에 대해 각각 공변량분석(ANOVA)을 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단위 비폭력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사후검사에서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학급단위 비폭력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사후검사에서 또래관계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급단위 비폭력 의사소통 훈련은 중학생의 의사소통과 또래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비폭력 의사소통을 통하여 의사소통능력과 학교생활에서의 또래관계 향상에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중학생의 의사소통과 또래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st Students spend most of their time with their friends at school, build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form a group. However, they sometimes don`t speak their minds clearly or make troubles due to wrong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lassroom-based nonviolen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run the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 and identify the effect on improvement in their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As a result, experimental group with classroom-based nonviolen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improved more than control group in their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gnificant to develop a classroom-based nonviolent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here is not only a lack of previous research, but also is much to be desired on communication program which enables the whole classroom with ordinary students to be discretionary, although group counseling for elementary students or university students, adults has been supplied. Second, this result, which the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in their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s, can apply to prevent recent school problems including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Because most of adolescents` problems are caused by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to identify what are needs of others and speak their minds. If interpersonal skills program using creative discretion or classroom meeting is applied, the occurrence of inter-peer problems due to wrong communication would decrease and help us prevent adolescents` problems. In conclusion, this program can apply to effective and instructive method for improv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peer relationship in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김말선(Kim Mal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학생 중에서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공고된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 22명을 선정하고 이를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적용하였으며, 한 회기에 소요시간 120분씩, 1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을 실시하기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해 대인관계능력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인관계에 관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전반적인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별 결과에서 가정적 자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의사소통훈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또는 진행과정에서 가정적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의 구성과 효율적인 진행방안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실험 결과로 보아 의사소통 훈련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대인관계 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감 향상을 통한 대학생활 적응과 타인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한 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적용한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대학생 뿐 아니라 성인 및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on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22 college students of D university located in Busan. Those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for Interpersonal Relation Improvement` which was publicly noticed and hosted by Student Counseling Center.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11 members. Measurement devices used to verify hypotheses made here were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est and Self-Esteem Test. After these tests, the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over 10 session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To verify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on those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and self-esteem, furthe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calculated with scores from pre- and post-tests in accordance with hypotheses proposed here. Then,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mea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interpersonal relation skills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interpersonal relations. Second,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ore for self-esteem than the other group who didn`t. Thus the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college students` skills of self -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ome-related skills as one of the sub-areas of self-esteem between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Communication training Group Counseling and the other group who didn`t.

      • KCI등재

        스피치 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서미경 ( Mi Gyeong Suh ) 한국화법학회 2010 화법연구 Vol.0 No.17

        본 연구는 스피치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의사소통 능력에 스피치 교육이 기반이 됨을 상정하고,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결과가 리더십의 향상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가정하고 스피치 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 50명과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집단 47명 등 총 97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수준을 조사하였고,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과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집단 간의 의사소통 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이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의 국내 연구에서 대부분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것과는 달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둘째,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과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집단 간의 리더십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집단이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리더십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이 리더십 또한 향상시킬 것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심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스피치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경험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추후검사도 실시한 보다 장기적인 효과 검증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eech train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97 men and women. Fifty people received speech training program and the other forth-seven people did no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 follows: 1) People who received speech training program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degre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peech training program(t=2.72, p<.01). 2) People who received speech training program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leadership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e speech training program(t=2.66, p<.01). The following studies need to be performed for various subject groups and long-term effects of speech training program need to be examined.

      • KCI등재후보

        여성 탈북민 의사소통 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을 중심으로

        신성만,이다인,오성은,백진주,원재순,김윤희 한국여성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탈북민의 의사소통 역량을 증진함으로써 남한사회 적응을 도모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창대 등(2022)이 제안한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동기강화상담과 사회기술훈련 이론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인식, 의사소통 태도, 의사소통 지식, 의사소통 기술의 4가지 모듈형으로 개발하였다. 인식 모듈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함으로써 관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이고, 태도 모듈의 목적은 남한 사람과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개방적 태도와 의사소통 동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지식 모듈의 목적은 남한사회의 언어, 생활방식, 의사소통 차이 등을 이해하는 것이고, 기술 모듈의 목적은 남한 생활에서 의미 있는 관계를 맺기 위한 의사소통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 거주 중인 여성 탈북민 10명에게 이틀에 걸쳐 회기 당 50분, 1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프로그램 참여 이전보다 의사소통 지식, 기술, 인식이 증가하였고, 대인관계 능력 척도의 하위요인 중 상호작용관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의 소감에서 자신감 상승, 변화의 필요성 인지, 의사소통 문화 차이 이해, 타인 공감, 새로운 내용의 습득, 의사소통 습관 파악에서 긍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탈북민 집단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promote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by enhancing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four modules: communicative attitudes, communicative knowledge, communica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awareness by applying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according to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proposed by Kim et al (2022). The purpose of the attitude module is to improve openness and motivation to communicate with South Koreans, and the purpose of the knowledge module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lifestyle, and communicative differences in South Korean society. The goal of the skills module is to learn how to communicate to build meaningful relationships in South Korean life, and the goal of the awareness module i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out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oneself and others. As a result of the 16 sessions of the program, 50 minutes per session, over two days, for 10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 in communicative knowledge, skills, and awarenes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action man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Scale,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Participants also report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m to increase their confidence, recognize the need for change, understand communication culture differences, empathize with others, learn new content, and identify communication habi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group counseling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아이스하키 팀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권상현 ( Sanghyun Kwon ),최재섭 ( Jaesub Choi ),육동원 ( Dongwon Yoo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아이스하키 팀을 위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 아이스하키 팀 선수들과 지도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대학 아이스하키 팀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검사지, 경험보고서, 심층면담을 통하여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아이스하키 팀 의사소통 구성요인은 여덟 개 요인(공감, 존중, 신뢰, 양방향 언어소통, 분명한 의사전달, 훈련프로그램 소통, 관계 확립, 결속력)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은 여덟 개 요인을 바탕으로 총 3단계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은 대학 아이스하키 팀 선수들의 의사소통 만족도, 코치-선수 상호작용, 집단응집력, 운동성과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구성원들의 공감능력, 사회응집력, 과제응집력을 강화시키고 의사소통 기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은 향후 스포츠 현장의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현장에서 활용되어 스포츠 팀의 효율성 및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college ice hockey teams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College ice hockey players and coach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various typ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ssess the needs of the program and to develop the program with expert meeting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questionnaires, experience repor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meas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ce hockey team communication consisted of eight factors (i.e., sympathy, respect, trust, two-way verbal communication, firm expression of opinion, training program communication, developing rapport, and cohesion). Thus, the program developed based on eight factors and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total 12 sessions which was 90 min to 100 min long. Second, this program increased communication satisfaction, coach-athlete interaction, group cohesion and exercise effectiveness, and these quantitativ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that this program enhanced sympathy, social cohesion, and task cohesion among participants as well as positively chang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better than before. Th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a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in the sports domain and positively influence overall sports team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 KCI등재

        또래집단미술치료(PGAT)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황은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상담원에서 개발한 또래상담훈련 프로그램을 토대로 또래집단미술치료(PGAT)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대안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 중 교사의 권유 또는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7명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고 동학년에서 무선적으로 배정한 통제집단 7명에게는 별도의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 프로그램은 2008년 5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기술과 대인관계 변화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 자료는 SPSS12.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으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기술 하위 영역인 표현의 명확성과 자아개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점수가 높게 나타나 PGAT 프로그램은 의사소통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대인관계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대인관계의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있었다. 셋째, 질적 변화를 종합해볼 때, 집단원간의 친밀감 형성, 적절한 의사표현, 수용적 태도, 자기 개방 등으로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타인을 돕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PGAT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대인관계 및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학교현장에서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로 인한 문제 예방과 적응적 발달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효과

        강주리 ( Ju Ree Kang ),김정섭 ( Jung Sub K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본 연구는 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전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능력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관련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교육심리 전문가로부터 검증받아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부산 소재 P여자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학기에 개설된 ‘화법’ 수업에 참여한 학생 34명 중 1회기 이상 빠진 4명을 제외한 30명을 실험집단으로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34명 중무성의한 답변을 한 4명을 제외한 30명을 통제집단으로 삼아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어떤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15주에 걸쳐 총 15회기로 회기당 100분씩 진행되었으며, 의사소통능력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효과정도를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살펴보았다. 주장훈련 프로그램은 전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저하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증가를 방지하는 예방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유지되었으나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은 떨어지고,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증가하였다. 주장훈련 프로그램은 전문대학생이 자신의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을 극복하고 대인관계에서의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주며, 사회진출을 준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ssertion training program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oes the assertion of a training program effec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junior college students? Second, does the assertion training program effect th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The study used the pre-test 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0 students at junior college D who were divided evenly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assertion training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a 15 week period. The assertion training program composed of group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ssertion and to practice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and a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subjects as pre-test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an ANCOVA 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Assertion train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KCI등재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 결혼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친밀감을 중심으로-

        최정란 한국가족치료학회 2014 가족과 가족치료 Vol.22 No.3

        Objectives: This grounded-theory study examined how participants in a Satir-based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developed self-esteem and formed intimacy. Methods: The researcher gather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ouples. Results: Grounded theory analysis yielded 88 concepts, 30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a identified were self-esteem and intimacy. Conclusion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participants in one of three ways-as growthcouples, nourishment couples, or conflict couples. Satir's Experiential Family Therapy model was effective in transforming and developing the relationships of the couples in th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 through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intimacy. 본 연구는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이 제시한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 3쌍과 신혼부부 2쌍을 대상으로 면접과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88개의 개념과 30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훈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중심현상은 ‘자존감’과 ‘친밀감’ 이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결혼 결정 후 불안한 마음’, ‘결혼준비교육에 대한 기대’ 등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이었다. 중재적 조건으로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실시’를 하였다. 작용/상호작용으로 참여자들은 의사소통의 변화로 ‘자존감 증진’, ‘친밀감 향상’이 되었으며, 그 결과 참여자들은 상호작용의 변화를 통해 ‘성장부부’, ‘양육부부’, ‘갈등부부’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을 받으면서 기대단계, 갈등단계, 자각단계, 수용단계 등 4단계의 적응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사티어경험적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결혼준비교육은 참여자들에게 자존감증진과 친밀감향상을 가져 왔으며, 그 결과 커플관계의 상호작용에 변화와 성장을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대학생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육혜련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티어가족상담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구조화된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운영해 봄으로써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D대학교에서 수업의 일 환으로 진행되었다. 본 수업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연구의 목적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고 참여하기를 희망한 3-4학년 36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운영되었으며,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 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사전-사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대 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시 조사대상자의 내면 변화에 대한 수기자료의 공통적인 내용을 정리․분석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티어 의사 소통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사대상자는 의사소통의 일치성(전체)에서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더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치성의 하위영역인 대인간 차원, 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에서 대인 간 차원 영역과 심리내적 차원 영역은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 되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조사대사자의 자아존중감은 프로그램 참여 전 보다 참여 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티어 프 로그램은 대학생들의 내면 변화를 통해 내적 힘을 키우고 내면의 힘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의 일치성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그들의 내적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effectiveness on conformity of communication and changes of self-esteem by operating a program with application of a structured training program of an unparalleled agency that educates the Sati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to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it was operated with a class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D university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enrolled the class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15 weeks. The pre and post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36 juniors and seniors who wanted to join the study among students who took the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As for the analysis method of the study, a matching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e and post program, and the common things that were written by the university students regarding internal changes upon completing the program were organized and analyzed and utilized.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ho joined the Sati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had higher conformity(the entire) of communication than before joining the program. Looking into it by subordinate domains with concrete classification,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were improved in terms of interpersonal level, psychological level, interpersonal level and psychological level domain among spiritual levels more than before they joined the program.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was improved after their participation more than before.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Satir program that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rnal growth. by enhancing internal strength through internal changes and improving conformity of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based on the internal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