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놀이 대상자에 따른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 분석 : 4세 5개월 ~ 6세 아동

        손소라,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8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1

        언어발달에 지연을 보이는 아동들은 다차원적으로 문제를 보인다. 그 중에서 언어의 기능적 부분 즉, 화용의 문 제가 최근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의 중재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언어발달지연 아동은 언어능 력의 지연으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놀이 대상자에 따른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정상발달 아동의 의사소통 상위기능 사용빈도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경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생활연령 4세 5개월에서 6세 까지의 아동을 대상 으로 연구하였다. 또래와의 놀이상황에서는 2명씩 짝을 지어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하였다. 치료사와의 놀이상황에서는 치료사 1명, 아동 1명이 입실하여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하였다. 놀이시간은 둘 다 20분 정도였다. 놀이상황은 녹화를 하였으며, 녹화영상을 보면서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 래와의 놀이상황에서 의사소통 상위기능 사용빈도 분석 결과, 요구기능(37.38%), 반응기능(29.54%), 주관적 진술기능(42.30%), 대화내용 구성요소기능(24.32%)은 언어발달지연 아동이 정상발달아동 보다 높은 빈도로 사용되었다. 객관적 언급(53.65%), 대화내용 수신표현기능(20.91%), 발전된 표현기능(1 0.20%)은 언어발달지연 아동에 보다 정상발달 아동의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대상 자에 따라 보이는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치료사와의 놀이상황에서 더 많은 의사소통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와 의사소통 상황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좀 더 면밀하게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사용 빈도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 다. 이와 함께 아동의 발화 샘플을 통해 형태 및 구문 능력을 함께 분석한다면 언어발달지연 아동들이 어떠한 언어의 형태 및 구문으로 자신의 의사를 타인에게 전달하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4, 5세 청각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의사소통기능 비교 : 정보적 기능을 중심으로

        정현경(Hyun-Kyung Chung),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본 연구는 4, 5세 청각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의사소통기능의 발달을 정보적 기능의 사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각장애 유무에 따라 (1) 전체 산출된 의사소통행동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2) 전체 산출된 의사소통행동 중에서 정보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3) 하위 정보적 기능들의 사용율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 5세의 청각장애아동 10명, 정상아동 10명이었다. 의사소통행동의 수집은 30분씩, 2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나이에 적절한 장난감을 제공하고 자연스러운 놀이 상황에서 아동의 의사소통행동에 반응하여 줌으로써 의사소통행동을 유도하였다. 모든 의사소통행동을 비디오로 녹화한 후 전사하여 분석하였으며,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전체 의사소통행동의 빈도는 정상아동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더 많이 산출되었다. (2) 전체 의사소통행동 중에서 정보적 기능이 차지하는 비율은 정상아동의 경우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3) 정보적 의사소통기능들 중 반응하기, 기술하기, 질문하기, 참여하기, 평가하기의 사용율 차이는 청각장애 유무에 따라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보다 더 하위기능별로 살펴보면 기술하기 중 정보 말하기와 이름하기, 질문하기 중 의문사 질문하기 기능의 사용율은 청각장애아동 집단이 정상아동 집단에 비해서 유의미하게 낮았다. Analysis of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children has been proved to be representative in characterizing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ies. Moreover, informative and heuristic communicative functions can be a predictor of overall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hearing lo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functions of 4- and 5-year-old children with and without hearing loss, focusing on informative and heuristic communicative functions. The subjects were 10 orally-educated deaf and 10 normally hearing age-matched children. They were observed in a free play session with a researcher.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of the children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odalities. The coding system was adapted from the studies of Nicholas(2000) and Day et al.(1986). The number of categories was nine and 5 out of the nine were informative and heuristic functions: response, statement, question, commitment, eval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number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normally hearing children than in the group of hearing loss, (2) the mean percentages of total informative and heuristic functions between hearing loss and normal children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Normally hearing children used more informative and heuristic functions as compared with hearing-impaired children at the same age,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percentages of response, statement, question, commitment, and evaluation between the two group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information telling of statement function and wh-question of question function. And the negative evaluation of evaluation function was never shown in the hearing loss group.

      • KCI등재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평가 틀 구안

        박재현,백정이,양경희,최영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6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s a communication competence that an individual should have in a future society, and provided a framework for assessing it. Collaborative communication is a ‘collective decision making that reasonably shares and verifies problems through a common deliberation process.’ It is detailed in two directions. Based on the Gouran and Hirokawa(1983), ‘problem analysis, target setting, alternative identification and positive/ negative assessment’ are set up as a series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cess. The other idea is from the ‘promotive, disruptive, and counteractive’ of FOICS presented in Gourna and Hirokawa(1982). Three functions are established in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ssessment: ‘cooperative communication development’(construction, sharing, verification), ‘problematic situation treatment’(confrontation, standstill, deviation), and ‘monitoring and regulation.’ Lastly, behavioral index for assessing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provided with a horizontal axis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cess, and with a vertical axis of collaborative communication functions. 본 연구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개인이 갖추어야 할 의사소통 능력으로 협력적 의사소통을 제안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협력적 의사소통이란 ‘공동의 숙고 과정을 거쳐 합리적으로 의견을 공유 및 검증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집단 의사결정’이다. 이는 두 방향에서 상세화되었는데, 한 가지는 집단 의사결정의 기능적 관점으로 Gouran & Hirokawa(1983)에서 제시한 ‘문제 분석, 목표 설정, 대안 탐색, 긍정적/부정적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이를 협력적 의사소통의 과정으로 설정하였다. 다른 한 가지는 Gourna & Hirokawa(1983)에서 제시한 기능 지향 상호작용 코딩 체계(FOICS) 가운데 ‘증진, 분열, 재정립’에서 시사점을 얻어 ‘협력적 의사소통 전개’를 위한 기능과 ‘문제 상황 대처’를 위한 기능, ‘점검․조정’으로 대별하였다. ‘협력적 의사소통 전개’는 구성, 공유, 검증으로 ‘문제 상황 대처’는 대립 대처, 답보 대처, 일탈 대처로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의사소통 ‘과정’과 ‘기능’을 각각 횡축과 종축으로 하여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행동지표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12-30개월 영유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발달

        이윤경,이효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영유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은 의사소통 발달의 기초가 되며, 추후 언어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12-30개월 사이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12-30개월 사이의 전형적 발달 영유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영유아는 6개월 간격의 세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참가자는 12-18개월 13명, 19-24개월 14명, 25-30개월 14명이었다.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은 영유아와 양육자 간의 놀이 상황에서 수집된 10분간의 상호작용 행동표본을 분석하였으며,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의 기능(행동통제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동시주의적),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의 수단(몸짓, 발성, 몸짓 동반 발성, 언어, 몸짓 동반 언어)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일원분산분석과 이원분산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의사소통기능 범주별 사용 빈도는 동시주의와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범주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기능 범주별 하위기능 유형 수는 동시주의에서만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수단에서는 몸짓은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몸짓 동반 언어와 언어의 사용은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와 동시주의 기능, 몸짓 동반 언어가 생활연령 및 언어발달연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12-30개월 한국 영유아의 초기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을 보여주며, 영유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달 평가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연구 동향

        김영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1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FCT) is one of empirical-based interventions to address challenging behaviors. It is to teach functionally equivalent responses, such as communication, that serve the same function as the students' problem behavi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research on FCT to alternate challenging behaviors for students with ASD. This study focused on 18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08. The study utilized 4 points of analysis: overall research method, problem behaviors and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FBA), treatment (independent variables), and results. Additionally, three steps to apply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were presented: (1) FBA, (2) alternative respond selection, (3) practice FCT.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researchers enable teachers and parents to apply FBA in the classroom and home, when FBA executed. Second, the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peech professionals should collaborate to assess students' present level of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communicative behavior repertoire in order to determine appropriate communicative responds. Third, it can be a strategy to address the issue regarding side effects of the extinction that choice-making opportunitie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DRO merge with FCT. Fourth, FCT should be included in communi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ith ASD, be practiced in a variety of circumstances and contexts to increase generalization of 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CT)은 자폐 범주성 장애의 사회-의사소통 결함과 관련된 문제행동 중재를 위해, 문제행동과 기능적으로 동등한 대체행동을 교수하는 대표적인 중재 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FCT의 효과적인 사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FCT를 적용한 1999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외 실험논문 18편을 전반적 특성, 문제행동과 기능평가, 중재방법, 연구 결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FCT를 적용하는 3단계인 기능적 행동 진단, 대체행동 결정(기능적 의사소통 형태와 내용), 대체 의사소통 기술 교수를 중심으로 논의한 후 다음과 같은 4가지를 제언하였다. FCT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1) 연구자들은 교사와 부모가 학교와 가정에서 FCT 실행에 필수적인 기능평가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2)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의 형태 및 내용은 아동의 의사소통 능력과 행동 레퍼토리를 체계적으로 관찰, 평가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사와 부모, 언어치료사 등의 협력과정을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3)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의 반응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소거 사용 이슈가 제기되는 가운데 강화의 질적 차이에 대한 선택기회 삽입 방법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4) FCT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프로그램과 통합된 형태로써, 상황과 대상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환경과 맥락에서 교수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를 이용하는 성인의 의사소통 요구 및 기능 조사

        이은혜,신상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8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뇌성마비와 발달장애 성인이 필요로 하는 의사소통 요구와 의사소통 기능을 활동지원 영역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뇌성마비 또는 발달장애 성인에게 도움을 제공한 경험이 있는 활동지원사 30명을 대상으로 뇌성마비 성인 집단 15명과 발달장애 성인 집단 15명으로 나누어 9개의 활동지원영역(개인위생 관리, 신체 기능 유지 증진, 식사 도움, 실내이동 도움, 청소 및 주변 정돈, 세탁, 취사, 등하교 및 출퇴근 지원, 외출 시 동행)과 6개의 의사소통 기능(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언급, 주관적 진술, 메시지 수신, 대화내용 구성요소)에 대해 의사소통 요구도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뇌성마비 집단의 의사소통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주효과와 장애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과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마비 집단은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 요구의 차이가 없었으나, 발달장애 집단은 외출 시 동행에서 신체 기능 유지 증진과 실내이동 도움보다 높은 의사소통 요구를 보였다. 의사소통 기능에서도 뇌성마비 집단의 요구도가 발달장애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의사소통 기능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장애의 유형과 활동지원 영역에 따른 의사소통의 요구와 기능 및 의사소통지원에 대해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언어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비교

        조미라,이윤경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unicative abilities of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The participants were 15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aged from 18 to 30 months, and 15 normal toddlers CA matched individually with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Communicative behavior sample was collected using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s(CSBS DP, Wetherby & Prizant, 2002). It was analyzed into the frequency of overall communicative behaviors, communicative functions use(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joint attention), and means use(gesture, vocalization, vocalization with gesture, word with gesture, word). The results were following: (1)Toddlers with language delay produced significantly fewer communicative behaviors than normal toddlers. (2)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ed just in joint attention among three communicative functions.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used in significantly fewer than normal toddlers. (3)For the result in communicative means,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used significantly fewer verbal means than normal toddler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nverbal means. We discussed the result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toddlers with language delay and implications for diagnosis of them. 이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와 일반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8-30개월의 언어발달지체 유아 15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유아 15명이다. 의사소통 행동은 Wetherby & Prizant(2002)의 ‘의사소통과 상징행동 척도(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의 일부 과제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의사소통 행동 빈도, 의사소통 기능범주별(행동통제,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주목) 빈도 및 하위기능의 빈도, 의사소통 수단범주별(제스처, 발성, 제스처 동반 발성, 제스처 동반 구어, 구어) 빈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전체 의사소통 행동의 빈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의사소통 기능은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기능범주의 공동주목 기능, 하위기능의 보여주기, 언급하기, 정보요구하기 기능을 유의하게 적게 사용하였다. 의사소통 수단은 구어적인 수단에서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유의하게 적은 사용을 보였으나, 비구어적인 수단의 사용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아의 조기평가 및 중재에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in Korean Toddlers 12 to 30 Months

        YoonKyoung Leea(이윤경),HyoJoo Leeb(이효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영유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은 의사소통 발달의 기초가 되며, 추후 언어 발달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연구는 12-30개월 사이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12-30개월 사이의 전형적 발달 영유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영유아는 6개월 간격의 세 연령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참가자는 12-18개월 13명, 19-24개월 14명, 25-30개월 14명이었다.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은 영유아와 양육자 간의 놀이 상황에서 수집된 10분간의 상호작용 행동표본을 분석하였으며,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의 기능(행동통제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동시주의적), 의도적 의사소통행동의 수단(몸짓, 발성, 몸짓 동반 발성, 언어, 몸짓 동반 언어)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일원분산분석과 이원분산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의사소통기능 범주별 사용 빈도는 동시주의와 사회적 상호작용 기능 범주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기능 범주별 하위기능 유형 수는 동시주의에서만 연령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수단에서는 몸짓은 연령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몸짓 동반 언어와 언어의 사용은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분당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빈도와 동시주의 기능, 몸짓 동반 언어가 생활연령 및 언어발달연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12-30개월 한국 영유아의 초기 의도적 의사소통행동 발달을 보여주며, 영유아 시기의 의도적 의사소통 발달 평가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development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s closely related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 in Korean toddlers at 12 to 30 month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1 typical developing Korean toddlers. The toddlers were classified by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A 10-minute behavior sample was obtained from each participant during interaction with their caregiver, from which the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per minute, communicative functions (behavior regulatory, social interactional, and joint attentional functions), and means (gesture, vocalization, gesture with vocalization, verbal, verbal with gesture) of the behaviors were measured. Results: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per minut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Analysis of communicative functions indicated that the rate of joint attentional and social interactional function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however, in the number of sub-functions only increased in the joint attentional function. Analysis of communicative means showed that communicative gestures significantly decreased, but verbal communications with gestures and verbal means increased with age. The frequency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per minute, joint attentional functions, and verbal communications with gestures significantly predicted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intentional communicative behaviors in Korean toddlers during 12 to 30 months of age and have implications for assessing the communicative abilities in the toddler period and plann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 KCI등재

        CSBS DP를 통한 자폐스페트럼장애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연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메타분석

        박보경 ( Park Bo-kyung ),최예린 ( Choi Yae-lin ),송승하 ( Song Seung-ha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1

        목적 : 본 연구는 ASD 영유아와 DLD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포함하여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실시하고, 객관적으로 의사소통 행동 특성의 하위분류인 의사소통 행동빈도와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 ASD 및 DLD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행동 및 의사소통 기능을 비교한 연구들을 KISS, DBpia, KyoboScholar, RIS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선정한 10개의 검색어를 통해 1차 검색한 결과, 총 2,20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 및 제외기준에 따라 총 8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ASD 영유아와 DLD 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에 대한 연구는 ASD, DLD와 통제집단을 비교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메타분석 결과 첫째, ASD 영유아 집단은 일반영유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빈도 및 기능이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둘째, DLD 영유아 집단은 일반영유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기능 및 빈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장애 집단 간의 의사소통 행동 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ASD가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의사소통 기능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ASD 영유아는 DLD 영유아에 비해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동주의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행동통제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ASD영유아와 DLD영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의 변별적 차이를 확인하여, ASD 영유아의 조기 발견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CSBS DP를 사용한 연구로 한정지어 살펴보았으므로, 추후 포괄적으로 평가도구를 선정하여 살펴 볼 것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tudi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ly developed. It is to investigate communication behavior frequencies and communication functions by type between infants with ASD and DLD. Eight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7 electronic databases: KISS, DBpia, KyoboScholar, RISS, PsycINFO, Academic Search Complete, ERIC. It is systematically reviewed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3). Infants with ASD and DLD showed lower frequencies in communication behavior and functions compare to TD. Infants with AS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in communication behaviors and functions compare to DLD. There was no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communication behavior, however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functions: lower in social communication and joint attention, but not in behavior regulation. It is meaningful to detect differential profiles between infants with ASD and DLD, because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is very important to AS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other assessment tools to analyse infants communication abilities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

        대학생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가 부-자녀 갈등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순기능적인 대면 의사소통과 모바일 메신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김진성,전혜성 한국가족치료학회 2017 가족과 가족치료 Vol.25 No.1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fathers' functional face-to-face communications and mobile-messenger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father-child conflic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college students attending colleges in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 internaliz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father-child conflicts. Both the fathers' face-to-face functional communications and their mobile-messenger functional communication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father-child conflicts. Conclusions: Father-child conflict, functional face-to-face communications and mobile-messenger communic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their fathers can be used effectively to reduce confli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 자녀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와 부-자녀 간 갈등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순기능적인 대면 의사소통과 아버지와의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대학생 자녀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를 독립변인으로, 아버지와의 갈등을 종속변인으로, 아버지의 순기능적인 대면 의사소통 및 아버지와의 모바일 의사소통을 조절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 및 충남지역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그 연령분포는 18세 이상부터 24세 이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2016년 9월부터 11월까지 357부가 수거되었으나 그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부 문항의 답변이 누락된 29부를 제외한 32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는 부-자녀 간 갈등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아버지의 순기능적인 대면 의사소통은 대학생 자녀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와 부-자녀 간 갈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버지와의 상호 공감적이고 수용적인 의사소통은 갈등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아버지와의 순기능적인 모바일 의사소통 또한 대학생 자녀의 내재화 정서행동문제와 부-자녀 간 갈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사소통의 방법이 모바일 메시지를 통한 간접적인 의사소통 방식이어도 긍정적인 의사소통 내용은 부-자녀 갈등의 감소요인으로 작용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순기능적인 대면 또는 모바일 메신저 의사소통방법을 유연하게 활용하여 청년기 대학생 자녀와 중년기 아버지 간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조명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가족상담에 활용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