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각동사의 논항구조와 의미분석

        이원경 상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2 人文科學硏究 Vol.11 No.-

        본 논문은 영어의 지각동사의 분석 방법을 토대로 한국어 지각동사의 다의어적 현상을 인지 의미론적 관점에서 의미분석과 의미역 구조의 상호관계를 탐색하여, 지각동사의 다양한 의미에 따라 달라지는 의미구조와 논항구조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지각동사는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의 5가지 중요 감각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지각동사가 취하는 논항으로는 행위자, 경험자, 대상의 의미역을 기초로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른의 미역구조를 가진다. 의미역 구조는 3가지 유형으로 행위자와 대상, 경험자와 대상, 대상 으로 구별된다. 지각동사의 의미구조는 3가지 부문으로 지각기관, 대뇌기관, 동작기관으로 나누어, 각 기관에서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3가지 단계별로 나타나는 의미의 차이가 있다. 대상의 의미역으로 구성된 의미역 구조에서의 지각동사는, 지각기관에서 외계의 대상을 의식하는 작용 및 이에서 얻어지는 표상을 인지하는 기본의미를 나타낸다. 경험자와 대상으로 구성된 의미역 구조에서의 지각동사는, 지각기관에서 전달한 외계의 영향을 대뇌기관에서 수동적으로 받아 정신적, 심리적 경험을 하는 의미를 나타낸다. 행위자와 대상으로 구성된 의미역 구조에서의 지각동사는, 대뇌신경의 명령에 따라 동작기관을 통하여 동작하 거나, 생체의 근육 반응을 일으키는 확장된 의미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지각동사의 의미역 구조의 유형에 따라 3가지 지각기관, 대뇌기관, 동작기관별로 나타나는 의미와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부가어의 의미역에 대하여

        이홍식 ( Yi Hongshik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0 한국어와 문화 Vol.27 No.-

        본고에서는 부가어의 의미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구체적인 부가어의 의미역 목록을 제시하였다. 의미역은 전통적으로 논항이 술어와 맺는 의미론적인 관계를 의미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부가어와 술어가 맺는 의미론적인 관계를 표상하기도 하고 문장의 의미에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기여하는 의미를 표상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술어와 문장 성분이 맺는 의미론적 관계를 의미역으로 이해하면서도 나아가 문장의 전체 의미에 기여하는 각 성분의 의미론적인 역할을 의미역에 포함시켰다. 논항과 부가어는 필수성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논항의 의미역과 부가어의 의미역이 구별되지는 않는다. 다만 결과적으로 어떤 의미역은 논항에만 나타나고 어떤 의미역은 부가어에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구별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확인한 부가어의 의미역은 모두 19개였다. 거리, 경로, 기간, 기준, 도구, 동반자, 목적, 방법, 방향, 범위, 비교기준, 시간, 양상, 원인, 자격, 장소, 재료, 정도, 조건. This thesis explored how to classify semantic roles of Adjuncts. Tradi-tionally the semantic roles were classified using a method that relates the nature of the two arguments with their predicate. There are some papers in which semantics roles are alloted to adjuncts. If we admit that predicates have empty slots and arguments which satisfy the semantic relations with the predicates fill the slots, we cannot allot semantic roles to adjuncts. But if we consider semantics roles as semantic contribution of sentence con-stituents to the meaning of sentences, we can admit that adjuncts have semantic roles. We can classify the semantic roles of adjunc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redicates or their semantic contribution to the meaning of sentences. We can identify some semantic roles of adjuncts by using this method; temporal, location, direction, path, period, criterion, qualification, extent, instrument, manner, purpose, condition. companion, cause, appearance. degree, material, comparison.

      • KCI등재

        이중주어 구문의 의미역에 관하여

        이홍식 ( Yi¸ Hongshik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59 No.-

        본고는 이중주어 구문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중주어 구문의 각 성분에 부여할 의미역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를 부가어로 분석하였다. 서술절 설정은 서술절을 가능하게 하는 절차나 표지를 제시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에 선택하기 어려우며 또한 서술절 설정의 절차를 제시한다고 해도 첫 번째 명사구를 서술절의 논항으로 만드는 절차 역시 상정해야 한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면 그러한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중주어 구문을 단문으로 분석하면 동사의 격틀을 두 개씩 설정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를 부가어로 분석하는 쪽을 택하였다. 그러나 부가어에도 의미역을 부여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는데 본고에서는 부가어에도 의미역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택하였다. 소유자역이라는 의미역은 이중주어 구문의 첫 번째 명사구와 두 번째 명사구 사이의 관계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에 이른바 주제와 언급이라는 문장의 두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데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주제가 정해지면 후행하는 요소는 주제를 언급의 대상으로 삼아 정보를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의미역 설정에 반영하기 위해 첫 번째 명사구에 대상역이라는 의미역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담화의 층위에서의 관계라는 점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문장 내의 관계라는 점을 중시하여 첫 번째 명사구에는 소유자역이라는 의미역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In this paper, double-subject constructions were analyzed as simple sentences. It is difficult to support the predicate clause theory because it has a problem with the generative process of a predicate clause.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suggest a process that assigns a semantic role to the first noun phrases in double-subject constructions. Therefore, analyzing double-subject constructions as simple sentences can overcome such difficulties. To overcome the burden of setting two case frames to the verbs in double-subject constructions, we chose to analyze the first noun phrase of a double-subject construction as an adjunct. However, the problem of assigning a semantic role to the adjunct words remains. In this paper, the possessor role was given to the first NPs of a double-subject construction. The possessor role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noun phrase and the second noun phrase in the double-subject construc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mponents of the so-called topic and comment. When the topic is decided, the following elements add information by making the topic the object of the comment. To reflect this point in a semantic role setting, the theme role was given to the first noun phrase. However, the semantic roles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within the sentence hierarchy. The topic-comment relationship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discourse hierarchy. Therefore, the theme role cannot be assigned to the topic component. We suggest that the possessor role should be assigned to the topic component.

      • KCI등재

        Preference of Verb Thematic Role Assignment and Verb Selection Abilities in Persons with Aphasia

        신수현(Suhyun Shin),성지은(Jee 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의 의미역(대상, 도구)의 선호를 파악하고 해당 의미역과 동사 연결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특별시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며 연령 및 교육년수를 일치시킨 실어증 환자 18명, 정상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미역 선호도 과제는 선호도 비율(%), 동사 선택 과제는 정반응률(%)을 측정하였다. 결과: 첫째, 두 집단 모두 대상을 도구보다 선호하였다. 이것은 한국어 의미역 체계에서의 대상이 도구보다 위계가 높기 때문이다. 둘째, 동사 선택 과제에서 실어증 환자의 수행도가 더 낮았다. 이는 실어증 환자가 문장에 있어 동사와 그를 구성하는 요소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과제에 따른 수행도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어증 환자는 도구에 높은 정반응률을 보였다. 이는 도구 의미역이 동사와 연결될 때 대상에 비하여 더욱 활성화되기 때문이다. 셋째, 두 의미역 모두 실어증 중증도와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실어증 중증도를 유의하게 예측한 것은 대상 의미역으로, 74.5%로 예측하였다. 이는 실어증 환자 역시 논항의 필수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해석된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환자의 의미역 선호는 그 위계에 영향을 받으나 의미역과 동사의 연결에서는 통사 구조보다는 의미 연결을 통한 활성화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실어증 환자의 중재나 평가 시 의미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ferences of thematic role assignment in aphasia patients and to figure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matic roles and verbs. Methods: Eighteen persons with aphasia and twenty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and lived in Seoul or Gyeonggi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hematic role preference task measured ratio (%) of thematic role preference and the verb selection task measured accuracy (%). Results: First, both groups preferred theme to instrument. Thi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in Korean thematic role hierarchy, theme is higher than the instrument. Second, the performance of persons with aphasia in the verb selection task was lower. This means that persons with aphasia have difficulty accessing verbs and the elements in their sentences.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the task was not significant, but persons with aphasia had a higher accuracy than the instrument. Thi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he instrument becomes more active than theme when connected to verb. Third, both thematic roles showed strong correlations with aphasia severity. Theme was the prediction of aphasia severity approximately 74.5% of the time. This showed that persons with aphasia are also affected by the necessity of the argument. Conclusion: The preference of thematic role in persons with aphasia is influenced by its hierarchy. But in the connection of thematic role and verb, it is influenced by activation through semantic relation rather than syntactic structure. In particular, theme is a variable that predicts the aphasia severity.

      • KCI등재

        비지도 학습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부사격의 의미역 결정

        김병수(Byoung-Soo Kim),이용훈(Yong-Hun Lee),이종혁(Jong-Hy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2

        말뭉치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의미역 결정(semantic role labeling)을 하기 위해서는, 의미역을 태깅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의미역이 태깅된 대량의 말뭉치를 구하기 힘들며, 이를 직접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지도 학습의 하나인 self-train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의미역이 태깅되지 않은 말뭉치로부터 의미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세종 용언 전자사전의 격틀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학습 말뭉치를 구축하였으며,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점진적으로 학습하였다. 그 결과, 4개의 부사격 조사에 대해 평균적으로 83.00%의 정확률을 보였다. Training a statistical model for semantic role labeling requires a large amount of manually tagged corpus. However, such corpus does not exist for Korean and constructing one from scratch is a very long and tedious job. This paper suggests a modified algorithm of self-training, an unsupervised algorithm, which trains a semantic role labeling model from any raw corpora. For initial training, a small tagged corpus is automatically constructed from case frames in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Using the corpus, a probabilistic model is trained incrementally, which achieves 83.00% of accuracy in 4 selected adverbial cases.

      • KCI등재

        양화사 역 의미 작용역과 표찰 알고리즘

        전혜원(Jeon HyeWon),이선혜(Lee SeonHy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2

        양화사 작용역의 중의성은 지배결속이론 시절부터 여러 학자들의 다양한 접근방식을 통해 꾸준히 연구되고 있지만, 작용역 중의성을 야기한다고 간주 되는 특정 통사적 현상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양화사의 역(逆)작용 의미를 인간 언어 본연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어떤 기제를 통해 일어나는 현상인지에 관한 심도 깊은 설명이 없는 게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화사의 작용역의 중의성을 최소주의의 가장 새로운 방식인 Chomsky(2013, 2014) 의 표찰 알고리즘(Labeling Algorithm) 접근법에서의 자질 공유(feature sharing)와 Aoun and Li(1993)의 부가에 대한 제안을 적극 수용하여 최소주의 접근법으로 재분석하고자 한다. Chomsky(1995, 2000)와 Tang(2001)의 주장을 받아들여 양화사의 역 의미작용을 유발하는 양화자질의 존재를 가정한 다. 양화자질의 해석성에 대해서는 양화자질을 비해석성 자질로 보는 Tang(2001)의 주장과 달리, 해석성 자질로 보는 Chomsky(1995, 2000)의 주장을 적극 수용한다. 그러나, 일치관계를 통한 자질 점검이 아니라 역 의 미작용이 일어나는 지점인 ʋP의 지정어 외곽자리로 양화자질[QU]이 부가 되고 경동사 ʋ에 중의성을 야기시키는 양화자질[QU]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렇게 함으로써 이 통사체의 표찰은 자질공유를 통해 <QU, QU>로 결정된다 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QU, QU>로의 표찰의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양화자질은 의미접합부에서 중의성을 가지는 역 의미작용의 해석을 하게 하며, 이 때 표찰을 정하는 것은 의미접합부(Conceptual-Intentional Interface; CI Interface)에 관련 해석 정보를 전달하여 올바른 해석이 이뤄 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way to account for scope ambiguity in English through the most recent version of the Minimalist Program including (the very new system,) Labeling Algorithm. To do genuine explanation of the quantifier scope, I make a proposal that we need to assume Quantifier feature[QU] triggered by NP-adjunction at the outer SPEC of ʋ. The QU feature of the copied object quantifier appears to the [SPEC, ʋP] by NP adjunction or late merge based on Sideward Movement by Nunes(2001), and it brings about feature sharing with [QU] feature of ʋ. By labeling through feature sharing, they safely transfer relevant interpretable information to the CI interface to get the meaning of wide scope. To extend our idea, we adopted the suggestion of Tang(2001), Nunes(2001), and Chomsky(2000, 2013).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extend their ideas to the scope interpretation at the CI interface, and propose that the inverse scope results from labeling in the narrow syntax and the [QU] feature activates the syntactic object to have a wide scope.

      • KCI등재

        양화사 작용역 현상의 최소화에 관한 탐구

        전혜원,오현영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A central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new account of Quantifier scope ambiguity phenomena based on Chomsky's (2013, 2015) Labeling Algorithm (LA). In the account, this paper argues, without appealing to traditional movement operations akin to QR, that an inverse scope of QNP is attributed to the output of the essential operation in Narrow Syntax(NS) which is LA. Obata and Epstein's(2011) Feature-Splitting Internal Merge present empirical and theoretical advantages. Following their assumption, we suggest three viable options. First, R attracts both φ-feature and Quantifier feature on v* simultaneously. Secondly, R attracts Quantifier feature first. In the case that R attracts φ feature first is the last viable option. Given this view, we naturally hypothesize that φ-feature and Quantifier feature each move independently. In this sense, Feature splitting is the optimally exploiting independent mechanisms and enables us to capture derivationally different types of feature sharing. By deploying three viable options, we safely capture rigid scope and inverse scope. In summary, syntax of scope relies on three distinctive devices : Quantifier features, Feature-Splitting Internal Merge and Labeling Algorithm. Chomsky demonstrates that labels are needed for interface interpretation. In the spirit of minimalism, we elucidate scope ambiguity from a labeling perspective and this analysis sheds light on how determine a complicated syntactic object such as{XP[F],YP[F]} via labeling system and the quest for simplicity of Quantifier Scope Interaction. 양화사의 작용역 현상을 인간 언어 본연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어떤 기제를 통해 일어나는 현상인지에 관한 심도 깊은 설명을 하고 기존의 연구에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개선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양화사의 작용역의 중의성을 최소주의의 가장 새로운 방식인 Chomsky(2013, 2015)의 표찰 알고리즘(Labeling Algorithm) 접근법에서의 자질 공유(feature sharing)와 Obata와 Epstein 의 자질분리 병합(Feature-splitting Internal Merge)을 적극 수용하여 최소주의 접근법으로 재분석하고자 한다. 양화명사구는 양화자질[QU]을 가지고 있고 v*에 파이자질 이외 양화자질[QU]이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이 통사체의 표찰은 자질공유를 통해 <QU, QU>로 결정된다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결정된 <QU, QU> 표찰은 부호화(encoding)되어 의미접합부(Conceptual-Intentional Interface ; CI Interface)에서 양화사의 중의적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자유로운 병합이 전제된 최근의 최소주의 흐름속에서 Chomsky가 제안하는 표찰 알고리즘을 통해 양화사가 두 개인 문장에서 결정된 표찰들 간의 위계는 의미해석 접합부에서 의미정보를 전달하여 해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제하여 본 논문에서는 양화사 작용역 현상에 적용 가능한 세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양화사가 두 개인 문장에서 첫째, 핵 v가 보유한 파이 자질과 양화 자질을 동시에 R로 상속하는 경우와 둘째, 두 자질 중 파이 자질을 먼저 R로 분리 병합하는 경우와 마지막으로 두 자질 중 양화 자질을 우선 R로 분리 병합하는 경우 세 가지 경우의 수가 발생한다. 이 세 가지 경우의 수 중에 첫 번째는 표찰 결정의 실패로 의미접합부에 무의미한 정보를 주지만, 두 번째 경우는 역(逆)의미 작용역을, 세 번째 경우는 표면 작용역의 해석적 정보를 주게된다. 다시 말해서, 양화사 의미의 중의성은 운용상의 부담(burden)을 주는 의무적 이동(obligatory movement)이 아니라 자유병합에 의한 결과물이며 이는 최소주의의 관점 내에서 작용역 현상의 간소화와 다양한 구문에 적용 가능한 통합된 설명을 시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의미역 결정을 위한 Korean PropBank 확장 및 도메인 적응 기술 적용

        배장성(Jangseong Bae),이창기(Changki Lee) 한국인지과학회 2015 인지과학 Vol.26 No.4

        한국어 의미역 결정(Semantic Role Labeling)은 주로 기계학습에 의해 이루어지며 많은 말뭉치 자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한국어 의미역 결정 시스템에 사용되는 Korean PropBank는 의미역이 부착된 용언과 용언 격틀이 PropBank에 비해 각각 1/5, 1/2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의미역 결정 시스템을 위해 의미역이 부착된 용언과 용언 격틀을 확장하여 Korean PropBank를 확장 시키고자 한다. 대부분의 의미역 결정 시스템은 학습 도메인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적용 도메인 변경에 따른 성능 하락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학습 말뭉치와 적은 양의 새로운 학습 말뭉치를 활용하여 새로운 도메인에 대해 의미역 결정 시스템의 성능 하락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메인 적응 기술을 Structural SVM(S-SVM)과 Deep Neural Network(DNN) 기반 한국어 의미역 결정 시스템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SRL) is usually performed by a machine learning and requires a lot of corpus. However, the Korean PropBank used in Korean SRL system is less than PropBank. It leads to a low performance. Therefore, we expand the annotated corpus and verb frames for Korean SRL system to expand the Korean PropBank corpus. Most of the SRL system have a domain-dependent performance so, the performance may decrease if domain was changed. In this paper, we use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to reduce decreasing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corpus and the small size of new domain corpus. We apply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to Structural SVM and Deep Neural Network. The experimental result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domain adaptation technique.

      • KCI등재

        Adaptation du modèle français à l’annotation sémantique des contextes coréens des termes prédicatifs informatiques

        배희숙 한국프랑스학회 2008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4 No.-

        전산학 분야의 프랑스어 용어 데이터베이스 DiCoInfo(Dictionnaire fondamental de l’informatique et de l’Internet)는 용어의 의미역 구조, 용어 간 의미 관계, 문맥 등 다양한 언어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이 데이터베이스는 영어, 스페인어, 한국어 등의 다국어로 확장되고 있으며 용어 기술면에서도 용례의 의미역 분석을 보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어 모듈이 2004년부터 구축되어 왔으며(Bae & L’Homme 2008a, Bae & L’Homme 2008b, L’Homme & Bae 2006), 현재 용어 용례의 의미 분석을 통하여 한국어 모듈의 용어 기술을 정련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 서술 용어의 용례 의미 분석을 위한 체계화 과정, 즉 프랑스어 데이터베이스 모델 적용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견한 언어적 특성을 기술 한다. 본 프로젝트의 연구 대상은 서술 용어이다. 서술 용어란 그 의미 기술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수 논항을 필요로 하는 용어이다. 그런데 이러한 의미역 분석을 위해서는 용어의 의미 구분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우선 앞선 연구(Bae & L’Homme, 2008)를 통해 선정하였던 42개의 서술어 용어를 분석하였다. 이 42개 서술 용어의 용례는 웹사이트에서 용어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검색된 문장 중에서, 통사적 다양성을 고려하며 용어당 20개의 용례를 선택하여 분석한 것이다. 또 용어와 공기하는 모든 구(句) 중에서 용어의 의미 실현에 관여하는 구의 통사적 기능, 통사 범주, 의미역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구에 해당하는 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사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조사와 격의 관계 목록을 획득할 수 있었다. 용례의 의미 분석 결과는 모델이 된 프랑스어 데이터베이스의 XML 기반 인코딩 틀을 이용하였지만, 언어의 구조가 달라 적용이 필요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랑스어 분석에서 사용하지 않은 격과 조사 인코딩을 위한 속성 틀이 추가 되었고, 대신 프랑스어에는 있지만 한국어에는 없는 전치사 태깅 속성은 제거되었다. 용례에서 쓰인 어순이 그대로 존중되어 분석되었고, 하나의 구 안에 포함된 또 다른 하위 구들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과정을 통하여 프랑스어 데이터베이스 모델의 의미역 체계가 몇 가지 적용 작업을 통하여 다른 언어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보편적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어떤 분석 부분에서 적용이 필요한지를 알음알이 하는 것이 한국어의 특성을 알음알이 하는 것과 관계가 깊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용어의 용례를 의미론적으로 분석한 데이터는 한국어와 프랑스어 비교 연구와 같 은 언어학적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의미역의 행태에 대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한국어의 경우 격과 의미역 관계 같은 중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문맥에 따른 조사의 사용 방법과 조사와 격의 관계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규칙을 끌어내어 언어 기반 시스템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속담의 인지적 해석

        정종수(Jeong Jong Su)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가 속담의 속뜻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지언어학의 해석 이론 중 현저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현저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고는 의미역 이론을 도입하였고, 여러 의미역 중 경험역에 현저성을 가진 속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저한 의미역을 상정하는 것이 속담 해석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만약 경험역에 현저성을 부여하여야 하는 속담이라면, 경험역에 현저성을 제대로 부여하여야 속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반대로 현저한 의미역을 파악하지 못하면 속뜻과 벗어나는 내용이 추론된다. 그러므로 속담은 교육할 때나 속담에 대해 뜻풀이할 때 현저성이 있는 의미역에 대한 정보를 넣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둘째, 경험역은 행위역보다 추상적인 것이라서 경험역에 현저성이 있는 속담은 그 속뜻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셋째, 신체 부위, 인간의 속성, 인간의 행위 따위의 인간에 속하여 있는 것이나 추상적인 것은 현저한 의미역이 되기 어렵다는 것이다. 넷째, 단문보다는 종속문ㆍ내포문ㆍ대등문이 생략된 것을 상정하는 과정을 더 거쳐야 하므로 해석하기에 더 어렵고, 경험역이 생략된 것이 생략된 것을 상정하는 과정을 더 거쳐야 하므로 해석하기에 더 어렵다. 따라서 속뜻을 추론하기 어려운 순서는 ‘경험역이 겉으로 드러난 단문 < 경험역이 생략된 단문 < 경험역이 겉으로 드러난 종속문ㆍ내포문ㆍ대등문 < 경험역이 생략된 종속문ㆍ내포문ㆍ대등문’ 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impact on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proverb analyzing the prominence of the proverb with the experiencer. The results show that as follows. First, what estimates a thematic rules in the proverb interpretation is effective. If the proverb should have prominence at the experiencer, it need to gives prominence to the experiencer exactly. In other words, if you do not understand the remarkable thematic rules, the content being inferred is incorrect. So it is effective to put the information in this remarkable thematic rules, in order to solve for the inner meaning of proverb exactly. Second, the proverb that have prominence at the experiencer is more difficult than at the agent, as you exactly infer the inner meaning of the proverb . Because the experiencer is more abstract than the agent. Third, body parts and abstraction etc. can not be the remarkable thematic rules. Forth, a simple sentence is easier than a subordinate sentenceㆍa embedded sentenceㆍa coordinate sentence when you interpret the proverb. Because the interpreter should search out omitted thematic rules. Thus order on the difficulty of interpretaion is ‘the simple sentence that the experiencer seemingly emerge < the simple sentence that the experiencer is omitted < the subordinate sentenceㆍthe embedded sentenceㆍthe coordinate sentence that the experiencer seemingly emerge < the subordinate sentenceㆍthe embedded sentenceㆍthe coordinate sentence that the experiencer is omit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