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및 교과목에 대한 의대생들의 태도에 관한 연구

        이일우,김찬석,이현선,이완수,정상수 한국광고PR실학회 2015 광고PR실학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예비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의대생들과 진료경험이 있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태도를 분석했고, 의대생들과 순수 커뮤니케이션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태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대생과 일반인 모두 의료행위를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이해하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점에 높은 동의를 나타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의학 전공학생들이 일반인에 비해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에 대한 지각을 더 강하게 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의사들이 환자와 제대로 소통을 못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두 집단 모두 동의했다. 국내 의과대학에서의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부분적으로 발견됐다. 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을 교육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의학 전공자와 커뮤니케이션 전공자 모두 평균이상의 동의를 보였다. 다만 의학 전공자 보다 커뮤니케이션 전공자가 더 필요성에 공감한 것은 의학 전공자들이 진료를 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의과대학의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관심도에서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였지만, 마찬가지로 의학 전공자가 커뮤니케이션 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더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의과대학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운영에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hrough survey. The attitude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ordinary person taken medical treatment on medical communication was analyzed. Also, the attitude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communication major students on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Medical students and ordinary person understood that medical treatment wa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doctor and patient and communication was essential. An interesting thing is that medical students have stronger recognition on communication than ordinary people do. Both of them agreed that doctors were not good at communicating with patient. The gap of recognition on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education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communication major students was found. Various ways improving medical students' satisfaction about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s of medical schools was discussed.

      • KCI등재

        중국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의 비대면커뮤니케이션 연구

        정원,이명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re increasing amoung the againg population of China in recent years, which stimulates the demands of health care system in daily life. The importance of sounded Community Health Service Center has been highlighted accordingly. However medical service hasn't been instruduced successfully due to the lack of trusts against quality of existing public medical service and in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citizens and concerned authorities.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optimize the communication between stake holders of medical service in order to improve health condition of publics. In order to enhance communication activation between different channels for medical service, both parties-beneficiary and suppliers-completed the research through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service channel for the Centre. Main subject on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service at Community Health Service Center, with continue analyzing the direct and indirect stake holders with the two personas-beneficiary and suppliers, we are able to find out from issues that needed to be acted. To get the results, we made the scientific hypothesis of beneficiary party and suppliers' party, all assumption are assumed from actual results. By analyzing the persona`s journey map,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negative trend of second and third rank level hospital preferences and the deficiency on information transmission. The following is the suggested plan. The idea is focused on the type of services between main stake holders parties through the mobile services from alternative non face-to-face communication channel. First, enhance the communication service district to district. The next one is, to implement a kind of service that similar to private doctor ones. Third, by best use of non-face to face channel to connect better with different parties and better communication results. Furthermore, maintain a good health level of seniors by sharing the information between family members. Lastly, under current aging society situation, expecting to reduce the degree of dependency by improve the public service level of Community Health Service Center long with better-organized medical service. 최근 고령화된 중국의 인구는 만성질환 환자수가 점차 늘어나고, 일상생활에서의 건강하고자 하는 요구가 강해지면서 주거지 가까이에 있는 공공의료기관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의 중요성이 커졌다. 그렇지만 공공의료서비스에 대한 불신과 커뮤니케이션의 부재로 원활한 의료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이해관계자간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로 건강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의료서비스 수혜자와 제공자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채널 중 비대면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를 중심으로 하는 의료서비스의 수혜자와 제공자 간의 직간접 이해관계자가 분석되었고,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수혜자인 퍼소나와 제공자 퍼소나를 설정하였다. 퍼소나의 여정맵을 통해 수혜자들이 2&3급 병원을 선호하거나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의 정보가 전달되지 않고, 의료서비스는 대면서비스 만을 인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모바일 서비스에 주목하여 이해관계자의 커뮤니케이션 주체간 서비스내용을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하였고, 결론으로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의 커뮤니케이션 대안을 정리하였다. 첫째 지역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둘째 개인전담의사와 같은 서비스 효과, 셋째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원활한 대면커뮤니케이션, 넷째 가족구성원의 정보공유로 고령자의 건강관리 등이다. 커뮤니티의료서비스센터 공공서비스의 활성화로 2&3급대형병원의 쏠림을 해소하고, 원활한 의료서비스가 이루어져 고령화시대의 건강한 일상을 기대한다.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형식과 내용 분석 연구

        이일우(Ilwoo Lee),김찬석(Chan-Souk Kim),이현선(Hyun-Seon Lee),이완수(Wan-Soo Lee)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2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에 개설된 다양한 교과목 중 환자와의 소통에 관한 내용을 다루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과목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 의학전공 학생들을 위한 의과대학이나 의학전문대학원 또는 병행하고 있는 41개 대학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도하여 최종적으로 36개 대학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대학들이 개설하고 있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들의 진행내용은 대학별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관련 내용은 일부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관련성이 없는 내용들로 강의가 진행되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은 최근에 이뤄졌고, 과목 운영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에 대한 관계자들의 공통된 인식과 의견을 모으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의료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의사와 환자 사이의 쌍방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분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은 이러한 특수한 상황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욕구에 부합되는 강의내용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의료교육 현장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본격적인 의학과 커뮤니케이션의 접목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us of medical communication of medical schools in Korea.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operating status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nd propose the support and policy about it. For understanding these issues, this study conducts the content analysis about the existence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course title, total hours, and institution. The results show that many medical schools in Korea are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to teach medical communication. Although many medical schools are operating this course, there are differences in subject title, target grade, and class institution and contents. The Majority of medical schools have recently opened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nd consequently its operation is not systematic. Therefore, the persons concerned should converse and interchange cognition and opinion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A medical communication is a special field dealing with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So students should be conveyed the informations about variables in communication situ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rough this subject.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operating curriculum focused on medical communication, and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of lecture contents and institution in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 KCI등재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증상의 심각성 수준이 환자의 신뢰, 만족,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서보경,복혜진,조은희,김성호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2 No.2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verity of a patient’s symptoms and the communication style of healthcare providers in medical services and proves how it affects the patient’s trust, satisfaction, and compliance level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patient reactions to various communication styles of healthcare providers and verifies the impact of symptoms’ severity and communication styles on trust, satisfaction, and compliance. It also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impact of trust and satisfaction on compliance.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 whether healthcare providers’ communication styles are cooperative or controlling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rust, satisfaction, or compliance.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communication styles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and satisfaction but not on compliance. Third, healthcare providers’ trust and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pliance and this effect is greater for trust than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there is no definite answer as to the best communication style for a healthcare provider. This study is important as it derives an optimal communication style for each level of severity of a patient’s symptoms. Lastly, it presen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strategies to improve healthcare providers’ communication 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서비스에서 환자 증상의 심각성과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환자의 신뢰, 만족,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고객 반응을 살펴보고, 증상의 심각성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신뢰, 만족,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신뢰와 만족이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해당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협력적인지 통제적인지에 따라 신뢰, 만족, 순응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증상의 심각성 수준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신뢰와 만족에는 유의하였으며, 순응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의료진의 신뢰와 만족은 순응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신뢰가 만족보다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이분법적으로 어떤 커뮤니케이션이 좋다고 볼 수 없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입증하고, 환자 증상의 심각성을 고려한 상황별 최적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의료진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 수립을 위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미술교육: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의 지역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49

        This study has focused on ‘Opening Doors’ program for healthcareprofessionals run by Tate Liverpool, one of the national galleries of art in U.K. The aim of the study is to show main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andto examine how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communication that contemporary healthcare service seeks. The program has beenstructured upon ‘Five Ways to Well-bing’ promoted by the New EconomicsFoundation(NEF) and composed of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with the focu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As a result, the programhas empower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improve their personal well-being aswell as communication with their patients or service users by developing theirmultiple perspectives, sensitive awareness of others’ needs, active and openrelationships, reflective thinking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majoroutcome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ervice. Firstly,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 to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be developedthrough integrating healthcare communication and visual arts. Secondly, integrativeand experiential approach to healthca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to developedthrough partnerships with art museums or cultural institutions in communitie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researches on the outcomes ofintegrating healthcare and visual arts are to be activated. Therefore, the study haspushed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by showing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healthcare communication. The study also can be valued as an interdisciplinaryinquiry between healthcare and visual arts. 이 연구는 영국의 국립미술관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이 의료·보건 전문인 대상으로운영해온 ‘오프닝 도어스(Opening Doors)’ 프로그램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프닝 도어스’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이 현대 의료․보건 서비스가 추구하는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오프닝 도어스’ 프로그램은 영국의 신(新)경제재단(NEF)이 제시한 ‘웰빙의 5가지 비결(Five Ways to Well-being)’에 기초하여 근‧현대 미술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활동들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의료․보건 분야 전문인들에게 자신의 정신적·신체적 웰빙을 증진할 뿐 아니라, 의료․보건 실무에 필요한 다중적 관점, 타인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 능동적․개방적인 인간관계 능력, 반성적 사고, 의사결정 능력 등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성과들은 국내 의학교육과 의료 서비스에 몇 가지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예술 분야의 협업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을 위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진을 양성해야한다. 둘째, 지역 미술관이나문화예술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통합적, 체험적인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의료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융합적 성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고, 그들의 업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지평을 넓혔으며, 의료 분야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학제적 탐구로서도 가치가 있다.

      • KCI등재

        비대면 의료현황과 해외사례 고찰을 통한 비대면 의료 커뮤니케이션 방향성 연구

        송성신(Sung Shin Song),권근혜(Keunhye Kwon),김혜영(Hye Young Kim) 한국광고PR실학회 2021 광고PR실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보편화 초입 단계에 있는 국내 비대면 의료 서비스 문제점 및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의 선도적 시스템 구축 방향성과 효율적 비대면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하고자 현재 국내외 비대면 의료현황 및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현황분석과 진단을 위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은 해외 주요 국가들 중에서 중국과 캐나다의 사례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은 인프라 격차가 심한 상황에서 온라인 병원 중심으로 비대면 의료를 체계적으로 성장시켰다. 캐나다 또한 영토가 넓고 인구밀도가 낮은 상황에서도 초기단계에서 법리체계 운영안에 대해 철저한 사전준비를 해왔고, 그에 따른 여러 측면에서 고려된 선도적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체계화를 위해 ICT기술과 의료기술 접목시스템 주관기관 설립 및 각 분야별 연구성과를 통한 기초연구를 토대로한 사전기반확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원활한 의료공급자와 의료이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혼재된 ‘비대면 의료’개념과 서비스 범위의 명확한 합의가 필요함을 제안했다. 더불어 기술수용모델 기반의 비대면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미시적 연구를 통해 이용자 중심의 연구 체계화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무엇보다 비대면 의료 서비스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를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서 선정하고, 공중의 다양한 의제를 수렴하여 서비스 체계화를 위한 여론형성의 노력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plores issue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telemedicine/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in Korea, which is at the initial stage of generalization of digital health care. In addition, in order to seek the direction of the future local digital healthcare system construction and effective non-face-to-face medical communication from various angles,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local and abroad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and medical communication. The case studies were focused on analyzing the cases of China and Canada in detail.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China has systematically grown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centered on online hospitals in the face of the severe medical infrastructure gap. Canada, with a large territory and low population density, has thoroughly prepared for the legal system for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in the early stages, and accordingly, it provides the leading platform services that have been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In conclusion, for the systematization of digital healthcare,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leading institution of the ICT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integration system, and expanding the preliminary foundation based on the fundamental research in diverse fields. Also, it suggested that an explicit agreement on the concept, definition, and the service scopes of ‘telemedicine/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is needed for seamless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users. Besides,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systematizing user-centered study with microscopic research on non-face-to-face medic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bove all, digital healthcare based on non-face-to-face medical services should be selected as an important “social agenda”. It should also be considered efforts to form public opinions for service systematization by converging various public agend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시니어 만성질환자·의사·간호사 간의 의료 경험 향상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툴킷 콘텐츠 개발 -일차의료기관의 진료과정을 중심으로-

        박명원 ( Park Myung-won ),구유리 ( Koo Yoori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7 No.-

        본 연구는 일차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시니어 만성질환자와 밀접한 이해관계자인 의료진의 니즈를 바탕으로 각 사용자의 맥락에 맞게 분석하였다. 특히,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영역을 통해 발견된 시니어만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진료 대기 > 진료 중 > 진료 이후의 진료과정을 중심으로 핵심기능을 도출하였다. 커뮤니케이션 툴킷 서비스는 태블릿 PC에서 활용이 가능한 UI 툴킷으로 구성되어 있고, 첫째, 수행집중력 향상 관리, 둘째, 정보의 인지능력 향상 환경 조성, 셋째, 기억능력 향상 지원이 솔루션으로 제공된다. 이후 커뮤니케이션 툴킷 콘텐츠의 프로세스, 핵심영역, 핵심기능에 따른 구체적인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나리오를 통해 의료 커뮤니케이션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며 시니어들의 의료 경험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환자, 의료진의 피드백 인터뷰를 통해 서비스의 개선 사항과 사용자에 따른 기대효과를 논의한다. This study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ext of each user based on the needs of medical staff who are closely related to senior chronic patients visiting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a proces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seniors found through the problem area of medical communication was proposed, and core functions were derived centering on the treatment process after treatment waiting for treatment > in treatment. The communication toolkit service consists of a UI toolkit that can be used on a tablet PC, and first, management to improve performance concentration, second, creation of an environment to improve information cognitive ability, and third, support to improve memory is provided as a solution. After that, specific service scenarios according to the process, core areas, and core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toolkit content were propose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actively induces medi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roposed scenario and provides services that can improve the medical experience of seniors. Finally, through feedback interviews with patients and medical staff, improvements in the service and the expected effects of users are discussed.

      • KCI등재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ㆍ의약학 분야의 비교

        이선정,이수범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헬스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동향을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의 학문 간 비교를 통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게재된 387개의 논문을 연구 주제, 이론 사용 여부, 사용된 이론, 연구 내용, 연구 주제별로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주제들이 다루어졌지만, 의료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에서는 의료커뮤니케이션 연구가 가장 많았고 상대적으로 주제의 다양성이 떨어졌다. 이론 사용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연구들은 과반수의 연구가 이론을 활용했지만, 공중보건·의약학 분야에서는 불과 17.6%의 연구만이 이론을 활용한것으로 나타나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내용은 두 분야에서 공통으로 수용자 연구가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에 따른 분류에서도 두 분야 모두 서베이 연구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 분야와공중보건·의약학 분야 간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하고 헬스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health communication research between the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medicine pharmacy area, utilizing a content analysis of 387 independent studies published in major academic journals in Korea (2009∼2015).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articl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he common health topics covered, the types of research presented, research designs and samples used, and theories on which research is b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related journals published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more diverse than the public health·medicine pharmacy journal in the topic of area. Within the communication model‘s SMCRE(sender-message-channel-receiver-effect) components, most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focused on the receiver(audience) component. Also, most studies are performed by survey. Finally, this article discuss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published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medicine pharmacy, wi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direction of futur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