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수의결권 도입에 관한 연구

        김종욱(Kim, Jong-Wook),권한용(Kwon, Han-Yo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東亞法學 Vol.- No.97

        복수의결권제도는 창업자가 투자유치 시 주식지분 희석으로 인한 경영권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유익한 제도이다. 이미 해외의 여러 국가에서 도입되었고,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도입하지 않은 자국의 기업들이 복수의결권주식의 발행을 허용하는 국가에서 상장(IPO)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제도 도입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우리나라 기업현실, 즉, 재벌위주의 대기업구조와 순환출자를 이용한 재벌지배구조, 지배주주에 의한 경영권 세습화 등에 대한 부정적 의견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루지 못해 무산되었다. 이러한 국내 현실에서 쿠팡이 미국에서 상장하였다. 글로벌자금유치라는 명분과 복수의결권주식발행을 통한 낮은 지분으로 기업경영을 도모할 수 있기때문이였다. 우리나라도 복수의결권제도의 도입을 미룰 경우 유능한 기업의 해외유출은 지속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업의 안정적인 경영권확보를 통해 기술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복수의결권제도의 도입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다만. 재벌기업의 경영권세습 방지, 소액주주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도록 복수의결권제도 도입시 수반하여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서는 복수의결권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도입시 고려사항, 소액주주의 권리침해 방지에 대해 외국의 사례를 참조하여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ual Class Voting Rights is a valuable system that can alleviate managerial anxiety in the founder due to stock dilution while inducing investment. While Dual Class Voting Rights is already practiced in many countries, numerous other countries prevent their companies from doing the same, including South Korea, which create issues when aforementioned companies attempt an IPO in countries permitting Dual Class Voting Rights. Several attempts towards the adoption of dual class voting rights have petered out until recently, due to inherent issues in South Korea’s Conglomerate-oriented economy. Cross-shareholding/circular shareholding and hereditary succession in particular contribute to an apprehension towards adopting Dual Class Voting Rights from the major corporations, as there are concerns that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management right of hereditary successors will be thrown into jeopardy by a significant shareholder. It was caused but the Coupang [쿠팡] IPO in the US. The Coupang IPO was conducted in the US with foresight by the company management. In their effort to attract global funding, they issued a low share of dual class voting rights stock to garner investment and maintain the integrity of their management rights. It is highly likely that we may witness an exodus of promising corporations to foreign countries, if South Korea continues to lag behind other countries on the adoption of Dual Class Voting Rights. In addi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Dual Class Voting Rights, corporations can concentrate more resource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opposed to wasting their company resources on maintaining stable management rights. There are consequences that need to be accounted for when instituting Dual Class Voting Rights, such as not infringing on the rights of minority shareholders and preventing management rights from lying solely in the hands of hereditary successor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lternatives by referring to foreign case studies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Dual Class Voting Rights, the precautions to take in its introduction, and preventing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minority shareholders.

      • KCI등재

        의결권 포괄위임의 효력

        김연미(Yon-Mi Kim) 한국기업법학회 2014 企業法硏究 Vol.28 No.4

        주주가 의결권을 위임하는 경우 수임인은 주주의 지시에 따라 주주의 이익을 위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여야 하고 주주는 언제든지 위임을 철회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주주의 이익과 편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주식에 질권을 설정하거나 또는 경영권 양도계약을 체결한 경우 등 일정한 경우에는 수임인이 자신의 독자적인 권리를 보장받기 위하여 위임장을 교부받기도 한다. 이러한 의결권 포괄위임은 일반적인 대리행사와는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대상판결 (대법원 2014. 1. 23. 선고 2013다56839 판결)은 프로젝트 금융과 관련하여 시행사의 주식에 질권을 설정한 채권자가 해당 주식의 의결권을 포괄위임받은 사안에서, 그러한 포괄위임의 위임장을 유효하다고 보았고, 해당 채권자가 의결권을 위임한 주주를 시행사 대표이사에서 해임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 것에 대하여도 위법이 없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대상판결의 의미는 일반적인 대리권 부여 또는 위임관계와 다른 의결권 포괄위임의 효력을 인정한 것으로, 큰 의미를 가진다. 의결권 포괄위임의 경우 목적달성에 필요한 기간 동안의 장기위임도 가능하며, 위임기간 동안에는 위임을 철회하는 것을 허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수임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의결권을 행사하면 되고 위임인의 지시에 따르거나 위임인의 이익을 위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다만 의결권 행사를 위한 위임장 부여가 이러한 의결권 포괄위임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그에 사응하는 수임인의 이해관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A shareholder may confer to anybody the power to exercise voting rights in connection with the shares of her holding, in which case the person given such power shall be an agent of the shareholder, subject to fiduciary obligation towards the shareholder. The shareholder may revoke or modify the power at her will at any time. In certain cases, however, delegation of voting power is for the benefit of the proxy, not the shareholder. For example, the lenders in project financing, in addition to the pledge over the shares of the entity holding the project, acquire proxy for such shares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project. Another example is when the purchaser of a controlling block of shares acquires a proxy with respect to the shares to be purchased before the full payment of purchase price and the closing of purchase agreement. In both instances, the proxy holder has legitimate interest of her own in connection with the shares and voting rights. U.S. courts have recognized such interests by the proxy holders and have developed a doctrine of ‘power coupled with interest’ or ‘irrevocable proxy’. A power coupled with interest or irrevocable proxy in connection with voting power of shares does not create a relationship of agency between the proxy holder and the shareholder. The shareholder cannot revoke the power at her will. Furthermore, the proxy holder can exercise the voting power at her discretion, without considering the shareholder’s interest. A recent case in Korean Supreme Court (2013Da56839, January 23, 2014) held that the proxy holder’s exercise of voting right was legal and valid where the shareholder had created pledge over the shares of a project vehicle to the lender and issued a power of attorney to the lender in connection with such pledged shares. Although it is not clearly stated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e court has recognized the proxy holder’s interest in the shares, different from agency relationship between the shareholder and the proxy holder.

      • KCI등재

        공의결권(Empty Voting)의 유형과 규제에 관한 연구

        김성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30 No.1

        공의결권은 주식소유에 따른 경제적 위험을 수반하지 않는 의결권을 의미하며 이러한 위험분리가 본질적 특징이다. 따라서 단지 의결권만을 매수하는 행위와는 개념상 명확히 구분된다. 의결권을 보유한다는 의미는 일시적으로나마 주식을 소유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공의결권은 주주가 회사 또는 주주 전체의 이익을 위하여 권리를 행사한다는 상호 동질성을 해할 수 있으므로 주식회사의 지배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의결권의 발생은 주식대차, 증권스왑, 주식의 공매도, 주식연계 파생상품, 기준일전 수식매수 등에 의할 수 있다. 이처럼 방법은 다양하지만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주주가 그 시점에 주식소유의 경제적 위험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공의결권을 발생하는 개개의 행위는 사적 자치의 범위에서 적법한 행위이며 공의결권의 발생 자체를 금지하는 시도는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다만 회사법상의 일반원칙으로서 거론되는 충실의무가 고려될 수 있으며 의결권을 행사하는 주주와 회사 또는 다른 주주와의 이익충돌을 논의할 가치가 있다. 또한 정관으로서 의결권 행사를 위한 일정한 보유기간의 설정을 허용할 필요도 있다. 부수적으로는 기준일과 주주총회 사이의 기간을 단축하는 입법도 도움이 될 것이다. 흔히 공의결권을 억제하고 건전한 자본시장을 지키기 위해서는 강화된 공시의무가 가장 타당한 방안이라고 주장된다. 다만 과도한 공시는 오히려 정보의 희석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량보유 등에 한정하여 공의결권 여부를 명확히 밝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Empty Voting" means the voting of shares decoupling with the underlying economic risk of that shares. So conceptually i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vote-buying", which is an agreement to exercise a voting rights according to the other person's intention. Empty voting can affect negatively to the corporate governance because it may jeopardize the integrity that a shareholder should exercise his or her voting rights for the corporation or all shareholder‘s interests. Empty voting is acquired by making use of stock lender, securities swap, short selling, stock linked derivatives, record date capture etc.. Although the methods to reach to Empty Voting are varied, there is a common character in which a shareholder who exercise his or her voting rights at the general meeting does not bear any economic risk. Generally these acts are interpreted as lawful per se in the means of private autonomy principle and it is not appropriate to prohibit the Empty Voting itself. For restraining the Empty Voting, recently various alternatives- including fiduciary duty theory, waiting period in article of corporation- are suggested. Generally speaking, the most reasonable measure preventing the negative effects of Empty Voting is the disclosure for information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purpose of share ownership, the intended stocks-holding period, methods used to acquire it etc..

      • KCI등재

        미국법 상의 복수의결권주식

        김화진 법무부 2017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78

        This Article discusses the dual-class capital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economics. As the dual-class commons constitute one of the core elements of corporate governance of US firms, there have been much discussion about the need to introduce them into the Korean corporate law. However, the dual-class structure is tainted by the notion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entrenchment and perpetuating control of controlling minority shareholders of Chaebols. This Article tries to make a point that the dual-class capital structure is misunderstood in Korea through emphasizing their widespread use in the United States and Sweden. Further, this Article introduces the time-phased voting system to add an important material to the discussions on the dual-class structure in particular, and corporate governance of Korean firms in general. This Article also discusses some policy and practical issues relevant to the introduction of the dual-class structure in Korea. 이 글은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복수의결권주식을 법률과 경제학의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복수의결권주식은 미국 기업들의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제도이다. 국내에서도 복수의결권주식의 도입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재벌그룹의 지배구조 개선 차원에서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현실적인 도입 가능성은 높지 않다. 이 글은 복수의결권주식이 기업지배구조 선진국인 미국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고 기업지배구조 차원에서 높이 평가받는 일단의 미국 기업들이 그를 채택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국내에 퍼져있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다소 왜곡된 것임을 지적한다. 또, 이 글은 특수한 복수의결권주식인 보유기간에 연동된 의결권의 차등을 상세히 소개하여 향후의 논의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복수의결권주식을 국내에 도입하는 경우 생각해 보아야 할 몇 가지 사항을 점검한다.

      • KCI등재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의 육성 필요성 및 법적 과제

        곽관훈 한국경제법학회 2014 경제법연구 Vol.13 No.1

        Firms that are in the business of supplying these services to clients for compensation – in particular, analysis of and recommendations for voting on matters presented for a shareholder vote – are widely known as proxy advisory firms. Institutional clients compensate proxy advisory firms on a fee basis for providing such services, and proxy advisory firms typically represent that their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are prepared with a view toward maximizing long-term share value or the investment goals of the institutional client.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investment advisers, pension plans, employee benefit plans, bank trust departments and funds, have substantially increased their use of proxy advisory firms, reflecting the tremendous growth in institutional investment as well as the fact that, in many cases, institutional investors have fiduciary obligations to vote the shares they hold on behalf of their beneficiaries.238 Institutional investors typically own securities positions in a large number of issuers. The use of proxy advisory firms by institutional investors raises a number of potential issues. For example, to the extent that conflicts of interest on the part of proxy advisory firms are insufficiently disclosed and managed, shareholders could be misled and informed shareholder voting could be impaired. Increase the voting rights of institutional investors in Korea, it is increased the need for proxy advisory firms. In this article, with these issues in mind, I would like to explore legal issues of proxy advisory firms. And then, I would try to examine necessity and legal responsibility of proxy advisory firms.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는 주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회사로서 미국의 ‘ISS’가 대표적이다. ISS는 전 세계 약 1,700여 기관투자자를 고객으로 두고 있는 대표적인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이다. 미국은 기관투자자가 의결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도 신인의무(fiduciary duty)를 준수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이는 의결권행사 조언회사가 성장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미국의 경우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도 자산운용행위의 일부분이며, 따라서 의결권행사도 최종수익자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신인의무가 부과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도 수익률 제고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하나,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운용하고 있는 기관투자자가 개별 회사의 주주총회 의안이 수익률 제고 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이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를 돕는 의결권행사 자문회사가 성장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와 관련하여 신인의무에 대한 인식은 명확하지 않지만 기관투자자가 의결권을 행사함에 있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는 성격상 비용에 비해 많은 수익이 보장되지 않아 민간기업이 자발적으로 진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정부차원에서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를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

        차등의결권 제도의 경제학적 분석

        박양균 한국경제연구원 2009 규제연구 Vol.18 No.1

        차등의결권 제도 도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1주 1표 원칙과 주주평등원칙에 어긋난다고 비판한다. 제3자가 보기에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계약처럼 보이더라도, 그것이 자발적인 계약에 의한 것이라면 거래당사자가 모두 이익을 얻는다. 그러므로 자발적인 계약에 의한 차등의결권 제도 도입은 주주평등원칙에 위배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제도 따라서 차등의결권 제도는 주주들의 선택에 의해 채택할 수 있도록 현행 상법상 강행규정인 1주 1표 원칙을 임의규정으로 개정해야 한다.

      • KCI등재

        1주1의결권의 원칙과 주식의 본질 - 독일과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서완석,김상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4

        이 글은 최근 한국 상법학계에서의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인 의결 권규제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주식의 본질론은 주식회사의 본질론과도 맥을 같이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식사원권론이 통 설로 되어 있는 탓인지, 다른 논의를 찾아볼 수 없으며, 1주1의결권의 원칙이 상법상 강행규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독일과 일본의 경우에는 19세기부터 주식의 성질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고, 일본은 사실상 1주1의결권 원칙을 포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복수의결권주식이 적대적 인수합병에 유용하다는 점 때문에 복수 의결권 내지 차등의결권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학계의 분위기는 1주1의결권 원칙을 어떠한 생채기도 내어서는 안 되는 성역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불가능한 것인가? 일본에서 주장 되고 있는 정책설은 주식의 본질론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채, 1주1의 결권원칙은 정책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배분규제의 하나일 뿐이라고 해석함으로써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위 하여 또는 의결권 행사의 남용방지를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동 원칙을 고수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재산권은 정당한 사 유가 있는 경우, 그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결권이 가지는 사익성, 즉 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공익을 위한 차별은 정 당화 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의결권의 인격권적 성질을 배제하고 주식의 순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했던 주식사원권론 하에서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주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원권부인론은 공익권의 비이기적 성격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결국 비이기적인 성격을 갖 는다는 것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제한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가능하고 따라 서 사원권부인론에 따르더라도 회사의 보다 더 큰 이익을 위해 차별적인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결론적으로 굳이 정책설을 취할 필요도 없이 주식의 본질을 둘러싼 학 설들은 어느 학설을 취하더라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가 불가능한 것 은 아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voting right restrictions, one of the most debated topics in the current Korean commercial law academia. The analysis is mainly based on discussions in Germany and Japan, on the nature of sha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legal flexibility of applying the one-share-one-vote rule to the shareholder’s voting right. It is prescribed by the Korean commercial law to observe the one-share-one-vote rule. Therefore it is not allowed to grant more or less than one vote to one share, or to issue stocks that hold nonlinear vote numbers. Thus, multiple voting shares or dual class voting shares are both invalid, even when they are fix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n traditional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hares comes from membership rights. Accordingly, stocks are combined with voting rights in nature. From such concepts, the one-share-one-vote rule was derived. One-share-one-vote rule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hareholders, their legal rights, and the nature of corporation, or the legal status of the shareholder or the corporation. Up until now, the one-share-one-vote rule has been supported throughout Korea a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tocks through the membership rights, and it has never been controversial. However, Germany or Japan is different to Korea. These countries have suggested various explanations to the nature of shares within the progress of creating and expanding the theory of membership rights. Especially, Japan has recently changed the permission rate of non-voting shares from conditional to unconditional. This is a typical case that released the one-share-one-vote rule. Furthermore, a new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voting rights as something that legislator freely distributes in perspective of corporation’s profit maximization has also appeared. Recently, countries with multiple voting or dual-class voting system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benefits that multiple voting shares hold in hostile merger and acquisition. For this reason, Korea has also begun a serious discussion on this matter. Although the one-share-one-vote rule cannot be said to be the absolute good, it is true that it has been treated as an infrangible concept. If so, is it impossible to make the one-share-one-vote rule flexible? In general, property rights can be regulated if there are reasonable causes. Therefore, if the nature of private interest that voting rights hold is emphasized, the differentiation can be justified to hold a relatively bigger public good. It can be further explained that providing different voting rights in purpose of producing larger profits or bigger public goods, is not necessarily violating the shareholder’s rights. In general, all provisions must be interpreted within the belonging act’s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ir functions. Accordingly, the one-share-one-vote rule can become flexible either under the theory of membership rights or non-membership rights. Therefore, multiple voting shares or dual-class voting shares can become valid when fix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 KCI등재

        1주1의결권의 원칙과 주식의 본질

        서완석,김상우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가천법학 Vol.8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voting right restrictions, one of the most debated topics in the current Korean commercial law academia. The analysis is mainly based on discussions in Germany and Japan, on the nature of shar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legal flexibility of applying the one-share-one-vote rule to the shareholder’s voting right. It is prescribed by the Korean commercial law to observe the one-share-one-vote rule. Therefore it is not allowed to grant more or less than one vote to one share, or to issue stocks that hold nonlinear vote numbers. Thus, multiple voting shares or dual class voting shares are both invalid, even when they are fix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In traditional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hares comes from membership rights. Accordingly, stocks are combined with voting rights in nature. From such concepts, the one-share-one-vote rule was derived. One-share-one-vote rule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hareholders, their legal rights, and the nature of corporation, or the legal status of the shareholder or the corporation. Up until now, the one-share-one-vote rule has been supported throughout Korea a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tocks through the membership rights, and it has never been controversial. However, Germany or Japan is different to Korea. These countries have suggested various explanations to the nature of shares within the progress of creating and expanding the theory of membership rights. Especially, Japan has recently changed the permission rate of non-voting shares from conditional to unconditional. This is a typical case that released the one-share-one-vote rule. Furthermore, a new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voting rights as something that legislator freely distributes in perspective of “corporation’s profit maximization” has also appeared. Recently, countries with multiple voting or dual-class voting system have increased because of the benefits that multiple voting shares hold in hostile merger and acquisition. For this reason, Korea has also begun a serious discussion on this matter. Although the one-share-one-vote rule cannot be said to be the absolute good, it is true that it has been treated as an infrangible concept. If so, is it impossible to make the one-share-one-vote rule flexible? In general, property rights can be regulated if there are reasonable causes. Therefore, if the nature of private interest that voting rights hold is emphasized, the differentiation can be justified to hold a relatively bigger public good. It can be further explained that providing different voting rights in purpose of producing larger profits or bigger public goods, is not necessarily violating the shareholder’s rights. In general, all provisions must be interpreted within the belonging act’s purpose of legislation and their functions. Accordingly, the one-share-one-vote rule can become flexible either under the theory of membership rights or non-membership rights. Therefore, multiple voting shares or dual-class voting shares can become valid when fixed by the articles of association. 이 글은 최근 한국 상법학계에서의 가장 뜨거운 주제 중 하나인 의결권규제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주식의 본질론은 주식회사의 본질론과도 맥을 같이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주식사원권론이 통설로 되어 있는 탓인지, 다른 논의를 찾아볼 수 없으며, 1주1의결권의 원칙이 상법상 강행규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독일과 일본의 경우에는 19세기부터 주식의 성질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전개되어 왔고, 일본은 사실상 1주1의결권 원칙을 포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복수의결권주식이 적대적 인수합병에 유용하다는 점 때문에 복수의결권 내지 차등의결권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나라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학계의 분위기는 1주1의결권 원칙을 어떠한 생채기도 내어서는 안 되는 성역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불가능한 것인가? 일본에서 주장되고 있는 정책설은 주식의 본질론을 전혀 염두에 두지 않은 채, 1주1의결권원칙은 정책적인 것에 지나지 않고,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한 배분규제의 하나일 뿐이라고 해석함으로써 회사의 이익극대화를 위하여 또는 의결권 행사의 남용방지를 위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동 원칙을 고수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재산권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그 제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결권이 가지는 사익성, 즉 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할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공익을 위한 차별은 정당화 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의결권의 인격권적 성질을 배제하고 주식의 순재산권적 성질을 강조했던 주식사원권론 하에서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는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다양한 형태로 주장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원권부인론은 공익권의 비이기적 성격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결국 비이기적인 성격을 갖는다는 것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제한이 가능하다는 해석이 가능하고 따라서 사원권부인론에 따르더라도 회사의 보다 더 큰 이익을 위해 차별적인 의결권을 부여하는 것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 것이다. 결론적으로 굳이 정책설을 취할 필요도 없이 주식의 본질을 둘러싼 학설들은 어느 학설을 취하더라도 1주1의결권원칙의 유연화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 KCI등재

        주주의결권의 사회적 개념

        서완석,남기욱,박혁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가천법학 Vol.14 No.1

        The variety of rules on shareholder voting in today's companies means that companies are distributing power among shareholders in various ways. However, our commercial law has regarded one share-one vote rule as mandatory provision. However, if you look at the history of shareholders vo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you can see that this is not the case. In addition, In addition, despite the completely different concepts of shareholder equality and equity equality, many people have confused the two into the same concept, so far the theory of legislation and interpretation has been lost and confused. Common law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has a tradition of one person-one vote rule, unless other voting rules are specified in the charter or other statutes. Behind the phenomenon lies the aversion to plutocratic voting rights, the philosophy that shareholders can have equal rights as members of corporate organizations rather than owners of part of capital, and the intention to limit voting rights to prevent power from being transferred to major shareholders. The current one share-one vote week rule rule allows companies that have lost their self-purification capabilities to corrupt and eventually collapse by expanding plutocracy and neglecting minority shareholders. Therefore, it should not discriminate against shareholders who are members of the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the entity's best decision-making body, and who are the best monitors for protecting corporate interests. After all, shareholder equality has a social concept that prevents corruption and promotes growth by distributing power among shareholders through shareholder voting and protects shareholder as a window for corporate capital raising. And shareholder equalit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modern society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I would suggest that Article 369 (1) of our Commercial Law should be changed to default rule and shareholder equality must be codified, and the system of prohibition of abuse of authority in Nordic countries should be introduced. 오늘날의 기업들에 있어서 주주의결권에 관한 규칙들이 다양하다는 것은 기업들이 주주들 간의 권력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법은 1주 1의결권 원칙의 강행규정성을 유지해오고 있다. 그런데 19세기 초부터 주주의결권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주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1주 1의결권이라는 원칙이 반드시 강행규정이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주평등주의와 주식평등주의는 완전히 다른 개념인데도 불구하고 이 두 가지를 같은 개념으로 혼동하다 보니 지금까지 입법론이나 해석론이 방향을 잃고 혼란을 겪어오지는 않았는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미국 및 영국의 보통법(common law)은 기업의 헌장(constitution)이나 기타 법령에 다른 의결권 규칙이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1인당 1개의 의결권만 갖는 것으로 보았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의 배후에는 주주들의 의결권이 보유주식 수와 정비례하는 금권주의적 의결권(plutocratic voting right)에 대한 혐오감과 주주를 자본의 일부에 대한 소유자가 아니라 법인단체의 일원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 철학, 그리고 대주주에게로의 권력쏠림을 막기 위한 의결권제한 등의 의도 등이 숨어 있었다. 현재의 1주 1의결권 규칙은 금권주의를 확대시키고 소수주주를 홀대함으로써 자정능력을 상실한 기업권력이 부패하여 결국 기업의 붕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주주총회의 구성원으로서 기업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최적의 감시자인 주주를 차별대우해서는 안 된다. 결국 주주평등주의는 주주의결권을 통해 주주들 사이의 힘을 분산시켜 기업의 부패를 막고 성장을 촉진시키고 기업의 자본조달 창구로서의 주주를 보호하는 사회적 개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주평등주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므로 현대사회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우리 상법 제369조 제1항은 임의규정으로 바꾸고, 일반조항인 주주평등주의를 성문화 하며, 북유럽 국가의 권한남용금지 규정에 대한 도입을 검토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의 활용 및 규제

        김순석(Kim, Soon Suk) 한국증권법학회 2015 증권법연구 Vol.16 No.2

        외국인투자자나 기관투자자가 국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의결권행사 자문회사(Proxy Advisory Firm)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2015년 7월 17일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관한 주주총회를 둘러싸고 삼성측과 엘리엇 매니지먼트 간에 합병에 대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대립하는 과정에서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s Inc.) 및 글래스 루이스(Glass Lewis)가 합병비율이 삼성물산에 불리하게 산정되었다고 합병에 반대의견을 개진하여 사회적으로 높은 관심을 일으켰다. 우리나라에 투자한 외국인투자자는 대부분 기관투자자이고 이들은 자국의 관련 법령에 의해 수탁자의 신인의무를 부담하며, 여기에는 보유주식에 대해 고객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의결권을 행사해야 하는 의무가 포함된다. 이들은 보유하고 있는 주식 수가 많은데 비하여 주주총회가 수개월에 집중되어 개최되기 때문에 적절한 의결권행사를 위하여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의 자문을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기관투자자들의 경우에도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를 활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최근 주식시장에서 기관투자자 및 외국인투자자의 주식보유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의 영향력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의결권행사를 지원하는 긍정적인 기능도 하지만, 또한 이해충돌의 문제가 발생하는 등 부정적인 측면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규제를 하면서도 그 장점을 활용하는 방안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의결권행사 자문회사에 관한 주요국의 규제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의결권행사 자문회사를 규제하는 경우 그 방향이나 규제의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As the ratio of foreign investo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in Korean stock market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role of institutional investors has also been expanded. Recently the merger between Samsung C&T and Cheil Industries raised sharp concern with respect to proxy advisory firms’ activities such as Institutional Shareholders Services Inc(“ISS”) and Glass Lewis & Co. from Korean society, because they published negative opinion regarding Samsung C&T’s merger with Cheil Industries. Institutional investors with portfolios of securities issued by thousands of companies often lack the manpower to analyze and vote on the high number of proxy items that relate to their portfolio companies every year during short period of proxy season. Therefore they tend to outsource the recommendation for voting decision to proxy advisory firms. Since proxy advisory firms have some positive functions of providing analysis and vote recommendation on proxy statements and also have some negative impacts if they have self interests with the clients, it is advisable to regulate proxy advisory firms to a relevant level and to utilize their meri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background of development of proxy advisory firms and the reason why institutional investors utilize them. Also it analyzes the regulatory scheme of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and Japan over proxy advisory firms. By reviewing theses regulatory scheme of major countries,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regarding policy direction and regulatory methods in regulating proxy advisory firms in Korea. Especially it suggests indirect regulation through collective investment and trust business, introducing duty of fiduciary in exercising proxy vote of owned stocks of institutional inves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