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오주석,이순철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지 Vol.25 No.2

        Speeding and drunken driving make drivers fail to detect hazards and cope with various driving situations. These behaviors also raise the possibility of being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and tend to increase the number of fatalities. The authors compared the driving behavior determinants of a reckless drivers group, consisting of individuals who have committed traffic accidents or offended regulations through drunken driving, with a normal drivers group. In the results, the reckless drivers group showed high scores of 'speeding' and 'drunken driving', and they also stated that they had more experiences of speeding, drunken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In the path analys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mpacts of the reckless drivers group's 'risk sensitivity' and 'situational adaptability' on traffic accident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normal drivers. This means 'risk sensitivity' and 'situational adaptability' can explain the origins of traffic accidents better in the reckless drivers group than accidents of the normal drivers group. 과속과 음주운전 행동은 운전자로 하여금 교통상황에 잠재된 위험을 발견하고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도록 하여 교통사고 발생 확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고 발생시 피해정도가 심하고 이 행동들에 내포하고 있는 위법성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사고 및 음주운전자 집단과 일반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과 운전행동을 비교한 결과,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과속운전행동 점수와 ‘음주운전행동 점수가 일반운전자들보다 높았다. 또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은 실제 운전행동에서도 일반운전자들보다 과속운전과 음주운전을 더욱 많이 하고 있었으며, 교통사고에서 가해자가 된 경험도 더 많았다. 경로모형 결과에서는 사고 및 음주운전자 집단의 위험감수성 부족 요인과 상황적응성 부족 요인, 과속운전행동 요인이 교통사고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운전자 집단에 비하여 더욱 크게 나타났고,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들 가운데 위험감수성과 상황적응성의 수준이 교통사고 가해경험을 더 잘 설명하였다.

      • KCI등재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과 심각도 분석을 위한 모형설정

        장태연(Jang Taeyoun),박현천(Park Hyunchu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6D

        교통사고는 사람과 자동차, 도로환경 등의 여러 요인들이 결합되어 발생됨으로 요인들에 대한 과학적,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사고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유사한 형태로 반복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인적요인은 교통사고에 있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인적요인에 의한 음주교통사고는 경각심을 갖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회적 문제이다. 연구는 교통사고자료를 활용하여 사고 빈도와 사고 심각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교통사고를 음주 및 비음주 사고로 분류하고, 비음주 사고에 대한 음주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해 로그선형모형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관계성을 분석한다.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으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비승용차 운전자보다는 승용차 운전자가 음주관련 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증가, 커브구간, 단일로, 노면 불량상태 등에서도 발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음주 교통사고의 경중을 고려한 심각성 분석을 위해 순위회귀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종속변수가 이산적 특성과 함께 순위적 특징을 보일 경우 순위회귀모형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종속변수가 정성적 표현이 아닌 단지 순위를 반영하는데 유익한 모형이다. 사고의 심각성 분석에서 교통사고 발생시간대, 기후, 도로형태, 사고유형, 성별, 차량종류 등에 의해 심각성이 가중됨을 알 수 있었다. 계절적으로는 봄과 겨울이 사고의 심각성이 증대되며 반면에 여름과 가을은 감소될 가능성이 높았다. Traffic accidents are caus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drivers, vehicles, and road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m in advance to prevent similar and repetitive traffic accidents. Especially, the human factor is most significant element and traffic accidents by drinking-driving caused from human factor have become social problem to be paid attention to. The study analyzes traffic accidents resulting from drinking-driving and the effects of driver's attribut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m. The study is composed as two parts. First, the log-linear model is applied to analyze that accidents by drink-ing or non-drinking driving associate with road geometry, weather condi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Probability is tested for drinking-driving accidents relative to non-drinking drive accidents. The study analyzes probability differences between genders, between ages, and between kinds of vehicles through odds multipliers. Second,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drinking are classified into property damage, minor injury, heavy injury, and death according to their severity. Heavy injury is more serious than minor one and death is more serious than heavy injury. The ordinal regression models are established to find effecting factors on traffic accident severity.

      • KCI등재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 특성이 위험운전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이순열,이순철,박선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3

        초보운전자들은 교통사고 다발 집단 중 하나이며, 운전경험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이들의 운전확신수준이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운전자들과 다르다. 본 연구는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초보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과 과속운전, 음주운전, 가해교통사고의 관계를 밝혀내고 운전확신수준이 가해교통사고에 이르는 경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92명의 초보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확신수준질문지와 운전경험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운전확신수준의 상황둔감성, 불안전운전, 주의집중소홀, 운전자신감 모두 초보운전자의 과속운전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황둔감성은 과속운전뿐만 아니라 음주운전과 가해교통사고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모형 분석결과, 운전확신수준은 초보운전자들의 과속운전을 22% 설명하고 있었으며, 음주운전과 가해교통사고를 각각 12%, 2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둔감성이 초보운전자들의 위험한 운전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전자신감이 과속운전을 통해 가해교통사고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novice drivers. Novice drivers get involved in more traffic accidents than the other drivers because of less driving experi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confidence levels and speeding, drunken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192 drivers responded driving confidence levels questionnaire and driving experience items. ‘Circumstance Insensibility’, ‘Unsafe Driving’, ‘Incautious Driving’, and ‘Self-efficacy of Driving’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speeding in novice divers group. Especially, ‘Circumstance Insensibilit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speeding, drunken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In the result of path analysis, driving confidence levels explained 22% of the speeding, 12% of the drunken driving and 21% of the traffic accidents in novice drivers group. ‘Circumstance Insensibility’ was most effective for traffic accidents of novice drivers. We verified that 'Self-efficacy of Driving' affects on traffic accidents via speeding.

      • KCI등재

        위험운전치사상죄의 성립 요건과 적용상의 문제점

        신이철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In the Road Traffic Act, in the case of driving in the condition of being drunk and in the condition of the blood alcohol level being 0.03% or higher, it regulates that it shall be punished without any regard to whether or not a traffic accident took place. And, in the Traffic Accident Handling Exemption Law, in the case of committing the crime of the accidental homicide during the work due to the driving while being drunk, it regulates that it shall be punished in the case of the victim not wanting a punishment, too. Despite this, as the traffic accidents due to the driving of the cars in the condition of being drunk had not decreased, in order to suppress the drunk driving accidents, by making a special case of the crime of the death by professional negligence, which has been regulated in Article 268 of the Criminal Law, regarding the crime of the death because of the dangerous driving, which is additionally punished, it was newly established on December 21, 2007 in the Law Regarding the Specific Crime Additional Punishment and the Others of the Like. And, through an amendment on December 18, 2018, the statutory punishment was adjusted upwards drastically. However, by not being able to prove the requirement that ‘It is the condition in which the normal driving is difficul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drinking of the alcohol’ clearly and definitely, the difficulty in terms of the application has been experienced. As a result, although, legislatively, there can be many kinds of plans, there is a need to make and include the objective criteria that judges the condition of the normal driving being difficult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drinking of the alcohol. Or, in other words, I think that, by presenting the numerical value (0.1%) of the specific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blood, while overcoming the problem in terms of the application, it is the saving of the purpose of the law that had been made difficultly. 도로교통법에서는 술에 취한 상태가 혈중알코올농도 0.03% 이상인 상태에서 운전하는 경우에는 교통사고의 발생 여부를 불문하고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에서는 주취 중 운전으로 인하여 업무상과실치사상죄를 범한 경우에는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취상태에서의 자동차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줄어들지 않자 음주운전 사고를 억제하기 위하여 형법 제268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업무상과실치사상죄의 특례를 만들어 가중처벌하는 위험운전치사상죄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서 2007. 12. 21. 신설하였고 2018. 12. 18. 개정을 통해 법정형을 대폭 상향 조정하였다. 그러나 ‘음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라는 요건에 대하여 수사기관은 말하는 태도, 얼굴색, 직립·보행능력 등 운전자의 상태, 교통사고 전후의 운전자 행태, 교통사고 발생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전방주시가 곤란하거나 조향 및 제동장치 등의 조작시기나 그 힘의 조절을 자신의 의도대로 수행하기 곤란한 경우 등에 해당할 때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사상죄를 적용해 입건하도록 하고 있지만, 명확하게 입증하지 못함으로써 실무상 적용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현행법상 음주운전으로 사망사고를 일으켰을 때도 교특법을 적용하면 벌금형이 나올 수도 있고, 특가법을 적용하면 벌금형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입법론적으로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겠지만 법은 언제든지 자의적으로 적용할 우려가 있는 만큼 음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를 판단하는 객관적 기준을 만들어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즉, 구체적인 혈중알코올농도 수치(0.1%)로 제시함으로써 적용상의 문제점을 극복하면서도 어렵게 만든 특가법의 취지도 살려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음주운전 예방에 관한 논의

        구효송 한국융합과학회 2019 한국융합과학회지 Vol.8 No.1

        Pupose : This study aims to seek out efficient measure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nvolving alcohol, by recognizing the severity of social problems caused by drunk driving and understanding curr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roblems related with it. Such characteristics of drunk driving, and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current institution were discussed through a theoretical debate about and an analysis on actual conditions of drunk driving as an emergent social issue. Methods : It began with the concept definition of drunk driving, and then examined related theories, in order to explore social problems caused by drunk driving and measures to resolve them.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drunk driving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s related with drunk driving currently occurring in Korean and suggest efficient alternatives, by using the formal statistical data. Conclusion :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identified,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first, the reinforcement of rigidity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authenticity were required, as a part of efforts to ensure their inhibitory effects; second, the crackdown on drunk driving by an individual method as a measure to improve the system of crackdown on drunk driving was suggested to secure the efficiency; third, punishment-centered policy as well as a problem-solving method through therapy and education were suggested as measures to reduce high second offense rate of drunk driving; finally, a measure campaigns, as a sustainable and essential solution for drunk driving was suggested.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음주운전에 따른 사회적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음주운전과 관련한 문제의현황과 특징을 파악하여 음주 교통사고의 예방을 위한 실효적 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화두로 떠오른 음주운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태분석을 통해 음주운전의 특징과 현행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음주운전에 대한 개념정의를 시작으로 제재기준과 관련 이론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한 음주운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식통계자료를 활용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음주운전과 관련한 문제의 특징을 확인하여 실효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결론 : 확인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억제효과를 담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엄격성의 강화와 더불어 확실성을 높이는 노력을 요구하였으며, 둘째,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음주단속 체계의 개선방안으로 개별적 방식에 의한 음주단속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음주운전의 높은 재범률과 관련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처벌중심의 정책과 더불어 치료와 교육을 통한 문제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음주운전에 대한 지속적이며 본질적인 해결방안으로사전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바람직한 운전문화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인식분석과 함의

        박동균,이행준 한국경찰연구학회 2011 한국경찰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 및 음주운전에 대한 실태를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대학생들의 음주운전 실태 및 인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지난 1년간 음주운전을 한 경우가 전체 응답자의 39%로 10명 중 4명의 대학생은 음주운전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달에 5회 이상 음주를 하는 대학생은 전체 학생의 59.5%를 차지하였다. 음주문화와 음주운전과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의 술잔 돌리기 음주문화가 음주운전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폭주문화 역시 음주운전에 영향을 준다는 응답이 52.2%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음주운전으로 인해 교통사고의 가능성이 많다는 응답이 83.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실태 및 인식결과에서 나타난 대학생 음주 및 음주운전 실태를 근거로 하여 음주운전에 대한 법적규제 마련,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및 지원, 대학캠퍼스 및 사회전반의 음주문화에 대하여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윤해정(Yun, Hae-Jung),김지은(Kim, Jee-E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로 사고 이후 본인은 물론 가족에까지 심각한 피해를 준 사고에 관한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20년 전 음주운전 뺑소니 차 사고를 입은 50대 중반 여성 1인으로 2020년 6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90분씩, 총 20회기 개인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회기 연구수행일지, 참여자의 회기 반영 글쓰기 자료, 축 어록과 미술 활동 작품 사진으로, 단일사례에 대한 이해와 의미형성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을 통한 단계별 심리 변화는 자기표현을 통한 정체성 인식, 자기 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형성, 자기 주도적인 소망의 변화로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작품에 나타난 심리 변화는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 관계의 변화, 자아 성장 욕구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가중된 심리적 충격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경험함으로써 자아 성장의 새로운 변화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 하였다. As a single case involving art therapy for a woman who was in a traffic accident caused by a drunk dri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e woman experienced after the incident, which has also seriously affected her family since it occurred. For this study, 20 art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from June 20, 2020 to September 2 2020; the participant was in her mid-50s a car accident involving hit-and-run 2 drunk driver 20 years ago.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include activity records, the participant’s writing materials, verbatim records, and photographs of work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records, this study involved creating two categories based on understanding a single case and meaning formation. First, the following step-wise psychological changes of art treatment experiences occurred: Identity recognition through self-expression, formation of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and change in self-directed wishes. Secon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changes occurred in art works: change of aggressive attitude, change in relations, and change of desire. As a result, the art therapy has reduced the psychological impact on a woman who was the victim of a drunk driving accident and allowed her to experienc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ositive self-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음주운전 예방홍보 포스터에 관한 연구

        조은순 한국유럽행정학회 2010 한국유럽행정학회보 Vol.7 No.1

        본 연구는 강한 상습성이 있는 음주 운전자들에게 음주운전 예방 홍보 포스터가 주는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생각하고 있는지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여 음주운전 홍보 포스터 및 음주운전 홍보 동영상 등 음주운전 예방 홍보물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음주운전 예방홍보 포스터 메시지에 대하여 결혼한 사람들인 기혼자 집단과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자 집단에서 어떠한 메시지가 강한 인상을 받게 되며, 그 메시지로 인하여 음주운전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지 등 각 포스터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혼자 집단과 미혼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이유는 운전면허증은 만18세부터 취득 할 수 있으나, 실제로 도로에서 운전을 하는 연령층은 30-40대 사람들로 이들은 대부분 결혼을 하여 가정을 이루고 있는 기혼자이기 때문이다. 30-40대 연령층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5%에 해당하고 있으며(통계청(http://www.kosis.kr, 2008년말 기준, 31-49세 인구), 경제활동인구의 52%에 해당한다(통계청(http://www.kosis.kr, 2009.10말 기준(31-49세 경제활동인구). 또한 음주운전자의 56.1%1)에 해당하는 운전자가 30-40대 운전자이므로 이들집단의 음주운전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거두기 위한 광고문안의 선택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박동균,이행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1 Crisisonomy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들의 음주운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결과, 전체설명력(R²)은 44.9%로 나타나 설명력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F값이 43.796, 유의확률이 .000으로 회귀방적식 유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주운전의도” 요인(.420), “행동통제력 지각”요인(-.202)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들에 해당되는 20대의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 수 대비 사망자 수의 비중이 큰 이유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자신의 운전 실력을 과신하려는 성향이 크고 법 준수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들 연령층에 대한 개별화된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공동체의 가치와 사회적 역할 및 책임감을 고취시키고 특히 사회적 유대관계 속에서 자신의 음주운전 행위에 대한 책임성을 자각하게 하여 스스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길러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ian' consciousness of the drunken driving.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ian' consciousness of the drunken driving of the total variance regression analysis(R2) is shown as 44.9 percent, F value 43.796, significant regression equation is high(p<.000). Also "drunken driving purpose(.420)", "perceived behavioral control(-.202)" i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can be found in a large proportion of driving fatalities compare to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the 20s'-who are university students- drunken driving. That is because the 20s have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ir driving skills, and they are unaware of importance of legal compliance. For this age group, individualized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to encourage the society's values,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Especially, raising their control over their behavior by be aware of responsibility for drunken driv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 KCI등재

        위험운전치사상죄에 있어서 ‘음주 또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의 의미- 대법원 2018. 1. 25. 선고 2017도15519 판결-

        김택수 한국경찰법학회 2024 경찰법연구 Vol.22 No.1

        Il y a longtemps que le problème des accidents de la route causés par la consommation d'alcool est devenu un problème sérieux dans notre société, et en 2018, les sanctions pour conduite dangereuse ayant entraîné la mort ou des blessures ont été considérablement renforcées en vertu de loi sur l'aggravation des sanctions pour des délits spécifiques. Pourtant, au regard des éléments constitutifs, en raison de la similitude et de la relation complémentaire avec le délit de causer la mort ou des blessures par conduite en état d'ivresse incriminé parla loi sur le traitement des accidents routières, il est nécessaire de distinguer clairement les deux délits. L'arrêt visé s'appuie sur les jurisprudences existants de la Cour de Cassation et de la Cour constitutionnelle sur la signification de "un état dans lequel la conduite normale d’un véhicule est difficile sous l’influence de l’alcool ou de drogues", qui peut déterminer la différence entre les deux délits. L'arrêt visé a cassé de jugement de deuxième instance considérant qu’il a été jugé difficile de déterminer que l'accusé se trouvait dans « cet état difficile ». La décision indiquait spécifiquement qu'il était difficile de croire que l'accusé avait conduit de manière anormale ou que l'accident s'était produit en raison d'une conduite anormale juste avant l'accident, et qu'il était difficile de dire que l'accusé était gravement ivre en vertu du rapport rédugé par la police concernat les condition de conducteur. Cependant, le fait que l'arrêt visé a considéré ce délit comme un cas particulier de délit de causer la mort ou des blessures par négligence professionnelle ne peut être considéré comme valable au regard de l'objectif législatif, protégé intérêts légaux ou nature juridique de ce délit. Les critères de jugement présentés dans l'arrêt visé ne fournissent pas de norme claire pour déterminer avec précision « un état dans lequel la conduite normale d’un véhicule est difficile sous l’influence de l’alcool ou de drogues», et montrent simplement des signes de l’état général du conducteur et du comportement au volant dus aux effets de l’alcool. Pour déterminer si ce délit est établi ou non, il ne se base pas sur l'état du conducteur, mais plutôt sur un comportement de conduite qui exprime objectivement des risques spécifiques tels que le non-respect des feux de circulation, la vitesse excessive ou franchir la ligne médiane. Grâce à cela, nous pourrons échapper aux critiques concernant une législation excessive et une application arbitraire de la loi. 음주로 인한 교통사고의 문제가 우리 사회의 중대 현안으로 자리 잡은 지가 오래되었으며, 2018년 특가법상의 위험운전치사상죄에 대한 처벌이 대폭 강화되었으나 구성요건의 측면에서 교특법상의 음주운전치사상죄와의 유사성 및 보충적 관계로 인하여 두 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대상판결은 두 죄의 차별성을 가늠할 수 있는 ‘음주 또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의 의미에 대한 기존의 대법원 및 헌법재판소의 판례의 입장에 근거하여 피고인이 ‘음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보아 파기하였다. 대상판결은 구체적으로 피고인이 사고 직전에 비정상적인 주행을 하였거나 비정상적인 주행 때문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보기 어렵고 보았으며, 더불어 경찰이 작성한 주취운전자 정황진술보고서를 근거로 피고인의 주취상태가 심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그 이유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대상판결이 특가법상 위험운전치사상죄의 성격을 업무상과실치사상죄의 특례라고 본 점은 본 죄의 입법취지나 보호법익, 법적 성격의 차원에서 타당하다고 볼 수 없다. 위험운전치사상죄는 ‘음주 또는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한 상태’에서 고의로 운전을 함으로써 구체적 위험을 발생시키고 그 결과 주의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과실로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죽게 한 특별한 결과적 가중범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그에 따라 위험운전치사상죄에 내재된 인과관계의 구조와 불법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여야 한다. 대상판결이 제시한 판단기준은 ‘정상적 운전이 곤란한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되지 못하며, 단순히 음주의 영향에 따른 일반적인 운전자의 상태와 운전행태의 징후들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위험운전치사상죄의 성립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상태를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신호위반, 과속, 중앙선 침범 등 구체적 위험이 객관적으로 외부로 표출된 운전행태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과잉입법에 대한 비판과 자의적 법적용이라는 비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