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적 지식으로서의 음악과 수업전문성 형성에 대한 질적 탐구

        정진원 ( Chung Jin-won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교육 경험의 구성자이자 매개자로서 수업의 과정에서 교사가 내포하고 있는 역할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연속적인 맥락에서 음악 교과적 특수성에 입각한 음악수업전문성의 실천적 의미와 구성요인을 이론적, 경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교사의 심화된 능력을 의미하며 교수학습전략지식, 학생이해지식, 교과 내용지식, 교육환경지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지식들을 포함한다. 음악과 수업전문성도 교육학 일반에서의 수업전문성요인들을 동일하게 공유함과 동시에 음악적 지식, 음악적 표현 기능, 음악적 교수실행능력과 같은 교과 특성적인 요인들이 관여된다. 초등교사 8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연구에서는 이론적 탐구에서 제시된 수업전문성 요인들이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음악에 대한 가치화’, ‘음악수업에 대한 동기화’ ‘음악수업에 대한 성찰’이 주목할 만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내재적 지식이 ‘수업’을 통하여 ‘좋은 음악수업’ 나아가 ‘음악수업의 전문성’으로까지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내면에 축적된 음악에 대한 ‘가치관’이 전제되어야 하며 지속적으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자 하는 내적 의지가 주요하게 작동한다고 해석된다. 향후 논의에서는 수업전문성을 발전시키는 교사 내면의 정향적 요인들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contemplated importance of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of music instruction and also investigated concept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as practical knowledge and its formation within the music teaching process. On theoretical perspective teaching professionality means intensified ability of delivering knowledge to students which includes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knowledge about students, content knowledge of subject, and knowledge of teaching environment. Professional knowledge of music teaching surely requires same kind of knowledges for education in general, also demands specific knowledge for music teaching like musical knowledge, skills for musical expression, executing music teaching strategies. 8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qualitative investigation applying grounded theory. From the results, this study found most of knowledge factors that main theories suggested, and it can be possibly interpreted that teacher’s valuation of music and willness for ‘good teaching’ are also critical factors for self-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ty. For future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s teachers’ inner orientation toward value of music for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박주만 ( Park Joo Ma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 초등교사들이 겪었던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개학 이후 시작된 원격 음악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 9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 음악수업 실행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첫째, 음악 저작권 이해 부족 및 사용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음악 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수업 구성의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 준비 및 운영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넷째, 원격수업 활용 기기 사용에 대한 미숙함과 과도한 제작 시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이 없는 획일적이고 경직된 수업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첫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 방법 및 다양한 수업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을 위한 음악 저작권의 완화 및 자유로운 활용을 위한 공익적 성격의 음악저작물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원격 음악수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용 악기 지원 및 대여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class management in the recent process of implementing remote music classes due to COVID-19 along with support plans. For this,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9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remote music classes that began after the first day of school online. Associated analysis resul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mote music class implementation processes included first, difficulties with a lack of understanding of music copyrights and their use.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lass compositions due to limitations of musical activities. Third, teachers were experiencing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the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here were difficulties as there was a lack of skill in the use of devices that utilize remote classes and with production time consumption. Fifth,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uniform and stiff classes that lacked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upport plans presented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such untact remote music classes included, fir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lass material and teaching methods for remote music classes. Second, music with a public nature should be produced for the mitigated and liberal use of music copyrights for classes. Third, physical environments should be constructed for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mpower remote music classes. Fifth, educational instruments should be supplied and r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

        왕천,오사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Creative Music Appreciation Class Design Using Movie MusicWang Qian & Wu Sim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usic listening class that can enhanc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through classical music listening activities inserted in movies.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an instructional plan for appreciation class using film music were designed.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educational values ​​of film, music, creativity, and film music were investigated, and a lesson plan was presented based on the music appreciation less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a self-directed class would be possible by arou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through creative music appreciation class design using movie music. Second, the music appreciation class model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reativity. Third, it was found that by watching both movies and music, they could learn how to feel and express various emotions and know the beauty of music.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meaningful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will continue, allow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 and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in music appreciation classes.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on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presentation of lesson design guidance, it is necessary to study its effectiveness after applying it to the classroom in future studies. Key Words: Movie Music, Creativity, Music Appreciation, Teaching Appreciation, Class Design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왕 천*ㆍ오 사 민**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영화 속에 삽입된 클래식 음악 감상 활동을 통해 초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창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음악 감상 수업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 방식과 영화음악을 활용한 감상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내용으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영화와 음악, 창의성, 영화음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토대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 첫째, 영화음악을 활용한 창의적 음악 감상 수업 설계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자기주도적인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감상 수업모형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화와 음악 모두를 감상함으로써 다양한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는 방법을 습득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체험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있는 음악 감상 교육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및 수업 설계 지도안 제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수업에 적용한 후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영화음악, 창의성, 음악 감상, 감상 지도, 수업 설계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9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세종대학교 음악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wangq916@naver.com)** 교신저자, 세종대학교 음악학과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Sejong Univ., Email: wsminkr@naver.com)

      • KCI우수등재

        FGI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 음악 수업 개발 방향 탐색

        민경훈(Kyung Hoon Min),임은정(Eun-Jung Lim)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학교음악 수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효율적 온라인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은 초⋅중⋅고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비대면 집단심층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으며 온라인 서면 응답과 실시간 영상 면접을 통해 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자료는 FGI질문 문항과 답변 내용에 따라 주요 주제 단위로 온라인 음악 수업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구체적방안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음악수업 콘텐츠는 온라인 음악 수업 환경의 개선과 온라인 음악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변화, 온라인 음악 수업에 최적화된 수업 플랫폼의 개발, 국가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 수업 콘텐츠의 개발, 실시간 음악 수업을 위한 학교 맞춤형 소프트웨어의 개발 등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online music class content and provide directions for efficient online content development applicable to school music class site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non-face-to-face group interviews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teachers and collected survey data through online written responses and real-time video interviews. The researchers used the survey materials as concrete measures for developing online music class content on the main topic basis,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answer of the questions. This study shows that online music class content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online music class environment, changes in positive perception of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optimized class platforms for online music classes, development of music class contents according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school-specific software.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의 감상 수업에 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

        신혜경(Shin Hae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의 음악 감상 수업에 대한 인식 형성 과정 탐색을 목적으 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예비음악교사들은 감상 수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형성해나가는가? 예비음악교사들이 감상 수업의 계획 및 시연 과정에서 경 험하는 어려움과 보람은 무엇인가? 3) 예비음악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감상 수업과 이를 위하여 요구되는 교사 역량은 무엇인가? 연구 대상은 A 대학원 ‘감상지도법’ 강 좌를 수강한 예비음악교사들이며, 수업반성저널과 수업지도안, 동료 및 자기평가지, 그리고 연구자 연구일지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은 문헌 고찰과 수업시연에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감상 수업의 개념을 구체화하였으며, 특히 감상 활동의 인지적인 측면에 주목하였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수업시연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수업지도안의 논리적 구성 과 교수 학습 자료의 선정 및 제작, 다양한 시대와 장르를 포괄하는 감상 수업의 범위,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학생의 수준 이해와 소통, 인지적 활동 촉진을 위한 피드백 제공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비음악교사들은 자신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 발견, 다양한 주제의 감상 수업 가능성 탐색, 시연에 대한 동료들의 공감과 인정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음악교사들은 좋은 감상 수업의 요인을 명확한 학 습목표 설정, 수업에 대한 논리와 타당성, 다양한 활동을 통한 몰입, 학습자 스스로 사 고할 수 있는 시간, 음악을 듣고, 느끼고, 사고하고, 표현하기의 연계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한 교사 자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 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을 예비음악교사의 관점에서 탐색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their reflective journals. Fifteen pre-service music teachers who had taken the Teaching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reflective journal entries for every class during the semester, including midterm and final reflective journal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 concepts about the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reciation? 2) What problems di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ncounter while planning their lessons? and 3) Based on their experiences during this course, what did they find to be significant for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nd which qualifications did they think music teachers should possess for effective instr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constructed the concepts of music appreciation by analyzing literatures and experiencing microteaching processes. Second, overall,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 of designing lesson plans, selecting and producing the teaching materials, and covering the broad range of learning content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y discovered the topics they wanted to specialize in, realized the potential of various types of music appreciation lessons, and received empathy and recognition from their peers. Third, the pre-service music teachers identified the conditions of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along with the necessary qualifications of music teachers as follows: definite learning objectives, validity and logic about the instruction, learners’ immersion, reasonable time allotted for thinking, the process of listening to and sensing music, and thinking about and expressing their idea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made suggestions for enhancing reflective pre-service music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음악과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승윤희,정진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good instruction that equally apply to music studies by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andards and conditions of good instruc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good music instruction, had done through FGI. An investigation of teachers’ opinions was done under the three categories of the ‘meaning', ‘factors' and ‘methods for diffusion' of ‘good music instruction'. Participating teachers responded that 1) good instruction in music is ‘one that students enjoy', one that is based on a systematic ‘study plan', ‘one that stimulates musical sensibility' etc. For 2) the factors of good instruction, the teachers replied that along with the factors that show up in general good instru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department' are necessary. In the case of 3) methods for spreading good instruction, the response came from three aspects: teachers, students and the environment. In particular, from the teachers' aspect, it was mentioned that music education specialty must be secured and to make this a reality, it was said that a teacher-based class community should be vitalized and that opportunities of sharing good instruction examples amongst one another should be expanded. However, whenever there is a discussion according to a category, issues such as ‘study plan', ‘study means', ‘interaction', ‘teacher professionalism' etc. have been brought up repetitively and connectedly. This research has meaning in that it expands the discussion of 'good instruction in music' within a logical framework and in that it provides an organized direction and a new perspective to viewing music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및 조건 등을 고찰함으로써 음악과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좋은 수업의 특성을 탐색하고, 집단심층 면담(FGI)을 통해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음악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인식조사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 ‘요인’, ‘확산을 위한 방안’이라는 세 가지 범주에서 실시되었다. 참여교사들은 1) 좋은 음악 수업이란 ‘학생이 재미있어 하는 수업’, 체계적인 ‘수업 설계’에 기반한 수업, ‘음악적 감성을 자극하는 수업’ 등으로 응답하였고, 2) 좋은 음악 수업의 요인들로는 일반적인 좋은 수업에서 나타나는 요인과 함께 ‘음악과 특성에 따른 요인’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3) 좋은 음악 수업의 확산을 위한 방안으로는 교사, 학생, 환경 측면에서 응답하였는데, 특히 교사 측면에서는 음악수업 전문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을 언급하였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중심 수업공동체의 활성화와 좋은 음악 수업의 사례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범주별 논의마다 ‘수업설계’, ‘수업방법’, ‘수업성찰’, ‘상호작용’, ‘교사 전문성’ 등 다수의 요인들은 ‘음악과 특성’과 함께 반복적이고 연계적으로 언급되었다. 본 연구는 논리적인 틀에서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고, 음악 수업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과 정리된 방향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 수업 설계 컨설팅 사례 분석

        이지현 ( Ji Hyu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음악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음악 수업 설계 컨설팅 사례를 분석하였다. 음악 수업 컨설팅은 음악수업 능력이 검증된 컨설턴트의 체계적인 지도와 지속적인 피드백의 과정 속에서 컨설티가 음악 수업을 개선해 가는 과정으로, 음악 수업을 하는 교사의 음악 교수 능력 향상과 음악 수업 전문가로서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효과적인 음악 수업 컨설팅을 위해서 컨설턴트는 음악 수업 교사에게 필요한 음악 지식, 수업에 대한 이해와 가창 기악 등의 실기 지도 능력, 수업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음악 전문성 신장에 관한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발적으로 음악 수업 지도안 설계 컨설팅을 의뢰한 경기도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각 4회의 1:1 대면 컨설팅을 하였다. 컨설팅 결과 컨설팅 참여자인 컨설티와 컨설턴트가 수평적인 관계가 형성되었을 때, 대면 컨설팅을 하였을 때 컨설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음악 수업을 위한 수업 설계를 할 때 음악 교육 전문가에 의해 제작된 수업 설계 체크 리스트를 이용하여 수업 설계 및 분석을 한 것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컨설티가 개인적으로 음악적 능력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음악 교수 능력과 올바른 수업 설계와는 별개가 될 수 있으므로 음악 교육 전문가인 컨설턴트의 조언을 받는 과정이 필요하고, 각각의 컨설티가 가지고 있는 음악적 능력이나 음악 실기 지도 수준이 다를 때에는 각각의 컨설티에 맞는 방법을 사용하여 개인별 맞춤 컨설팅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컨설팅 결과 보고서는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고 컨설팅 과정에 대한 반성 및 추후 컨설팅에 대한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업 컨설팅은 컨설티 뿐만 아니라 컨설턴트의 컨설팅 전문성 신장에도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컨설티들은 지속적인 음악 수업 설계 컨설팅을 희망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music class plan consulting case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ic class. This research has selected 4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 of Gyunggido as research targets, which have voluntarily requested the music class plan consulting, and each has performed four 1:1 face-to-face consulting. As the result of the consulting, the consulting has executed more efficiently when thee consultee and the consultant developed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t the face-to-face consulting. During the class plan for the music class, it was effective to plan and analyze the class using the class plan checklist, created by a musical education expert. And even if the consultee has an individual musical ability, the musical ability and a correct study plan may be different, so a step is necessary to receive the advice from an expert consultant in music education, and it was effective to perform an individual matching consulting, when musical ability or level of practice musical education are different, you have to use a method corresponding to each consultees. Consulting Report is summarized overview of the consulting and is used as a reference for later reflection and consultation on the consultation process. We learned that the study consulting has help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nsultant``s consulting not only for the consultee and the consultees wanted a continual music class plan consulting.

      • KCI등재후보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중등 음악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승윤희 ( Yunhee Seung ),정진원 ( Jin-won Chung ) 미래음악교육학회 2018 미래음악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일반적인 특징, 기준 및 조건 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중등 음악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좋은 음악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학교 음악 수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와 요인을 중심으로 집단 심층면담(FGI)과 개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NVivo 9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좋은 음악 수업’이란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는 수업이며 학생의 음악적 성장에 기여하고 음악 활동의 가치를 내면화시킬 수 있는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요인 분석에서는 내용 분석을 통해 24개의 세부요인들을 추출하였으며, 이 세부요인들을 FGI 내용 전개의 맥락과 내용의 관련성을 반영하여 ‘교사 요인’, ‘학생 요인’, ‘수업 요인’의 세 가지 축 요인으로 재분류하고 축 요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해석하였다. 세 가지의 축 요인 중 ‘교사 요인’은 학생의 특성을 파악하여 실제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수업과 관련된 대부분의 판단과 선택,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의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학생 요인’은 음악 수업의 전 과정에서 교사가 수행하는 수업과 관련된 선택과 결정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좋은 음악 수업’ 원인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상으로서의 ‘좋은 음악 수업’은 음악적 의미를 공유하기 위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좋은 음악 수업’의 의미를 실천적 관점에서 확장하여 ‘음악적 성장을 위해 학생과 교사가 함께 만족할 수 있는 합의점을 찾아가는 음악활동 가치 생성의 과정’으로 제안하였다. Being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implications for music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the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good music instruction’, which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based on understanding general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a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ividual questionnaires based on the meaning and factors of ‘good music instruct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NVivo 9. Teachers understood 'good music instruction' as classes where students could concentrate and classes that could contribute to students’ musical development and internalize the value of music activity. In terms of factor analysis, 24 detailed-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fter reflecting the content development of the context and relevance of the FGI, these sub-factors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primary factors of ‘teacher factor’, ‘student factor’ and ‘instruction factor’,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main factors were interpreted. Among the three main factors, the role of the ‘teacher factor’ was to be the mediator in most class-related judgments, choices, and decisions affecting the clas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carrying out an actual class, afte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a student. The role of the ‘student-factor’ is considered the main cause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that it is the basis of the selections and decisions related to the classes that instructors perform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of music classes. Therefore, ‘good music instruction’ as a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a teacher-student interaction to share musical meaning.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original meaning of ‘good music instruction’ in a practical perspective, by suggesting the term as ‘a process of creating value for music activity in which the student and teacher find a bilaterally satisfying agreement for musical develop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 나타나는 교사 발문 분석

        김지혜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을 계획 및 실행하여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교사로서 음악수업을 직접 실시한 실행연구방법으로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관련된 선행 연구와 국내외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기준을 바탕으로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3회의 실행 주기로 총 7차시의 음악 감상수업을 계획하였다. 수업을 계획하면서 교사 발문은 사실 확인 위주의 수렴적 발문에서 점차 학생들의 분석, 해석을 요하는 발산적인 발문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수업 단계를 진행할수록 단순한 느낌을 묻는 발문에서 음악 요소와 연관지어 표현적 특징을 묻는 발문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수업을 한 후 녹화 자료를 전사하여 교사 발문과 학생 수행을 분석하였다. 교사의 수업 성찰 일지, 수업에 사용한 자료, 학생 활동 결과물, 학생 인터뷰 등을 추가로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한 주제의 수업이 끝나면 분석 후 개선점을 반영하여 다음 수업을 수정, 보완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3차 수업까지 실시한 후, 분석 내용을 종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 발문과 수업 활동에 따른 학생의 성취 변화는 ‘음악 요소를 점차 구체적으로 표현하게 됨’, ‘음악 요소에 따라 음악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나타내게 됨’, ‘음악에 대한 해석과 가치판단을 적극적으로 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 기대되는 교사의 발문을 보다 구체화하고, 음악 감상수업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questions that appear by planning and implementing elementary school music listening classe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to December 2023 as a practical research method in which the researcher directly conducted music classes as a teacher.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and music curriculum standards, a framework for analyzing teacher questions in music listening classes was created. The researcher planned a total of 7 music listening classes with 3 execution cycles for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planning the classes, teacher questions consisted of divergent questions that gradually required studen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rom convergent questions focused on fact-checking. In addition, as the class stage progressed, it was structured to change from questions about simple feelings to questions about expressive characteristics in connection with music elements. After the classes, the researcher transcribed the recorded data to analyze the teacher question and student performance. The teacher's reflection journal, meterials used in the classes, student activity results, and student interviews were additionally used as analysis data. At the end of the class on one topic, the next class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y reflecting the improvements after analysis. After conducting the 3rd class in the same way, the analysis contents were synthes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achievement changes according to teacher questions and class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ncreasingly more specific expression of music elements," "expression of how music is expressed according to music elements," and "active interpretation and value judgment of music." Through this study, teachers' questions expected in elementary school music listening classes can be further specified,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music listening classes can be provided.

      • KCI등재

        비대면 음악 온라인 원격 수업 실태 연구

        임은정,권수미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online remot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non-face-to-face music cours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online music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37 secondary music teachers who conducted non-face-to-face online distance classes for the first semester of 2020 for 'COVIC 19'. The survey questions consisted of selective and descrip- tive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response ratio of each item to the total response result of each question, analyzing the extraction of major elements of the narrative content, and statistics on the narrative content centered on the major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had a lot of difficulty in learning the composition and method of teaching using new media while conducting online classes in non-face-to-face music sub- jects, but at the same time, they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new changes in music subject classes and sought directions for development. To improve online music cla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developed an online music subject class operation manual and sys- tem, prepared a plan for reducing and reorganizing the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online classes, and for online music practice activities. Build a music class platform. Music teachers should study online music class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subjects and the musical level of students, and develop online music class contents to make efforts to conduct online classes suitable for students. Above all,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competence of music teachers is required for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online music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비대면 음악교과 온라인 원격 수업의 운영 실태와 음악 교사 인식을 조사하 여 온라인 음악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으로 2020년 1학기 동안 비대면 온라인 원격 수업을 실시한 중학교⦁교등학교 음악 교사 37명의 온라인 설문 조사 응답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문항은 선택형과 서술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 결과는 각 문항 총 응답 결 과 대비 각 항목의 응답 비율의 분석, 서술 내용의 주요 요소 추출 분석, 주요 요소 중심의 서술 내용 통계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중등 음악교사들은 비대면 음악교과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수업 구성과 수업 방식을 익히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나, 동시에 음악 교과 수업의 새로운 변화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기회가 되었다. 온라인 음악 수업의 개선을 위해 교육부와 지역 교육 청은 온라인 음악교과 수업 운영 매뉴얼과 시스템을 개발하고,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음악 교과 교육과정과 수 행평가의 축소와 재편성 방안을 마련하며, 온라인 음악 실기 활동을 위한 음악 수업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해야 한다. 음악 교사들은 음악 교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음악적 수준을 반영한 온라인 음악 수업을 연구하고, 온라 인 음악 수업 콘텐츠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노력을 실천해나가도록 해 야 한다. 무엇보다 온라인 음악 수업의 계획과 운영을 위하여 지속적인 음악 교사의 역량 개발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