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물체 동역학 조건을 고려한 다축 로봇 프레임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이수민(Sumin Lee),김승규(Seunggyu Kim),강남우(Namwoo Kang)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The lightweight and strength design of the robot fram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Optimization via CAE facilitated design for a single part. However, in the case of a kinematic system consisting of multiple links, many trial and errors are required to use the existing design methods. This study constructs a framework for inverse design by learning the frames of the 4-bar link mechanism robot arm generated by parametric design through FEA. Each link used up to 14 design variables to generate massive data. As a result, a set of link combinations corresponding to boundary conditions with the stiffness values obtained through FEA automation can be used for deep learning.

      •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희진 ( Hee Jin Bae )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09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주관적 음악감상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음악능력 발달(듣기, 리듬표현, 노래 부르기, 악기다루기, 음악적 창의력)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주관적 음악감상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의 신체표현능력 발달(동작의 다양성, 방향성, 시간성, 흐름변화, 표현성)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K유치원과 S유치원 2곳의 만 5세 유아 48명을 실험집단 24명, 비교집단 24명으로 구성하였다. 음악능력 검사 도구는 Loten과 Walley(1979)의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에 제시된 총 89개 문항의 음악발달 검사를 이영희(2004)가 32문항으로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신체표현 능력 검사를 위해서는 Laban(1975)의 이론을 기초로 배현숙(1990)이 작성한 도구를 김은심(1994). 주미정(1998), 김미중(2004)이 수정, 보완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기간은 17주간이었으며, 실험집단에서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주관적 음악감상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검사자 훈련, 예비검사, 사전검사,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주 2회로 총 24회를 13주에 걸쳐 실시, 사후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유아들의 음악능력 발달과 신체표현능력 발달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발달과 신체표현능력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두 집단 음악능력, 신체표현능력의 하위요소 사전 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향상이 있었다. 즉 음악능력 발달 하위요인인 듣기, 리듬표현, 음악적 창의력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신체표현능력 발달에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신체표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활동임을 말하며 유아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on children`s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The main issu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musical skills (such as, listening skills, rhythm expression, singing, instrument manipulation, musical original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with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expressive movement ability (such as, diversity of motions, orientation, timing, flow variation, expressivity)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with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the comparison group with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48 children with 5 years of age from K and S kindergarten in Tae-gu were includ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 with 24 children and comparison group with 24 children. Musical skills were examined by 32 modified questions by Lee Young Hee(2004) extracted from 89 questions in Recording Skill Development in Music by Loten & Walley(1979). Expressive movement ability was measured according to Bae Hyun Suk`s method based on Laben`s theory(1975) modified by Kim Eun Sim, Ju Mi Jeong, Kim Mi Jung.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was performed for the experiment group and subje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y for the comparison group for 17 weeks. Inspector training, pre-measure, preliminary exam, and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and post-measure were taken twice a week for 13 weeks sequentiall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ANCOVA`s test with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s subcomponents was used to compare both groups. Results are as follows. Musical skill development, including listening, rhythm expression, and musical originality as subcomponents was improved with the experiment group. Seco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development was improved with the experiment group. In conclusion, musical element based appreciation activit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musical skills and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nd can be applied directly to education fields.

      • 유아의 음악 감상을 통한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음악능력 및 음악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장영희 ( Young Hee Ang ),오연주 ( Yeon Joo Oh ) 한국유아체육학회 2011 한국유아체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유치원 음악 활동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인 음악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체계적 음악 감상 활동을 구안하고, 주제중심의 음악 감상 활동 수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음악 감상 활동을 통한 통합적인 음악활동이 음악능력 및 음악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B유치원의 만4세 유아 60명과 만5세 유아 60명 총 12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의 음계 청음능력, 음악적 개념 및 음악적 창의성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음악 감상 활동은 1회에 30분씩 16회에 걸쳐 7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감상활동이 종료된 뒤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첫째, 유아의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 능력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음계 청음능력에서는 여아가 남아에 비해 더 민감하며, 음악 감상에 기초한 통합적인 음악활동은 유아의 청각기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 감상을 통한 통합적인 음악활동은 유아의 음악적 개념발달에 있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이 영향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며, 넷째, 유아들의 성장 특성에 따른 통합적인 음악 활동을 한 유아들은 전형적인 음악활동을 한 유아들보다 음악적 창의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악 감상을 통한 통합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systematic music activities that can help young children with their musical growth and to present a model class for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focused on themes. As well, it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ed music activities through young children`s music appreciation on musical abilities and musical creativities. For these purposes, a pre-test on aural perception of musical scale, musical concepts and musical creativity was conducted among the subjects of total 120 young children (60 four-year-olds and 60 five-year-olds) at B Kindergarten in Daegu. And then, music was played for children`s music appreciation for 30 minutes at a time, making 16 sessions in all for 7 weeks. The post test was conducted with the same tool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music appreciation affects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musical abilities. Second, as to the findings concerning the differences in aural perception abilities of musical scale by sex and by age reveal that girls respond to sounds more sensitively than boys, and the four-year-olds and five-year-olds have similar responses. Third, musical concepts can develop when children are given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ir development. However, in the musical concept test by sex,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with overall significance level of p<.05. Fourth, it is found that those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ir growth show higher scores in musical creativity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conventional music activities. Therefore, it is proved that children`s creativity improve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other words, integrated activities through music appreciation including listening to sounds and searching,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re effective to promote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예술경험영역 음률(음악) 및 음악활동 내용분석

        김영연,이성화,김경숙,김복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 activity plans provided in the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three- to five year children and belonged to an art experience categor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provided activity goals match with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ssessment as well. From the review of related materials o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Tyler's curriculum plan model of goal, contents and methods and assesment was utilized as a analysis to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goal was not matched with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there was weak connect between the music subject knowledge and curriculum. In other words, music knowledge was not reflected to the activity plans, also no guideline was provided regarding assesment for each activity. This implies that there is need for a clearly mentioned arts experience activity plans in the teaching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the pursuit of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lso it was suggested that requires exist professional academic communication among the music, curriculum and education professional scholars in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음악 활동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제시된 활동안의 음악 활동의 목표가 활동영역의 관련요소와 관련성이 높은지, 목표가 활동서술어로 구체적이며 명확하게 진술되었는지, 활동 내용과 방법의 선정이 발달수준과 목표 도달에 적합한지, 유아가 목표에 도달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일은 추후 음악교육에 기초를 둔 유아교육과정 발달에 도움을 줄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관련 문헌과 1985년 이후 최근까지 발행된 유아교육과정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및 유아음악교육 관련 단행본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음악활동안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음악 활동안의 목표와 내용범주-내용-세부내용과의 관련성이 미약하다는 점, 목표 진술의 구체성과 명확성이 부족하며, 진술된 활동내용과 방법으로는 목표 도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점과 유아의 목표도달 여부에 대한 평가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점이 밝혀졌다. 이는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활동은 음악교과학, 유아교육학, 교육과정의 내용지식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수립의 단계로부터 연구 검토된 내용이, 활동 목표의 설정, 활동 내용과 방법의 선정, 활동 후 목표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평가에 대한 내용을 교사용 지침서에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유아교사의 현장 활용을 돕고 궁극적으로는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유아교육과정의 개발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통합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유아가 경험하는 음악활동의 의미

        장혜원 한국음악치료학회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0 No.2

        이 연구는 통합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교과과정의 음악활동에서 장애유아가 어떤 경험을 하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둔 질적연구이다. 이 연구는 7주간 시행되었으며 질적인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일반교사 3명, 통합지원교사 5명, 일반유아 18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본 연구자는 그 내용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나는 음악이 좋다.’, 둘째, ‘음악활동에서 내 자신이 변화된다.’ 셋째, ‘음악활동에서 나를 아는 다른 사람들이 변화된다.’. 넷째, ‘음악활동은 나의 IEP 목표성취를 돕는 중요한 활동이다.’라는 4개의 주제가 나타났으며 8개의 하위주제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통합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활동이 장애유아에게 개인적, 사회적인 변화를 경험케 하는 유익한 활동이지만 장애유아의 다양한 영역의 IEP 목표가 성취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계획된 음악활동을 제공해야 한다는 음악활동의 나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on how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music activities in inclusive child-care center. Data from 7 week observation of the researcher, and interview from three teachers, five special educators, and eighteen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four main themes: 1) I like music, 2) I change of myself in music activities, 3) Others who know me are changed in music activities, and 4) music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my IEP objective accomplishment. In addition, eight sub themes were revealed.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sed music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to share emotion with each other and to interact with peers equally. IEP objectives were accomplished through music activities, and objectives of social/emotional skills were being accomplished. Music activities were so helpful to chang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thers, and relations with others. Thus, through them IEP objectives could be accomplished. However, it is proposed that music activities be organized for IEP objective of cognition, self-help, and verbal/communication skills.

      • KCI등재

        음악 요소 중심의 초등 음악 창작 활동을 위한 개선 방향 탐색 및 대안적 자료 분석

        정윤정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eative activities presented in『Magic Finger Piano』 method books as an alternative material for creative activities centered on music elem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esent them as appropriate source for music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purpose, previous research on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and creative activities of current 3-6th grade textbooks was 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suggestions,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materials of creative activities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derived. This study then analyzed 11 representative creative activities presented in a total of seven volumes of 『Magic Finger Piano』 method book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being an alternative source for creative activities in elementary musi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eative activity materials contained in 『Magic Finger Piano』 as rhythm-centered creative activities using one note, rhythm-centered creative activities using two notes, a various scale-centered creative activity as mode or minor, melody centered creative activities, and form-centered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se musical creative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direction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was satisfied by securing diversity of musical genres and activitie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Although the textbook was developed for piano learners, materials that could be reproduced and implemented as improvised performances were presented using classroom instruments such as xylophone, recorder, and melodion as well as piano. Teachers are also required to continue research so that more diverse creative activities can be applied based on these material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제한된 음악 요소 중심의 창작 활동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대안적 자료를 분석하고,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과 현행 초등학교 3∼6학년 교과서의 창작 활동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제언을 바탕으로 초등 음악교과서의 창작 활동 자료의 한계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어『매직핑거 피아노』 레슨 교재 총 7권에 제시된 11개의 대표적인 창작 활동을 분석하여, 초등음악에서의 창작 활동을 위한 대안적 자료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매직핑거 피아노』에 수록된 창작 활동 자료를 한 음 사용 리듬 중심 창작 활동, 두음 사용 리듬 중심 창작 활동, 음계 중심 창작 활동, 음정 중심 창작 활동, 형식 중심 창작 활동으로 분석한 결과, 음악 요소 중심의 창작 활동과 더불어 장르의 다양성 확보, 기악 연계 활동이 가능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 방향을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매직핑거 피아노』는 피아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이기는 하나, 실로폰, 리코더, 멜로디언 등의 교실 가락악기를 사용하여 창작 산출물의 재현과 즉흥연주로의 구현이 가능한 자료가 제시되어 초등음악에서 음악 요소 중심 창작 활동을 위한 대안적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교사 또한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더 다양한 창작 활동이 응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음악요소와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지각운동능력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정진화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음악요소와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지각운동능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만 3세반에 재원중인 유아 3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4.88개월(SD=4.35)이었다. 무선으로 선정된 두 집단 중 실험집단에는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을, 비교집단에는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을 처치하였다. 연구 자료는 ‘음악적성검사’, ‘지각운동능력 평가’, ‘수용・표현 언어 검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음악능력과 지각운동능력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교집단의 유아들이 실험집단의 유아들보다 언어능력 중 표현 언어의 사후검사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이 표현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보다 유아의 음악능력과 지각운동능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표현 중심의 노래부르기 활동은 음악요소 중심 노래부르기 활동보다 유아의 언어능력 중 표현 언어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Music element focused singing activity and Expression-centered sing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music ability, perceptual-motor ability and language ability. Thirty-two young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the subjects, and their average age was 54.88(SD=4.35) month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randomly.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in the music element focused singing activity and comparison group was applied in the expression-centered singing activity. 'Music aptitude test', 'Perceptual-motor ability test' and 'Acceptance expression language test' were used in collection of data, and t-test for analyzing them. As the Results,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music activity and perceptual-motor 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s expression-langage ability included in sub-factors of langage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sic element focused singing activity is more effective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music ability and perceptual-motor ability than expression-centered singing activity, but that expression-centered singing activity can improve expression-langage ability compared to music element focused singing activity.

      • 노인들의 놀이 문화로서의 음악 활동의 효과성에 관한 소고

        권순호 ( Soon Ho Kwon ) 한국음악학회 2010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4 No.-

        노인들의 놀이문화로서의 음악 할동은 가장 비중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악 활동은 정서적 안정에 가장 많이 활용되어지는 활동으로 현대 고령화 사회에서 자아실현과 사회적으로 보다 나은 노년의 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볼 때 음악 활동의 프로그램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둔다고 하겠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 해소 등과 같은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노년 생활에서 오는 경제적·사회적 문제들은 음악적 활동을 통한해 해결되어질 수 있다. 심신의 안정과 보다 풍요로운 노년의 생활을 위해 음악적 활동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놀이 문화로서의 음악적 활동에 대한 연계성 측면에서 교육적인 놀이 문화의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며 체계적인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도적으로 요구되는 활동내용과 방향성을 계속적으로 연구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의 놀이 문화로서의 음악적 활동을 위해서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음악 활동에 대한 기반 시설과 교육 시설에 대한 적극적 활용을 통해 노인들의 음악적 활동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바람직한 효과성을 가진 문화적 활동의 결실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노인들을 위한 음악적 활동에 대해 학교와 같은 교육 기관과 지역 사회의 연계가 필요하다. 오늘날 한국은 빠른 속도로 노인 인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의 경제적 문제, 건강의 문제, 정서적인 자존감의 문제, 사회적, 심리적 문제가 점점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특별히 노년기의 음악적 활동은 노인의 심리적, 정서적 그리고 자아의 존재감과 역할에 대한 갈등 해소를 위한 작은 지침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As the nation is quickly becoming an aged society with an extremely low birth rate, developmental programs and research for welfare for the aged are a policy consideration. In particular, The music activities for seniors as a play cultural could be an effective plan. Firstly, there is an investiga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lay in the aged society in this paper. Among many kinds of play culture, music activities by the aged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play culture. For this reason, various plans by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music activities in the local area are required so that the aged can be afforded opportunities for their long life. Secondly, the programs for music activities can develop and produce an model from the school curricula. The associated and comparative study should be effective and also continuing education of music for the seniors can establish music play as a cultural activity. Thirdly, it particularly emphasized the need to upgrading the cultural facilities and music infrastructure such as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programs, etc. in due course. This study also reinforces the positive outlook preparations for a solid infrastructure fo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ffect of music activities for seniors as a play culture as well as to illuminate the method of the play culture of the aged for the cultural and health life.

      • KCI등재

        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음악과 음률활동 분석

        엄승애,김영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eacher's Manual for Age 3-5 Nuri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young children's teachers understanding as a way of contributing toward high-quality child music education in future. 213 music and rhythmic activities planned for large and small group musical activities printed in 31 volumes of 'Teacher's Manual for Age 3 Nuri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contents categories, teaching-learning method, emphasized aspects such as music concept understanding, musical behavior and music attitude in assessments, and utilized teaching material in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rtistic expression’ was more frequently performed in large group music activity hour compared to free time rhythmic activity hour, 'Finding beauty' and 'Art appreciation' were vice versa. Second,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re was lack of process explanation in beginning and ending parts compared to developing part of music activities. Third, as for the assessments, music behavior was highly considered compared to music understanding and musical attitude. Last, CD was a typical teaching material for large group music activity hour while musical instruments like Changgo and Sogo were for free time rhythmic activity hour. In conclusion, singing was the most representative in large group music activity hour while instrumental activities were typical in free time rhythmic activity hour.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music class for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re is a need to revise「Teacher's Manual for Age 3-5 Nuri Curriculum」with consideration of emphasized musical concept and elements, diverse musical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 It was also suggested that professional cooperation between curriculum experts and music educators is needed for better curriculum. 본 연구는 「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통한 질 높은 유아음악교육을 도모하고자 「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총 32권에 수록된 음악 및 음률활동 총213개의 활동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활동 및 활용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213개 활동은 대·소집단의 음악활동과 자유선택놀이의 음률활동으로 구성되는데 각 활동에 대하여 예술경험영역과 예술경험영역외의 내용과 내용범주, 교수·학습방법, 활동평가, 교수활동자료가 분석되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용범주에서 ’음악으로 표현하기‘는 음률활동에서보다 음악활동에서 더 많았고 ’아름다움 찾아보기‘와 ’예술 감상하기‘는 음악활동보다 음률활동에서 더 많았다. 둘째, 교수-학습방법에서 전개활동에 비하여 도입과 마무리 활동 제시가 미흡한 활동이 많았고 셋째, 활동평가에서 음악적 행동 평가에 비하여 음악적 개념과 태도를 평가 활동이 적었다. 넷째, 활용 자료에서 음악활동에서는 음원·음악CD, 그림·사진자료, 악보, 동화·PPT·이야기 나누기 자료 순서로, 음률활동에서는 여러 가지 악기, 음원·음악CD, 그림·사진자료, 실물자료의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개정되는「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반영될만한 사항으로서 균형 잡힌 예술경험 활동 내용의 제시와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활동, 악기연주 중심의 음률활동이라는 교수·학습방법의 보완과 더불어 도입, 전개, 마무리 활동에 대한 일관성 유지, 그리고 음악적 행동 이외에 개념과 태도에 대한 평가의 실행과 이를 위한 다면적 평가 기준의 마련 및 다양화와 다양한 활용 자료 제시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유아음악교육전문가와의 협업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 교육적, 문화적 활동으로서의 한국 여대생들의 음악활동 조사연구

        권순호 ( Soon Ho Kwon ) 한국음악학회 2011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7 No.-

        한국 여대생들의 음악문화 활동은 자기 개선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필요 요건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문화 활동에 대해서 여대생들의 실태를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다수의 여대생들이 음악문화 활동으로 삶이 윤택하게 되었으며 정신적 건강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여대생들의 대부분은 대학 생활에서의 음악문화 활동을 통해 가치 있는 삶을 갖기를 원했다. 한국 여대생들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을 전환하기 위하여 교양 과목으로 음악 관련 수업을 듣기를 원하며 음악 관련 수업들이 좀 더 다양한 내용들로 구성되기 원했다. "음악과 관련된 수업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한 65%가 넘는 응답자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조사에 의하면, 여대생들은 "음악에 관심이 있어서", "좋아서", "호기심에", "음악적 교양을 쌓기 위해", "기분 전환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마음의 여유를 갖기 위해서" 등의 이유로 음악과 관련된 수업을 듣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들어 본 적이 없다"라고 답한 이유로는 "전공이 우선이다", "기회가 없다", "시간이 없다", "음악과 관련된 과목이 부족하다", "흥미는 있지만 공부는 하기 싫다" 등을 꼽았다. 따라서 대학은 많은 음악 분야의 수업들을 개설과 동시에 우리 사회에서 여대생들이 자유롭게 다양한 문화적 활동들을 대학 캠퍼스에서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한국의 여대생들은 전공 수업은 물론 장차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한 준비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음악문화 활동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은 여대생들에게 큰 도움을 준다. 온전한 인간 교육의 산실의 기능까지 하게 된다. 근본적으로 한국 여대생들에게 음악문화 활동에 대한 선행적 사전 교육을 통해 음악문화 활동 방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시키고 보다 많은 음악 관련 수업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여대생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음악적 활동의 보다 다양한 측면을 제공하는 것이 그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 여대생들의 음악문화 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본인들의 노력이 우선적이겠지만 가정과 사회, 대학과 국가의 인적, 물적, 정책적 지원과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several questions to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musical activities both at the campus and in their social life. More than 50% of students have experienced at least one music class at the university. In addition to this, most of students want to participate in some kinds of musical activities at the campus because they think that music classes in the college are helpful for their career and personality development. Considering tremendous stresses faced by Korean female students especially due to worry about their jobs in the future, a variety of music classes at the campus might be useful for them to overcome these heavy psychological burden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needs are expressed by Korean female students. They showed their opinion that if the more music classes are offered at the campus, the better college life they could hav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e can draw some recommendations to Korean universities and education policy makers that a wide variety of music classes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to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