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치료 전공 학생이 지각하는 음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문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는 음악심리치료를 경험한 음악치료 전공 학생의 진술을 바탕으로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파악하여 음악심리치료 경험의 본직과 의미에 대한 기술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 전공 학생들에게 필요한 보다 적절하고 효과적인 음악심리치료 교수 방법을 제안하고, 음악심리치료 경험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와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해, 반 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 8명의 음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음악심리치료 경험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결과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102개의 의미단위가 추출되었고, ‘음악심리치료 경험 전 긍정적 / 부정적 느낌’, ‘음악심리치료 중 자신을 발견하고 성찰하는 의미있는 경험’, ‘음악심리치료 경험을 통한 생각과 행동의 변화’, ‘전이와 역전이의 발생, 탐구 및 처리’,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개인적 성장’,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전문가적 성장’의 총 6개의 범주(구성요소) 및 24개의 하위 범주(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music psychotherapy class and to suggest appropriate and effective music psychotherapy pedag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 order to gather the data, eight music therapy maste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gathered semi-constructed 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02 meaningful units, 6 component(categories) and 24 sub-component(sub-categories). The 6 component were ’a positive / negative feeling before experience of music psychotherapy‘, ‘meaningful experience about self-discovery and self-reflection during music psychotherapy’, ‘change of thinking through experience of music psychotherapy’ ‘occurrence and exploration, handling of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personal growth through experience of music psychotherapy’, ‘professional growth through experience of music psychotherapy’

      •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의 심리에 관한 연구 -배우자 상실을 경험한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안지영 ( Ahn Jee Young ),조성자 ( Jo Sung J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심리치료에 나타난 노인의 인생 회상과 상실 경험에 관한 심리적 특성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Y시의 R경로당과 S시의 C교회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배우자와 사별한 만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10명이다. 본 연구는 총 8회기의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프로그램 8회기 과정과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265 구성의미와 36개의 주제, 그리고 12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회상 경험’과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상실 경험’ 및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정서 경험’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회상 경험은 ‘어린 시절의 신세 한탄’과 ‘어린 시절의 회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상실 경험은 ‘남편 생각’, ‘상실’, ‘사별 후 변화’, ‘삶의 처절함’, ‘외롭고 불안함’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심리치료에서 나타난 노인들의 정서 경험은 ‘나이 들어감’, ‘신앙생활’, ‘삶의 태도’, ‘음악을 통한 기쁨’, ‘음악을 통한 감사와 자유로움’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심리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한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음악심리치료 방법을 사용한 인터뷰는 참여자의 심리적 방어를 극소화하며, 악기 연주와 가사토의, 즉흥연주 등의 방법을 통해 참여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고, 과거의 사건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과거 어린 시절 회상에서부터 현재의 삶을 넘어 미래의 삶에 대한 태도까지 인생의 전반에 거쳐 통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심리에 대한 추후 프로그램이나 심리, 상담적 접근에 기틀을 마련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s life recall and loss experience in music psychotherapy a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 elderly people who experienced the loss of 65 years or older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through the R-Christian Party in Y City and the C-Christian Church in S City.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8 sessions of music psychotherapy program, and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the pre-program and in-depth interviews. Thi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265 meanings, 36 themes, and 12 them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recalling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loss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and 'emotional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First, the recall experience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as 'the lament of childhood' and 'the recall of childhood'. Second, the experience of loss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as 'husband's thoughts', 'loss', 'change after death', 'depression of life', 'lonely and anxious'. Third,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music psychotherapy were 'ingraining old', 'belief life', 'life attitude', 'joy through music', 'appreciation and freedom through mus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sed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elderly who experienced loss through music psychotherapy more deeply. Second, the interview using the music psychotherapy method minimizes the psychological defense of the participant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inner side in various ways through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housekeeping discussion, improvisation, etc., and provided help to look objectively at past events. Third,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help to the elderly who experienced loss to have insights through the whole life from the past childhood recollection to the attitude toward the future life beyond the present life. Fourth, it is meaningful that the elderly who experienced the loss in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programs, psychological and counseling approaches.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박진희(Park, Jin-Hee),소혜진(So, Hye-jin)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usic therapist’s job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Upon review, one hundred seventeen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that were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s that are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job self-efficacy,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dditionall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é’s post hoc test was us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noted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noted between age, education, and career.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the reasons of the music therapist’s turnover, intention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ist’s job security.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 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음악치료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학사학위이상을 소지한 남녀 전문음악치료사 117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결 과에서 연령(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 최종학력(직업적 자기효능감), 경 력(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이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인과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을 가진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 를 낮추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과 고용안정성과 관련 된 후속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살 충동 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 접근

        이인용(Lee In Yong)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06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3 No.2

        근래 자살예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이에 대한 실질적인 전략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특히 서구에서는 지역사회 정신건강 기관에서 자살예방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이 특성화되어 운영되는 것은 물론, 대학 및 병원과 연계하여 자살 충동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정신 병리적 혹은 사회 심리적인 원인들을 규명하고 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가 자살의 중요한 요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음악치료적인 접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접근방법으로는 노래심리 치료(Song Psychotherapy), Ml(Music Imagery), 역할악기 즉홍연주(Role Play Instrumental Improvisation)심리치료를 주요방법으로 구성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연구대상은 우울을 동반한 정신적 외상상태로 자살을 시도했던 30대 여성이었으며 치료기간은 주 1회 90∼120분의 7회의 세션이 실시되었다. 음악치료 전개에 따라 우울척도와 자살생각척도를 통해 변화를 양적 · 질적으로 연구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는 음악심리치료를 통해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끼고 방어나 저항없이 자신의 감정의 생각, 그리고 내면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었디 이 경험들을 통하여 내담자는 자아개념과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되고 부정적인 정서가 긍정적인 정서로 바뀌게 됨에 따라 우울감이 감소되었다. 또한 자살에 대한 생각보다는 현재 삶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행동으로 옮기게 되었다. 특히 역할악기 즉흥연주 과정의 음악은 기분의 변화, 타인과의 관계변화, 태도의 변화 등 다양한 영역변화를 가져오는 주체로서 ‘치료’ 그 자체로 사용되어졌다. 그리고 음악은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외상상태에 있었던 내담자의 심리적 위축과 긴장감, 무기력한 에너지 등을 표출시키고 본능과 감정을 그대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거짓자아’와 분리되어 ‘참 자아’와의 통합을 이루어가도록 도움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음악심리 치료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살충동 예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Recently many treatment strategies have been develo야d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s it is increasing. Various community facilities and university centers are carrying out research to develop efficient treatment programs. This study examined how music can be used therapeutically for a case who is going through severe suicidal ideation. Various music therapy teclmiques are utilized including song psychotherapy, music and imagery and role play instrumental improvisation. A woman with severe depression for seven one-hour sessi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uicidal ideation. As results, there were lots of changes in the client s attitude towards life through exploring inner world. Much of stability and sense of security were gained and emotional hardship was resolved in the process of therapy. The client was able to structure future plans productively as the suicidal ideation was reduced. In the process of role play instrumental improvisation, music allowed her to express issues regar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ttitudes and in other areas as well. Music was used ”as therapy” and solved many repressed emotions related to the trauma including psychological inhibition, tension, helplessness, lack of energy. Further music was able to bring the ”false” ego with ”true ego”. The study implies that various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can alleviate depression and reduce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DBT 음악치료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곽현주,김영희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DBT 음악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usic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대학생들 가운데서 기질 및 성격검사(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의 사회적민감성(RD), 자율성(SD), 연대감(C)의 점수가 각각 60점 이하인 9명을 실험집단으로, 9명을 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하였다.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10주 동안 주 1회에 걸쳐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집단 모두 사전‧사후에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검사를 실시한 후 검사 결과를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첫째,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요인인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었으며 하위요인인 자신감,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 영역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진행된 DBT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Music Therapy(DBTMT) on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college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scored under 60 points of RD, SD, C scale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test. Nine of them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9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nts in a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2 hours DBTMT session every week for 10 week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CI test scores before and after sessions using SPSS WIN 18.0. We found two meaningful results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DBTMT. Firs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s, purpose of life and personal growt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n experimental group after receiving 10 sessions of DBTMT. The second, the ego-resilience and its sub-components such as confidence, interpersonal effectiveness,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management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BTMT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이나영,김동민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음악치료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개인 및 집단 심리치료의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합의적 질적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악치료사들이 내담자로서 경험한 심리치료는 ‘심리치료를 시작하게 된 동기’, ‘심리치료에 대한 기대’, ‘심리치료 과정에서의 긍정적 경험’, ‘심리치료 과정에서의 어려운 경험’, ‘심리치료를 통한 개인적 성장’,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적 성장’으로 6개의 영역이 나타났으며, 영역에 따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사들은 심리치료에서 개인 이슈에 대한 심층적 탐색을 할 수 있었으며, 치료사에 대한 불신과 정서적 소진, 저항과 같은 어려움도 경험하였다. 이후 심리치료의 경험은 자기에 대한 이해 확장과 치료사 역할에 대한 확인, 치료의 질적 성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의 성장에 심리치료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고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as a client in psychotherap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ten music therapists and their experiences were examined by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s a result, 6 domains of “motivation of starting psychotherapy,” “expectation on psychotherapy,” “positive experiences in the psychotherapy process,” “difficult experiences in the psychotherapy process,”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psychotherap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psychotherapy” were defined from the data. These domains were further divided into 22 categories. Music therapists were able to explore in-depth issues in psychotherapy and had difficulties such as distrust, burnout, and resistance from their experiences as a client. The experiences of psychotherapy further led to the extension of self-understanding, confirmation on the role of a therapist, and improvement of therapy qua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meaning and values that psychotherapy can have for the growth of music therapists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m.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박진희,소혜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심리 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음악치료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학사학위이상을 소지한 남녀 전문음악치료사 117명이다.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연구결 과에서 연령(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 최종학력(직업적 자기효능감), 경 력(직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긍정 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이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자기효능감, 이직의도, 심리적 소진의 인과모형은 완전매개모형을 가진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직의도 를 낮추고, 이들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음악치료사의 직업전문성과 고용안정성과 관련 된 후속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music therapist’s job self-efficacy and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Upon review, one hundred seventeen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s that were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s that are composed of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characters, job self-efficacy,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dditionally,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Scheffé’s post hoc test was us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 noted statistical differ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noted between age, education, and career.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the reasons of the music therapist’s turnover, intention and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ist’s job security.

      • KCI등재

        성폭행 피해아동과 함께 하는 음악심리치료 상황에서 음악치료사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성폭행 피해아동과 함께 하는 음악심리치료 과정중에서 음악치료사들이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것이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성폭행 피해아동을 위한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했던 8명의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것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기 위해 Moustakas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질문을 구성하고 이후 심층면접을 통해 치료사들의 경험을 다시 자세하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주제별로 범주화 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3개의 연구문제와 관련되어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음악심리치료과정에서의 경험으로 ‘개인으로서의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주제는 ‘대처와 성장’으로 ‘적극적 대처’와 ‘치료사로서 성장’이 도출되었다. 마지막 주제는 ‘음악은 치유’로서 치료과정에서 ‘안전과 신뢰의 공간’, ‘표현과 투사의 공간’, ‘공감과 지지의 공간’, ‘연결의 공간’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행 피해아동과의 음악심리치료 과정에서 치료사들의 경험을 이해함으로 음악의 치유적 역할을 확인하고 또한 이들을 위한 향후 훈련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rapists' experiences in music psychotherapy with sexual abused children. For this purpose, Moustakas’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to 8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psychotherapy for sexual abused children. The research process first constructs questions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then in depth interviews to describe therapists' experiences in detail and categorizes them by su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ub-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ree research questions in total. First, ‘experience as an individual’ and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were derived from experiences in the music therapy process. The second 'coping and growth' led to 'active coping' and 'growth as a therapist'. Finally, 'music is healing', it has a healing role by providing 'space of safety and trust', 'space of expression and projection', 'space of empathy and support', 'space of conn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rapist in psychotherapy process with the victimized child.

      • KCI등재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 소리의 싸개와 놀이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를 중심으로

        임종환,안석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프로이트는 아기가 우는 소리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생애 초기 아기가 경험하는 목소리와 청취의 문제에 대해서 프로이트 주석가(프로이트의 전집 편찬자) 들은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신체적 활동과 정신건강과의 연 관성을 연구한 정신분석가들에 의해 이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었고, 이는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분석은 자유연상과 카우치로부터 진화되 어 놀이치료 뿐만 아니라 음악치료와 같은 다양한 창조적 예술치료의 영역과 기법으 로 나타나고 있다. 정신분석은 언어치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아동과 비언어적인 내담자를 위한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의해 태초 이후 소리는 존재해 왔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 인간이 먼저 경험하는 것은 시각적 경험이 아니라, 청각적 경험이다. 신생아의 첫 경험은 엄마의 심장소리와 양육자의 목 소리이며, 정신분석적 음악치료 시각에서 이 부분은 임상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시기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소리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위와 같은 시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과 소리에 대한 신학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소리에 대한 물리적, 심 리적 연구를 기초로, 소리에 대한 프로이트의 시각, 생애 초기 모성적 환경에서의 영 아의 청취와 소리를 통한 치료로서의 세미오포니, 심리적 싸개로서의 소리와 치료적 기제로서의 소리의 거울에 대하여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후 심리적 싸 개와 소리의 싸개와 놀이로서의 정신역동적 음악치료를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심리치료 분야 특히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분야의 이론 및 임상 영역에서 혁신적인 정신역동 이론을 정립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음악치료방법 등으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Freud put weight on the sound of baby crying. However, the interpreter of Freud’s collected works was not concerned about sound and listening that a baby could experience in the early stage of his life. Later, Some psychoanalyst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and their researches affect on psychoanalytic music therapy. Psychoanalysis has developed from word association and couch to very various and creative art therapies such as play therapy and music therapy. Although psychotherapy was originally based on language, there are many therapeutic methods for children and clients who cannot use language. Based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es, it examines psychological aspects on sound, the mirror of the sound as a therapeutic way and the sound as psychic envelopes, and sémiophonie as a sound therapy for a baby, which is used in the maternal environment. Then, it illustrates psycho-dynamic music therapy, which is the psychic envelope and the sound envelope.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music therapy grounded on an innovative psycho-dynamic theory in the clinical setting.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마음챙김이 치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소진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이중매개 효과

        이연주,심교린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3

        음악치료에서 치료적 관계는 치료 성과와 관련되는 중요한 변인이다. 본 연구는 문헌 검토 를 통해 치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음악치료사의 심리적 소진과 역전이 관 리능력을 탐색하였고, 마음챙김이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고, 역전이 관리능력을 향상시켜 치 료적 관계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문헌 고찰에 기초하여 이론 모형을 설정하고 검 증하였다. 음악치료 전문가 16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 형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치료사의 마음챙김이 심리적 소진과 역전이 관리능력의 완전이중매개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이론 모형이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채택되었다(χ²(df = 73, N = 163) = 145.81이었고(p < .001), CFI = .963, NFI = .929, TLI = .954, RESEA = .078(90% 신뢰구간, .060∼.097). 이는 음악치료사의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켜 치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다른 한편으로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역전이 관리능력이 증가되어 치료적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음 악치료사 훈련 과정 또는 음악치료사의 자기돌봄에 마음챙김을 적용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music therapy,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s the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the outcome of treatment. This study explored the psychological burn-out and countertransfrence management ability of music therapists as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through literature review. mindfulness was considered to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by improving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and by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Therefor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tried to establish and verify the theoretical model. Firs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163 music therapists, and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heoretical model that influenced the mindfulness of music therapist through full duplication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as adopt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χ²(df = 73, N = 163) = 145.81 (p <.001 ), CFI = .963, NFI = .929, TLI = .954, RESEA = .078 (90% confidence interval, .060 ∼ .097).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mindfulness of a music therapist, the less psychological burn-out it has, a positively affecting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other side, the higher the level of mindfulness, the higher the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it also suggests that it is beneficial to apply mindfulness to music therapist training courses or to the self-care of music therap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