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향토음식점 이용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완도관광객을 대상으로 -

        김헌철 ( Heon Choul Kim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4 Tourism Research Vol.39 No.2

        본 연구는 완도지역을 찾는 관광객 203명을 대상으로 완도 향토음식점을 이용할 때 어떤 동기로 이용하는지를 파악하여 세분시장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세분시장별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방안을 마련하여 완도지역의 향토음식점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마케팅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관광객의 향토음식 이용 동기는 5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각 동기요인들은 ``음식``, ``인지도``, ``서비스``, ``위생``, 그리고 ``경험``으로 각각 명명하였다. 연구결과 여행객은 "인지도 선호형``, ``음식과 서비스 선호형``, ``종합 요구형`` ``평범 요구형``으로 분류를 하였다. ``인지도 선호형``은 음식점의 명성과 전문성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식당을 운영하는 경영자는 완도내에서 생산되는 무공해 신선한 재료들로 조리되었다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음식과 서비스 선호형``은 우선 식당을 향토적인 분위기를 선호하는 집단으로 향토적인 인테리어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종합 요구형``은 대중매체를 신뢰하는 집단이므로 TV, 완도군청홈페이지, 관광 홍보책자 등을 통해 홍보를 해야 효과가 있을 것이다. ``평범 요구형``은 단지 식사를 해결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완도 향토음식과 특산물이 무엇인지와 타 지역의 식재료와 차이가 어떻게 있는지를 알려 향토 음식점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네 개의 세분집단별 요인별 평균을 보면 향토음식점 또한 선행연구자들이 제시한 일반음식점과 같이 음식과 서비스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을 졸업한 31-40세 사이의 주부가 가장 높은 성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여행 시 향토음식점을 이용하는데 있어 남성보다는 여성의 의견이 높게 작용한 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셋째, 여성들은 음식의 신선한 재료와 영양가가 높은 음식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완도에서 향토음식점을 운영하는 경영자는 완도에서 생산되는 신선한 해산물 및 해조류를 가지고 31-40세의 연령대를 유인할 수 있는 메뉴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at motivations tourists had when they visited local restaurants in Wando and to segment the market based on their motivations. The study results we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each segmented market and to make local restaurants regenerated. First, tourists`` motivations to visit local restaurant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food``, ``recognition``, ``service``, ``sanitation``, and ``experience``. Then, based on the five motivations,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namely ``brand awareness preference type``, ``food and service preference type``, ``comprehensive demand type``, and ``common demand type``. Customers of ``recognition preference type`` focus on restaurant``s reputation and expertise; therefore, local restaurants ne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their fresh and local ingredients. Customers of ``food and service preference type`` prefer restaurants with the local atmosphere; therefore, restaura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making their physical environments more reflect locality. Since customers of ``comprehensive demand type`` depend on information of mass media, promotional activities through TV programs, Wando official website, and Wando tour brochures can be effective. Customers of ``Common demand type`` are only interested in having a meal; therefore, it is need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Wando and its local food, such as unique ingredients used in Wando, in order to attract this segment to Wando again. The study also provides these findings: First, food and service had the highest average among five motivations of tourists,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Second, the biggest segment of local restaurant visitors were housewives with a college degree in their 30s; in other words, local restaurants attract more females than males. Third, females prefer fresh ingredients and nutritious foods more than males; therefore, local restaurants should develop more menus with fresh seafood and seaweed.

      • KCI등재

        연구논문 : 사찰음식 대중화 방안 연구

        배영희 ( Yeong Hui 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급격한 경제 발전과 산업화는 현대인의 식습관을 가져왔다. 인스턴트식품과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육류 섭취의 빠른 증가세 등은 영양의 불균형을 불러오며 개인의 건강 문제를 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각종 심혈관계질환, 암 발생률 등의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져 현대인의 식습관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현대인의 영양불균형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찰음식의 대중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사찰음식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사찰음식 체험 동기와 경로, 선호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찰음식의 개선 방안 및 대중화 방안은 무엇인가? 조사 결과 사찰음식은 주로 자연 친화적 음식이며, 몸과 마음을 치유할 뿐만 아니라 약선 음식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또 사찰음식의 체험 동기는 사찰음식이 건강과 식습관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찰음식은 주로 TV나 신문, 사찰음식 전문가 스님, 인터넷 등을 통해서 알게 된 경우가 대다수였다. 사찰음식을 접하기 힘든 이유로는 사찰음식을 접할 수 있는 공간 부족과 함께 사찰음식의 식재료를 구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첫째로 사찰음식의 생명존중 정신과 공생을 강조하는 올바른 홍보, 둘째, 사찰음식을 좀 더 쉽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 셋째로는 사찰음식 조리법의 표준화와 문서화를 통한 조리법의 계승과 발전, 넷째, 사찰음식의 관광상품화를 통해 사찰음식의 올바른 인식 제고와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한 대중화를 이뤄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Raid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brought modern style of diet. Instant food, processed food, Fast food, and increasing amount of meat in their diet caused a nutritional unbalance and social problems over health problems. This leaded to the increase of social costs and an urgent situation on improving people`s dietary life, this is mainly caused by cardiovascular therapeutics and the increasing rate of cancer incidence.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d on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in order to solve the modern nutritional unbalance which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oday, and conducted a survey with subjects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common awareness of temple food about? Second, What are the motives of experiencing temple food and How about its preferences? Third, What are the measures of it`s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most people strongly recognized that the temple food is nature-frendly and healing food, curing mind and body; the medicinal food. The strongest motive of experiencing temple food is the expectations that the temple food will help to improve their eating habit. Mostly the temple food was recognized through the media; TV, newspaper, the temple food experts, monks and internet.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is the temple food difficult to access, was mostly that the ingredients of temple food are not likely to get with the space shortage.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for the popularization of temple food; First, It`s necessary to promote It` life respect will and Its emphasis on symbiotic culture. Second, It`s necessary to make room for the easier access to the temple food. Third, It`s a must to succeed and develop temple food through the documentation and standardization of its recipe. Lastly, We should raise the right awareness of the temple food, create a value, and form a popularization through the merchandising temple food.

      •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차량 악취저감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박대식,엄대한,김혜진,최우석,유문박,김도완,배재근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음식물쓰레기의 악취문제는 시민들에게 매스꺼움, 두통, 식욕감퇴 등의 악영향을 끼치며 청소행정담당자들에게 불쾌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점점 심각한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많은 시민들에게 불쾌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오존과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류폐기물 악취저감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음식물류폐기물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들의 종류를 조사하고 대표적인 개별 악취물질(NH<sub>3</sub>, H<sub>2</sub>S, CH<sub>4</sub>SH 등)과 음식물류폐기물 내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TVOCs(총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하여 오존과 발효미생물 배양액을 일정량 분사하는 악취저감장치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절차는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차량의 특성에 맞추어 부착가능한 형태의 악취저감장치를 설계 및 제작 후 Lab scale장치로 개별 악취성분의 악취저감 실험을 실시하여 악취저감장치의 성능을 확인한 후 실제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차량에 악취저감장치를 부착 후 수거차량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포집하여 악취관능법 및 악취분석용 기기분석을 통하여 실제 장치성능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악취저감장치 성능평가 실험결과 음식물류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총유기성화합물질(TVOCs) 및 개별악취가스에 대하여 악취가스의 저감이 70% 이상 나타났으며, 실제 수거차량 이용자들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차량에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음식물류폐기물수거작업에 불편함이 없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여 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악취저감장치를 보급화 하여 전국의 모든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차량에 적용한다면 청소행정담당자와 일반시민들의 삶의 질이 더욱 윤택해 질 것으로 기대되며, 음식물류폐기물 악취로 인한 민원이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개발된 악취저감장치의 보급화를 위하여 음식물류폐기물 수거차량의 크기 및 수거량에 따른 장치용량 및 사용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장치의 대량생산으로 인한 비용절감 등의 보급화방안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처리시설의 환경오염 개선방안

        이정임 경기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2010 No.3

        음식물류폐기물은 2013년부터 해양매립 금지 등 관리규제가 강화되면서 음식물류폐기물의 환경 친화적 처리가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의 음식물류폐기물의 약 70%를 처리하고 있는 민간처리시설의 제도권 내에서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NIMBY 현상의 극심화에 따른 신규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가운데 서울시, 인천시의 음식물류 폐기물이 경기도의 민간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로의 반입처리가 증가하고 있어 음식물류폐기물 반입에 따른 악취 및 폐수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민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처리시설의 관리ㆍ감독은 지자체의 청소행정 담당부서에서 전담하고 있으나 각종 행정 및 민원 업무로 인해 지도ㆍ점검이 어려우며,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정기검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나 정기검사 시에는 악취도의 측정 항목이 없이 시설의 정상 가동만을 검사하고 있어서 악취 민원에 대한 대응체계가 취약한 상황으로 환경처리 관련 관리ㆍ감독의 강화가 필요하다. 타 자치단체로부터 유입되는 음식물류폐기물의 처리는 발생지자체와 민간 처리대행업체 간의 당사자 계약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업체 간 과다경쟁으로 인한 낮은 처리단가 계약으로 폐수 및 악취처리 등 2차 환경오염물질의 부적정처리가 우려되고 있고, 음식물류폐기물 발생지자체의 사후 관리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으로 민간처리시설이 소재하고 있는 해당 지자체가 처리시설의 불법 처리나 민원 발생 시의 사후처리를 전담하고 있는 여건이다. 현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원가의 산정은 표준 산정기준이 없이 각 지자체가 마련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나 환경처리비용과 관련 항목은 협잡물 처리비용 이외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치단체 간 음식물류폐기물 이동에 따른 환경처리비용의 산정 및 적용이 필요하다. 첫째, 서면 제출 방식의 현황 보고 체계를 탈피하고 전산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전 과정에 걸친 투명한 관리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감량화 의무 사업자, 수집ㆍ운반 업체의 보고 실적, 처리 실적 및 자원화 업체의 처리 및 자원화 실적 관리와 각종 민원 처리 등의 업무를 전산화시스템으로 전환함으로써 과도한 업무량 및 행정 업무 문제를 해결하여 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지도ㆍ점검과 관련하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악취도” 측정 및 기준을 정기 검사 항목으로 규정하고 정기적인 측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타 시ㆍ군에서 유입되는 폐기물에 대해서는 해당 자치단체의 장과 사전협의 후 처리하도록 폐기물관리법에 단서 조항을 신설하고, 폐기물의 정확한 유입경로, 처리자, 최종처리방법에 대한 등록 제도를 신설하여 향후 등록현황을 토대로 유입 시ㆍ군으로부터 침출수 및 악취 처리비용의 징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 음식물쓰레기 처리 시 발생하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하여 음식물쓰레기 위탁 처리단가 산정 시 퇴비화시설은 31,000원/톤을 기준으로 ±1% 범위, 건식사료화시설 30,000원/톤을 기준으로 ±20% 범위, 습식사료화시설 13,500원/톤을 기준으로 ±20% 범위에서 환경처리 단위 비용의 증액 편성이 필요하며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의 환경처리시설 개선사업의 추진을 위하여 “경기도 환경보전기금”의 활용, “악취관리구역”지정에 따른 도비 보조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다섯째, 2013년부터는 해양매립이 금지되는 음식물류폐기물 발생 폐수는 향후 공공 하수처리시설의 이용 또는 수도권매립지 음폐수 처리시설의 활용을 통한 제도권 내에서의 관리가 필요하며, 악취방지를 위해서는 시설의 밀폐와 악취의 흡입, 에어커튼 설치, 공기 포집 배관 등 기본설비의 개선을 통하여 악취의 확산을 방지하고, 음식물류폐기물 민간시설에서 악취방지시설의 비용, 시설별 장ㆍ단점, 적용설비 등을 쉽게 이해하고 선택ㆍ운영 할 수 있도록 악취방지시설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책정ㆍ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 KCI등재

        제주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주영하(Young Ha Joo) 제주학회 2012 濟州島硏究 Vol.37 No.-

        본고는 제주음식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살피고, 향후 이에 대한 연구에서 지녀야 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 성과를 살펴본 결과 제주음식에 대한 문화적 특징을 통시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점에 문제가 있었다. 필자가 살펴본 바는 다음과 같다. 제주음식의 역사적 특징은 주식이 분식(粉食)에서 입식(粒食)으로 변화되었다는 점이다. 적어도 19세기 말까지 제주도 사람들은 기장·조·피·콩·메밀·보리 등의 잡곡을 분식으로 만들어 주식으로 삼았다. 그래서 반찬보다는 국물이 있는 음식을 주로 범벅 이나 빙떡 과 함께 먹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보리 재배가 증가하면서 보리가 주식이 되었다. 비록 부분적으로 한반도의 육지로부터 멥쌀이 유입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쌀밥을 주식으로 먹기 시작한 때는 1960년대 제주도에서의 벼농사 본격화 이후이다. 보리밥과 쌀밥이 주식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범벅이나 빙떡은 특별한 날 먹는 음식으로 변했다. 그 대신에 육지와 유사하게 각종 반찬이 보리밥이나 쌀밥을 먹을 때 마련되었다. 나는 제주음식의 이러한 역사과정을 문화적 육지화(cultural landization) 라고 명명한다. 1980년대 이후 제주도가 관광지로 인식되면서 제주음식은 관광객을 위한 음식으로 탈바꿈을 하였다. 오늘날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제주음식은 대부분 1980년대 이후에 개발된 관광음식이다.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은 처음에 관광지에서 해당 지역의 특이한 음식에 관심을 가지지만, 자신들이 익숙한 음식을 소비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육지에서 온 관광객은 대체로 각종 회와 갈치·고등어·전복·성게 등을 비롯한 각종 생선을 재료로 한 음식을 제주음식이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향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관광음식, 로컬푸드운동, 지역학으로서의 제주학과 제주음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심도 있게 진행되리라 믿는다.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Jeju-food and it aims to suggest the extended tasks. The results of the established studies did not satisfy the cultural diachronic characteristics of Jeju-food. My argument is as follow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Jeju-food show that main staple changes to grain based food from flour based food. The residents of Jeju Island have eaten the grain based food such as proso, millet, sawamillet, pulse, buckwheat and barley at least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So they have eaten Bumbuck and Bingduck (like korean pudding) with soup rather than with side dishes. Barley has been the main staple food due to its increase in production in the 20th century. Although some nonglutinous rice got into Jeju Island through the main land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ople in Jeju have been eating rice as main staple after they have begun rice farming in 1960s. Bumbuck and Bingduck have become special food after boiled barley and cooked rice settled as the main food. Instead, residents in Jeju island have started cooking rice and side dishes just like main land. I named this historical process of Jeju-food the cultural landization. Since 1980s when many people began to recognize Jeju as a tourist attraction, Jeju-food has transformed so that they are suitable for tourists. Jeju-food are known to Koreans today. Tourists who have visited Jeju are interested in the local food but they tend to consume more familiar food. Therefore tourists from the main land have been recognizing Jeju-food as follows. Various kinds of sashimi made of hairtail, mackerel, abalone, and sea urchin.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with critical mind in Jeju studies and Jeju food which are now focused on tourist food, and local food movements.

      • KCI등재

        코셔와 음식윤리

        이현식 ( Lee Hyun Sik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5 No.1

        음식이 우리의 존재를 위한 필수적인 것이라면 우리의 음식은 안전하여야하고 윤리적이어야 할 것이다. 산업사회로 들어서면서 음식 산업은 경제, 사회, 종교 등과 개인의 탐욕까지 맞물려 더욱 더 복잡해져만 가고 있고 우리는 그 소용돌이 속에서 더욱 더 윤리지향적인 음식을 추구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이 산업 사회가 낳은 가공식품은 우리 삶을 편하게 해줬지만 다른 면에선 식품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힘들게 만들었다. 음식산업들의 전쟁터 속에서 우리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이 있는데 바로 코셔음식이다. 코셔는 원래 유대인들의 신이 그들에게 내린 명령이었다. 이 논문은 이런 종교적 배경으로 시작한 코셔산업이 왜 미국 일반 식품 시장에서 폭발적으로 성장하는지 자세히 들여다보고 그 윤리적 의미를 탐색하였다. 또 코셔음식의 엄격한 제도가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믿음이 어떻게 형성했는지 깨닫고 비유대인들에게 어떠한 음식윤리적 의무를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코셔음식의 엄격함을 우리는 배워야하고 그 정신은 우리 비유대인들의 음식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우리의 음식이 깨끗하고 안전해야만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의무이다. 생산과 소비는 결국 상호보완적이다. 더욱 안전한, 그리고 윤리적인 음식을 위해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높은 음식윤리적 기준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Food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that involve sustaining the lives of human beings. That is why there have always been ethical issues related to all kinds of food and food industries. In the past, consumers bought food straight from the producer, or they planted their own crop. In such cases, people knew what they are eating and where the food comes from. Lately, however, there was a substantial development in the food industry, and the food supply chain no longer can be represented as a simple, straight line. The crops from a farm are not consumed directly by people but indirectly as meat, milk, eggs, and specially processed foods. The complexity of food chains provides anonymity to the food ingredients. Also, it is hard to know which food is safe since there are too many ingredients in one food. Such changes in the food industry made our life more convenient but also drove us to a battlefield. It is worth noting that Kosher foods attract more people's attention within this challenging moment. Kosher foods were initially for the Jews. Nowadays, however, more people are turning to Kosher foods despite their higher prices. They chose Kosher foods not for religious reasons but because of the strict food laws and the certification that Kosher foods maintain; they think these foods are safer, healthier, and of better quality. Besides, only 8 percent of people who eat Kosher food are religious Jews. This thesis points out why people prefer buying Kosher foods over regular foods. The answer could be simple; people want safer foods. We need to learn how strict the Kosher foods are. We need to learn their spirit. We have rights to eat clean and safe food. From producer to consumer, we ought to change the food system. Our ethical standards should be higher. Eating safe foods, it is all in our hands.

      • KCI등재후보

        외국음식 소비와 문화

        정형식(Jung, Hyung-Shik),박종철(Park, Jong Chul),이규현(Lee, Kyu Hyun),김영심(Kim, Young Sh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음식소비는 문화와 깊이 관련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외국전통음식을 섭식하는 태도와 행동에 식생활라이프스타일과 문화적 고유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외국음식을 먹어본 21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은 주관적 규범 및 섭식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건강추구형은 이들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다양성추구성향은 주관적 규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 문화와 관련된 다양성 추구성향은 타인에게 영향을 받기보다는 개인적 성향으로 인한 결과로 이해된다. 셋째, 외국전통음식에 대한 접근성이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외국전통음식을 접할 수 있는 환경이 편리할수록 주변사람들의 영향도 높아짐을 나타냈다. 넷째, 외국음식의 문화적 고유성은 주관적 규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주관적 규범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는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규범이 향후 외국전통음식 지속 이용의사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국음식 섭식태도가 향후 지속적인 외국음식이용의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외국전통음식 섭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중 미각추구형보다는 건강추구형이 외국전통음식 섭식태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 최근 소비자의 음식의 섭식태도가 건강지향적으로 바뀌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전통음식은 한 국가의 문화와 민족에 대한 정체성이 담겨져 있어 단순한 음식으로서 이해하기보다는 문화적인 고유 특성으로 인한 섭식태도가 형성되고 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influx of diverse foods from foreign nationshas increased accessibility to foreign foods from different 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food-related lifestyles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food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subsequently, the effects of the consumer attitudes on subjective norm and intent to consume foreign foods. 210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1) As to food-related lifestyles, health-seeking significantly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and the consumption attitude, while taste-seeking had no influence over either of them; 2)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affected the consumption attitude but not the subjective norm, which implies that consumer"s variety-seeking tendency for foreign foods becomes influenced by personal traits more than by opinions of others; 3) accessibility of foreign foods affected the subjective norm, indicating that other people in an environment influence consumers to a greater extent when foreign foods are easily available; 4) the cultural authenticity significantly affected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but not the subjective norm; 5) consumer"s subjective norm affected both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and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and 6) consumption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foreign food consumption,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orm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foreign food consumption in increasing foreign food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seeking, rather than taste-see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food consumption, which denotes the recent movement toward health-conscious consumption. The foreign foods encompass the culture of their country of origin as well as the identity of the ethnic group. Therefore, foreign food consumption attitude seems to be formed based on their cultural authentic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 attitudes can be utilized to increase their intent to continue to consume foreign foods.

      • KCI등재

        강원도 어촌 음식문화 : 과거, 현재, 미래

        송주은(Joo Eun Song),이정실(Jeong Sill Lee)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3

        강원도 북부 어촌의 특이한 현상은 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실향민에 의한 새로운 음식문화의 형성이다. 음식으로나마 고향을 맛보고 잊지 않으려고, 고향의 음식을 정착한 현지의 사정에 맞게 만든, “함경도 산, 강원도 북부 작”이라는 음식문화를 형성한 것이다. 함흥냉면, 오징어순대가 대표적 예이다. 지구온난화와 남획에 의해 어획되는 중심 어종이 줄어들거나 달라지고 있다. 어촌사람들은 산출되는 어종과 식재료에 과학기술을 접목해 음식들을 현대화하고 고부가가치의 공산품으로서 식품을 개발하고 있다. 해양심층수를 활용하고 붉은대게, 연어, 양미리의 다양한 조리방법 개발이 이를 보여준다. 교통의 발전, 인터넷과 SNS의 확산은 지역 음식문화의 새로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찾는 관광객을 위해 전통음식에 기반하면서도 현대인의 취향에 부응하는 음식들을 개발하고 있다. 닭강정, 명태강정, 대게고로케, 연어고로케 등이 그것이다. 더없이 발전한 현대화의 시기에 옛 음식문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만들어갈 지역의 음식문화를 생각해 볼 시기이다. 선조들의 음식을 다시 살리고, 여기에 현대의 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재창조하는 것이 강원도 북부 어촌사람들이 명심해야 할 과제이다. 더불어 남북으로 나누어진 강원도 음식문화를 ‘하나의 새로운 민족음식문화’로 만들기를 소망할 뿐만 아니라 실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접경지역 어촌사람들이 가져야 할 또 하나의 과제이자 마음가짐이다. A peculiar phenomenon of fishing vil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is the formation of a new food culture by displaced people caused by the war. In order to taste the hometown and not to forget it at least through food, the food culture of “Made in Hamgyeong-do, Produced in the northern part of Gangwon-do” was formed by making the food of the hometown suitable for the local circumstances where they settled. Fishing villagers are modernizing food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and developing food as a high value-added industrial product by incorporating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utilizing deep sea water.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NS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a new local food culture, and they are developing foods that are based on traditional foods but meet the tastes of modern people. Trying to make the food culture of Gangwon-do, which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into ‘One New National Food Culture’ is the task and mindset that the people of the fishing villages in the border area should have.

      • KCI등재

        자연치유음식 인지도가 음식선택속성과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박안순,박계영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atural healing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long-term orientation in those who had used or were using natural healing fo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 through October 10, 2019, on people who had used or were using natural healing foods. A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was employ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ncerning the impact of natural healing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usage plan for natural healing foods exerted the most influence on the recipe factor for natural healing foods, and thoughts on natural healing foods had the most impact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factor of natural healing foods. Thought on natural healing foods exercised the largest influence on nutrient factor for natural healing foods, and the thought factor on natural healing foods affected the prevention factor of natural healing foods the mo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natural healing food awareness on long-term orientation, the usage plan factor for natural healing foods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thought factor for natural healing foods. As to the influence of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long-term orientation, the prevention factor of natural healing foods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the recipe factor for natural healing foods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 factor of natural healing foods. 본 연구는 자연치유 음식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자연치유음식의 인지도가 음식선택속성과 장기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자연치유 음식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 10일부터 10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WIN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연치유음식의 인지도가 음식선택속성에 미치는 요인은 자연치유음식의 조리법요인에서는 자연치유음식의 이용계획이 가장 높고, 자연치유음식의 생리작용요인에서는 자연치유음식의 생각이 가장 높고, 자연치유의 음식의 영양성분요인에서는 자연치유음식의 생각이 가장 높고, 자연치유음식의 예방요인에서는 자연치유음식의 생각요인이 가장 높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치유음식의 인지도가 장기지향성에 미치는 요인은 자연치유음식의 이용계획요인이 가장 높고, 자연치유음식의 생각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선택속성이 장지지향성에 미치는 요인은 자연치유음식의 예방요인이 가장 높고, 자연치유음식의 조리법요인, 자연치유음식의 생리작용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환식(Moon, Hwan-Sig)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제철음식 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제철음식 메뉴를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해본 경험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01일부터 0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WIN 23.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철음식 인식이 음식선택속성에 미치는 요인에서는 음식선택요인의 제철음식조리법이 가장 높고, 편의성요인, 서비스요인, 제철음식품질요인이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제철음식조리법요인이 가장 높고, 제철음식품질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철음식 인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asonal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satisfaction in those who had used or were using seasonal food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hrough 31, 2010, on the people who had used or were using seasonal foods. A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version for Windows was utilized to make 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impact of seasonal food awareness on food selection attributes, a seasonal food recipe factor that was a food selection factor was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a convenience factor, a service factor and a seasonal food quality factor. As to the impact of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the seasonal food recipe factor was most influential, and the seasonal food quality factor exerted influence. Seasonal food awareness affected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