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音象徵語の硏究 -宮澤賢治の作品を通して-

        소립원지자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7 日本語敎育 Vol.39 No.-

        본고에서는 미야자와 겐지의 詩歌篇을 소재로 하여 音象徵語를 몇 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를 고찰했다. 그 결과, 「ABAB」라는 첩어(반복)型을 취하는 것이 가장 많다는 것을 알았다. 또 「Aん」「Aっ」「A-」와 같은 형태를 반복해 「AんAん」「AっAっ」「A-A-」가 되고, 더욱이「AんAんAんAん」「AっAっAっAっ」「A-A-A-A-」와 같은 형태도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또 語頭에는 「が行」이 오는 경우가 많고, 이어서 「ぱ行」「か行」의 순이었다. 語頭에 있어서 행(行)の淸濁에 대해서는 淸音의 行이 約半數 가까이 차지하였지만, 用例數 등을 마추어 전체적인 비율을 생각하면, 濁音行의 使用例는 많다고 할 수 있다. 表記에 대해서는 히라가나 表記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 KCI등재

        한국의 소리 커뮤니케이션

        김성재(Seong-Jae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1 No.-

        이 연구는 우리민족이 인간세상의 뜻을 천신에 전달하고 문화적 감수성을 표현하는 징소리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최한기의 ‘음악기학론’과 미드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따라 분석하려는 시도다. 우리의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징소리는 기층민중들의 놀이판에서 발놀림에 따라 호흡을 조정함으로써 노동의 고통을 극복하는 신명의 기화와 인간 감성의 온갖 맺힘인 한의 기화가 상징화된 메시지를 전달해 왔다. 문순태의 『징소리』에 등장하는 징소리는 기가 통하지 못하는 실향민들의 기쁨, 분노, 욕심, 두려움 그리고 슬픔의 한을 풀어내는 기화의 메시지를 전한다. 조정래의 『이리랑』에 나타나는 징소리는 일제 하에 신음하는 농민들의 슬픈 한을 풀어주고, 식어버린 민족혼을 다시 일깨우는 기화의 메시지를 담아낸다. 유정자의 시집 『징소리에 실려올 꽃의 숨소리』에 나오는 징소리는 ‘심령의 간절한 울림’과 봄꽃의 숨소리로 기화되는 메시지로 작용한다. 결론적으로 우리의 징소리는 하늘을 향해 열린 공간에서 일어나는 소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간에게 하늘과 함께 호흡하는 법을 일깨워줌으로써 신명과 한의 기화가 상징화된 메지지를 담아내는 숭고한 하늘의 소리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dealing with the communication of Korean gong sound. It is based on 'music-spirit theory' of Han-Gi Choi and Mead's 'symbolic interactionism', and does this by interpreting the message of gong sound that is mentioned in Korean literature. The gong sound brings out the message of symbolizing evaporation of Korean people's joy and regrettable matters in the playing yard by regulating of breathing according to the steps. By the novel "Gong Sound" of Sun-Tae Moon Korean gong sound has a message of people's joy, anger, avarice, anxiety and sorrow. In Jeong-Rae jo 's novel "Arirang" the Korean Gong Sound includes a message of evaporation of people's regret and raises the national spiri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By Jeong-Ja Yoo's collection of poems, "The sound of flower breathing carried by gong sound", the Korean gong sound carries a message of a roar of spirit and breathing of the spring flower. In conclusion, the Korean gong sound is a sublime sound of sky which carries the message of symbolizing evaporation of people's joy and regrettable matters through the sound communication in the open space, and awakes us to a method of breathing with sk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오노마토피아 제1자음의 음상징

        권연주,이윤호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3 No.-

        言語は恣意性を持つ。そのため、同じ対象でも言語によってそれを表す記号・音声は異なる。しかし、動物の鳴き声を真似て表す言葉には言語を超えた共通点も見られる。呈示された形に無意味語を使って名前をつける「Bouba/Kiki Effect」でも指している対象とその記号(音声)の間には何らかの繋がりがあるように見える。 浜野(2017)では「スクスク」と「クスクス」などを例に、同じ子音であっても単語内の位置によってオノマトペの中での働きが違うと主張した。2モーラのC1VC2V構造のオノマトペの第一子音(C1)は対象の表面の性質を表し、第二子音(C2)は動きを描写すると述べている。 本研究では浜野(2017)の単語内の位置による音象徴をアンケート調査で検証した。18〜21歳の関西地方の大学生を対象に実施したアンケート調査で、浜野(2017)で使われた例文を提示文として使い、オノマトペの部分を埋めるように指示した。その結果、浜野(2017)が主張する音象徴もあれば、他のオノマトペの応答も観察できた。 実験結果の中で浜野(2017)と一致しないところについては、擬音語の使い方をしている点や意味の拡張を考慮に入れると、概ね浜野(2017)の主張と一致していた。主要な結果の他には、一つの対象について複数の種類のオノマトペの使用が目立った。特にp/bを使ったオノマトペ語は生産性が高かった。そのため、p/bがC1として使われた例文から「膨張した表面、張り詰まっていない空洞」という解釈を付けることはできるが、p/bがC1にある全てのオノマトペに「膨張した表面、張り詰まっていない空洞」の意味があるとは解釈出来ないという結果となった。 この結果を踏まえると特定の子音は、例えばk/gのC1は「硬い表面」という分析よりは何故一つの対象に複数のオノマトペが使われ、それぞれの差は何に起因するかを明らかにする必要があると思われる。

      • KCI등재

        日本語オノマトペに對する母語話者と韓國人學習者のイメ一ジの違い

        吉田たか(요시다 다카)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일본어는 오노마토페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언어이다. 그러나 일본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가 오노마토페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와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어 오노마토페를 접했을 때 받는 이미지를 의미미분법(semantic differential)을 이용해서 조사·비교하였다. 그 결과 청음·탁음·반탁음 대립의 이미지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일본어모어화자는 반탁음>청음>탁음 순으로 “가늘다, 약하다, 조용하다, 가볍다”등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인학습자는 청음>탁음>반탁음 순서로 이러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고, 반탁음 이미지에 자이를 볼 수 있었다. 또, 한국인 학습자에게 구별이 어려운 무성파열음과 유성파열음에서는 이미지에도 대립이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국어 성조 체계의 ‘말(馬)’-형 선호 경향과 그 의의

        이문규(Lee, Moon-Kyu)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1

        Among several tone patterns in the Korean tone system, there is a tendency for the ‘mal(馬)’-pattern to have the strongest preference. This is based on the following several tonal phenomena: 1) All three replacements of tonal patterns that are common in the middle Korean and the modern Korean tone dialects aim the ‘mal(馬)’-pattern. And these replacements have been expanded with time. 2) The ‘mal(馬)’-pattern is the common tonal pattern of all the symbolic words in both the middle Korean and the modern Korean tone dialects. 3) The ‘mal(馬)’-pattern shows a significantly higher share in the tonal patterns of Sino-Korean family names than in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used for other words. 4) The ratio of the ‘mal(馬)’-pattern has diachronically increased in the tonal patterns of Sino-Korean word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preference for the ‘mal(馬)’-pattern should go back to the period when the pattern was with the initial-low-tone since it is phonetically the most unmarked tonal pattern. Furthermore,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tone systems of the middle Korean and the Hamgyeong-dialect group with the ‘mal(馬)’-pattern in the initial-low-tone, are the closest to the proto-Korean tone system.

      • KCI등재

        한국어 단음절형 의성어․의태어의 음운․형태적 특징

        카와바타 유키,서민철 한글학회 2023 한글 Vol.- No.339

        이 연구는 단음절형 의성어와 의태어가 어떤 고유한 특징을 가지는지, 그리고 단음절형 의성어․의태어와 반복형 의성어․의태어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음운․형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시늉말 사전 에서 단음절형 의성어․의태어와 반복형 의성어․의태어를 수집하여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단음절형과 반복형의 의성어에 사용된 초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ㄲ’의 사용이 현저했다. 한편, 단음절형과 반복형의 의태어에서는 ‘ㅊ’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의성어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단음절형과 반복형 의성어의 초성으로는 된소리의 사용이 현저했으나 단음절형 의태어의 경우는 거센소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의성어․의태어․의성의태어의 단음절형과 반복형의 형태적 대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단음절형 의성어․의태어․의성의태어가 반복형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복형 의성어․의성의태어의 경우에도 단음절형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반복형 의태어는 단음절형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이 연구는 형태 반복이나 상징소 첨가 등을 수반하지 않는 단음절형 의성어․의태어를 주된 분석 대상으로 하여 의미가 더 적은 음소로 실현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의미와 형태의 관계에 대한 범언어적, 언어유형론적 고찰에도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의 부분중첩에 대한 음운론적 고찰

        이미자 ( Mi Ja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언어와 언어학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try to analyze the rule of a coda-omission by a syllabic structure and a scheme on intenisity of consonants in Korean. First, I``d like to clear the view that the internal reduplication of CVC in the words ‘A-sak-sak’ and ‘Ju-ruk-ruk’ are made by a very unstable combination being against the scheme on intensity of consonants. Second, there can be an omission because a coda has a lower position than an onset in the Korean syllabic structure and because velar sounds ``ㄱ,ㅇ`` are weakest among the common consonants above all. The omission of ``ㄱ`` can be also justified because it is the weak consonant that has passed through a course of weakening from ``ㄱ>r>□>□``. The last thing, I want to prove is that a part of reduplication of ideophones is not semantic core, and an omission of a coda can be possible if there coexists the original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