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허 동시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분석

        문진희,권의준,금영정 기술경영경제학회 2017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5 No.3

        최근 기술융합의 핵심현상으로 사물인터넷이 대두되면서 사물인터넷의 기술트 렌드 및 기술융합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의 대부분이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에 대한 정성적 연구에 그치고 있어 기술융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데이터를 기술의 대용데이터로 간주하고, 동시 분류분석과 텍스트마이닝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융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사물인터넷의 융합을 일으키는 주요 기술 군을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네 가지로 정의한 후, “Internet of Things” 키워드 를 중심으로 미국 특허청에서 수집된 923개 특허의 클래스를 네 가지 기술군에 할당하여 이 들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클래스 및 키워드가 디바이스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융합 현상을 디바이스 융합과 전체 융합으로 나누어 기술융합 양상을 파악하였다. 디바이스 중심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분석한 결과 센서 디바이스를 비롯한 헬스케어 디바 이스, 냉장 및 냉동 장치, 에너지관리 디바이스, 로봇, 임베디드 등이 주요 융합 그룹으로 도 출되었다. 전체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사물인터넷 요소기술을 중심으로 스마트 헬스 케어, 스마트 홈, 무인자동차 등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응용영역들이 기술융합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물인터넷 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수립 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rise of internet of things (IoT),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trend and technological convergence. However, previous work have been relied on the qualitative work that investigate the IoT trend and implication for future business. In response, this study considers the patent information as the proxy measure of technology, and conducts a quantitative and analytic approach for analyzing technological convergence using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text mining. First, this study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IoT business, and characterize IoT business into four dimensions: device, network, platform, and services. After this process, total 923 patent class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IoT technology group. Since most of patent classes are classified into device technology, we developed a co-classification network for both device technology and all technologies. Patent keywords are also extracted and these keywords are also classified into four types: device, network, platform, and services. As a result, technologies for several IoT devices such as sensors, healthcare, and energy management are derived as a main convergence group for the device network. For the total IoT network, base network technology plays a key role to characteriz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the IoT network, mediating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each application area such as smart healthcare, smart home, and smart grid. This work is expected to effectively be utilized in the technology planning of IoT businesses.

      • 기술혁신 수단으로써 기술융합 이론의 적용 범위에 대한 비교 연구

        최혁준(Choi, Hyukjoon),이유아(Lee, Youah)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일반적으로 기술융합이라는 용어는 IT, BT, NT 등 성격이 다른 큰 범주에서 기술간의 결합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기술융합 연구들은 IT기술을 중심으로 한 융합과 관련 국가 정책에 관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큰 기술 범주 위주에 국한되어 있다. 하지만 동일한 목적을 위해 수행하는 유사 기술영영에서의 기술융합 역시 기술혁신의 수단으로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다. 실제로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기술융합 전담기관을 신설하여 프로젝트 내의 기술간 융합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프로젝트 범위의 기술융합 가능성 및 실효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제부에서 수행하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연구개발사업을 실증사례로 하여 프로젝트 범위의 기술 융합에 관하여 기술융합의 필요성, 적용가능성, 실효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였다.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 사업은 지식경제부 내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사업단 주관으로 2005년에 시작되었으며 2014년까지 I 지역 탐사 및 시추, II 지역 탐사 및 시추, 시험생산의 3단계의 달성목표를 가지고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천연가스가 저온 고압 상태에서 물과 결합해 형성된 고체 에너지로 화석연료 고갈에 따라 이를 대체할 가장 유력한 청정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가스하이드레이트 개발사업단에서는 지구물리탐사분야 지질지화학분야 개발생산분야로 세부 기술모듈을 형성하여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과제간 교류가 부족한 상황으로 인해 목표달성을 위한 기술력의 확보 및 향후 상업생산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개발 및 혁신의 수단인 기술융합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혁신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개발, 학습, 투자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영향을 만들어내는 개념으로 정의 할 수 있다. 기술혁신을 이루어내는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술융합은 2개 이상의 요소기술들이 결합하여 기술이 갖지 않는 새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기술혁신의 한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술융합은 21세기 초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며 예상보다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스하이드레이트 각 단계에서의 애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혁신을 위해 지구물리탐사 지질지화학 개발생산분야간의 융합의 가능성 등을 타진해본 결과, 각 기술융합들을 기술융합 유형에 맞춰 분류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적용가능성과 기대효과 측면에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융합 유형에 대한 이론과 실제 가스하이드레이트 전문가들과의 설문을 통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스하이드레이트 실증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기술융합 이론은 기존의 큰 기술범주뿐만 아니라 작은 범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성과 적용가능성, 실효성 면에서도 충분한 고찰을 통해 기술융합 이론의 적용 범위를 좁히면 더 많은 연구와 융합기술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신기술의 융합 유형에 관한 실증 분석

        차원용(Cha, Won-Yong),이선규(Yi, Seon-G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최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등장하고 있는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그리고 나노기술(NT)의 새로운 신기술 융합 유형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로 융합의 학문적 의미, 융합의 촉발 요인과 향후 전개방향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통해 기존의 바이오기술, 정보기술 및 나노기술들의 한계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그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서의 융합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융합 유형 중 바이오기술(BT) 기반의 정보기술 융합인 BIT융합기술과 나노기술 융합인 BNT 융합기술에 한하여 선행연구 및 델파이 실증 분석을 통해 차세대 기술로 등장할 7개의 BIT 및 10개의 BNT 세부 융합기술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각각 융합기술을 연구하는 연구소, 기업, 및 학계에 융합의 필요성에 따라 상호 이해도를 높이고 산학간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convergence of Bio technology(BT) and Information technology(IT) based on Nano technology has just emerged into several type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therefore,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and suggested the needs of why BT, IT and NTshould be converged into new types technologies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papers and documents. Among the several types of convergence technolog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ypes of BIT and BNT only through Delphi research method, and finally laid out the most important 7 specific kinds of technologies of BIT and 10 of BNT, which will give insights of cross-understanding and cross-imagination to institute side, business side, and academic side when they do research and business development of future convergence technologies together as cooperation between.

      • KCI등재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실현과정

        김학수(Hak-Soo Kim),김사라(Sara Kim),김청희(Cheonghee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전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융합연구’ 내지 ‘융합기술’ 관련 기존 탐구는 주로 ‘의미분석’ 차원의 개념적 논의에 머물렀다. 그런 논의에 바탕을 둔 융합기술(融合技術) 관련 정의들은 크게 수렴적(converging) 융합기술, 통합적(integrative) 융합기술, 또는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융합기술 등의 용어로 대변되었다. 그러나 그런 개념들은 실제로 융합기술을 개발연구 하는 데 구체적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들을 거의 제공해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몸체(body)’ 못지않게 중요한 ‘행위과정(behavior)’ 자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융합기술 개발연구 실현과정의 토대가 될 새로운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융합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 있다. 한 마디로 ‘융합을 위한 기술’과 ‘융합을 통한 기술’을 차례로 성취하는 것이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핵심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것은 곧 팀워크(teamwork)의 실현과 그것을 통한 팀 전체의 창작력(創作⼒)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혁신적인 융합기술을 생산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First, this study reviewed why the concepts of technology convergence, technolog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ity came to currently attract more attention in the arena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find that those concepts have been defined mainly in view of ‘meaning analysis’ type by/for grouping particular instances, and so, provide no useful insight on effectively developing converging, integrative or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oncept of ‘unifying/unified technology,’ derived from a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per se, and then, elaborated on a new social science paradigm that is vital to realize it. Finally, we came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not only realizing “teamwork” but also developing its “compositional capability” to accomplish ‘unified (innovative) technology.’

      • 융합기술 혁신을 위한 산-학 협력 활성화 방안

        이공래,성태경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융합기술을 혁신하기 위한 연구개발 차원의 정부 대책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제도적 차원의 폭 넓은 정책 개발과 추진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융합기술의 혁신이 사회문화적으로 연관되어 있고, 다양한 제도적 요소가 얽혀 상호작용을 하는 환경 하에서 단순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만으로는 진정한 의미의 융합기술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융합기술 혁신을 촉구하기 위해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본 연구는 바로 이런 필요성에 입각하여 융합기술 혁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관련 제도를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시도하는 연구이다. 융합기술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요소는 매우 많겠지만 본 연구는 기업의 융합기술 혁신에 강력한 보완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학의 역할에 주목하고 "산학협력"이라는 제도적 요소를 선택하여 분석을 시도한다.즉, 융합기술 혁신 촉진을 위한 산학 협력기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정책들이 적합하게 기획되고 추진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기존 정책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 ○ 산학협력 유형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 연구개발형 산학협력이 가장 효과적이며, 종합형, 인력양성형, 지식정보서비스형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내용별로는 인력양성형에서 "대학에서의 맞춤형 인력양성"이 가장 높았으며,연구개발형 산학협력 내에서는 "대학-기업체간 공동연구"가 가장 높았다. 지식정보서비스 관련 협력유형에서는 "대학과 기업의 공동 특허"가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됐다.○ 산학 협력연구 실태분석 : 대학이 민간기업체의 중요한 연구개발 파트너로 부상해 있음을 확인했지만 그 강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연구개발비가 산학 협력연구를 충분하게 유인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학이 민간업체에 적극적으로 연구를 위탁하는 대학발산학 협력연구가 시도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공공연구기관과 대학이 상호 협력하여 연구개발 자원을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대학이 상근 연구개발인력을 확충하고 민간기업체가 연구개발 아웃소싱을 확대하게 하는 정책적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책현황의 분석 : 정부의 산학협력 관련 정책사업이 점차 융합기술을 혁신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정부의 산학협력 사업 중에서는 연구개발형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의 융합기술 혁신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학협력 정책사업의 지원규모가 과거의 다른 정책 사업에 비해 미미하지만 앞으로 빠른 속도로 융합기술 혁신 목표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정부의 산학협력 관련 정책사업이 점차 융합기술을 혁신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정부의 산학협력 사업 중에서는 연구개발형 "산학연 공동기술개발사업”의 융합기술 혁신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대학이 민간기업체의 중요한 연구개발 파트너로 부상해 있지만 협력의 강도가 약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연구개발비가 산학 협력연구를 충분하게 유인하지 못하고 있다.○ 산학협력 정책사업의 지원규모가 과거의 다른 정책사업에 비해 미미하지만 앞으로 빠른 속도로 융합기술 혁신 목표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책제언○ 정부ㆍ지방자치단체가 지출하는 연구개발비가 산학 협력연구를 더 강력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한다.○ 산학협력사업들 중 융합기술의 혁신과의 부합정도가 높게 평가된 사업을 더 많이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별로 몇 개 대학이 전략적으로 제휴하여 산학협력단을 운영하는 경우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제도적 조치도 필요하다.○ 대학이나 기업체 및 공공연구기관에 근무하는 과학자들의 의견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자가 필요하다.○ 민간기업체들도 대학을 활용하는 것이 유익하다는 긍정적인 자세를 갖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 대학이 민간기업체에 적극적으로 연구를 위탁하여 대학발 산학 협력연구를 시도해야 한다.

      • KCI등재

        DEMATEL을 활용한 특허분석 기반의 기술융합 분석 연구

        서원철 ( Seo Wonchul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3 지역산업연구 Vol.36 No.2

        기술융합은 개별적인 기술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고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도출해낼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수단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기술융합은 다양한 기술적 요소들의 결합을 바탕으로 혁신적 기능을 창출해내는 과정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실제적인 R&D가 국가 차원에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기술간 경계를 허무는 형태의 기술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 R&D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R&D의 전략을 수립하고 방향성을 설계할 수 있도록 기술융합동향에 대한 분석 방법론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기술융합은 서로 다른 기술영역 사이에서 기술지식이 지속적으로 교류됨으로 인하여 발생되기 때문에 기술융합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분야 간 기술지식흐름의 수준을 살펴보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분석과 DEMATEL을 기반으로 산업 간 기술지식흐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국가 R&D에서의 기술융합 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술지식흐름의 현황을 바탕으로 기술융합의 특징을 도출할 수 있도록 중요도-인과도 맵을 도입하고, 중요도-인과도 맵을 특성에 따라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대한 기술융합 관점의 의미를 부여한다. 이러한 의미기반의 중요도-인과도 맵을 활용함으로써 기술융합 관점에서 각 산업의 역할과 추후 R&D 기획 시 고려해야 하는 전략적 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방법론의 실제적 적용과 분석적 결과 도출을 위하여 한국 국가 R&D를 통한 산출물인 국가 R&D 특허정보를 활용한다. 본 연구의 방법론은 국가 R&D의 기술융합 동향을 기술지식흐름의 관점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나아가 추후 국가 R&D 기획 시 전략적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론은 계량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자동화된 기술융합 동향분석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이며, 이는 국가 R&D 기획 프로세스의 효율적 실행을 지원하는 요소기술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echnology fusion is becoming a mainstream phenomenon which leads to breakthrough functions by providing a definite path to innovation.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generate practical R&D initiatives by merging several technologies beyond industrial boundary. As national R&D based on technology fusion which can blur technological boundaries becomes more important, it is required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to establish R&D strategies and directions. Since technology fusion is fundamentally generated by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between different technology classe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a systematic methodology is imperative which examines the extent of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 procedural method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y fusion in national R&D programs by exploring technological knowledge flow based on patent co-classification analysis and DEMATEL. We introduce a concept of impact-causality map and divide the map into three dimensions.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map, we draw technological implications of each dimension. Using the map with technological implications helps identify role of each industry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fusion and moreover draw R&D strategies in the R&D planning processes.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ed method, we conduct an empirical study using Korean national R&D patents granted between 2008 and 2011.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offering an alternative to identify the phenomena of dynamic technology fusion. Moreover, it holds the potential to become a useful tool in the national R&D planning processes since it can help provide future R&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features of technology fusion of each industry sector.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현황 및 이동 행태분석

        이중만(Jungmann Lee),허태영(Taeyoung Hur),이정배(Jungbae Lee),황규희(Guehee Hwang),엄기용(Kiyong O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융합기술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술융합 및 융합기술화 등 융합기술에 대한 전략적 활용도 증가하여 융합산업은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고, 다학제 교육의 활성화, 글로벌 협업의 증가, 지속적으로 타분야 지식습득을 위한 직무전환교육, 응용이 가능하게 하는 기초과학 교육강화, 협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자 네트워크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기술개발 및 과학기술분야 융합기술 인력에 대한 현황과 연구원의 인력이동 행태에 대한 분석이다. 산학연 전문가 209명을 대상 전문가 Survey 및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서 융합기술 분야에 있어서 융합기술인력의 유동성 강화(Mobility), 글로벌 수준의 융합기술 인력양성, 인력이동 행태에 따른 다양한 공동협업연구(Collaboration) 및 전환교육, 인프라의 체계화 및 개선(Infra) 등 인력양성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IT, BT and NT is expected to drive technological revolution in the twenty first century, so a large amount of R&D expenditure is being concentrated on the development of fusion technology worldwide. Researches on how to direct and manage fusion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are rare up to the present. This study investigat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S&T human resources practices in the fusion technology area focusing on the career path movement of researchers. On the basis of case study and a field survey of 209 scientists and engineers from academia,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four strategic directions are recommended for improving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convergence technologies. The limitations and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특허에 기반을 둔 기술융합 분석

        유준상,이희상 대한산업공학회 2013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1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술의 융합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메가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자국이 보유한 강점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융합기술의 도출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융합의 실질적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명시화된 지식인‘특허’와 특허에 인용된 ‘논문’ 그리고 특허분류와 산업 분류체계 연계를 통한 산업군 분석을 하였다. 첫째, 융합기술에 영향을 끼친 과학 분야를 분석하기 위해 특허의 비특허 문헌(특허에서 인용된 논문)을 이용하였다. 인용된 저널과 과학 분야를 대분류와 소분류로 나누어 융합기술에 영향을 준 과학 분야를 파악하여 정량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융합기술의 원천기술과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인용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융합분야에 영향을 준 기술 분야를 찾아냄으로써 융합기술의 다양한 원천기술 분야들과 핵심 분야를 분석하였다. 셋째, 특허분류체계에 따라 각 기술 분야의 교차영향분석(Cross Impact Analysis)을 하였다. 융합기술 특허들이 분류 체계를 통하여 영향력 지수를 측정하고 융합이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넷째, 융합기술과 산업과의 흐름을 분석하기 위해 국제특허분류-국제산업분류 연계표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융합기술들이 산업에서는 어떠한 영역에 속하며 활용되고 있는지를 찾아냄으로써 향후 산업 융합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술융합에 앞서 과학 분야가 기술 융합에 미치는 영향, 기술융합의 양상을 분석하고 원천기술분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융합에 있어 핵심기술과 도움을 주는 기술을 구분하여 융합의 본질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하지만 단순히 바이오인포매틱스 한 분야에 대해서만 분석을 하였기에 향후 다른 기술융합의 연구와의 비교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더 일반화 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융합기술 분야의 정부 투자성과에 대한 연구: 정부의 융합기술 추진전략 실천과제별 기업성과 사례 분석

        이진석 국회예산정책처 2016 예산정책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4-factors : technical, market, business, financial ability of firm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factor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3 factors(technical, market, business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 performance. Second, in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we found the difference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key factors and the firm performance of government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In conclusion, government departments should plan the policies for convergence technology based on firm performance and support private firms to increase the ability(technical, market, business, and financial) of firms in the market of convergence technology.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융합기술 투자성과를 기업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정부가 발표한 융합기술 5대 중점 추진전략별 기업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기술 중점 추진전략별 세부 실천과제를 중심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친 수 있는 영향요인을 기술적 요인, 시장요인, 시장역량 요인, 그리고 재무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기업성과와 이들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융합기술 육성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과 사업역량 요인이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융합기술 사업화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 사업역량 요인, 재무적 요인이 각각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융합연구 활성화 부문과 융합기술 인재양성 부문에서는 기술, 시장, 사업역량, 그리고 재무적 요인에 걸쳐 전반적으로 기업성과와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융합기술 기반구축 부문에서는 기술적 요인, 시장요인, 그리고 재무적 요인에서 각각 기업성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융합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타 기술과의 융합 및 상품화를 위한 환경조성, 특허/지식재산권 보유기반 마련, 정부 지원과제 수행능력 강화, 융합기술을 위한 자금지원 활성화, 융합기술 분야별 기술력 극대화 지원 등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BT 융합기술 시장의 특성에 관한 실증연구

        최나린(Na-lin Choi),현병환(Byung-hwan Hyun),김방룡(Pang-ryo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2

        생명공학(BT) 분야는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시장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으며, 타분야와 융합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동안 한국특허청(KIPO)에 등록된 특허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BT 융합기술의 실태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특히 국제특허분류(IPC)체계에 따라 융합기술을 동종융합과 이종융합 기술로 구분하였으며, 그 시장의 특성을 파악을 위하여 기술 및 기업집중도, 시장확보력지수(PFS) 비교 실증분석을 한다. 또한 FOS 기술-분류표를 활용하여 BT기술과 이종융합이 일어나고 있는 산업군을 파악하여 신시장 창출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그간 특허분석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우리나라 BT 융합기술 시장에 초점이 맞추어 진 연구는 거의 드문 실정으로 이러한 분석은 매우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융합기술 시장이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으며, 소수 기업에 의하여 독과점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BINET 융합 분야의 핵심 키워드 및 기술을 파악한다. 이러한 BT 융합의 추세는 향후 BT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향후 BT 기반 융합기술 정책수립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iotechnology is considered a new propeller to national economic growth. Although BT-based converging technology is one of keywords in nowadays, few studie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T convergence market. This study has conducted the analysis of BT-based converging technology market by using patent database in KIPO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from 2000 to 2010. We, especially, have classified BT convergence into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ones, and compare the nature of BT convergence market with that of non-convergence one.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are used: concentration across IPC technological classes; concentration of patenting activity across firms; PFS (Patent Family Size) index. Furthermore, according to FOS technology-industry table, we have intended to find new converging industry of BT heterogeneous converging technologies. As ver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Korean converging technology market so far, this analysis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t is found that the market of BT converging technology is rather robust than that of BT non-converging one, which refers that BT convergence shows the tendency of concentration towards few technologies by few conglomerate firms in Korea. Meanwhile, we have derived a BINET keyword map to research the convergence of sub-technologies in detail and the related industries. We expec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o be utilized in establishing the BT-based converging technology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