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 대상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김선희(Kim, Sunhee),김희경(Kim, Heekyong),윤희숙(Yoon, Heesook),남수경(Nam, Sookyong),김영란(Kim, Youngra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최근 한국 중등 교육과정 혁신의 핵심 이슈 중 하나는 융복합 교육으로, 융복합 교육 역량을 가진 교사 전문성 발달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사 양성기관의 융복합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 사범대학이 교육과정 개선의 일환으로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뒤 프로그램을 보완해 나가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은 사범대학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을 토대로 하여 국어, 수학, 물리, 화학 전공 교수의 협력, 단과대학 및 대학 본부 차원의 적극적 행정 지원에 힘입어 4인 교수의 공통 개설 강좌인 ‘(교과) 교재 연 구 및 지도법’에 4차시용 융복합 교육 모듈을 삽입한 것으로, 프로그램 운영 시 교육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의 목소리가 연계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은 ‘①융복합 교육의 의미와 유형에 대한 이론 강의, ②예비교사들의 융복합 수업 설계와 ③시연 및 ④반성’의과정으로 구성되었고, 2017년 2학기에 102명의 예비교사에게 적용되었다.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후에는 예비교사들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행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예비교사들은 융복합 수업의 의미와 필요성, 융복합 수업 설계에 대한 자신감, 타교과 교 사와의 협력, 수업에 대한 비판적 성찰 측면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운영 과정 시 교수들이 수업일지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평가회도 실시하여 보완점을 추출하고 프로그램 개선을 제안하였다(이후 2018년 2학기 운영 예정). 이 연구는 향후 융복합 교육을 위한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 및 현직 교사 대상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One of the key issue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innovation in Korea i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therefore in turn the development of teachers’expertise with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also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That said, curriculum or program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are insufficient. This study explained the case of a college of education which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 as a part of it innovating its curriculum, and suggested a revised version of the program. The project to support innovation of curriculum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as used as the basis for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program in thi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as made thanks to the cooperation among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physics, and chemistry as well as the prompt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college and the university headquarter. The program consisted of four sessions and it was inserted into a lecture‘Instructional Materials & Teaching Methods’which were commonly taught by four professors in their major. During the program school teachers who are actually practicing interdisciplinary teaching were involved in order to provide feedback on pre-service teachers’lesson plans and teaching practice. The program consisted of one session of lecturing on‘the meaning and types of interdisciplinary teaching’, two sessions on student teachers’planning & implementing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one session on sharing and assessing the practices. The program was rolled out to 102 pre-service teachers in the autumn term of 2017.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both in their confidence in planning interdisciplinary lessons and in their cooperation with peers from different academic backgrounds. Also improved was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need for interdisciplinary teaching. In this study, the professors wrote a class diary during the program sessions to reflect pre-service teachers’feedback. The study also had a meeting with the mentor teachers to evaluate the program. Based on this feedback and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a revised program that will be implemented this autumn term, 2018. This study will include the implications to curriculum innovation of other colleges of educa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teaching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 KCI등재

        융복합 기술이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공공부문의 중소기업에 대한 융복합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박문수 ( Mun Su Park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5 통상정보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두가지 형태로 진행되었다. 첫째는 융복합 기술과 융복합 기술이전의 선행연구 검토 및 조사분석틀 분석에 근거하여 융복합 기술이전이라는 개념화와 측정 방법의 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융 복합 기술이전의 분류에 근거하여 기존 기술이전 조사틀에서 최근 정책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중소기업 융복합 기술이전을 전체 중소기업 기술이전 현황과 비교하였다. 정책적으로 공공부문에서 중소기업 기술이전이 중요하며 특히 융복합 기술이전의 건수와 금액 비교를 통해 융복합 기술이전이 진행 형태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분석을 종합하면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이전이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융복합 기술이전은 4.4%에 불과하다. 대학 및 정출연이 보유한 융복합 기술에 대한 중소기업 기술이전은 상대적 낮은 수준이다. 산업별로 볼 때 중소기업 기술이전이 활성화된 분야는 전자부품, 기계장비, 화학, 음식료, 의료 등이며 이러한 특징은 융복합 기술이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기술생산자별로 보면 중소기업 기술이전뿐 아니라 융복합 기술 모두에서 대학의 역할이 강조 되고 있다. 기술이전 금액관점에서 1~5천만원의 건수 및 금액 비중이 높으며 5백만원 미만의 건수도 많아지는 추세이며 융복합 기술이전도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별로 융복합 기술이전을 포함한 기술이전 전체 성과가 서울, 대전, 경기에 집중되어 있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two. First, for convergence technology and convergence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 suggested a framework for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Second, I am compare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otal technology transfer from public research(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e) to SME. Overall, despite the trend to increase technology transfer to SMEs,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is only 4.4%.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he Industry is active to electronic components, machinery, chemicals, food and beverage, and the medical. The role of universities is emphasized in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here are small transactions of less than 5 million in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Both total technology transfer and convergence-type technology transfer to the region are concentrated in Seoul, Daejeon and Gyeonggi-do.

      • KCI등재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조미숙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둘 이상의 학문 영역의 지식과 가치를 융복합해 구성한 교과목을 묶어 운영하는 융복합적 교육과정은 사회적 요구, 학문적 요구, 학습자들의 요구 등 다양한 요청에 의한 것으로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21세기 지식기반사회 주도를 위하여 가속화되고 있다. 현장 수업에서의 융복합 수업은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 가치관 확립을 종합적으로 교육해 경계를 넘나드는 사람으로 키우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체계적인 융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교육 체계와 방식, 융복합 교육과정 설계 시 기초 교과의 구체적 구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고에서는 ‘고전의 이해와 적용’이라는 기초융복합 교과목의 개설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건국대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신의’를 바탕으로 하는 창의적 인간형 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교과목을 지향한다. ‘고전의 이해와 적용’은 다양한 가치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성신의’를 바탕으로 하는 창의적 인간형 양성이라는 목표 하에 텍스트를 선정하게 된다. 이 교과목은 문제 해결의 힘과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수준 높은 읽기와 격식 글쓰기로 이루어진, 읽기-쓰기 융합을 사용한다. ‘읽기-쓰기’는 고도의 추상적 사고작용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논증 과정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공부를 하는 데, 그리고 대학의 지적 생산방식에도 적절하여 많은 대학에서 적용하고 있다. 학교의 필독서 중 강의에 몇 편을 선정, 이용하는 방식이 유용하다. 통합적이고 보편적인 사고의 생산을 위해 ‘고전의 이해와 적용’은 토론, 발표 방식을 사용한다. 이 강의에서는 텍스트에서 창의적으로 문제점을 찾아내어 토론하는 가운데 인간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상상하고 해결하는 방법 찾기를 하게 된다. The Convergence Curriculum is worth more than one field of study that combines the knowledge and subjects tied operates configured. It requires a social and academic needs, including the needs of learners due to a variety of requests. And it i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n the 21st century to lead the society becomes more active. To use the Convergence lesson in field class is ​​to establish the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values a comprehensive education. The Convergence Curriculum that we have when designing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the based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he specific configuration. Through this article, I proposes that establish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lassic great books’ as basic the Convergence lesson. Above all, this course wants to meet Konkuk University's educational goals that grow positive creative human on the basis of ‘sincerity, fidelity and righteousness’. This course is considered the person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search, and the contribution of the human race.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classic great books’ search for value through a variety of ‘sincerity, fidelity and righteousness’ on the basis of the text of the creative humanoid under positive selection becomes the goal. Second, this lesson wants to achieve the power of problem solving and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in order to foster high standards in reading and writing made ​​formal. Today many universities are applying the ‘Read-write’ method that it requires a high degree of abstract thinking. Reading texts of this lesson are determined by choosing a few good pieces out of reading list of schools. Third, this lesson is made of the discussion, presenta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integrational and universal thinking. This lesson finds ways to imagine identify and discuss issues of human society creatively and solve a variety of problems from the text. Fourth, the operation of a preferred course The Convergence culture exchanges we activate teachers. This lesson wants to team teaching method. If it does not, even if the workshop we regularly exchanges information.

      • KCI등재

        철학과 융복합

        이하준(Lee, Ha Ju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오늘날 산업 현장이나 대학교육에서 융복합이 메가트렌드가 되었으며 신화적 힘을 발휘하고 있다. 융복합 교육에 대한 철학적 담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위 담론에서 논자들은 많은 경우 융합학, 융복합, 학제간 연구를 혼용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심지어 특정주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융복합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융복합 시대에 철학의 역할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는 논자들은 철학의 본래적 성격에 근거해 융복합 교육에서 철학이 주역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그와 같은 주장의 근거가 약함을 보여줄 것이다. 전국의 많은 대학에서 철학에 기반을 둔 융복합 교과목을 개발 · 운영 한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이 논문은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교과목들이 융복합 교과목으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키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는 점을 세 개의 사례분석을 통해 보여줄 것이다. 철학은 융복합 교육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역할, 융복합 교육의 주역이 되기 이전에 융복합의 신화에 대한 분석과 계몽을 시도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convergency has become the megatrend in both the business world and the college education. This implicates that the convergence has become "mythic power" in every working place where we belong to. Philosophical discourses on the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on going for many years. In many cases, the convergence has been misunderstood as multi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In addition, philosophical reflection about a particular topics has been considered as it is very identical to "convergence". Philosophers who participate the debate on the role of philosophy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believe that philosop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a such place. This paper shows the weaknesses of those believers. Many universities in Korea really do lots of efforts to offer and to develop their own convergent curriculums. Nevertheless, I argue that these efforts has not yet been satisfied the requirements for the convergent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ree case. At the end, I argue that philosophy should (1) play a role to give justification for the convergent education and (2) attempt to analyse and to enlighten the mythology of convergence before that it take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convergent education.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행 방안 탐색

        주미경(Mi-Kyung Ju),송륜진(Ryoon-Jin Song),문종은(Jong-E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과와 관련하여 융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행한 Focus Group Interview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적용 가능한 융복합교육 실천 방법을 융복합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면담 참여 교사들에게 융복합교육은 학문적 정체성 구현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지향함으로써 경쟁 중심의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실천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면담 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자율성과 능동성,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면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은 융복합교육이 이전의 교육과 차별화되는 교육목표와 접근법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가지는 중요성과 더불어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행 · 재정 체계의 변화, 그리고 융복합교육에 대한 비젼의 공유 및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수학교과의 성격을 고려하면 융복합교육의 적용이 가능하고 융복합교육이 수학교육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과학 및 기술 교과에 비하면 현재는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의 실행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수학교과의 특성이 적용된 융복합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현장 수학교사들에게 실행적 측면에서의 지침을 제공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Yungbokhap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key policies for school reform driven by the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investigate how they conceptualize Yungbokhap education, particularly, educational goals,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required administrative system. Th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that Yungbokhap education has a great pot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mathematics and introduced teaching practice to facilitate students’ active agenc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we discussed implications to improve Yungbokhap education in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후보

        융복합은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융복합 시대 연구·교육자의 내적 지향

        박일우(Park, Il-W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본 논문은 융복합 연구·교육자들이 갖추어야 할 학문적 자세와 실천이라는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다. 최근 들어 융복합 담론은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융복합의 기능적 접근을 다루었다. 게다가 융복합 추세 자체가 학계 내부의 요청이 아니라 산업계와 정부에서 먼저 제기된 것임에도 학계에서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성찰과 조탁의 과정이 결여되었음을 지적한다. 이에 본 논문은 융복합이란 비단 현재의 이슈가 아니라 모든 학문 역사의 순환적 과정일 뿐이며, 융복합의 목표 역시 오늘날의 지식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기술이라는 유용성을 추구하는데 두기보다는 자유와 삶의 의미를 제고하는 데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현재 진행 중인 융복합 연구·교육의 우수 사례를 분석하여 이 가운데에서 보이는 바 융복합 연구·교육자가 가져야 할 자세로 진영논리에 매몰되지 않고, 타 학문에 대한 경외와 호기심을 유지하고, 열정을 포기하지 않는 창의적 접근방식을 들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인문학과 첨단 IT기술이 접목되어 디지털 생태계에서 바람직한 인간상을 구현할 수 있는 생애주기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ho we, researchers and teachers working on the convergence-based fields, must be. Recently, studies on the convergence have been proliferated in quantity. Nevertheless, most of them treat the convergence in its functional, strategical meaning. The needs of convergent technologies came from the industrial fields, and introduced to academy by the governmental initiative, not from and through the inner awake of the humanities. The original convergence movement was introduced by so-called NBIC(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Cognitive science), and has been aiming at the utility only. The aims should be more refined in campus: the meaning of freedom and life. In order to fulfill this humanistic goal, the researcher and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some points in mind. The convergence is not a new notion in the academic history. Furthermore, it is not the goal: all disciplines were convergent at their beginning. To ensure the true convergence, we should get rid of the barrier that separates disciplines, which might seem undermine our ‘exclusiveness’. Even more, to develop our own discipline, we should be akin to other ones and respect them. The last point is to be awake and keep curiosity. This article suggests as conclusion a life-long educational program on digital humanities designed on these basis.

      • KCI등재

        대학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상과 그 해법

        박일우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1

        The notion of ‘convergence’ is being widely spread in the university classes nationwide. The tendency can be estimated as a result of general education renovation, but we think that it is premature and wrong directed. This paper aims at suggesting some solutions. The idea of convergence was conceived and developed at the technology and industrial society, not that of academy. So-called I-PHONE syndrome and Steve Job’s famous comment, “connect the dots”, were the beginning. And then, some ideologues around the power quickly imported the idea to higher education and insisted that it would serve for the Creative Economy, slogan of actual government. Whether a university is equipped with a set of ‘convergent subjects’ or not becomes an important questionnaire at the various national university evaluations. We do not underestimate the needs and purposes of convergence education. The present era of digital technology requires convergent knowledge that we can hardly acquire with the traditional individualized subjects. Being still defender of that new idea, we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convergent education and curriculum, and we analyzed a few examples. Through this process, we found that convergent education has been in many cases misunderstood, and the introduction was premature at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It has been introduced to universities not by the academic ground but outer influences; industrial society and national education policies. We suggest a check list that each university is recommended to answer and reflex before introducing, or revising, the convergent curriculum, as follows: 1) Did you fully understand the idea of convergence? 2) Did you fix the goal of convergent education and curriculum? 3) Don’t you regard that the convergence is the final solution of higher education? 4) Do you have enough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maintain the convergent education?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s the will of college administration to modify the platform to fit the convergent education, i.e, Liberal Arts College. 이 글은 오늘날 고등교육현장에서까지 급속히 확산되는 융·복합 교육의 실태를 되돌아보고 여기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냉정하게 찾아내어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융·복합이라는 아이디어는 교육계가 아닌 기술계와 산업계에서 잉태되고 발전된 개념이다. 소위 말하는 아이폰 신드롬과 이를 만들어낸 스티브잡스의 언명, “점을 연결하라”라는 것이 그 시작이었다. 그 직후 정권에 가까운 몇몇 이데올로그들이 이를 교육에 도입하여 현 정권의 슬로건인 ‘창조 경제’와 엮어낸 정황을 목격할 수 있다. 오늘날 융·복합 교육과정과 교과목을 얼마나 개설하였는가의 여부는 국가 차원의 다양한 대학 평가에서 주요한 설문 항목으로까지 부상하였다. 이 글은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과 의도를 폄하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진행되는 지식산업사회에서는 더 이상 전통적인 개별적 학문에서는 얻기 어려운 새로운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융·복합 교육을 옹호하고 교육과정을 개발해온 입장에서 서서, 우리는 오늘날 대학 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융·복합 교육의 양상을 선행 연구와 보고서들을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조사해 보고 몇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지 않은 경우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오해가 있었음을 보았고 다소 성급하게 도입된 사례들을 찾을 수 있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융·복합 교육의 이념과 융·복합 교육과정은 대학 내부의 학문적 과정의 결과가 아니라 산업사회와 국가 권력이라는 대학 외부의 요인으로 고등교육에 도입되어 다소 기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개별 대학교가 융·복합 교육과정을 도입하고자 하거나 개선하고자 할 때 스스로에게 자문할 일종의 체크 리스트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융·복합의 개념을 이해하는가? 2) 융·복합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는가? 3) 융·복합을 궁극적 교육 단계로 맹신하지는 않는가? 4) 행·재정적 지원은 충분한가? 이 글은 결론적으로 ‘학부대학’의 편제가 새로운 교육방법을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실질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수학 예비교사가 국어, 과학, 윤리 예비교사와 함께 설계한 융복합 수업의 특징 탐색

        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22 학교수학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ases of convergence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ducting convergence classes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 4-week convergence class design and demonstration program with teachers of Korean language, Science, and Ethics to develop 51 convergence class cases, and I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classes in terms of class purpose, motivation context, convergence procedure, and student agenc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mens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integrated with mathematics. For example, convergence classes with the Korean language use a lot of statistics, and interdisciplinary procedures, and student-led classes are designed, and convergence classes with Science utilize a variety of mathematical knowledge, but multidisciplinary procedures are used and teacher-led classes are desig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onvergence class was presented, context, procedure, and student agency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convergence classes, considerations for convergence with Korean language, Science, and Ethics, and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융복합 수업 설계 사례를 분석하여 수학과 융복합되는 교과에 따라 융복합 수업의 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융복합 수업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학 예비교사들이 국어, 과학, 윤리 교과의 예비교사들과 4주간의 융복합 수업 설계 및 시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수학이 포함된 51개의 융복합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융복합 수업 사례의 특징을 수업의 목적, 동기유발 맥락, 융복합 절차, 학생 주도성의 차원에서 분석하였을 때, 수학과 융복합되는 교과에 따라 융복합 수업 특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어와의 융복합 수업은 통계가 많이 활용되고 간학문적 절차가 활용되고 학생 주도의 수업이 설계되었고, 과학과의 융복합 수업은 다양한 수학 지식이 활용되나 다학문 절차가 활용되고 교사 주도의 수업이 설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를 토대로 수학이 포함된 융복합 수업 설계시 수업 목적에 따른 수학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고, 융복합 수업 설계시 맥락, 절차, 학생 주도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 교과에 따라 그리고 융복합할 교과의 수에 따라 고려할 점 등을 도출하고 수학이 포함된 융복합 교육과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융복합 교육으로서의 과학 교양교육-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호영(Ahn, Ho 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2

        본 논문에서는 시대정신으로서 융복합 교양교육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검토한 후,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의 중심에는 STEAM 교육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접목, 그리고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소통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있음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동국대의 진행 사례를 들어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의 특징에 대한 검토로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동국대의 과학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특징을 세 가지로 요약할 것이다. 첫째, 문·이과 분리의 폐해가 매우 심각하다는 데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이러한 폐해를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을 통해 해결하려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생명과 마음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인문학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교과목들에서 분명해진다. 둘째, 동국대는 종립 대학으로서 학생 개개인이 자신의 심성을 스스로 돌이켜 볼 수 있도록 불교 정신을 융복합 교과목 속에서 구현하려고 한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을 통해서 이런 특징들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를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셋째, ‘인간’을 위한 융합 교육은 인간 자신을 탐구하는 학문이며, 따라서 과학 융복합 교양교육은 인간학을 지향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다. 결국 융합이란 자신이 마주한 한계적 질문을 앞에 두고서, 융복합적 글쓰기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onverging general education as the spirit of the age by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then we would research the direction which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should go toward. We would address that there are the conjunction between STEAM and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and the attempt to intensify th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Also by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we would examine how the science in general education could be characterized We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examples from Dongguk University by giving its three ideas. First, we hold in common for bad influences of two cultures, these influences should be solved through the science in converging education. It is obvious at the educational courses which are explained by the science and reflected by the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econd, since the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for students to introspect their born-nature by themselves, it is very distinctive to embody the spirit of Buddhist in the converging educational courses. We would explain by examples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science and the humanities how these features could be embodied. Third, the converging education for ‘human’ is the study for investigating by themselves, then it also is distinctive to accomplish the anthropology. After all, what the convergence is, while confronting the ultimate question by themselves, it is concretized by the attempt to solve this question through the converging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