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1) —‘尹根壽’와 ‘陸光祖’ 간의 「朱陸論難」을 중심으로—

        김희영,김민재,김용재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8 No.-

        In the early 16th century, Yang Ming Studies was introduced to Joseon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traditional Korean rockfish. At this time, Joseon was economically and socially chaotic due to the war, and politically, it was a time of confusion in and out of the country. Yang Ming Studies became an object of exclusion because it was firmly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Lee Hwang's exclusion from Yang Ming Studies is the biggest reason Yang Ming Studies has become unable to establish himself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Yoon Geun-soo (1537∼1616), a scholar of Joseon, and Yook Kwang-jo (1521∼1597) of the Ming Dynasty met and made an argument and wrote the article in the research text, which was divided into the View of Tao-genealogy, View of Mind, and View of Academic. Yoon Geun-soo presents a conduit leading to runners, Jin Deok-soo and Heo Hyung,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Yook Kwang-jo has a Taoist perspective leading to Mencius, Yook Gu-yeon and Wang Su-in. This shows that Yoon Geun-soo and Yook Kwang-jo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is also related to academic tendencies. Finally,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methods, Yoon Geun-soo pursued the academic methods of reading and Hamyang Yong-kyung, while Yook Kwang-jo confirmed that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main mind above all else by pursuing the academic methods of the Muk-sik-sim. In addition, while Yoon Geun-soo emphasized the study based on the book, Yook Kwang-jo presented the sentence that Jin Hun-jang said and suggested the academic method of proving it with the book after learning the real intention rather than the study method through the book. This is also the part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unner's and the biographical method is known. Yoon Geun-soo can confirm the conclusion of the dispute by saying in a letter sent by Yook Kwang-jo, 'Different opinions have failed to come together at the end.' Yoon Geun-soo confirmed that he consistently maintains a critical view of Yang Ming Studies. especially regarding Wang Su-in. I found out about Yoon Keun-soo's criticism of Yang Ming Studies through 「Debate between Zhu & Lu」 An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ritical tone of Yang Ming Studies by Joseon's biblical scholars at the time. 16세기 초 조선에는 『전습록』의 유입과 더불어 양명학(陽明學)이 전래되었다. 이 시기에는 주자학이 굳건하게 자리하고 있었기에 양명학은 배척의 대상이 되었다. 양명학이 조선유학사에서 자리 잡을 수 없게 된 이유 가운데 이황의 양명학에 대한 배척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명학이 전래된 이후에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남긴 양명학 비판 문헌을 통해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양상을 검토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양명학 비판의 성격이 어떻게 변모되는지, 또 그 변모의 흐름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본고에서는 윤근수(尹根壽, 1537∼1616)에 주목하여, 그의 문헌에서 드러나는 양명학 비판의 논조를 확인하였다. 조선의 학자 윤근수(尹根壽, 1537∼1616)와 명나라의 육광조(陸光祖, 1521∼1597)가 만나 논변을 하고 이를 저술하여 남긴 「朱陸論難」을 연구 텍스트로 선정하고, 이를 도통관, 심성관, 학문관으로 나누어 둘의 의견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윤근수는 주희(朱熹, 1130∼1200), 진덕수(眞德秀, 1178∼1235), 허형(許衡, 1209∼1281)으로 이어지는 도통을 제시하고 있으며, 육광조는 맹자(孟子), 육구연(陸九淵, 1139∼1193), 왕수인(王守仁, 1472∼1528)으로 이어지는 도통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윤근수와 육광조는 도통관에서부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학문 성향과도 연관된다. 심성관에서는 주자학적 학문관과 양명학적 학문관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에 대한 이견을 통해 인심도심의 정의와 두 사람의 인심도심에 대한 관점의 동이(同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윤근수는 인심과 도심은 별개라는 주희의 입장을 그대로 답습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하여 육광조는 인심을 곧 도심으로 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6자 심법에 나오는 문장을 풀이함에 있어서 육광조는 순임금이 말하신 ‘人心惟危’에서 危의 풀이에 대하여 고명(高明), 광대(光大)라고 한 반면, 윤근수는 이와 같이 해석한 전례(前例)가 없음을 이유로 사사로운 의견으로 왜곡하였다고 육광조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육광조는 주희의 전례를 들어서 윤근수에게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 방법의 차이에서는 윤근수는 독서궁리(讀書窮理)와 함양용경(涵養用敬)의 학문 방법을 추구하였고, 육광조는 묵식본심의 학문 방법을 추구하여 무엇보다 본심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윤근수가 서책을 기반으로 하는 학문을 강조한 반면, 육광조는 진헌장(陳獻章, 1428∼1500)이 말한 문장을 제시하며 서책을 통한 공부법보다 본심을 묵묵히 알게 되고서 그것을 서책으로 증명하는 학문 방법을 주장하였다. 이 또한 주자학적 학문법과 양명학적 학문법의 차이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윤근수가 보낸 편지의 ‘끝내 서로 다른 의견이 합치되지 못하였다’라는 부분을 통해 논쟁의 결론을 파악하였다. 윤근수는 양명학에 대해, 특히 왕수인과 관련해서는 일관되게 비판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륙논란」을 통하여 윤근수의 양명학 비판 내용과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양명학이 유입된 초기에 이황(李滉)이 양명학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거나 비교적 단순한 비판 양상을 보인 것에 비해, 윤근수는 철리적 용어인 ‘치양지’를 언급하고, 인심과 도심에 대한 심도 있 ...

      • KCI등재

        月汀 尹根壽의 官僚的 삶과 詩世界

        권혁명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2

        본고는 윤근수의 시세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윤근수의 관료적 삶을 바탕으로 그의 현실인식을 살폈다. 윤근수는 동서갈등, 임진왜란 등 다단한 현실 속에서도 현실을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임진왜란 중에 현실을 암담하게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그것이 현실에 대한 강한 부정이나 전쟁의 참상을 핍진하게 묘사하는 데까지 이어지지 않는다. 이는 윤근수가 현달한 중앙관료로서 당대의 현실을 비판하거나 부정하기 보다는 당대의 현실을 책임져야할 주체로 자신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윤근수의 현실인식을 기저로 도출한 시세계의 특징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盛世의 根幹으로서 지방관의 役割 强調’이다. 윤근수는 중앙관료로서 지방관의 역할을 특히 강조하였는데, 이는 윤근수가 각 지방에서 지방관의 善政이 임금의 덕화로 이어지고 결국 그것이 온 나라를 태평하게 만든다는 인식에 의한 것이었다. 둘째, 使臣으로서 ‘瀝血’의 姿勢와 以文華國’이다. 윤근수는 중앙관료로서 나라를 빛낼 수 있는 방법으로 뛰어난 문재를 바탕으로 충실한 사신의 임무수행을 꼽았다. 종계변무, 임진왜란 등 당시 중국과의 외교문제가 현실적으로 중시되던 시기에 사신의 역할은 국가의 난제를 해결하고 국위를 선양할 수 있는 수단이었던 것이다. 또한 윤근수는 사신이 되어서는 피를 토할 만큼의 정성(‘瀝血’)을 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셋째, ‘憂愁의 情緖와 先憂後樂의 삶의 姿勢’이다. 윤근수의 시에는 관료로서 적극적인 의식을 드러내는 것과는 달리 우수의 정서를 띠는 작품들이 존재한다. 이는 윤근수가 관료로서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고된 공무와 마주했을 때, 公的 자아와 私的 자아가 충돌하면서 드러내는 정서라 할 수 있다. 이는 사적인 자아보다 공적인 자아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先憂後樂의 관료적 삶의 자세가 있었기 때문이다. This paper focuses on poems of Yun Kŭn-su. For this purpose, I looked all around carefully about his life. While he suffered from political conflicts and Japanese invasion, he kept positive view of social reality. This is because he regarded himself as a responsible principal agent who had to overcome temporary troubles. To sum up,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s in his poems. First, he emphasized the role of local officials. He thought that the just rule of local officials can be connected to the exemplary government of the King. Second, he emphasized the value of literature. He thought that a government official could contribute to the nation when he accomplish diplomatic task. Because there were lots of diplomatic issues at that time. Third, he created many literary works about melancholy. In his poems, melancholy was an important emotion. I think that this was a complex expressions of both public and private value.

      • KCI등재

        月汀 尹根壽의 『朝天錄』 所載 使行詩 硏究

        유명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4 고전과 해석 Vol.17 No.-

        月汀 尹根壽는 조선 의고문풍 도입과 관련한 인물로 평가되어 대부분의 연구는 그의 文에 편중되어 있다. 그러나 윤근수의 문학에 있어 詩에 대한 평가 역시 文에 못지않다는 점에서 그의 한시작품 역시 연구 가치가 충 분하다. 윤근수는 59년간 관직생활 중 모두 네 차례에 걸쳐 북경을 다녀왔다. 사행은 외국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 회로 가장 큰 경험의 진폭은 첫 번째 사행에서 느끼게 마련이다. 그러나 윤근수는 1589년 주청부사의 지위로 세 번째 북경을 방문한 직후 사행당시 지은 자신의 시편을 모아 『조천록』을 간행하였다. 윤근수는 기축사행을 통해 종계변무의 공을 세워 조정에서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조천록』은 윤근수 에게 공을 세웠다는 자부심과 기축사행 당시의 감정을 되새길 수 있는 저장고로서 그 가치를 지닌다. 『조천록』의 시들은 세 번째 북경을 방문할 때 지어졌다는 점에서 새로운 경험에서 느끼는 감흥이 많이 배제 되어 있다. 대신 향수나 객수, 혹은 역사적 장소를 지나며 느끼는 감탄이 주가 된다. 그러나 사행시의 바탕에 관료의식과 결부되어 그 의식은 향수 속에서 사행의 의지를 표출하고, 흘러가버린 시간에서 느끼는 노쇠함과 그로 인해 느끼는 괴로움과 안타까움을 드러내며, 역사적 인물들이 남긴 명성을 통해 관료로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어 세상에 이름을 남겨야 함을 드러낸다. 윤근수의 『조천록』소재 시에서 나타난 내면세계에 대한 분석은 좁게는 윤근수 『조천록』이 갖는 특성을 살피고, 더 나아가 윤근수의 한시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Woljeong Yun Gun Su has been assessed as a figure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Eui Go Mun during the Josun Dynasty and as such most of the research focuses on his prose writing. But in his literary works, his poems are just as valuable to the study of ancient Korean poetry. Over the course of his 59 year career as a public officer, Yun Gun Su visited Beijing on four occasions. Such visits were ra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life abroad and the impressions of such visits were most strongly felt usually on the first visit. But it was after Yun Gun Su’s third visit as the officer of Jucheongbu in 1589 that led him to publish a collection of his poems, Jo Cheon Rok. Yun Gun Su’s Gi Chuk Sa Haeng has led him to be recognized by the monarchy for his contributions to Jong Gye Byeong Mu. The value of Jo Cheon Rok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 reservoir of the feelings and pride he had at the time. The poems in Jo Cheon Rok were written during the time of his third visit to Beijing, and therefore a lot of emotions that come from the novelty of visiting a new city is rarely found in the works. Instead, nostalgia, homesickness and the impressions he had when passing through historic venues make up the main components. Such emotions are linked with his sense of duty as a public officer and expressed through his strong will to live up to his duties. He also reminisces about his aging, the resulting fatigue and sadness that comes with it. By reflecting on the reputation of historical figures, he expresses his willingness to make a mark in history himself as a public officer. The analysis of the inner thoughts of Yun Gun Su, as expressed in the poems of Jo Cheon Rok, has significance in reflect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Jo Cheon Rok itself, but also in understanding the repertoire of poetry in his works.

      • 월정 윤근수의 생애와 활동

        김문식 ( Moon Sik Kim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7 No.-

        본고는 월정 윤근수의 생애와 활동을 전반적으로 소개하기 위해 작성 되었다. 윤근수는 명종 대에 문과에 급제한 이후 선조 대에서 광해군 초기까지 59년간에 걸쳐 내외의 주요 관직을 두루 역임했다. 윤근수는 당대의 문장가로 『주역(周易)』의 교정, 『해동시부선(海東詩賦選)』의 편찬, 『신찬 삼강행실도(新撰三綱行實圖)』의 편찬과 같은 국가적 편찬 사업에 참여하고, 명종과 선조가 사망한 후에는 관련 기록을 정리했다. 이는 그가 뛰어난 학자이자 문장가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윤근수는 어릴 때 김식(金湜)의 아들인 김덕수(金德秀).김덕무(金德懋) 형제에게 학문을 배웠고, 이황(李滉), 조식(曹植), 이이(李珥), 성혼(成渾)과 교유가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문하에서는 김상헌(金尙憲), 장유(張維), 정홍명(鄭弘溟), 정엽(鄭曄), 조익(趙翼), 김육(金堉)과 같은 명사들이 배출되었다. 윤근수는 명종, 선조 대의 사림계 인물과 교유하며 주자학을 중시했고, 그의 문하에서는 서인계의 주요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윤근수는 2년간 개성유수로 있으면서 한유(韓愈)와 이몽양(李夢陽)의 문집을 간행했고, 차천로(車天輅)나 최립(崔립), 한호(韓濩) 같은 개성 출신 인사와 교류했다. 또한 그는 임진왜란 이전에 네 차례의 북경 방문을 통해 조선 정부의 숙원 과제였던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임진왜란 중에는 예조판서이자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의 접반사(接伴使)로 활동하며 양국의 민감한 외교 현안을 해결하고 선조를 수행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그는 일본과 여진의 동향을 주시하면서 국제 정세의 변화에 맞는 대응책을 마련하려고 고심했다. 명과 청이 교체되는 국제적 전환기에 윤근수가 주목되는 외교활동을 보인 것은 중국어에 능하여 의사소통이 원활했다는 점과 임진왜란 때 구축한 명 장수들 과의 친분 때문이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introduce Yun Geunsu`s life and activity generally. After Yun Geunsu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n Myeongjong era, he filled consecutively various government posts for 59 years during Seonjo era and the early part of Gwanghargun era. As a good writer, he participated in the many national compilation works and drawn up records related with King Myeongjong and King Seonjo after their death. These activities were possible for him to be a brilliant scholar and writer. Yun Geunsu started to study under Kim Deoksu and Kim Deokmu brothers and associated with the famous Confucian scholars like Yi Whang, Jo Sik, Yi I, Seong Hon. Yun kept company with Salim party on Myeongjong era and Seonjo era and put emphasis on neo-confucianism. He also taught many seoin party scholars like Kim Sangheun, Jang Yu, Jeong Hongmyung, Jeong Yeub, Jo Ik, Kim Yuk etc. Yun Geunsu had reign over Gaeseong for two years. He published chinese scholar Han Yu(韓愈) and Li Mengyang(李夢陽)`s collection of works and associated with Cha Cheonro, Choi Lib, Han Ho come from Gaeseong area at that time.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visited Peking four times and solved Jonggye-byunmu problem successfull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e worked as a Minister of Culture and Education and a greeting official of Ming dynasty`s general Song Yingchang(宋應昌) and he could solved many delicate diplomatic problems between two countries. After the war, he observed the situation of Japan and Manchuria area and took pains to prepare a countermeasure suited to the cha.

      • KCI등재

        『月汀集』의 知性史的 意味와 位相

        김우정(Kim, Woojeong)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39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조선의 지성사적 맥락에서 尹根壽의 학문과 문학이 어떤 의미와 위상을 지니는지를 ??月汀集??에 수록된 주요 저작을 통해 밝히고자 한 글이다. 한국 한문산문사에서 윤근수는 ‘學明’의 선두에 서서 前後七子의 복고적 문풍을 창도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 시기는 양명학의 수용에서 감지되듯 사상적인 면에서도 學明의 분위기가 조성된 때이기도 하다. 그런데 윤근수는 문학적으로는 명 문단의 수용에 개방적이었지만, 사상적으로는 양명학을 철저히 배격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는 그가 明의 양명학자 陸光祖와 주고받은 논쟁을 정리한 ??朱陸論難??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는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해 양국 학자의 본격적인 논쟁을 벌인 최초의 사례로, 양국의 사상사가 이미 다른 길을 갈 수밖에 없는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보여준다. 한편 문학 방면에서는 韓愈의 문장에 현토하고 의견을 덧붙인 ??韓文吐釋??을 간행하고 ??史纂??과 李夢陽의 시선집을 발간하는 등 문단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전후칠자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복고적 문풍의 형성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는바, ?芝川壽序?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윤근수의 문학적 행보를 종합해볼 때, 전후칠자를 일방적으로 추수하지 않았다. 명 문단의 조류와 동향을 파악하여 조선의 문화적 풍토에 맞게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월정집??에 나타난 윤근수의 양면적 태도, 즉 사상적으로는 상당히 보수적이었지만 문학적으로는 개방적이었던 그의 입장은 다양한 조류가 충돌하는 양상을 띠었던 16세기 후반 조선 지성사의 한 단면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status of studies and literature of Yoon Keunsoo in the intellectual history context of Joseon of the late 16th century-early 17th century through major writings contained in ??Woljeongjip??. In the Korea Chinese writing prose history, Yoon Keunsoo is evaluated as a figure who introduced reactive style of writing of Ming’s restorative school in the forefront of ‘learning Ming’. However, as detected by the acceptance of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is is the time when the atmosphere of ‘learning Ming’ was created also in terms of ideology. But, though Yoon Keunsoo was open to the acceptance of the Ming literary circle in terms of literature, ideologically, he has taken a position to reject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thoroughly. This is well shown in ??Juryuknonnan(朱陸論難)?? that summarized the arguments exchanged with Yuk Gwangjo, a scholar of the Wang Yang-ming school of Ming and this is the first example of the full-scale debate of scholars in both countries on orthodox Neo-Confucianism and the doctrines of Wang Yang-ming and shows that the ideology history of both countries entered in the step forced to go the different way. On the other hand, he played a role providing new impetus to the literary world such as publishing ??Hanmuntoseok(韓文吐釋)?? that showed the reading of Chinese character in Hangeul of the sentences of Han Yu and added opinions in literature and publishing the anthology of poetry of Lee Mongyang and ??Sachan(史纂)?? etc. In particula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n Ming’s restorative school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in forming reactive the style of writings and its traces can be found at?Jicheonsuseo(芝川壽序)?. However, putting literary moves of Yoon Keunsoo, he did not follow Ming’s restorative school unilaterally. By identifying the current and trends of the Ming literary circle, he tried to apply them actively and flexibly according to the cultural climate of Joseon. As shown above, the both-sided attitude of Yun Geunsu shown in ??Woljeongjip??, that is, his position which is fairly conservative ideologically but open literally clearly shows a cross-section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Joseon in the late 16th century when various trends conflicted.

      • KCI등재

        월정학파(月汀學派)의 형성과정 및 학풍에 관한 시론(試論)

        우경섭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6 No.-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는 명나라로부터 새로운 문풍을 도입하여 조선 학계의 일신을 도모하였던 학자이자, 종계변무(宗系辨誣)와 원군청병(援軍請兵) 등 명나라와의 외교 현안을 주관하였던 관료였다. 또한 그의 문하에서는 17세기 전반 대중국 외교 일선에서 활약했던 많은 학자들이 배출되어 명청교체를 전후한 시기 조선왕조의 명운을 좌우하였다. 그러나 그들 사이의 학파적 관계망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해명되지 못했던 부분이 없지 않은데, 이 글은 그러한 문제를 해명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여 중앙정계에서 활약했던 윤근수와 그의 문인들은 중국이라는 현실적 규정력을 깊이 인식하는 가운데, 당대 서인학통(西人學統)의 주류로 떠오르던 사계학파(沙溪學派)와는 상이한 학풍과 현실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들은 윤근수가 도입한 진한고문론(秦漢古文論)이라는 사상적 동질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단지 문장론의 차원에 국한되어 발현된 것이 아니라 17세기 전반 동아시아의 격변 과정 속에서 한대(漢代)를 국가 운영의 전범으로 삼아 당면한 현안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로 확장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학풍을 지닌 월정학파의 구성원으로는 윤근수를 비롯하여 금상헌(金尙憲)·조익(趙翼)·장유(張維)·정홍명(鄭弘溟)·이정구(李廷龜)·금육(金堉)·조위한(趙緯韓)·조경(趙絅)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은 송대 주자학을 국가 운영의 유일한 전범으로 삼으며 새로운 정치세력으로 부상하던 금장생(金長生)과 송시열(宋時烈) 등 호서산림(湖西山林)들과 맞서는 유력한 세력을 형성하였다. 월정학파의 존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첫째, 1580년대 서인의 영수 이이(李珥)가 세상을 떠난 뒤 1620년대 김장생의 사계학파가 중앙정계에 부상하기까지의 기간 동안 서인학통의 핵심적 자리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둘째, 이들은 17세기 후반 이후 형성되는 ‘한당(漢黨)-낙론(洛論)-경화사족(京華士族)’ 등 서울 지역 학인들의 학문적 계보의 前史를 이룬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들 월정학파는 그리 오래 유지되지 못하였다. 그 원인은 월정학파의 사상적 근간인 진한고문론이 의고(擬古)라는 방법론에 치중한 나머지 한 시대를 이끌어 갈 만한 이론 내지 이념을 창출하지 못했던 한계와 관련된 것이었다. 즉 도학자라기보다는 문장가 내지 실무관료였던 월정학파의 구성원들은 17세기 중반 이후 중화질서의 붕괴라는 ‘철학적’ 사건에 대응할 만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그 결과 월정학파에 속했던 학자들은 17세기중반 사상계의 재편 과정 속에서 각기 다른 길을 선택하게 되었다.

      • KCI등재

        16~17세기 근기(近畿) 지역 서인계 문인의 교류와 고문사(古文辭)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4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6

        16~17세기 近畿 지역은 수도에 인접한 까닭에 정치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었고 새로운 학문이나 문학적 조류에 신속하게 반응했다. 三南 지방 등 다른 지역에 비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학풍을 띠고 있었음은 물론이다. 이들은 주로 한강 이북에 반원형으로 분포하며 師承과 通婚을 통해 연대하며 정치와 문단의 권력을 장악했고, 黨色이 다른 문인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하며 한강 이남으로 세력을 확장해나갔다. 특히 東人보다는 西人에게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는데, 李珥로부터 金長生으로 이어지는 중간 단계에서 서인의 실질적 리더 역할을 했던 尹根壽와 李恒福 이외에도 趙翼의 豊 陽 趙氏, 鄭弘溟의 延日 鄭氏, 李廷龜의 延安 李氏, 趙緯韓과 趙絅의 漢陽 趙氏 가문 등 조선왕조의 砥柱라 할 만한 명문거족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 들은 대부분 ‘古文辭’에 대한 관심이 각별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이는문장에 대한 기호 외에 서울과 경기 북부라는 지역성도 ‘고문사’의 출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이 글은 바로 외적영향론과 내적 발전론 등 문학 내부의 문제에 가려져온 지역성이라는 문제에 주목한것이다. 고문사에 관심을 두었던 16~17 세기 근기 지역의 서인들은 한강 이북에 자리 잡은 윤근수와 이항복을 축으로 형성되 었으며, 金尙憲.張維.鄭弘溟.鄭曄.趙翼.金堉 등 효종 연간까지 유지되었다. 이 밖에 崔..柳夢寅.申欽.許筠 등 당색이 모호하거나 다른 문장가들과도 계파적 이 해관계를 뛰어넘어 교류하였다. 이들은 기호 산림만큼 뚜렷한 색채를 지니지 못했기에 사상사와 정치사 어디에서도 하나의 계파로 분류되지 않는데, 이는 이들의 활동공간이 었던 근기 지역이 개방적이고 유동적이었던 것과 일정 정도 관련이 있다. Geungi(近畿) area in the 16~17th century showed complicated politicalinterests and rapidly responded to new academic knowledge or literary trend because the area is near the capital. It was natural that the area was flexible and had open academic traditions compared to other areas like Samnam(三南) regions etc. They distributed mainly in northern part of Han river in half-round shape, tied through a teacher and marriage, held power of political and literary realm, actively exchanged with literary writers with different party color. So they expanded their power towards southern part of Han river. Especially, such tendency was prominent in the Seoin group rather than the Dongin group(東人系). Forexample, there were Yoon Keun-soo(尹根壽) and Lee Hang-bok(李恒福) who were actual leaders of the Seoin in the middle stage from Yi I(李珥) to Kim Jang-saeng(金長生); some famous families such as Poongyang(豊 陽) Cho of Cho Ik(趙翼), Yeonil(延日) Jeong of Jeong Hong-myeong(鄭弘 溟), Yeonan(延安) Lee of Lee Jeong-gu(李廷龜), Hanyang(漢陽) Cho of Cho Wi-han(趙緯韓) and Cho Gyeong(趙絅). Unexpectedly, they have a common point that most of them had keen interest in ‘retro style writings’. This implies that besides taste for writing, region of Seoul and northern Gyeonggi work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tart of ‘retro style writings’. This writing gave attention on issue of region which had been kept behind inner problems of literature like theory of external influence,theory of internal development etc. The westerners with interest in ``retro style writings`` in Geungi area in the 16~17th century were formed centered on Yoon Keun-soo and Lee Hang-bok who stayed north of Han river. The Seoin such as Kim Sang-heon(金尙憲), Jang Yoo(張維), Jeong Hong-myeong, Jeong Yeop(鄭曄), Cho Ik, Kim Yook(金堉) etc. were the examples - the period maintained to the reign of king Hyojong. They exchanged with other writers such as Choi Rip(崔立), Yoo Mong-in(柳夢 寅), Shin Heum(申欽), Heo Gyun(許筠) etc. who did not have clear party color or were in different party going beyond interests of a party. The Seoin did not have clear color like Giho Salrim(畿湖 山林), so, they are not classified to a certain party in thoughts history and political history. This is somewhat related to that Geungi area was open and flexible.

      • KCI등재

        선조(宣祖) 연간 문풍(文風)의 변화와 수서(壽序)

        김우정 ( Woo Jeo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1 東方漢文學 Vol.0 No.47

        이 글은 文言文으로 작성된 전통적인 한문산문 가운데 가장 늦은 시기에 출현한 壽序를 통해 宣祖 연간 복고적 문풍의 형성 원인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사실성, 진정성에 관한 시비에 휩싸이곤 했던 碑誌文의 경우처럼 長壽를 축원하는 수서 역시 그 진정성을 의심받기 쉬운 장르의 글이다. 때문에 이런 시비에서 상대적으로 더 자유로운 운문으로 대신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런데 明代에 이르러서는 완전히 산문으로만 지어진 수서가 등장하게 된다. 당시 강남 지역에서는 풍부한 경제력에 힘입어 집안 어른의 壽宴을 여는 일이 일반화되었는데, 문단을 좌지우지하는 위치에 있었던 王世貞과 歸有光 등도 이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문인이었다. 평소 강남 지역 특유의 문화에 익숙했던 문인들은 고문가들의 관심 밖에 있던 수서의 창작에도 매우 적극적이었으며, 이 가운데서도 귀유광은 진정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뛰어난 문학성을 지닌 수서를 다량 창작함으로써 수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희석하고, 독립적 문체의 하나로 당당히 자리하도록 만들었다. 조선의 경우, ``學明``의 풍조 속에서 고문사 창도를 주도했던 尹根壽가 黃廷彧의 생일을 기념해 지은 「芝川壽序」가 지금까지 확인된 최초의 수서이다. 명 복고파의 영향이 이론적 층위에서는 물론 실제 창작의 영역에까지 미쳤음을 시사하는데, 이는 윤근수와 비슷한 시기에 수서를 지은 柳根·申欽·張維 등도 모두 명 문단에 깊은 관심을 보인 작가들이라는 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선조 연간에 등장한 수서는 단지 명 복고파를 추수한 결과물이 아니었다.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했지만 그 주제나 내용, 표현방식이 상당히 다양해서 일정한 문학성을 갖춘 수서의 등장을 견인할만한 역량이 문단 내부에 이미 갖추어져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It is to understand cause and character of old-fashioned writing style within the Seonjo(宣祖) period via Su-Seo that appeared in the very last time among traditional Chinese prose. In case of Epitaphs that was often issued with realism and authenticity, Su-Seo that wishes long life is also the writing that is doubtable with its realism. Therefore, it was replaced with relatively more flexible poetry for this dispute in many cases. However, in Ming Dynasty, there is an appearance of Su-Seo that is completely written with prose. At that time, aroung Gangnam area, with enough financial support, the party for long life of family elders were generalized and Wang Shi-zhen(王世貞) as well as Gui Yu-gwuang(歸有光) who had controls of literary world were writers became popular with their background of this area. The writers who were used to the specific culture of Gangnam area were very active for the creation of Su-Seo that was out of interest by old writers. In case of Chosun, Yoon Keun-soo(尹根壽) who had control of trend of ``Study Ming`` wrote Zi-chun-Su-Seo to celebrate birthday of Hwang Jung-wook(黃廷彧) is the very first Su-Seo that has been confirmed until now. It means the effect of Ming`s restorative school to theory as well as practical creative area and it can be also confirmed that writers like Yoo Keun(柳根), Shin Heum(申欽), Jang Yoo(張維) had deep interest in Ming literary world at similar time with Yoon Keun-soo. However, Su-Seo that appeared in annual ancestor is not the harvested result of Ming`s restorative school. They appeared all-at-onceness but as they had very much diverse theme or contents, expressions so it assumes that there was existing capability that could lead the appearance of Su-Seo with certain value of literary.

      • KCI등재

        한국 한문학에 있어서 수서(壽序)의 전통과 문학적 변주 양상

        김우정 ( Woo J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이 글은 한 개인의 장수를 축원하기 위해 지어진 글인 ‘壽序’의 등장과 변화과정,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수서는 중국의 경우 明代에 이르러서야 본격화하였으며, 조선에서는 16세기 후반에야 처음으로 나타날 만큼 매우 늦은 시기에 출현한 贈序文의 일종이다. 이는 생존인물에 대해 미사여구를 동원해 칭찬해야 하는 수서의 본질적 속성이 진중한 작가정신을 중시하는 풍토와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서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문학적 생명력을 갖추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작가로는 歸有光을 꼽을 수 있는데,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조선 문단에 큰 영향을 끼친 前後七子 역시 적지 않은 분량의 수서를 남겼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 문단 최초의 수서로 여겨지는 「芝川壽序」의 작가 尹根壽가 전후칠자를 수용하는 과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이후 수서는 문단 내부의 비평적 논의와 더불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큰 흐름만 요약한다면 공적 영역에서 사적 영역으로, 즉 국왕의 교화와 은덕을 찬양하는 수단으로부터 삶의 질곡을 극복한 개인의 역사로, 장생불사를 희구하던 데에서 조상을 기리고 후손의 번창을 희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표현상으로는 의례적 응수문자의 한계에서 벗어나 의도적으로 의고적 느낌이 들도록 한다거나 운문을 활용하기도 하고, 또 소품취를 조성하기도 하는 등 개성적인 문학 산문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조선 후기로만 한정하면, 철저히 개인적인 삶에만 주목한 수서가 있었는가하면 반대로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무나 태도를 의식한 수서도 있었는바,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이성이 충돌하는 흥미로운 양식의 글이었다. This thesis investigated appearance, change processes, and its meaning of ``壽序Su-Seo`` that is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of an individual. Su-Seo appeared in whole scale in Ming dynasty in China. In Chosun, this first appeared in the late 16th century, thus as the kind of farewell writings, appeared very late in Chosun. This is because natural attribute of Su-Seo that should include praises for alive figures by using rhetoric did not match with trend to put stress on gentle spirit of a writer. Gui Yu-gwuang(歸有光) is said that he highly contributed to overcoming such limitation of Su-Seo so that Su-Seo could have literary life. Ming`s restorative school(前後七子) highly affecting Chosun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16th century~the early 17th century had remained some Su-Seo. This fact draws attention in that Yoon Keun-soo(尹根壽), the writer of Zi-chun-Su-Seo(芝川壽序) which is regarded as the first Su-Seo in Chosun literary circl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receiving Ming`s restorative school(前後七子). Since then, Su-Seo had appeared in various aspects along with critical discussion inside literary circles. Let`s summarize main stream. Su-Seo had changed from public domain to private domain, that is, from means to praise king`s edification and favor to history of an individual who overcame fetters of life, from desire of eternal longevity to admiration of ancestor and desire of descendant`s prosperity. In expression, Su-Seo expanded to individual literary prose - giving classical feeling intentionally beyond limit of ceremonial responding letters, or using verse, or forming minor prose etc. And saying about late Chosun only, some Su-Seo thoroughly gave attention on individual life, on the contrary, some Su-Seo were conscious of social responsibility or attitude as intellect. Thus, Su-Seo was writings of an interesting style where individual desire and social reason conflict each other.

      • KCI등재

        고구려 안시성의 위치와 안시성주 전승의 추이

        정호섭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7 No.-

        Until now, the retreat of the Tang dynasty army to Yodongseong from Ansi castle has received no attention in scholarly discourse. The retreat took between two and three days; the typical marching distance per day at that time, which yields a distance between the two castles of less than 70 km. Despite several assumptions about the location of Ansi castle, no current candidates match Ansi castle in terms of distance, except for the region around Haeseong city (海城市) and Youngseongja mountain castle (英城子山城) near Haseong city.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gion around Haeseong city to locate a castle that might be a good candidate for Ansi castle. The first written records of the Ansi castle’s governor Yang Manchoon is the book Dangseojijeontongsokyeonui (唐書志傳通俗演義), which was introduced to Joseon around the time of the Imjin Japanese Intrusion. A compilation of essays entitled as Woljeongmanphil (月汀漫筆) is the first written records about aforementioned name by Yoon Geunsoo. He heard of it himself from Ming dynasty’s Oh Jongdo (吳宗道). In addition, Joseon’s Lee Sibal read it and told Yoon Geunsoo that the castle governor was indeed Yang Manchoon. This suggested that Lee Sibal was the first to read Dangseojijeontongsokyenoui during the Joseon period. Scholars of the 16th and 17th centuries perpetuated the myths of Yang Manchoon begun by Yoon Geunsoo. Some of the original references to Ansi castle in Joseon’s literature mentioning Yang Manchoon are identified, but there are some unidentified records or misinformation associated with Yang Manchoon’s name. This incorrect information may have resulted from personal memories of books or was simply wrongly transmitted from others. In addition, expressions regarding the cited references varies; China (中國), transmission across generation (世傳), told by the Chinese (中原人相傳), Jungjujabgi (中州雜記), Chinese historical chronicles (中國史記), and overheard words (以愚所聞). Despite the lack of concrete details and absence of references, several literatures are thought to have been improvised by the author. Furthermore, there is the problem of the dual spellings of Yang Manchoon’s name, either 梁萬春 or 楊萬春 (though the names are pronounced the same, the surname’s characters differ). Although originally 梁萬春 as in Dangseojijeontongsokyeonui or Woljeongmanphil, people who did not read theses books confused with the more common name 楊, and it was the latter surname that was recorded and transmitted in the later literatures. 지금까지 안시성의 연구에서는 당군이 안시성에서 요동성으로 퇴각하는 정황에 주목하지 않은 듯 하다. 당군은 불과 2-3일 사이에 안시성에서 요동성까지 퇴각하고 있다. 때문에 고대 사회에서 하루 진군하는 거리를 감안할 때 안시성은 요동성과의 거리는 약 70km 내외를 벗어나지는 않을 것 같다. 그동안 안시성의 위치에 관한 다수의 학설이 존재하였지만, 현재 海城市 일대와 海城市 부근의 英城子山城을 제외하고 다른 여타의 성들은 거리상으로 안시성에 부합되지 않는다. 현재로선 영성자산성이 가장 여러 조건들을 가장 잘 부합하고 있다. 안시성주 양만춘과 관련하여 『唐書志傳通俗演義』의 내용이 임진왜란 즈음에 조선으로 전해졌고, 그것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윤근수의 『月汀漫筆』이다. 이것은 명나라 사람 吳宗道로부터 윤근수가 전해 들은 것이고, 또한 조선인으로는 이시발이 직접 『唐書志傳通俗演義』를 보고 거기에서 확인한 성주가 양만춘임을 윤근수에게말한 듯 하다. 이 같은 정황으로 보면 조선 시대에 『唐書志傳通俗演義』를 처음으로 구해 본 것은 이시발이고, 양만춘 전승이 이후 지속된 것은 조선인 가운데 최초의 기록자인 윤근수 등 16세기-17세기 조선의 문인들에의해 시작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조선시대 많은 문헌들에서 안시성주 양만춘과 관련해서 인용하고있는 전거 가운데 일부는 확인할 수 있으나, 확인되지 않는 기록이나 오류도 발견된다. 이것은 당시 어떤 책을 읽고 기억하였던 분위기에서 개인적 기억에 의한 오류이거나 타인으로부터 전해 들은 바가 잘못된 내용상의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인용 전거에 대한 표현도 中國, 世傳, 中原人相傳, 中州雜記, 中國史記, 以愚所 聞(들은 말) 등 구체적이지 않거나 전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임의적으로 기록한 것도 다수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양만춘의 姓에 대한 표기가 다소 차이가 있는 바, 梁萬春과 楊萬春으로 나타난다. 원래 『唐書志傳通俗 演義』나 『월정만필』 등에서는 梁萬春이었지만, 이러한 책을 직접 보지 못한 사람들에 의해 중국에서 흔한 姓인楊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楊萬春으로 기록하게 된 것이 이후 문헌들에 지속적으로 전승되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