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축사 내 육계 행동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처리 기반 군집 검출 기술 연구

        한승훈 ( Seung-hoon Han ),최동훈 ( Dong-hoon Choi ),이대현 ( Dae-hy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

        세계적인 닭고기 수요 증가로 인해, 안정적인 생산량 확보 및 일관된 품질 유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육계 사육의 자동화, 정보화 기술 개발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영상 기반의 자동 육계 행동 모니터링 기술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축사 내 육계 군집의 RGB 영상을 수집하여 영상처리를 이용한 영역 검출과 실제 차지하는 면적을 예측하였다. 육계 영상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축사의 길이 방향으로 촬영하였으며, 촬영된 영상을 색상모델 변환, 임계치 처리 등을 통해 영상 내 육계 군집을 검출하였다. 검출된 육계 영역은 촬영 위치와 자세 등을 기반으로 좌표계 변환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원근에 따른 효과 보정 및 실제 지면에서의 면적을 예측하였다. 육계 영역 검출 성능은 검출된 육계 영역과 육안으로 라벨링 된 원 영상의 육계 영역을 비교하여 평가하였으며, 활성화된 픽셀을 계수하여 실제 측정된 값과의 상대오차를 계산하였다. 또한 실제 육계 면적은 전체 면적 대비 비율인 밀집도를 계산하였으며, 단위구획당 육계 수를 가정하여 개체수를 평가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육계의 영역은 영상처리를 통해 평균 5%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좌표변환 기반의 실제 면적 7%의 오차범위 이내로 예측이 가능하였다. 육계 군집 영역은 군집의 규모나 형태에 따라 검출 성능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거리에 따른 노이즈와 축사 내 구조물에 의한 오차 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포를 가지는 영상들을 지속적으로 획득한 후 알고리즘 성능을 향상하고 촬영위치 및 영상장치의 사양 최적화를 통해 실제 축사 내 실시간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지원(No.319034-01-1-WT021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 KCI등재

        프랜차이즈 및 대리점의 육계 공급업체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학선,정안성,신동훈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supplier selec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broiler industry and to tes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roiler supplier selection for the franchisees and agent purchasing managers. In addition, a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what factors among broker supplier selection factors affect overall supplie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of broiler supplier selection factors, broiler supplier selection was summarized as supply factor, price factor, quality factor, salesperson factor, and brand factor. The purchasing manager considered the supply factor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the broiler supplier, followed by the price factor, the salesperson factor, the quality factor, and the brand factor.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broiler supplier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managers and surveyed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supply factors' and 'salesperson facto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ection of broiler vend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rchasing managers and surveyed companies. Second, 'price factor', 'quality factor' and 'brand fact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ection of broiler supplie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rchaser and surveyed companies. The results of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broiler supplier to the satisfaction of the purchasing managers. 'Quality factor', 'salesperson factor', and 'brand factor' of the broiler suppliers were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basic data on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suppliers for broiler buyers and we hope that broiler vendors will use them to establish effective business direction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육계산업에 적합한 공급업체 선정기준을 재구성하고, 프랜차이즈 및 대리점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육계 공급업체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하는 것이다. 또한, 육계 공급업체 선정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전체 공급업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육계 공급업체 선정요인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육계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요인은 공급요인, 가격요인, 품질요인, 영업담당자요인, 브랜드요인으로 요약되었다. 구매담당자가 육계 공급업체를 선정할 때 공급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가격요인, 영업담당자요인, 품질요인, 브랜드요인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담당자 및 조사대상업체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육계 공급업체 선정요인의 중요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급요인’, ‘영업담당자요인’은 구매담당자 및 조사대상업체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육계 공급업체 선정시 중요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격요인’, ‘품질요인’, ‘브랜드요인’은 구매담당자 및 조사대상업체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육계 공급업체 선정시 중요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업체 구매담당자의 육계 공급업체 선정시 고려하는 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육계 공급업체의 ‘품질요인’, ‘영업담당자요인’, ‘브랜드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육계 구매담당자가 공급업체를 선정하는데 영향을 받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써, 분석결과를 토대로 육계 공급업체가 효과적인 사업 방향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활성효모 및 효모배양물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육계에 있어서 효모제품의 첨가효과-

        유종석,남궁환,백인기 한국가금학회 1991 韓國家禽學會誌 Vol.18 No.3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제품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Arbor Acres종으로 2차에 걸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육계 숫 병아리 200수를 무첨가 대조구, yeast culture 0.25%구(YC-0.25%) 및 2.5%구(YC-2.5%), 활성효모 0.05%구(LY-0.05%) 및 0.1%구(LY-0.1%)의 5처리에 4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battery에 완전임의배치하여 6주간의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2는 육계 감별추 암, 수 각 120수씩을 성별로 무첨가대조구, 후기(4~6주)에만 0.1% 활성효모첨가구 그리고 전기간 0.1% 활성효모첨가구를 2$\times$3 요인 배치하고 각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 공시하여 7주간 사양하였다 실험 1의 결과는 증체율과 사료섭취량 및 폐사율에 있어서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YC-0.25%와 LY-0.1%가 대조구나 타처리구에 비해 3주 이후부터 증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사료효율은 LY-0.05%가 대조구, YC-0.25% 및 LY-0 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영양소 이용율은 처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a 및 P의 이용율은 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소장내의 미생물총균은 Lactobacilli spp., Streptococcus spp. 그리고 yeast 수는 첨가구들에서 높고 Coliforms세균수는 대조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사료, 성별,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증체량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를 전기간 첨가한 구가 증체량이 가장 높은 반면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섭취량과 폐사율은 숫 육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료효율은 사료$\times$성별 상호작용이 유의하여 숫 육계에서는 활성효모 전기간 첨가구가 그리고 암 육계에서는 후기만 첨가한 구가 가장 높았다. 영양소 이용율에 있어서 숫 육계는 암 육계보다 건물, Ca및 P의 이용율이 유의하게 높았고 활성효모 첨가구들은 Ca및 P의 이용율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근위, 소장 상, 하부 및 맹장의 세균수를 조사한 결과 Lactobacillus spp.와 yeast는 소장 상, 하부 그리고 Streptococcus spp는 소장과 맹장에서 활성효모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Coliforms 세균수는 소장 상, 하부에서 대조구가 첨가구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소장의 pH는 활성효모첨가구들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 있었다.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dietary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produ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tow feeding trial using Arbor Acres strain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1, 200 hatched male broiler chickens were divided into groups of 10 birds each and four groups were given each of the five dietary treatments : control, 0.25% yeast culture supplemented (YC-0.25%), 2.5% yeast culture supplemented(YC-2.5%), 0.05% live yeast supplemented(LY-0.05%) and 0.1% live yeast supplemented(LY-0.1%) . In experiment 2, 240 hatched broiler chickens(120 birds in each sex) were assigned to 2$\times$3(sex$\times$feed) factorial design Dietary treatments were control, 0.1% live yeast supplementation in finisher diet(LY-Finisher) , and 0.1% live yeast supplementation in whole period (LY-Whol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weight gain,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weight .gain of YC-0.25% and LY-0.1% tended to be greater than other treatments after 3wks of age Feed efficiency of LY-0.05% was poorer than those of control, YC-0.25% and LY-0.1% . Although nutrients avail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availiabilities of Ca and P were greater in yeast products supplemen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Lactobacillus spp., Streptococcus spp . and yeast in small intestine tended to be greater in supplemented groups while that of Coliforms bacteria tended to be greafter in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factors (feed and sex) and interaction on growth rate. LY-Whole groups showed best weight gain in male while LY-Finisher groups did best in female broiler chickens. Feed intake and morta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broiler chickens. Feed$\times$sex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eed efficiency. LY-Whole groups showed best feed efficiency in male while LY-Finisher did best in female broiler chickens. Availabilities of dry matter, Ca and P were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broiler chickens. Availabilities of Ca and P were higher in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s.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tended to have greater number of Lactobacillus spp . and yeast in the small intestine and Stre))tococcu spp. in the small intestine and cecum, and lesser number of Coliforms bacteria in the small intestine The pH of small intestinal contents tended to be higher in live yeast supplemented groups.

      • 동적에너지 모델을 이용한 육계 고온스트레스 예보 시스템 개발

        조정화 ( Jeong-hwa Cho ),이인복 ( In-bok Lee ),크리스티나데카노 ( Cristina Decano ),이민형 ( Min-hyung Lee ),김다인 ( Da-in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육류 소비가 증가하면서 전체 농업 생산액에서 축산업의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8년 축산물 생산량의 11.5 % 를 육계가 차지했다. 그러나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폭염 일수 증가와 높은 사육밀도 환경으로 인해 육계사 내부 환경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또한, 닭은 생물학적 구조상 신진대사 열 발생이 높고 땀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체온 조절에 특히나 어려움을 겪는 축종으로, 육계는 여름철 고온에 더욱 취약하다. 그리고 여름철 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육계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환기방법으로 터널환기를 한다. 터널환기는 계사 내에 있는 육계에게도 높은 풍속을 전달하여 실제 닭이 느끼는 유효온도를 더욱 낮추는 역할을 한다. 고온스트레스란 가축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는 열 부하의 결과로, 실험을 통한 회귀식으로 통해 축종별 지수로 나타낸 연구들이 있었다. 현재 계사 내 유속까지 고려하여 고온스트레스 지수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으며, 실험을 통한 모델 검증 또한 없었다. 그리고 다양한 육계의 사육 일령 및 계사 환기 제어 등의 다양한 조건에서 고온스트레스가 평가되지 않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동적 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가축의 고온스트레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에너지 모델을 검증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강제환기식 육계사에서 외부 기상과 계사 내부의 공기 온도, 상대습도, 유속 등 공기환경 데이터를 여러 지점에서 측정하였고, 터널 배기팬의 계사 내외부 정압차와 환기량을 측정하였다. 현장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발한 동적 에너지모델의 신뢰도를 판단하기 위해 통계적 지표를 활용하여 모델검증에 활용하였다. 검증된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농가 위치, 육계의 연령 및 사육 밀도, 계사 단열재 및 환기팬, 쿨링패드의 유무 등의 정보를 입력 받아 예보 시점으로부터 2일 이후까지 육계의 고온스트레스를 연산하고 예보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예경보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제적으로 대응하여 기후 변화로 인한 육계사 내부의 고온으로 발생하는 폐사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Monascus 배양물의 첨가 급여 수준 및 기간이 육계와 육용오리의 혈청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김상인,이우진,이규호,Kim S. I.,Lee W. J.,Lee K. 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3

        Monascus 배양물의 급여 수준 및 출하 전 급여 기간이 육계 및 육용 오리의 능력과 혈액 및 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 1에서는 monacolin-k의 함량이 $0.5\%$인 Monascus 배양물을 시판 육계 사료에 0(C), 0.5(T1), 1.0(T2) 및 $1.5\%$(T3)씩 첨가하여 $2\~6$주령 간에 4주간 급여하는 4처리를 두었으며, 실험 2에서는 대조구(C)와 monacolin-k의 함량이 $0.5\%$인 Monascu 배양물을 시판 육계 사료에 $1.0\%$ 첨가하여 $4\~6$주령(2주간, T1), $2\~6$주령(4주간, T2) 및 $0\~6$주령(6주간, T3)에 급여하는 4 처리를 두었다. 모든 처리에는 3반복을 두었고 반복당 1일령의 육계 16수와 육용오리 10수를 각각$2m{\times}l.5m$의 평사 사육실에 완전임의 배치하여 6주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1에서 Monascus 배양물의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육계의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P<0.05), 오리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육계와 오리의 사료 요구율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역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6주간의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P<0.05)일정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육계와 오리의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Monascus배양물의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가슴살과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실험 2에서 출하 전 Monascu배양물의 급여 기간이 길어질수록 육계의 증체량(P<0.05)과 사료 섭취 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오리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요구율은 육계와 오리에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역시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폐사율은 오리에서만 유의성이 있었으나(P<0.05) 일관성이 없었다. 육계와 오리의 혈청 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출하 전 Monascus 배양물의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P<0.05), 가슴살과 다리살의 콜레스테롤 함량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vel and feeding period of dietary Monascus culture on the performance and cholesterol content of serum and meat in broilers and growing ducks.0.0(C), 0.5(T1), 1.0(T2) and $1.5\%(T3)$ of iwonascus culture which contained 0.5% monacolin-k was added to commercial broiler diets, respectively, and ffd during 2~6 weeks of age in Experiment 1. In Experilnent 2, commercial broiler diet added $1.0\%$ of Monascus culture was fed during $6\~6(C),\;4\~6(T1),\;2\~6(T2)\;and\;0\~6(T3)$ weeks of age, respectively. Three replicates of 16 day-old broilers and 10 day-old growing ducks each were randomly assigned to floor pen,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as the level of dietary Monascus culture increased, body weight and feed intake of broiler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hereas those of growing ducks tended to increas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Feed/gain ratio both in broilers and growing ducks showed a trend to increase. Cholesterol contents of serum both in broilers and growing duck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nd those of breast and thigh meat tended to decrease as the level of dietary Monascus culture increased. In Experiment 2, as the feeding period of dietary Monascus culture increased, body weight gain(P<0.05) and feed intake of broilers tended to decrease whereas those of growing ducks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nions treatments. Feed/gain ratio also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Cholesterol contents of serum both in broilers and growing ducks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nd those of breast and thigh meat tended to decrease as the feeding period of dietary Monascus culture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 약지도 학습을 사용한 육계의 공간 분포 추정

        최동희 ( Donghee Choi ),오강한 ( Kanghan Oh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농촌은 인구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현재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계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정밀 농업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육계 산업 분야에서는 머신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계사 관리 자동화를 시도하고 하였고 유의미한 발전이 있었다. 특히 육계의 공간적 분포를 자동으로 추정하는 기술은 육계 산업 분야 종사자들에게 계사 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분야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최신 기술이면서 강력한 성능을 지닌 심층 학습 기법을 사용하기보단 전통적인 머신 비전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심층 학습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해답을 만들어서 제공해야 하는 지도 학습 방법론이다. 하지만 실시간 프레임 단위로 들어오는 계사 영상에서 일일이 육계의 위치를 레이블링하는 일은 비효율적이며 노동집약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지도 학습 기법을 사용하여 육계의 공간적 분포를 추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먼저 계사에서 육계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고 심층 학습을 사용하여 육계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학습 모델을 구축한다. 다음 설명 가능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된 분류 모델을 해석하여 육계의 위치를 열 지도 형태로 반환한다. 정성적 시각화 평가 결과에서는 육계가 몰려있는 위치에 적합한 열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계사의 조명이 꺼진 상태나 카메라에 이 물질이 붙어 노이즈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육계의 위치를 추정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정량적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분포 추정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약지도 학습을 사용한 육계의 공간 분포 추정

        최동희 ( Donghee Choi ),오강한 ( Kanghan Oh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농촌은 인구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현재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기계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정밀 농업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육계 산업 분야에서는 머신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계사 관리 자동화를 시도하고 하였고 유의미한 발전이 있었다. 특히 육계의 공간적 분포를 자동으로 추정하는 기술은 육계 산업 분야 종사자들에게 계사 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어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분야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최신 기술이면서 강력한 성능을 지닌 심층 학습 기법을 사용하기보단 전통적인 머신 비전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심층 학습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해답을 만들어서 제공해야 하는 지도 학습 방법론이다. 하지만 실시간 프레임 단위로 들어오는 계사 영상에서 일일이 육계의 위치를 레이블링하는 일은 비효율적이며 노동집약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지도 학습 기법을 사용하여 육계의 공간적 분포를 추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먼저 계사에서 육계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구분하고 심층 학습을 사용하여 육계의 존재 여부를 인식하는 학습 모델을 구축한다. 다음 설명 가능 인공지능 모델을 사용하여 학습된 분류 모델을 해석하여 육계의 위치를 열 지도 형태로 반환한다. 정성적 시각화 평가 결과에서는 육계가 몰려있는 위치에 적합한 열 지도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계사의 조명이 꺼진 상태나 카메라에 이 물질이 붙어 노이즈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육계의 위치를 추정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정량적 평가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고 분포 추정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반복적인 고온환경이 사전고온 적응한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황보종,양영록,윤형숙,김지민,박병성,최희철,최양호,Hwangbo, Jong,Yang, Young-Rok,Yoon, HyungSook,Kim, Jimin,Park, Byungsung,Choi, Hee Chul,Choi, Yang-Ho 한국가금학회 2015 韓國家禽學會誌 Vol.42 No.3

        생후 초기에 고온을 경험하게 되면 이후 고온환경에 대하여 저항성을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일령의 병아리에게 단시간 고온을 경험하게 한 다음, 29일령에 1차 고온환경을 경험한 육계에서 반복된 고온환경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버에이커 초생추를 크기가 동일한 두 개의 사육실에 수용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채식토록 하였다. 조명 환경 조건은 점등 23시간, 소등 1시간이었다. 사전 고온 적응구는 5일령에 $37^{\circ}C$의 고온에 24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정상 온도로 돌려졌고, 대조구의 감온 일정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 21일령에 육계를 기존에 수용된 사육실에서 반을 다른 사육실로 옮겨, 한 사육실 내 대조군와 열 적응구가 각각 4개의 Pen에 배치되게 하였다. 1)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양자 모두를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CON+CON), 2) 사전고온 적응을 경험했지만 고온환경을 경험하지 않은 육계집단(HC+CON), 3) 사전고온 적응 없이 고온환경만 경험한 육계집단(CON+HS), 4) 사전고온 적응 및 고온환경 모두를 경험한 육계집단(HC+HS) 을 가지는 이원배치법(HC vs. HS) 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29일령부터 3일 동안 고온환경에 노출된 육계들은 43일령부터 재차 고온환경을 경험하였다. 고온환경 처리구에서 사육실 온도를 $32^{\circ}C$($2^{\circ}C$/1 h)까지 올려 3일 동안 유지하였으며, 대조구는 $22^{\circ}C$로 유지되었다. 고온환경은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체중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직장 온도와 폐사율 및 corticosterone의 농도를 증가시켰고, 혈액 생화학 성분을 변화시켰다. 그러나 사전열적응한 육계에서는 비장의 상대무게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사전고온 적응은 반복적으로 고온환경을 경험하는 육계에게 고온에 대한 저항성을 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Heat conditioning at an early age has been known to help chickens cope with heat stress later in lif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eat conditioning at 5 days of age in broilers repeatedly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later in life. A total of 256 day-old Arbor Acre boiler chicks were housed in two identical rooms with a 23-h light/1-h dark cycle and provided with feed and water ad libitum. At 5 days of age, the birds in one room were exposed to $37^{\circ}C$ for 24 hours, while those in the other room served as controls. On day 21, half of the birds in each room were moved into the other room so that each room contained both control and heat-conditioned birds. After a 7-day adaptation period, the birds in one room were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21^{\circ}C{\rightarrow}31^{\circ}C$) for 3 days, whereas those in the other room were kept at normal temperature. The same 3-day exposure to high ambient temperature was repeated two weeks later. Hence,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CON+CON: control+control; CON+HS: control+high ambient temperature; HC+CON: heat conditioning+control; and HC+HS: heat conditioning+high ambient temperature). Repeated heat stress resulted in decreased feed intake, water intake, body weight gain, and spleen weight (p<0.05) and increased rectal temperature (p<0.05), mortality, and plasma corticosterone concentrations. The relative weight of the spleen was increased in the heat-conditioned group (p<0.05). Plasma biochemicals were also influenced by high temperature. Thus, no beneficial effects of heat conditioning at an early age were detected in broilers repeatedly exposed to high ambient temperature later in life.

      • KCI등재

        사료 내 대사 에너지 수준 차이가 계통이 다른 육계의 성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설,권정택,김제헌,오성택,이보근,Lan Zheng,정문성,안병기,강창원 韓國家禽學會 2012 韓國家禽學會誌 Vol.39 No.3

        본 실험은 사료 내 대사에너지의 수준별 급여가 R계통 육계와 국내에 새로이 도입된 신계통인 A계통 육계의 성장능력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 내 대사에너지는 2,950, 3,050, 3,150 및 3,250 kcal/kg의 4가지 수준으로 하였으며, 조단백질/유효라이신 함량은 전기(1~21일령)에는 21.0/1.1%로, 후기(22~38일령)에는 19.0/1.0% 수준으로 동일하게 적용하여 총 2계통 4처리 5반복으로 팬당 25수씩 배치하였다. 처리구간 에너지 수준은 Cobb-vantress(2008), Aviagen(2007), 한국사양표준(2007) 및 NRC(1994)의 육계 에너지 요구량을 참조하였다. 실험 사료는 익스팬더-펠렛 가공하여 제조하였으며, 원료는 옥수수, 소맥, 대두박, 수지박 및 우지 등을 이용하여 국내의 상업용 육계 사료와 유사하게 제조하였다. 증체율은 사료 에너지 수준이 낮은 급여구(2,950, 3,050 kcal/kg)에서 우수한 경향을 보였지만, 22~38일령을 제외한 일당 증체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계통의 육계 모두에서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사료 섭취량은 감소하였고, 3,250 kcal/kg 수준 처리구에서 사료 요구율 1.48로 가장 우수하였다(p<0.05). 가슴육 및 복강지방의 상대적인 비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하는 것과 상호작용(interaction)이 없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도체율은 에너지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발견 되었다(p<0.01). 에너지 수준이 혈중 콜레스테롤 및 간 기능 관련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두 가지 육계 계통 간의 에너지 수준 증가에 따른 성장 성적 결과는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에서 R계통이 A계통보다 우수 하였으나(p<0.05), 사료 효율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사육 전 기간에 걸쳐 3,200 kcal/kg인 NRC (1994)의 대사에너지 권장량은 증체율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불리한 것으로 보인 반면, Cobb-Vantress(2008)과 Aviagen (2007)의 대사에너지 권장 수준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육계 수평아리의 증체율과 사료 요구율 개선을 위해서는 계통과 사육 기간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에너지를 검토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증체율 개선을 위해 사육 전기(0~21일령)에 저에너지 수준인 2,950~3,050 kcal/kg 수준이 유리할 것으로 보이며, 사료 요구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육후기(28일령 이후)에 사료의 에너지 수준을 약 3,150~3,250 kcal/kg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도체성적에 있어서 가슴육 및 복강지방의 상대적인 비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하는 것과 상호작용 (interaction)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체율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는 결과로 보아 에너지 수준이 도체 특성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에너지 수준의 증가는 사료 비용을 증가시켜 수익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영양소 수준 설계 시 경제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가지 육계의 계통을 비교한 결과, R계통이 새로이 국내에 도입된 A계통의 육계에 비해 사료 요구율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성장 능력 및 경제성이 더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표 참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ME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two different strains of broiler chicken. A total of one thousand, 1-day-old A strain and R strain male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8 treatments in a 2×4 factorial arrangement. They were fed iso-nitrogenic (CP 21%) crumbled diets formulated to contain metabolizable energy (ME) 2,950 to 3,250 kcal/kg in increment of 100 kcal/kg in the starter phase (1 to 21d) and iso-nitrogenic (CP 19%) pelleted diets containing same ME levels as in the finishing phase (22 to 38d). The body weight (BW) gain of chicks fed the lower ME diets (2,950 or 3,050 kcal/kg)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er ME groups. The dietary energy level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e (FCR) from 1 to 38 days of age (p<0.05). With the increment of dietary energy, feed intake tended to be reduced, whereas FCR was improved in the two strains of broiler chickens. The lowest FCR was observed at 3,250 kcal/kg diet groups in both of the two strains from 1 to 38 days of age. Feed intake and BW gain during 38 day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strain factor. Increasing dietary energy up to 3,250 kcal/kg had no effect on the relative weights of breast meat and abdominal fat. The dietary energy and strain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dressing percent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blood profiles except for GPT activity.

      • KCI등재

        육계 계사 내 수분흡수제 도포 시기가 생산성, 혈구 성상 및 발바닥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홍의철,전진주,김희진 한국가금학회 2023 韓國家禽學會誌 Vol.50 No.3

        본 연구는 깔짚 관리를 위한 수분흡수제의 도포 시기가육계 생산성, 혈액성상, 깔짚 수분함량 및 발바닥피부염 발생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1일령 Ros 308 육계(42.0±0.24 g) 680수를 이용하여 평사(칸당 2 m 2)에서 5주 동안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 대조구(NC), 3주령 깔짚 처리구(PC), 수분흡수제 0주령, 0과 3주령, 3주령 도포의 총 5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4수씩 680수를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육계 계사 내 깔짚 및 수분흡수제 도포 시기에 따른 체중,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육계 계사 내 깔짚 및 수분흡수제 도포 시기에 따른 혈액 내 혈구 조성(leukocyte, erythrocyte, platelets 및 H/L 비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깔짚 수분함량 및 FPD 점수는 5주령에 깔짚 및 수분흡수제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에 사용된 육계의 FPD 점수는 NC 처리구에 비해 PC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P<0.05), W1 및 W2 처리구보다 W3 처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발바닥피부염은 PC와 W3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였으며, NC 처리구에서 발바닥 피부염 발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PC 처리구에서 지출이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W 처리구에서 지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W3 처리구에서 수입이 가장 높았으며, NC 처리구의 수입이 가장 낮았다. 총 수입에서 총지출을 제한 이익은 185,859원(1,367 원/수)으로 W3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결론적으로, 육계 깔짚에 수분흡수제를 3주령에 도포하였을 때, 깔짚 수분함량과 FPD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ect of moisture absorbent (MA) aplication timing for liter management on broiler performance, blod cel characteristics, liter moisture content, incidence of fotpad dermatis (FPD), and economics analysis. Treatment include untreated control (NC), 3-wek-old liter treatment (PC), 0-wek-old (W1), 0 and 3-wek-old (W2), 3-wek-old (W3) aplication of moisture absorbent. Six hundred eighty broilers (1-day-old, 42.0±0.24 g) were divided into 5 treatments (4 replications per treatment, 34 birds per replication) and raised for 5 weks in a flor (2 m2 per p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erence among treatments in performance, blod cel characteristics, and H/L ratio according to the aplication period of liter and moisture absorbent. The liter moisture content and the FPD sco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iter and moisture absorbent treatments at the age of 5 weks (P<0.05). The FPD score of broilers was lowest in PC treatment compared to NC treatment (P<0.05). The incidence of FPD was lower in PC and W3 treatment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nd that was the highest in NC treatm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nomic feasibilty, the highest expenditure ocured in PC treatment, and the lowest expenditure ocured in W3 treatment. Income was the highest in W3 treatment, and lowest in NC treatment. The profit was 185,859 won (1,367 won/unit), the highest in the W3 treatment. In conclusion, when MA was aplied to the liter of broiler house at the age of 3 weks, the liter moisture content and FPD wer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