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하여 대학에서 미충원 학생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학생 미충원에 대한 문제는 수도권 대학보다는 지방 대학들에서 매우 심각한 현상으로 되고 있다. 대학에서는 점차적인 학생수 감소로 인하여 기존 학과들이 사용하였던 교육공간들이 대규모 유휴공간으로 되는 심각한 대학 내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들의 유휴공간 활용한 우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발생할 지방대학 캠퍼스 내 유휴공간들의 활용 방향 및 방법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학의 유휴공간 및 대학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 사례에 대한 조사는 기존 대학의 홈페이지, 관련 정부부처 인터넷사이트 및 정부의 보고서, 뉴스 등을 자료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가야대학교, 건국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북대학교, 한남대학교 등 국내 6개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한 사례들을 바탕으로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학생활용도, 지역주민활용도, 캠퍼스전체 대비 부지 활용도, 부지활용에 따른 대학재정기여도, 지역사회기여도 등 총 5가지 항목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캠퍼스 유휴공간에 대한 활용도 종합평가를 하였다. 가장 활동도가 높았거나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학은 경인교육대학이고 그 다음으로 전남대학교이다. 전남대학교의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가 제일 높게 났으며, 충북대는 재학생들과 지역 청년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남대는 학생, 시민, 중소기업 등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대학교와 건국대학교의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 활용도가 다소 낮게 나타난 원인은 정부 부처, 지자체와 공동으로 유휴공간 활용사업을 진행한 것 아니라 대학 자체의 재정만으로 활용하였기에 다소 활용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논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사례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추후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유휴공간이 많이 발생될 것이 예상되는 바, 향후 대학 캠퍼스 유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활성화방안 마련 및 지자체 및 중앙부처와의 협력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유휴 공간에서의 게릴라 가드닝(Guerrilla Gardening)에 관한 연구

        나선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유휴 공간의 증가는 도시사회문제와 환경문제를 유발하고, 도시의 사회, 환경, 경제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한다. 게릴라 가드닝(Guerrilla Gardening)은 환경을 개선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휴 공간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행위로 노후화되어 슬럼화 된 도시 환경을 개선하고 범죄를 감소시킨다. 도시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정원을 가꾸는 게릴라 가드닝 활동은 도시 유휴 공간 재생활동의 혁명적인 활동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 공간을 자연 생태환경으로 조성하는 게릴라 가드닝이 갖는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효과로 지역민들에게 황폐한 도시 공간의 환경 개선을 구현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유휴 공간, 도시재생 이론적 배경은 문헌을 통하여 연구하였고, 미국 뉴욕시의 그린 게릴라(Green Guerrilla), 영국 런던의 게릴라가드닝.org(GuerrillaGardening.org), 호주 멜버른의 퍼마블리츠(Permablitz), 대한민국 서울의 쿨플라워(KU:flower)의 사례를 통하여 게릴라 가드닝 효과와 게릴라 가드닝 활동은 문헌,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게릴라 가드닝은 유휴 공간에서 지구온난화 예방, 탄소저감 운동을 위해, 이웃과 함께 평화로운 녹지 공간을 향유하고 식용 식물을 재배하여 이를 나누며 지속가능한 활동으로 발전시키기도 한다. 그린 게릴라 는 뉴욕시 지역 사회의 게릴라 가드닝 교육, 조직 및 지원으로 커뮤니티 정원과 산하 소그룹을 관리하며, 식량을 재배하고, 각 프로그램에 청소년을 참여시켜, 식량 정의와 도시 농업의 미래에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게릴라가드닝.org는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홍보하며 서적을 출간 하는 등 게릴라 가드닝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한 결과 오늘날 60여 개국 이상에서 활동하고 있다. 퍼마플리츠는 생태학적으로 조화로운 시스템에서 지속 가능한 생활과 토지 사용을 위한 윤리적 기반 설계 시스템인 퍼마컬처(permaculture)기반으로 호주의 멜버른에서 시작되었다. 한국의 게릴라 가드닝 활동은 쿨플라워 단체에서 개인, 봉사동아리 및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게릴라 가드닝은 도시의 유휴 공간의 재생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 조성으로 지역 주민의 삶이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문제, 환경적 문제, 경제적 문제를 유발하는 도시 내 유휴 공간의 재생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 게릴라 가드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삭막하고 노후 된 도시의 방치된 유휴 공간에 녹색 공간이 조성되면 도시를 재생하는데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하여 관할 지방자치체와 토지 소유주에게 방치된 유휴 공간에 대한 관심을 다시 환기시키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 계획을 위한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활용

        이동국(Lee, Dong Gook),고제웅(Go, Jae Woong),이현직(Lee, Hyun Jik)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3

        유휴공간은 기존 도로의 선형개량 및 신규노선 건설, 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도로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된 도로 부지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유휴공간은 과적 검문소, 자재 적치장, 차량 대기소 등의 소극적인 유지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브이월드)를 이용하여 유휴공간의 입지조건, 지형특성, 지역 및 문화 특성을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였다. 유휴공간의 유형에 따라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주변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활용 및 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강원권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계획 및 설계방안을 도출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Unused land is a new load of building and a linear improvement, expanding the loss of function of the road abandoned road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existing roads is possible additional advantage. However, some space is overcharge checkpoints, materials yard, make this vehicle utilization and maintenance of the unfavorable situation, as vehicle rest area but unused land most of the space required for the use of the system management plan. We are analyzed the location, topographical features, cultural property and in the space which is geospatail open platform set up to classify the type of unused land. Depending on the type of unused land using the geospatial open platform performs a 3D model and a proposed mode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To derive the Gangwon development Plan and design of future route unused land was becoming helps you make better use of unused land.

      • KCI등재

        ‘遊休空間’의 역사 · 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화 방안

        박선미(Park Seon-Mi)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31

        일반인들에게 슬로시티(Slow City)로 알려진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에 있는 소금박물관은 1953년에 소금 창고로 세워졌다가 1980년대부터 자재창고로 전락한 버려진 공간이었다. 그런데 2007년도에 소금박물관으로 탈바꿈한 데 힘입어 같은 해 11월 근대문화유산 361호로 지정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연 관람객 5만명을 유치했고, 지속해서 증가 하는 인기박물관이다. 이처럼 한갓 자재창고에 불과했던 곳이 인기 있는 주제박물관으로 변신한 데에는 해외 벤치마킹을 통한 유휴공간의 활용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화력발전소였던 영국의 데이트 모던미술관, 기차역이었던 프랑스의 오르세미술관, 방적 공장이었던 가나자와의 시민 예술촌이 그 대표적인 공간이다. 이러한 유휴공간은 시대적 흐름과 산업의 변화로 그 기능을 상실하거나 용도변경이 필요한 공간을 말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유휴공간의 활용에 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시행한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예술창작벨트 조성사업>은 국내의 유휴공간 활용에 대한 관심을 잘 보여주는 정책 중 하나이다. 그리고 현재 경기도 포천시 폐채석장, 충남 아산시 舊 장항선구간, 대구 舊 KT&G공장, 군산 내항 근대유산, 전남 신안군 태평염전 등 총 5개 시군에서 시험사업이 진행중이다. 이 외에도 서울시를 비롯한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도심의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유휴공간의 활용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듯 보이지만 다소 활용에 급급하여 그저 노후한 시가지를 정비하고, 낙후된 생활환경을 재정비하는 차원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또는 영국과 중국의 사례 등 외국사례와 프로젝트를 토대로 개편하여 공간의 역사성 및 공간적 특성을 표현하지 못하여 차별화된 활용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유휴공간의 활용현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단순녹지의 양산이다. 둘째, 예술창작시설의 편중이다. 셋째,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부재이다. 넷째, 지역주민참여의 부재이다. 다섯째, 무분별한 복원의 지양이다. 유휴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새로운 공간의 탄생’이 아닌 ‘기억을 가진 공간의 재탄생’이다. 그러므로 건축물을 비롯하여 공간을 채우는 콘텐츠에도 그 역사?문화적 가치를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활용 방안은 그저 낡음의 미학만을 살린 새로운 공간의 재창출이 주를 이루었다고 판단된다. 옛 건물의 단순 활용과 감상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공간의 가치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적정한 기능을 담고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면서도, 그 가치를 표현할 수 있는 역사?문화성을 활용한 콘텐츠를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유휴공간의 활용 시작 단계에서부터 역사?문화성을 바탕으로 기획된다면 이는 공간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하나의 거점이 되고, 지역의 다른 장소들과 어울려 풍부한 자원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근대문화유산을 활용한 예술창작벨트 시범지역인 전남 신안 사례의 사업계획과 발전방안을 살펴보겠다. 이로써 가깝게는 현재 진행 중에 있는 사업안에 대한 고찰을 도울 수 있을 것이며, 멀게는 유휴공간의 역사 문화성을 활용한 방안에 대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신안증도염전 및 소금창고를 활용한 예술창작벨트>는 염전의 역사와 문화성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를 중점에 두고 기획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래의 기획에 의미가 흔들리지 않는다면 유휴공간의 가치를 잘 담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저 낡음의 미학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사로 문화적 자산으로 기록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 방향 연구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 대상지 중심으로-

        이상균,이금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industry existing industrial facilities are malfunctioning, and they are left idle industrial facilities emerged. The neglected idle industrial facilities have been reduced to local hate facilities that degrade the city's landscape and cause urban degradation. However,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of non-physical value, not only in physical form but also as asse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era of the industrial age. In addition,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modern people's experiential art culture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promoted. The Cultural Regeneration Business aims to recreate the idle space as a place of social valu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 art, and community, and to expand cultural enjoyment to residents, workers and local artists and revitalize the region. However, there are cases in which regeneration cases with industrial asset value return to idle facilit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in operation, lack of will of the operator, and diversity of programs. In this study, we will explore ways to successfully build a social platform centered on a sustainable creative culture that utilizes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vestigate the propulsion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regeneration project sites to derive uniqueness of programs and spaces between each case, and comprehensively analyz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that can be operated even after project support. (Method) Through prior research, the concept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value of regeneration are synthesized.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ior research and cas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spaces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complex cultural spaces. Cases a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programs affecting sustainability at ‘The Culture Regeneration Business in Industrial Complex and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Results) A total of 10 si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ogram characteristics (resident artist support program, commercial facilities, exhibition and education) that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Cases involving both resident and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come stable operations even after the project is completed. (Conclusions) It is important that the renovation process is carried out in stages from the pilot operation program in order to enable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fter the opening, the residency program will provide profession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it should be reborn as a complex cultural space with self-sustainability as a commercial facility.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발전에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기존 산업시설들이 기능을 상실하고 방치되어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났다. 방치된 유휴산업시설들은 도시의 경관을 저하하고, 도시쇠퇴를 유발하는 지역혐오시설로 전락하였다. 하지만 유휴산업시설은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산업화시대의 경제적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던 자산으로 비물리적 가치가 있다. 이와 함께 현대인들의 체험형 예술문화교육과 유휴산업시설의 활용방안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지역 재활성화를 목표로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문화재생사업은 유휴공간을 문화와 예술, 지역사회의 소통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가진 공간으로 재창조하고 주민, 근로자, 지역 예술인에 문화향유 확대 및 지역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산업자산의 가치를 갖는 재생사례들이 사업지원이 이후 운영의 전문성 결여, 운영주체의 의지 부족, 프로그램 다양성 등의 문제로 다시 유휴시설로 되돌아가는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한 창의문화 중심의 사회적 플랫폼 구축의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재생사업대상지들의 추진체계 및 현황을 조사하여 각 사례 간 프로그램 및 공간의 특이점을 도출하고 종합 분석하여 사업지원 이후에도 지속운영 가능한 재생의 방향성을 제안하도록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재생가치를 종합한다. 선행연구 및 사례의 공간특성을 분석하여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과 공간의 특성을 분석한다.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대상지를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그램별로 사례를 분류하여 분석한다. (결과) 총 10곳의 대상지를 복합문화공간의 지속운영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프로그램특성(입주작가 지원공간, 상업시설, 전시교육)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입주작가 지원프로그램 및 상업시설을 겸비한 사례가 사업이 끝난 후에도 안정적 운영이 되고 있다. (결론)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이 지속운영 가능하기 위해서는 시범운영 프로그램부터 리노베이션 과정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개관 후에는 입주작가 프로그램으로 전문적인 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상업시설로 자생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 연구

        최병성,김성군,장청건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5 No.78

        도시화 과정에서 많은 산업시설이 산업구조의 격변을 거치며 방치되거나 폐기되어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를 초래했다. 이와 동시에 경험경제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관념과 생활방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그들의 공간에 대한 수요는 더이상 기본적인 기능에 만족하지 않고 공간의 품질과 경험을 더욱 중시하게 되었고, 문화예술을 주제로 전시, 판매, 공연, 경험 등의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하였으며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따라서 현재 도시 혁신과 산업전환의 공통된 주제는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여 창의성과 특색을 가진 공간으로 개조하고, 소비자의 다원화된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경험 향상을 위한 유용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의 재생가치와 특징, 복합문화공간과 경험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을 수집·분석하기 위해 문헌 조사,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의 방법을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핵심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핵심 특성을 통해 국내의 유휴산업시설에서 재생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고전적 사례에 대한 경험 디자인을 조사하고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와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경험 디자인의 6가지 주요 특성은 역사 보존성, 기능 복합성, 개방성, 연상성, 감각성, 상호작용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유휴산업시설을 복합문화공간으로 전환한 6가지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경험 디자인을 6가지 특성으로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F1963의 종합점수가 가장 높았고, 성수동 성수연방의 종합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사례별로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경험 디자인 개선을 위한 제언으로는 주로 역사문화요소와 상호작용 디자인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차별화된 다양한 경험 디자인 요소의 활용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rocess of urbanization, many industrial facilities are idle or abandoned due to the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resulting in resource waste and environmental damage. At the same time, with the advent of the experience economy, consumers consumption concepts and lifestyles have changed. Their demand for space is no longer just to meet basic functions, but also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quality and experience of space, under the theme of culture and art, many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functions such as exhibitions, sales, performances, and experiences have begun to be created, and the trend is increasing. Therefore, the common theme of current urban innovation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is how to utilize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ransform them into creative and distinctive spaces, while meeting the diverse needs of consumers and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tie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In this study,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a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Based on this, six key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of a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derived. Through these six key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experience design of a classic case of a complex cultural space regenerated in a domestic idle industrial facil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it was concluded that the six main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design for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re historical preservation, functional complexity, openness, association, sensory, and interactivity. Six cases of conver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omplex cultural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patial experience design of each case was evaluated in terms of six majo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t was found that each case ha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ith F1963 having the highest overall score and Seongsu-dong Seongsuryeonbo having the lowest. This article also ma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design of complex cultural spaces, mainly by adding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and interactive design means. Based on this study, future research will specifically suggest the utilization of various differentiated experience design elements of complex cultural spaces.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친환경성 특성 연구 -친환경적 실내 평가요소 중 재료 및 자원을 중심으로-

        고진우,하숙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탈산업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기존 시설들의 기능이 상실되어 버려진 시설들이 방치되기 시작하면서 수많은 유휴산업시설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 도시의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도 야기시키며 지역의 혐오시설로 전락하고 있다. 결국, 이를 해결하고자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공간사례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중들의 다양한 문화적인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식음, 전시, 체험,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공간에서의 친환경적 가치는 무엇보다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재료와 자원의 재사용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사된 각국의 친환경적 인증제도들의 평가요소들 중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큰 미국의 LEED와 한국의 G-SEED, 중국의 ESGB를 중심으로 친환경적 실내 평가요소 중‘재료 및 자원’의 항목별 비교분석을 통해 평가기준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에 사용된 재료에 대한 친환경적 특성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최근 10년간 산업구조의 변화로 방치된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된 한국와 중국의 사례들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유휴산업시설의 개념 및 재활용 가치, 복합문화공간의 정의와 공간구성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고 국내외 녹색건축 인증제도들을 분석을 통해 '재료 및 자원'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기준들을 각 사례들에 적용하여 재료 및 자원 부분의 친환경적 특성과 가치를 분석한다. (결과) 한ㆍ중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한 복합문화공간들에 적용된 재료 및 자원의 친환경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존 건물의 주요 구조부 재사용, 건물 내부의 비내력벽 요소들의 재사용, 재활용 및 재사용 자재 사용, 친환경 인증 자재 및 제품의 사용이 중요한 친환경 평가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공간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 사례들에 적용된 재료들의 친환경적 평가를 통해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유휴공간을 다시 활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에 사용된 재료들의 친환경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유휴시설들을 재활용함에 있어 친환경 재료의 적극적인 사용으로 현시대가 요구하는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As a result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production facilities that were active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cities were left as idle industrial facilities. Public perception of these facilities is now changing; they are seen as valuable spaces that contain historical features.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to utilize diverse cultures through spatial characteristics by reproduc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 useful value as a multicultural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draw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the nin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mak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ymbolism, spatial complexity, artistic expertis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ccessibility of place, we select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actively operated through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ir being us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e chose five places: Seongsu-dong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Insa-dong Insadong 1 Gil Culture Space, Bucheon art bunker B39, Busan F1963, and Jeollado Wanju Samnye culture art village. Through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and drew conclusions by diagramming the analysis contents. (Results) The diagram showed that historical symbolism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five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basis for a high evaluation of the periodic valu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using such facilit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as they can bring various contents together through their spatial complexity. As artistic expertise was backed up, participation of culture also increased naturally, there were limitations in accordance with location; the accessibility of places utilized exis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se characteristics,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could be regarded as a case well-sui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it showed a high level in the multi-faceted area.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idle industry and the spatial necess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ncludes three point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temporality through the value of time, and it becomes a sustainable space resource as educational material. Second, it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utilizing flexible space. Third, users are encourag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thereby enhancing the potential of local development by raising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utilized as a space in which users can participate voluntarily based on the value of the space’s original historical symbolism. (연구배경 및 목적) 탈산업화의 과정으로 도시 내 구조 변화와 함께 생산적 활동을 하던 다수의 생산시설들이 유휴산업시설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성을 다한 유휴산업시설들이 현재는 시대적 역사성을 내포한 가치 있는 공간으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 활용적인 가치를 가진 유휴산업시설을 여러 가지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예술·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유휴산업시설 재생의 특성과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역사적 상징성, 공간적 복합성, 예술적 전문성, 문화적 참여성, 장소적 접근성의 다섯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각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분석으로 국내 유휴산업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활발하게 운영 중인 곳으로 선정한다. 성수동 대림창고 갤러리 컬럼, 인사동의 인사1길 컬처 스페이스, 부천 아트벙커 B39, 부산 F1963, 전라도 완주 삼례문화예술촌의 다섯 장소를 선정하여 현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 화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는 다섯가지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휴산업시설에 대한 시대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간적 복합성은 다양한 컨텐츠를 한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부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문화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예술적 전문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문화적 참여성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산업의 역사적 중요성과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린다. 첫째, 시대적 가치를 통해 시간성의 경험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자료로써 지속가능한 공간자원이 되고 둘째, 유동적인 공간의 활용으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이 표현되어 다양한 목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셋째, 작가들과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예술·문화 활동을 높여 지역발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역사적 상징성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유휴공간 활용으로 재생된 공원의 조성실태 및 공간 특성 사례 분석 연구 -시흥갯골생태공원,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을 중심으로-

        김영은,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실증적 평가 방식을 통해 유휴공간이 재생된 사례 분석이 부족한 시점에서 과거 유휴공간이었던 대상지를 평가하고 재생된 공원의 공간 요소를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과거 유휴공간이었던 부지가현재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 공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5가지 특성으로 공간 평가 지표를 재구성하여 대상지 2곳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유휴공간을 재정의하고 유휴공간의 유형과 발생 원인, 문제점과 재생 가치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공간 평가 지표에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역사적 측면 5가지 항목으로 재구성하고 현장답사를 통해 최종 평가 지표를 작성하였다. 이는 평가기준을 제시하여 유휴공간이었던 대상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 향후 유휴공간의 맥락이 담긴 공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지는 시흥갯골생태공원,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으로 선정하였다. 현장조사는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3차례 방문하여 공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흥갯골생태공원은 시민들이 역사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하여 공원의 활성화를 이끌어사회적, 역사적 측면에서 세부특성 정도가 높게 드러났다. 하지만 다양한 동선에 비해 목적지까지 도달하기 위한 요소가 부족했고, 공원 내 갯골이 흐르는 수변 공간의 쾌적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인천 소래습지생태공원은 도시의 역사적인 맥락과 갯골이라는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휴식공간으로 역사적 측면에서 세부특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자체적인 내부 행사가 진행되지 않았고, 오수 및 폐기물과연관된 위생 관리가 부족하여 개선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실증적 평가를 통한 사례 분석이 부족한 상황에서, 객관적 평가 지표를 활용하여 공원이 효율적으로활용되고 있는지 5가지의 특성에 따라 공간 요소를분석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두 공원의 평가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문제점에 대해 개선점을 제시한 후, 향후 이용자 만족도 향상과 공원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Through an empirical evaluation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target site that was previously idle and analyze the spatial elements of the regenerated park at a time when there was a lack of case analysis of unused space regener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ite, which was an unused space in the past, is currently being efficiently used, the spatial evaluation index was reconstructed with five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two target site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survey and a field surve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the unused space was redefined, and the type and cause of the unused space, problems, and regeneration value were explored. In addition, based on prior research on spatial evaluation indicators, it was reorganized into five items in physica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historical aspects, and the final evaluation index was prepared through field trips. This aims to help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containing the context of the unused space in the future by presenting evaluation criteria to analyze the target site that was an unused space.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as Siheung Gaetgol Ecological Park and Incheon Sorae Wetland Ecological Park.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ing three times from May to June 2023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Siheung Gaetgol Ecological Park has a high degree of detaile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ocial and historical aspects by inducing natural participation through continuous programs so that citizens can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However, compared to various routes, there were insufficient elements to reach the destination, and the comfort of the waterfront space where the tidal valley flows in the park was not secured. Incheon Sorae Wetland Ecological Park is a resting place that actively utiliz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ity and the hydrophilic space of the tidal valley, and has a high degree of detailed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However, internal events have not been carried out on their own, and improvement is urgently needed due to a lack of hygiene management related to sewage and waste. This paper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how to analyze spatial factors according to five characteristics of the park using objective evaluation indicators in a situation where case analysis through empirical evaluation is insufficient. In addition, after presenting improvement points for problems derived from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two parks, we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user satisfaction and park improv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유휴시설을 활용한 전시공간 재생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유휴 산업시설과 유휴 비산업시설을 중심으로 -

        김현정,황연숙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6 No.6

        Industrial paradigm change and awareness change based on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any idle facilities had been occurred. These idle facilities become the factor which hinder image and environment of the surroundings. In recent years,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value of idle facilities has been acknowledged and is regarded as an object of rehabilitation as part of urban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cycling design in the exhibition space used as a domestic idle facility and to utilize it as a basic data for creating an exhibition space using idle facilities in the future. The scope of the study was selected from 8 cases which were reproduced as exhibition space within the last 10 years mainly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It is analyzed by five characteristics of historicity, symbolism, preservability, connectivity, and placeness that are analy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ion desig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idle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idle non - industrial faciliti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ion design of idle facilities showed that the symbolism was much higher than other rehabilitaion design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dle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and idle non -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historicity, preservability, and connectivity were high in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space of idle non-industrial facilities, symbolism and placeness were high. 기술의 발달을 기반으로 한 산업구조 패러다임의 변화와 주민들의 의식 변화, 빠른 도시의 변화 과정 속에서 버려진 시설들이 자연스럽게 발생되었다. 폐허로 도심에 남겨진 시설들은 도시쇠퇴의 원인으로 지목되거나, 정치적인 이유로 철거되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 유휴 시설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여, 이를 도시문제 해결의 일환으로써 재생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휴시설로 활용된 전시공간이 지니는 공간적 가치와 맥락을 보존, 재생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최근 10년 이내 전시공간으로 재생된 8사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재생디자인 특성으로 분석된 역사성, 상징성, 보존성, 연계성, 장소성의 5가지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휴시설은 크게 유휴 산업시설과 유휴 비산업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둘째, 유휴시설의 재생디자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상징성이 다른 재생디자인 특성들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휴 산업시설 전시공간과 유휴 비산업시설 전시공간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유휴 산업시설 전시공간에서는 역사성, 보존성,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휴 비산업시설 전시공간에서는 상징성, 장소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