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의 기억 인출에 대한 유효 EEG 연결성 분석

        이충연(Chung-Yeon Lee),장병탁(Byoung-Tak Zhang)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0 No.4

        뇌의 활성화 반응을 바탕으로 인간의 기억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뇌인지 및 신경 과학에서 핵심적인 연구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를 통해 기억 인출에 따른 뇌의 역할이 규명되었지만, 최근에는 뇌 기능과 관련된 연구가 특정 역할을 담당하는 뇌 영역들을 구분하는 방법이 아닌 각 영역 간의 상호작용 및 기능적 연결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유효 연결성은 활성화 영역 간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뇌과학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석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억인출 과제 수행 중 기록된 EEG 데이터로부터 기억 인출에 따른 뇌 영역 간 유효 연결성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해당 영역간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 대해 논한다. 실험 결과, 기억인출시 전두 영역, 내측두 영역 일부, 두정 영역 일부 그리고 후두 영역 일부를 포함한 뇌 영역들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네트워크 구조를 보이며, 상전두이랑(superior frontal gyrus) 영역의 경우 이들 영역 전체를 아울러 정보흐름이 나타나는, 허브 노드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cent advances in cognitive neuroscience have focused on the role of inter-areal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specialized brain regions and functional connectivity in human cognition. Decades of neuroimaging and patient lesion studies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oles of specific brain structures in memory retrieval, however, neuronal mechanisms based on effective connectivity underlying the coordination of this anatomically distributed information processing have remain largely unknown. Here we investigate the information flow network of the human brain during memory retrieval.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episodic memory retrieval involves increase of information flow and densely interconnected networks between the prefrontal cortex, the medial temporal lobe, and some subregions of the parietal and occipital cortex. In this network, interestingly, we found the SFG acted as a hub, globally interconnected across broad brain regions.

      • 3차원 체커보드의 전도율과 연결성

        김인찬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2 공업기술연구 Vol.2 No.-

        We consider the long-standing problem of whether the three-dimensional checkerboard has the connectivity. For this purpose, we first consider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effective conductivity of the heterogeneous medium having the checkerboard geometry by use of the Brownian motion simulation method. Specifically we use the efficient first-passage-time techniqu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ffective conductivity of the three-dimensional checkerboard increases faster than the two-dimensional counterpart when the contrast between the phase conductivities increases. This implies that the three-dimensional checkerboard's connectivity is greater than the two-dimensional checkerboard's and thus each phase material of the three-dimensional checkerboard is more likely to be connected than not to be conn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