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 혁신 저항,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홍식,부이응옥중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혁신 저항성의 정도에 따라 그들의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이 혁신제품에 대한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였다. 실제로 본 연구를 통해, 수신자로서의 소비자의 특성뿐만 아니라 송신자의 광고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다양하고 실증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여 주었다. 첫째, 소비자의 혁신저항성 정도와 광고유형 사이에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전략에 대해, 혁신저항이 높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혁신저항이 낮은 경우 비교광고가 더 높은 광고태도나 구매의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둘째, 사전지식의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광고가,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비비교광고가 더 평균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태도의 경우 광고유형과 사전지식 모두에서, 구매의도는 광고유형에서,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은 두 개의 반응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입증했다. 특히 사전지식의 유형별 수준에서 비교하는 쌍별비교의 검증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경우 비교와 비비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 광고유형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은 검정되지 못하였다. 또한 사전지식 정도와 광고유형사이에서 구매의도에 대한 상호작용비교(사전지식 높고 낮음 경우에 비교와 비비교의 평균적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혁신저항성, 사전지식, 및 광고유형에 따른 혁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묻는 연구에서, 혁신 저항성이 낮은 경우, 광고태도와 구매의도 영향을 주는 사전지식, 광고유형, 및 사전지식과 광고유형사이의 상호작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혁신저항성이 낮고 지식수준이 높은 정도에서 비비교광고 보다 비교 광고가 더 효과적인 광고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했다. This study was to be designed to provide insights regarding the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IR), prior knowledge(PK), and advertising appeal(ADA)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A) and purchase intention(PI). Firstly, we examined attitude toward ATA and PI in two methods of ADA (i.e., comparative and non-comparative advertising) on the level of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As for high IR and low IR separately. Secondly, we found that both the PK main effect and the ADA main effect are significa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PK and AA is significant.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IR, PK and ADA on ATA and PI and represented a difference in mena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high PK minus a difference in means between comparative ad and non-comparative ad for low PK while being low IR. And the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비교헌법동학 : 헌법성립과 헌법변경의 비교유형론

        신우철(Shin, Woo Cheol)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法學論文集 Vol.42 No.1

        이 논문에서는 비교헌법동학의 기본적인 연구 성과들을 헌법성립과 헌법변경으로 대별하여 정리한 다음, 우리의 미래 헌법제정·개정에서 참고가 될 만한 이하의 사항들을 지적했다. 헌법의 성립, 특히 공식적 헌법제정에 관해서는 첫째, 실제 제헌이 진행되는 상황은 대개 그것이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려운 여건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 둘째, 제헌기관의 구성이 비민주적이고 제헌절차가 폐쇄적이었다면 그 승인절차에서의 민주성으로써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점, 셋째, 제헌절차의 공개는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지만 동시에 정파 간 타협을 어렵게 만들거나 허영심·자기애와 과시욕으로 심의절차를 망칠 위험도 있다 는 점, 넷째, 포괄적인 제헌기관 구성과 민주적인 제헌절차 진행은 향후 헌법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건적인 요소라는 점 등을 지적했다. 헌법의 변경에 관해서는 첫째, 헌법이 오래될수록 개정의 필요성이 커지지만 반면 그 개정의 가능성은 오히려 낮아진다는 점, 둘째, 오래된 헌법이 개정 없이 지속될 경우 사법해석·입법개정 등 대체수단이 작동할 수 있지만 그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은 못된다는 점, 셋째, 개정의 난이도가 너무 낮으면 헌법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주지만 개정요건의 가중이나 개정기관의 중복은 개정의 난이도를 과도하게 높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이상 제 사항들을 감안하여, 소규모 헌법회의를 의와 별도로 구성한 후 여기서 헌법의 교체나 변경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도록 하고 최종 성안된 헌법을 국민투표로써 승인하는 방식을 종래 의회가 주도하는모델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The comparative constitutional dynamics, which typifies and analyzes the experiences of constitution-making and constitutional change in different nations, can give us empirical knowledge and wisdom concerning democratic constitutional design. Following the introduction, in chapter II and III, I summarized some typological and empirical studies on “constitution-making” and “constitutional change”, and in chapter IV, drew some practically useful conclusions. First, the task of constitutionmaking, in general, emerges in conditions that are likely to work against good constitution-making. Second, the process of constitution-making, at least the mode of its legitimation, should be democratic, for constitutions produced in more democratic processes will tend to be more democratic. Third, to block the influence of vanity or self-love on the constitutional debate, as well a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ompromise, a certain degree of secrecy in the constitution-making process is inevitable. Forth, the constitution-making body should be so constituted as to reflect a broad range of social groups, for it is a key element which decides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new constitution. Fifth, as a constitution ages, the need for change arises, however, it also becomes more difficult to change. Sixth, judicial interpretations and legislative enactments can serve as effective substitutes for formal processes of constitutional amendment, but they cannot be fundamental solutions. Seventh, overly flexibl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es may cause excessive constitutional mutability and insufficient constitutional stability. Eighth, successful constitutional amendment becomes more difficult in larger decision-making bodies, and the assembly model of constitutional amendment may not be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of constitutional change.

      • KCI등재

        프랑스어 메타 비교구문과 한국어 ‘-다/라기보다’ 비교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 대조분석 및 유형론적 관점에 따른 고찰

        모지향 한국프랑스학회 202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 메타 비교구문과 한국어 ‘-다/라기보다’ 비교구문의형태․통사적 특성을 대조분석하고 유형론적 관점에서 따라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각 구문의 정의를 살펴보는 가운데, 한국어 메타 비교구문의 범위를 명확히하였으며 한국어의 ‘-다/라기보다’ 구문이 프랑스어의 메타 비교구문과 마찬가지로비교구문의 한 유형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구문의 형태․통사적 측면을 대조 분석한 결과 비교표지의 다양성, 해석적 불확실성, 두 서술어 간 통사적 대칭성 문제와 관련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일반 비교구문의 유형론적인 특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각 언어와 같은 유형에 속하는 영어와 일본어를 살펴보며 대조분석의 대상을 확장하였다. 프랑스어와 영어의 경우 일반 비교구문의 표지 및 통사구조를 활용하여 메타 비교구문의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메타 비교구문에 특유한 표지를 사용하여 해당의미를 나타내었다. 다만 같은 유형에 속한다고 할지라도 프랑스어 구문이 영어의 경우보다 해석적 불확실성이 더 강하다는 점, 일본어 비교표지보다 한국어의 비교표지에서 문법적 특수성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각 언어에 고유한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 Cette étude examine les définitions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métalinguistiques en français et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 -다/ 라기보다 » en coréen, puis tente de les analyser dans une perspective contrastive en observant leurs caractéristiques morphologiques et syntaxiques. En outre, dans une perspective typologique en termes de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nous explorons l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en anglais et en japonais, qui appartiennent au même type que cell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respectivement, et analysons leurs similitudes et différences. En particulier, en examinant les définitions de chaque constrtuction, nous constatons que la construction coréenne « -다/라기보다 » peut être considérée comme un type de construction comparative, tout comme celle métalinguistique du français. Notre analyse contrastive des aspects morpho-syntaxiques entre les deux constructions révèle des différences en termes de diversité des marqueurs comparatifs, d’incertitude interprétative et de symétrie syntaxique entre les deux prédicats. D’après nous, ces différences seraient liées aux caractéristiques typologiques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En intégrant l’anglais et le japonais dans notre analyse contrastive, nous observons que, tandis que le français et l’anglais utilisent les marqueurs et la structure syntaxique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pour en indiquer le sens, le coréen et la japonais adoptent des marqueurs spécifiques au construction comparatives métalinguistique. Cependant, malgré ces similarités typologiques, chaque langue conserve ses propres spécificités : les phrases françaises se distinguent par une plus grande ambiguité interprétative par rapport à l’anglais, et le marqueur comparatif coréen présente une spécificité grammaticiale plus marquant que son équivalent japonais.

      • KCI등재

        비교광고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분석

        문재학 대한경영정보학회 2012 경영과 정보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비교광고의 메시지 유형이 광고태도와 메시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소비자 정서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실시되 어졌다. 제품유형을 실용재와 쾌락재로 분류하고, 비교광고 메시지는 일면과 양면 메시지로 분류하여 총 4가지 유형의 광고물을 배포하였다. 소비자 정서를 조작하 기 위해 절반의 응답자들에게 실험 전 즐겨 마시는 음료수를 제공하여 자연스러 운 상황을 연출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의 응답자들에게는 아무것도 제공하지 않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비교광고의 메시지유형은 광고태도와 메시지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소비자 정서와 제품유 형의 조절효과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광고메시지의 측면성 효과를 비교광고에 접목시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 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 정서와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메시지 측면성과 경쟁 브랜드 명시여부에 따른 비교광고의 효과

        김요한(Kim, Yo-Han),이승은(Lee, Seung-Eun),김정현(Kim, Jung-Hy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7 No.1

        이 연구는 ‘메시지 측면성’과 ‘경쟁 브랜드 명시여부(직접/간접)’에 따른 4개의 비교광고 유형이 ‘소비자 인지욕구 수준’과 ‘제품 유형’별로 광고 효과에 있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연구방법으로 실험을 선정하였고, 4×2×2 요인설계를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광고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있어 세 변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높을 때는 양면-직접 비교, 인지욕구가 낮을 때는 일면-간접 비교가 효과적이었다. 다음으로 실용재의 경우 양면-직접 비교가 효과적이었으나, 쾌락재에서는 간접 비교광고가 직접 비교보다 광고 태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태도에 있어 세 변인 간 유의한 3원 상호작용이 있었다. 실용재 광고에서는 인지욕구가 높을 때 양면-직접 비교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반면 쾌락재의 경우 인지욕구가 낮을 때는 일면-간접 비교의 브랜드 태도가 높았고, 인지욕구가 높을 때는 양면 비교가 일면 비교보다 높은 브랜드 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type of comparative advertising by need for cognition and product type on Aad and Ab. This study adopted the experiment to test research hypothesis(4×2×2 factorial desig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among the type of comparative advertising, the level of need for cognition, and product type on ad effectiveness. For individual high in NFC, ‘two sided-direct’ comparative ad was more influence than other type of comparative ad. For individual low in NFC, in contrast, ‘one sided-indirect’ comparative ad had favorable Aad and Ab. When ‘two-sided-direct’ comparative ad was used in utilitarian goods, and ‘indirect’ comparative ad were used in hedonic goods, the biggest effect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som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 can be made for future research on comparative advertising.

      • KCI등재

        메시지 측면성과 제품유형에 따른 비교광고 효과 연구

        방현진(Hyun Jin Bang),박범순(Pum Soon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광고연구 Vol.0 No.87

        지금까지의 비교광고 연구는 비비교광고와의 효과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이에 여러 가지 상황적 변인을 이용한 비교광고 유형별 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측면성과 제품유형에 따라 비교광고의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비교광고 실행에 있어 어떤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메시지 측면성(일면/양면)과 제품유형(고관여/이성, 고관여/감성, 저관여/이성, 저관여/감성)을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양면 비교광고에서는 고관여/이성제품의 광고효과(광고태도, 브랜드태도)가 저관여/이성제품보다 그리고 고관여/감성제품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면 비교광고에서는 저관여/감성제품의 광고효과가 고관여/감성제품의 광고효과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면 비교광고에서 저관여/감성제품과 저관여/이성제품간의 광고태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관여/감성제품의 광고태도가 저관여/이성제품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브랜드태도에 있어서 는 저관여/감성제품이 저관여/이성제품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메시지 측면 성에 따라 제품유형별로 비교광고의 효과에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comparative advertising by message sidedness. Message sidedness (one-sided/two-sided), Product category(Highinvolvement/Think, High involvement/Feel, Low involvement/Think, Low involvement/Feel) were used for this study as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it was most effective when two-sided comparative advertising was working on the high involvement/think Product. Also, one-sided comparative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when it was the low involvement/feel product rather than high involvement/feel product. However, one-sided comparative advertising was more effective when it was working on the feel product rather than think product in low involvement situation. The result was the opposite to the proposed hypothesis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discrepancy was due to the influence of message sidedness. It means message sidedness can be said that it is one of the influential factors which affect comparative advertising.

      • 제품유형에 따른 비교광고와 비비교광고의 효과측정에 관한 연구

        유명길(Yu, Ming-ji)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1 經營經濟 Vol.44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광고유형(직접비교, 간접비교, 비 비교)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제품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자료는 부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설문조사를 통해 210부의 설문이 수거되었다. 주요결과 - 실증분석 결과, 광고유형은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는 광고태도와 구매의도에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실용적 제품의 경우 직접비교광고가 더욱 효과적인 반면 쾌락적 제품의 경우 일반광고(비 비교)가 더욱 효과적으로 나타나므로 기업의 광고전략 수립에 있어 제품유형에 따른 비교광고의 활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compa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type on the effectiveness of comparative advertising. Design/Methodology - A 2 * 3 experiment was performed using 210 subjects. The size of the ad type and the product type were varied between each cell to determine changes in a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indings - Th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 type plays a moderating role on a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Concretely the direct comparative ad was the most effective in inducing ad al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Implications -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advertising effects, product type was found to predict promotion strategy.

      • KCI등재

        생활체육정책 유형에 관한 국가 간 비교연구

        조욱연(Woogyeon J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정책의 국가 간상이한 유형을 밝혀내고 그 원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활체육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 OECD 30개 국가 중 관련 자료의 취득이 가능한 26개국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해 유형화된 국가들의 결정요인을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적비교분석을 위한 원인변수로는 1인당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지니계수, 빈곤율, 조세부담률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26개 국가들을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을 기준으로 군집화하여 국가별로 유형한 결과 세 가지의 유형을 발견하였으며, 한국은 생활체육참여율과 스포츠클럽참여율이 낮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별 생활체육정책의 유형이 발생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한국이 속한 유형은 GDP, 여가시간, 공공사회복지지출(SOCX), 조세부담률과 부의 관계를 나타내며, 지니계수와 빈곤율과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orts for all through the patterns of sports for all policy and analysis of causal relation of the determinants. To achieve this goal, 26 countries among OECD 30 members which provide useful data sources were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QCA) with cluster analysis. GDP, leisure time, social expenditure, Ginis coefficient, poverty rate and tax burden ratio were used as casual variables for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ee patterns were examined and Korea was classified into the pattern which has low sports for all participation and sportsclub participation. Seco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sports for all patterns, the pattern in which includes Korea showed that GDP, leisure time, social expenditure, tax burden ratio had negative relationship and Ginis coefficient, poverty rate had positive relationship.

      • KCI등재

        토지의 경관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나정화,구지나,이현택,조현주,Ra, Jung-Hwa,Ku, Ji-Na,Lee, Hyun-Taek,Cho, Hyun-Ju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경상북도 약목면 일대 약 14.0$km^2$를 대상으로 개발 이전에 어느 지역이 공원유형별 입지로 적합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입지타당성평가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문헌분석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3개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며, 2차 설문분석은 각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3차 설문분석은 공원유형별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각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는 1차 평가와 2차 평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1차 평가는 분류된 모든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공원유형별 최소요구조건의 충족정도를 파악해 보는 단계로서, 최소요구조건은 중요성 분석결과, 중간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평가지표들의 가치등급기준과 사례지 현장조사의 상대적 비교를 통하여 설정하였다. 2차 평가는 최소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유형만을 대상으로 부지평가를 실시하는 단계로서, 2차 평가지표항목들에 대한 가치등급은 모두 3등급으로 정량적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평가지표별 가중치를 부여해서 공원유형별 평가지표항목들의 점수를 산술합산 하였다. 각 공원유형에 따른 산술합산 점수는 가장 높은 점수의 평균치에서 가장 낮은 점수의 평균치까지 균등 분할하여 최종 3등급으로 가치등급화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공원유형별 입지타당성 평가모델은 공간의 면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공간을 등급화 하였던 바, 차후에는 공간유형의 점, 선, 면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체험 루트, 네트워크 연결 등에 대한 내용을 반영한 평가모델의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sites being considered for development of different types of parks in the vicinity of yangmock-myun kyoung buk, where a large project(as large as about14.0$km^2$) has been plann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ree surveys for selecti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ere performed. ${\cdot}$ The first survey analyzed the importance of 23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an on-the-spot research. ${\cdot}$ The second survey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for each park type. ${\cdot}$ The third survey computed additive values of selected assessment indicators by the park types. It used a method of standardizing the average importance of indicators by making their sum equal to 10. These additiv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each grade of indicators to make a final evaluation. An evaluation of the site-suitability of park types was performed twice. The purpose of the first evaluation was to figure out how much each type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targeted for all landscape types. The minimum requirements were derived by using a 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of value rating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which was over the medium magnitude on the importance analysis, and the result of field research. A second evaluation estimated the targeted sites that met the minimum requirements. Value ratings of second assessment indicators were quantitatively divided as 1 to 3 grade and the evaluation scores were added, giving an additive value for each assessment indicator. The evaluation score on each park type was rated on a scale of 1 to 3 according to their averages, (from lowest to highest). Since this evaluation model of the site suitability on park types only focused on the 'face' of space in this study, additional analysis is necessary for setting the evaluation model and incorporating the overall impact of space, network connection and other factors, considering 'spot', 'line' and 'face' aspects of space.

      • KCI등재

        < 연구논문 > : 상장여부가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에 미치는 효과

        나경아 ( Kyunga Na ),지승민(교신저자) ( Seungmin Chee ),박종일(공동저자) ( Jong Il Park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2

        연구의 목적은 상장여부에 따라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의 재무보고의 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보수주의, 이익조정 및 발생액의 질 측면에서 살펴보았다(Ball and Shivakumar 2005; Burgstahler et al. 2006; Hope et al. 2013). 이와 달리, 본 연구는 De Franco et al.(2011)에서 제안된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측면에서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의 재무보고의 질에 어떤 체계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비상장기업은 상장기업과 달리, 주식이 시장에 공개되지 않아 소유와 경영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많고, 그로 인해 이해관계자 수가 적어 상장기업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압력이 낮다. 따라서 자본시장압력이 낮은 비상장기업은 양질의 재무정보를 산출할 유인보다는 조세절감의 유인이 더 강할 수 있어 이러한 특성이 동일산업 내의 기업 간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 상장기업은 상대적으로 자본시장압력이 높고, 공시량이 많으며, 자본시장에서의 이해관계자가 역시 많기 때문에 재무보고에 대한 규제도 높다. 또한 상장기업은 비상장기업과 비교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신뢰할만한 재무정보에 대한 수요가 있고, 이에 따른 기업의 양질의 재무정보를 산출한 유인 역시 더 높다. 이러한 상장기업의 특성은 동일산업 내의 기업 간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에도 영향을 줄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의 특성에 따라 상장기업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비상장기업과 비교하여 보다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실증적 의문을 살펴보기 위하여 De Franco et al.(2011) 및 Francis et al.(2014)에서 이용된 순이익의 비교가능성과 순이익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영업현금흐름 및 총발생액에 대한 비교가능성을 측정한 후, 분석기간 2008년부터 2014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 중 상장기업(유가증권상장과 코스닥상장)과 외부감사를 받은 비상장기업 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최종표본은 33,543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상장기업의 경우 비상장기업보다 순이익, 영업현금흐름 및 총발생액으로 측정된 비교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가능성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상장기업이 비상장기업에 비해 자본시장에서 정보이용자들에게 보다 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둘째, 표본을 Big 4 감사인여부에 따라, IFRS 의무도입 전후기간에 따라, 감사인 교체여부에 따라, 유가증권상장기업 vs. 비상장기업 간 또는 코스닥상장기업 vs. 비상장기업 간으로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모두 앞서와 일치된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발견, 즉 상장여부 자체가 비교가능성에 미치는 효과는 감사품질, 감사인 교체를 통한 이익조정 유인, IFRS의 의무도입여부 및 시장유형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게 강건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상장여부 자체가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에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연구의 발견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의 비교가능성에 어떤 체계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준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관련연구(예로,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의 이익의 질을 비교분석한 연구 및 비교가능성을 분석한 연구)에 추가적인 실증적 증거를 제공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비교가능성에 대한 정보이용자 측면을 살펴본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비교가능성을 자본시장의 특성(capital market characteristics) 측면에서 경영자의 재무보고에 대한 수요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와 관련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계뿐만 아니라 실무계, 회계기준제정기관 및 감독당국에게도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에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 차이와 관련한 이해에 유익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listing status affects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in terms of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The compar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is considered to be a qualitative characteristic which enables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o compare financial information of a certain firm with that of its peers or with that in the different periods. It may be difficult for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to make useful decision if they cannot compare numbers in the financial statements of a firm with benchmarks such as those of peer firms or those in the past periods. Although previous studies analyze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between listed firms (i.e., public firms) and unlisted firms (i.e., private firms or privately held firms), most of them focus on accounting conservatism, earnings management, or accrual quality (Ball and Shivakumar 2005; Burgstahler et al. 2006; Hope et al. 2013). Also, although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on the accounting comparability, the effect of listing status on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is still unknown. To fill this gap in the prior accounting literature, we address the question on whether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differs between listed firms and unlisted firms from the perspective of accounting comparability, as suggested in De Franco et al. (2011). Unlike listed companies which trade their stocks to the general public, an unlisted firm is held privately by a small number of shareholders without separation of ownership and management. Consequently, unlisted firms have less capital market pressures due to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owners compared to listed firms. The low capital market pressure in turn would give unlisted firms an incentive to avoid corporate tax at the expense of high financial reporting quality, causing a difference in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between unlisted firms and listed firms. In contrast, the financial reporting of listed firms is more strictly regulated because listed firms are more likely to have greater capital market pressures, greater ownership dispersion and greater number of disclosures. Listed firms also face strong demands from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creditors for reliable financial information, which motivates listed firms to produce higher quality financial inform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we hypothesize that the financial statements of listed firms are more comparable than those of unlisted firms. To investigate the addressed research question, we first estimate the comparability of net income following De Franco et al. (2011) and Francis et al. (2014). We also consider the comparability of two elements of net income, cash flow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We collect the sample from all listed companies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KSE) and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 (KOSDAQ) as well as all unlisted firms audited by an external auditor between 2008 and 2014. The final sample is 33,543 firms-year observations, consisting of non-financial firms with fiscal month of December.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fter controlling for factor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compar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of a firm, accounting comparability of listed firms in terms of net income, cash flow from operations, and total accruals appears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listed firms. This result implies listed firms provide more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in terms of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than unlisted firms do. Secondly, all results still remain when we partition the sample into two subsamples based on the following dimensions: (1) firms audited by Big 4 auditor vs. those by non-Big 4 auditor, (2) Pre-IFRS adoption period vs. Post-IFRS adoption period, (3) firms with auditor change vs. firms without auditor change, and (4) firms listed on the KSE and unlisted firms vs. firms listed on the KOSDAQ and unlisted firms. Thus, our main findings regarding the effect of listed status on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are robust to audit quality, IFRS mandatory adoption, auditor change, and stock exchange type of listed firms. To summarize, this study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current accounting literature. First, we reveal that the listing status is an important factor on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This is the first paper to address the difference in the accounting comparability between listed firms and unlisted firms. Second, our findings can provid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to the related accounting research (for example, accounting literature on the comparison of earnings quality between listed firms and unlisted firms, and/or that on the accounting comparability). Also, this study discusses th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capital market characteristics, especially capital market demands on the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rather than from the perspectives of information users docum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empirical evidence of this paper can shed light into the effect of listing status on the compar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which serves as an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to practitioners, business corporations, accounting standard setters, policy makers as well as academia. Also, our study contributes not only to the debate on unlisted versus listed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but also to the broader literature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financial reporting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