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면의 미적 발견과 유토피아

        김행숙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4 한국학연구 Vol.21 No.-

        미적 내면을 분할해내는 논리는 문학의 자율적 영토를 상상하고 제도화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했다. 그 특별한 내면이야말로 미적 유토피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소로 발견되었다. 근대적인 분화의 국면에서 '문학'이 다른 분야와의 차이로서의 가치를 담당하게 되었을 때, 미적 유토피아는 그 가치의 궁극과 통하는 관념이었다. 먼저, 내면을 세 부분으로 분할한 '지·정·의' 체계가 '문학' 개념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데 도입되었는데, 여기서 '정(감정)'은 문학의 토대가 되는 내면의 영역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진·선·미'의 가치론적인 분화의 체계에 있어서의 '미'의 가치와 연결되는 내면의 성질로 설정되었다. '문학(미)과 도덕(선)', '문학(미)과 과학(진)' 사이의 차이를 도드라지게 하고 그 연관성을 새롭게 마련하려고 했던 다양한 시도들에서 문학의 독자성이 떠오르고 있었다. '문학과 도덕'의 분할을 특별히 의식한 담론들에서 도덕적 지평을 넘어서는 미적 유토피아가 상상되었다. 또한 '문학과 과학의 차이를 강조하는 문맥에서 지적 방법의 한계가 지적되고 예술적 방법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자연미가 예찬되기도 했으며, 그 한편으론 근대문명의 놀라운 위용 앞에서 과학적 창조력을 미적 창조력과 관련시키고 싶어했는데 이 경우 유토피아는 내적 창 조력의 산물로 상상되기도 했다. 다음으론, 이렇게 특화된 미적 내면이 좀더 구체적으로 어떤 논리와 양상으로 예술적 유토피아의 관념과 연결되었는지 살폈다. 1920년대 초기에 명멸했던 많은 동인지들을 비롯해 이 시기의 텍스트들은 '내면을 들여다보는 인간'이 문학사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 장면을 보여준다. '일기'가 새롭게 문학적인 욕망 속에서 부각되었고, '고백'은 내면의 표현으로 간주되었다. 이 시기의 대다수 청년작가들은 '내면을 들여다보는 자' '성찰하는 자'의 정신을 특권화했다. '유한한 물질계'와 '무한한 정신계'라는 위계적인 이분법을 작동시킨 인식론을 토대로 배타적인 '내면 공간'은 미적 유토피아를 향한 초월의 계기로 사유되었다. 이들은 초월적 비전이 수행되는 '내면 공간'을 보여주고자 했는데, 이들의 작품에서 유토피아를 향한 초월은 계속해서 좌절되고 연기된다. 이들은 이렇게 '움직이는 내면', '고뇌하는 내면', '고독한 내면'을 보여줌으로써 '내면'의 실감을 창출해내고 있었다. 미적 유토피아라는 이상은 미적 내면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었다고 하겠다. It played an very important function that the logic to divide the inside systematizes an autonomous territory. The aesthetic inner mind based upon 'emotion' was found as the place to complete an aesthetic utopia. In an aspect of a modem specialization, when literature took charge of a an independent value to be different from other fields, the aesthetic utopia was thought to have a thread of conception with completion of such values. It was imagined that the aesthetic utopia transcends a moral horizon. Also,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 of a scientific method and it admired a natural beauty capable of arrival only a artistic method. On the other hand, a scientific creativity would be correlated an artistic originality on a surprised grand appearance in the modem civilization. This case, the utopia was also imagined as product of an inner mind. A lot of writers in the early stage of the modem literature gave a high grace to a human’s spirit of self-reflection. We regarded the inside space as a place to complete transcendence toward an artistic utopia based on dichotomy limited physical world and infinite spirit world. But, transcendence toward an artistic utopia continually was frustrated and postponed in their works. They were producing a inside actual feeling by showing 'Moving inner mind' toward the artistic utopia. We could say that the ideal called by the artistic utopia supplied energy to the artistic inner mind.

      • KCI등재

        김현 비평에서 “공감의 비평”론과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의 상관성 연구 -아도르노 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래희 ( Lae-hee Ha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4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3

        이 글은 김현의 『문학과 유토피아』라는 평론집에 ‘공감의 비평’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는 이유가 무엇일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문학은 유토피아에 대한 꿈’이라는 명제가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것이고 ‘공감의 비평’이 김현이 비평가로서 작품을 대할 때 지향하는 태도와 관련된 것이라고 할 때 제목과 부제의 연관성은 겉보기보다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본고는 ‘공감의 비평’이 ‘현실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어떻게 연결되며 그것이 가진 비평사적 의미와 한계는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김현이 문학론을 정립할 때 영향을 받았던 아도르노 미학의 주요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을 김현이 어떻게 수용, 재구성하였는지에 대한 논의를 우선적으로 진행하였다. 수수께끼, 가상, 비존재자의 드러남, 유토피아 등의 아도르노적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아도르노 미학에서 예술이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 것은 예술이 사회에서 물화의 상태에 빠진 존재자와 다른 ‘비존재자’를 드러내고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초월’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김현의 비평적 태도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김현이 아도르노 미학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 재해석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김현이 아도르노 이론에 주목했던 것은 직접적 방법을 통한 문학의 사회 참여가 예술이 자기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통찰이다. 부정적 사회에 대한 저항과 부정은 형식을 통한 형상화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아도르노적 관점은 김현이 문학적 형식을 강조하게 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그런데 문학적 형상화가 사회에 대한 부정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매개가 필요한데 김현 비평에서 그것은 본질을 형태 속에 잡아내려는 의지이다. 이런 의지는 예술 탄생의 내재적 요인이 아리라는 점에서 아도르노 미학과 김현 비평이 갈라지는 지점이 된다. 이렇게 미적 계기와 구별되는 요소로서의 의지가 주체의 ‘감시’와 ‘반성’에 의해 보충될 때 비로소 문학적 체험은 사회에 대한 부정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김지하의 시 <무화과>에 대한 김현의 평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감의 비평이 사회를 부정하는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되는 양상과 조건을 살펴보았다. 공감의 비평은 미적 가상을 통한 화해의 체험이지만 그런 화해는 불가능한 비존재를 통한 초월이라는 점에서 허위의식으로서의 화해이기도 하다. 화해이자 허위의식인 공감의 비평이 부정적 사회와의 싸움의 계기가 되려면 매개 고리가 필요한데 그것이 자기 대상화를 통한 욕망의 분석과 ‘고문하는 의식’을 통한 자기반성이고 이것이 김현의 공감의 비평을 사회 부정의 힘으로서의 문학론과 연결시키는 매개임을 살펴보았다. 문학을 통한 초월이 하나의 ‘물신’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경계, 예술은 허위의 진실을 진실의 허위성에 대한 인식으로 바꾸는 과정이라는 김현의 문학적 입장은 문학이 물신이기를 자처하는 오늘의 사회적 현실에 그의 비평이 던지는 메시지 중 하나일 것이다.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why Kim Hyun`s book, ‘Literature and utopia’ has a subtitle criticism of sympathy. It seems that there is not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title and subtitle because the title ‘Literature and utopia’ means literature is the dream about utopia, and the subtitle is related with the attitude toward literary work. The main theme of this thes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Kim Hyun`s theory of the literature as the power of reality negation. The theory of Th. W. Adorno has a big impact on the Kim Hyun`s criticism. First of all, I examine how Kim Hyun adopt and reinterpret he theory of Th. W. Adorno. The main concept of Adorno`s aesthetics is the puzzle, aesthetic illusion, revelation of nonexistence. In Adorno`s aesthetics, the reason art is the antithesis of society is that art reveals the nonexistence and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which is impossible in real world. Kim Hyun`s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nd the society is another main issue. Understanding the way Kim Hyun adopt and reconstruct the Adorno`s theory is a good way to grasp the issue. Kim Hyun is influenced by the Adorno`s idea that the direct participation in society could bring about the self-negation of art. Adorno`s theory that the resistance through the literary form is the only way to fight the oppressive society contributes the formation of Kim Hyun`s literary theory. Kim Hyun emphasize the will to capture the essence of the reality. This will is the intersection between Adorno and Kim Hyun. Reflection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literature`s function as negation of society. W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Criticism of sympathy and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in Kim Hyun`s criticismby analysing of Kim Hyun`s essay on the poem ‘fig’. Criticism of sympathy is the experienc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aesthetic form, but it also means false awareness because such transcendence is not real. There needs to be an intermediation between the criticism of sympathy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s negation of society. Self-reflection and torture is the key of that intermediation.

      • KCI등재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부재한 유토피아

        박미정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8 No.-

        이 글은 문학과 현실에 나타난 유토피아의 모습을 밝히고, 이청준의 대표적 장편소설인 <당신들의 천국>에 부재한 유토피아의 모습을 분석하여 이 소설이 유토피아를 지향하는 현대인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를 말했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문학과 현실에서 유토피아적 시공간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지만, 근본적으로 유토피아에 대한 사람들의 지향점은 일치한다. 특히 근대이후의 유토피아 개념은 현실 속에서 이루고자 하는 과학적 이성과 연결된다. 과학적 이성에 의한 유토피아의 건설이 실패함으로써 디스토피아 문학이 등장한다. 이청준의 대표적인 장편 소설인 <당신들의 천국>은 제목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실현되지 못한 유토피아이다. 주인공인 조백헌 원장은 사회적 소수자를 위해 대규모의 간척공사를 시도하며, 나환자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들고자 했다. 그것은 진정나환자들이 바라는 것이 아니었다. 그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권력의 불평등과 소외였다. 이 글은 <당신들의 천국>을 유토피아의 물질적 조건, 유토피아와 권력, 유토피아와 소외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정상인과 비정상인이 함께 이루어야 할 유토피아의 모습에 대해 고찰하였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appearance of Utopia in the reality and the literature, then analyze <Heaven of yours>, the long novel by Lee Cheong Jun, and show what this novel give some meaning to the reader. The appearance of Utopia in the reality and the literature is vary according to the age and situation, but it is the same to aim Utopia of the people. Especially on the modern times the meaning of Utopia was related with scientific reason. Making Utopia with scientific reason was failed and the Dystopia literature was appeared. <Heaven of yours> by Lee Cheong Jun expressed the failed Utopia like its title. The hero, Cho Bag Heon ,the director of hospital in sorog island, tried to make reclamation works for leprous patients. But it was not important to them. The serious problem of them was unfair and being keep a distance between leprous patients and heathy people. I analyzed <Heaven of yours> focused on the terms of Utopia, the power of Utopia and keeping a distance of Utopia. Then I wrote my consideration about the Utopia made together.

      • KCI등재

        교정 과정 안에서 본 문학의 역할과 그 의미

        전석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문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정의는 각각의 문학의 정의에 따라 상이하다. 그런데 교정 과정 안에서 문학이 어떻게 적용되는가의 문제에 준해서 본다면 실천의 문제가 관건일 것이다. 즉 문학의 기능과 역할은 교정의 현장에서 인간을 얼마만큼이나 변화시킬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진행된다. 첫째, 문학의 여러 기능에 비추어 교정 교육과의 일반적인 관계를 논의한다. 그리고 그러한 논의를 통해 문학을 통한 교정 역할의 미래적 전망을 예비적으로 제시해 보기로 한다. 둘째, 문학을 통한 교정의 궁극적 목적이 ‘자기구원’이라고 상정하고, 그 개념을 ‘유토피아’를 향한 지양, 즉 ‘튜모스(thymos)의 회복’이라는 틀을 통해 해명하고 그 재구성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재소자들을 위한 문학 활용의 결과가 ‘자기구원’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그 실례를 제시하고,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논의의 대상으로 교도소 생활 중 문학의 실천을 통해 자기구원에 이른 프랑스 작가 장 주네와 한국 작가 이철용을 중요한 모델로 차용하였다. The definition about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is variant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of literature. However, a matter of practice will be crucial related to the matter, how the literature is applied within the process of corrections. That is, the function and role of literature depend on the fact that how much it can change humanbeings within the field of corrections. Based on such a premise, this study will be proceed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will be discussed the general relation of literature and corrections' education based on the various functions of literature. And it will be will suggested its future perspectives through the trial of new relation. Secondly, postulating that the ultimate goal of correction through the literature is 'self-salvation', that concept will be clarified and reconstructured through the frame of 'Aufheben towards Utopia', that is, 'the recovery of thymos.' Finally, it will be presented and examined the case of the 'self salvation'. In this study, up for such discussion will be French writer Jean Genêt, and Korean writer Lee, Cheol-yong who were achieved self-salvation through the practice of literature during their imprisonment.

      • KCI등재

        유토피아의 소설적 해법

        정보라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3

        플라톤의 『국가』로부터 시작하여 도스또옙스끼의 『까라마조프의 형제』 중 『대심문관』과 자먀찐의 『우리들』에서 쁠라또노프의 『체벤구르』까지, 이상적인 사회를 주제로 한 서구-러시아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이상 사회의 공통점은 공동체로서의 화합과 조화이다. 그러나 『국가』에서는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서라면 개인이 희생하는 것을 전제로 삼았고 『대심문관』 에서는 절대적인 권위로 인간을 억압하며, 『우리들』에서는 역사를 조작하고 수술과 처벌을 통해 사회 구성원들이 개별적으로 사고하고 회의하며 인간적 감정을 느낄 능력을 박탈한다. 기본적인 생존이 보장되고 공동체 구성원들이 일체감과 유대감을 느낀다 해도 이러한 사회는 이상적인 사회일 수 없다. 반면에 『체벤구르』에서 체벤구르 마을의 구성원들은 고정된 일률적 강령 없이 여러 가지 실험을 거치면서 서로를 위해 노동하고 유대감과 목표의식을 공유하는 이상적 공동체로 발전해 나간다. 이 과정이야말로 진정한 유토피아이다. 체벤구르 마을은 오히려 그 체제가 완성되고 난 이후에 내부로부터 부패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여 결국은 정체불명의 군대에게 습격당해 와해된다. 이것은 체벤구르 마을이 이상향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완전히 타락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작가의 장치이면서 또한 영원히 안정된 이상향은 존재할 수 없다는 절망의 표현으로도 보인다. 이러한 이상향의 타락은 유토피아 소설로서 『체벤구르』의 장르 구분에 문제를 제기할 소지가 되며,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작품 안에서 체벤구르 마을은 건설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있었을 때는 분명 행복한 공동체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문학 속의 유토피아를 위한 하나의 해답이 있다. 건설적인 목표를 향하여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자발적으로 함께 노력하는 과정이 이상향이라는 것이다. 이런 방향에서 접근할 때 유토피아는 역동적인 모습을 띠고 다양한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며, 구성원들에게 하나의 고정된 체제를 강요하기보다 구성원들과 함께 성장하는 세계가 된다. 『체벤구르』에서 뿔라또노프는 이상적공동체의 건설 과정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사상으로서의 유토피아와 유토피아문학에 대한 하나의 해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은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통해 유토피아 건설의 이상을 실제로 체험해본 사람만이 보여줄 수 있는 관점이다. 소비에트 문학 혹은 현대 러시아 문학을 연구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를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파타포(pataphor)적 상상력과 향유 없는 유토피아

        서동수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imagination of pataphor of and useless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Especially We will research scientific and fairy imagination coexist and non-consumption of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The utopia-orientation is connected with a burning desire for independent economy. Especially, the contrast between new gener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children, and old generation is surpassing the sight of generational theory. Always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was hopeful future. There are various invention as a result of advanced technology and skills. Mega plants and animal that created through genetic engineering resolve the food problem. And robot works instead of men. People of life increases as a result of elixir of life.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emphasize scientific illusions. Because Science Fiction needs feasibility. Absurd illusion cannot enlighten and attract the public. The point I wish to emphasize is that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was made pataphysical condition mixed scientific and fairy imagination. Pataphysics is a philosophy or media theory dedicated to studying what lies beyond the realm of metaphysics. The concept was coined by French writer Alfred Jarry (1873–1907), who defined 'pataphysics as "the science of imaginary solutions, which symbolically attributes the properties of objects, described by their virtuality, to their lineaments". There are pataphysical condition of two aspect. First, pataphysical condition secure concreteness through scientific imagination and dream of utopia through fairy imagination. Another there are non-consumption of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Utopia presents only setting. Non-consumption of utopia resulted excess of desire cause catastrophe in the world. 본 연구는 북한과확환상문학에 나타난 파타포적 상상력과 소비없는 유토피아를 고찰하는데 있다. 특히 과학적 상상력과 동화적 상상력의 결합 방식이 유토피아의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북한의 유토피아 기획은 경제적 자립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주의권 국가들과의 매끄럽지 못한 관계는 북한으로 하여금 외로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만들었다. 국제정세의 불안정과 함께 안으로는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과학환상문학이 그리는 미래는 늘 희망적이었다. 그곳에는 최신의 다양한 과학실험과 발명품들이 생산되고 있었으며, 유전학에 의한 거대동식물은 음식문제를 해결해주고 있었다. 또 로봇들은 인간에게 노동의 해방을 안겨주었으며, 불로장생의 약을 통해 수명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고 있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동화적 환상이 가상의 상태로 머물지 않고 일정한 실재감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가상과 현실이 중첩되어 현실감을 획득하는 것을 파타피지컬한 세계라고 부른다. 프랑스 작가 알프레드 자라의 신조어인 파타피직스는 상상적 해결의 과학으로서, 가상성으로 기술되는 대상의 속성들을 그것들의 용모(lineament)와 상징적으로 조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과학환상문학의 파타피지컬한 상황은 동화적 상상력의 가상성을 과학적 상상력과의 결합을 통해 구체성을 확보하며, 한편으로는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는 소비없는 유토피아를 그려낸다.

      • KCI등재

        20세기 초 러시아 반유토피아 문학 연구 - 장르와 이미지, 모티브를 중심으로 -

        김성일(Kim, Sung-il)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과 예술은 다양하고 독특한 사조와 학파, 개념들의 혼종의 시기였다. 이 시기는 이미 반유토피아 세계관이 사회의식 속에 싹틀 전제조건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중요한 과학적 성취와 새로운 경제 체제의 발전, 그리고 당시 새롭게 형성되고 있던 개인에 대한 관념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러시아 반유토피아 문학 장르의 주요 특징 및 이미지와 모티브는 다음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반유토피아는 고통과 불평등의 실제 현실을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적 의미를 드러내 준다. 이것은 작품 속에서 이상사회의 내부적 균열을 일으키는 구조가 된다. 반유토피아의 장르적 특징을 나타내주는 이미지로는 광장과 박물관, 의식 등이 있다. 광장은 권력의 중심이자 의식이 행해지는 신화적 공간이며, 박물관은 이상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를 나타내주고 주인공 일탈의 공간적 배경이 된다. 의식은 반유토피아의 의사 카니발적 삶의 양식으로 작용한다. 반유토피아의 중요한 특징적 모티브로 사랑과 이데올로기적 대화가 있다. 사랑은 실제 현실을 경험하게 하는 직접적인 촉매제가 되며, 이데올로기적 대화는 반유토피아 작품에서 반복되는 중요한 라이트 모티브로서 실제적 진실과 허구적 진실의 대립을 분명히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 이외에 독특한 공간과 시간 모델은 반유토피아의 이중세계의 장르적 특징을 규정하는 데 효과적인 모델로 제시된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and art was a period of hybridization of diverse and unique trends, schools, and concepts. This period already contained prerequisites for the anti-Utopian worldview to sprout in social consciousness. These are important scientific achievements, the development of a new economic system, and the newly formed ideas of individuals at the time. The main characteristics, images, and motifs of the Russian anti-Utopian literary gen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nti-utopia reveals the essential meaning of human existence through the real reality full of pain and inequality. This becomes a structure that creates internal cracks in the ideal society. Images that represent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anti-utopia include squares, museums, and rituals. The square is the center of power and the mythical space where rituals are performed, and the museum represents the boundary between the ideal world and the real world, and become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protagonist"s departure from the utopia world. The ritual acts as an anti-utopian pseudo-carnival lifestyle. The characteristic motifs of anti-utopia are love and ideological dialogue. Love becomes a direct catalyst to experience real reality, and ideological dialogue is an important light motif that is repeated in anti-utopia works, which clearly shows the confrontation between real and fictional truths. In addition, the unique space and time model is presented as an effective model for defin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anti-Utopia dual world.

      • KCI등재

        1960년대 북한 과학환상문학의 성립과 환상의 문제

        김민선 동악어문학회 2022 동악어문학 Vol.87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cientific fantasy used in various cultural writing and science fantasy stories published in the 1960s when North Korea's science fiction, science fantasy literature, builds its genre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 would like to review the process in which North Korean literature constitutes the interior and genre customs of scientific fantasy literature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reative practice of scientific fantasy literature. This study focused to read that North Korea's science fantasy literature, was carried out through disputes among writers and the process of utilizing the technology of various writing. Therefore, this article begins by paying attention to two texts that used scientific fantasy among the texts published in the popular cultural magazine Chǒllima in the 1960s, but were not named scientific fantasy literature. “Wuri Bada Ryǒhangki” and “Omǒni Gigyedǔlui Moim” present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eople by utilizing the eyes and voices of the machine, respectively. This scientific fantasy used by these texts is repeatedly used in various scientific fantasy literature texts. The illusion of machine singing was included in the children storie's fantasy due to the children story's convention of anthropomorphize. On the other hand, the fantasy of future travel stories has been incorporated into a new genre called ‘science fantasy story’. This is proves that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is easily recognized as ideological and formal at first glance, constituted the interior of it across various genres. 이 글은 북한의 SF인 과학환상문학이 그 장르적 특성을 구축하는 1960년대에 발표된 다양한 교양적 글쓰기와 과학환상이야기에 활용된 과학적 환상에 주목한다. 이로써 이론적 논의와 과학환상문학의 창작적 실천을 통해 북한문학이 과학환상문학의 내부와 장르적 관습을 구성하는 과정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는 북한 과학환상문학이 이념적이고 견고하게 보이는 것과는 달리 문학가들 사이의 논쟁과 다양한 글쓰기의 기술 활용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음을 읽어내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이 글은 1960년대 대중교양지 『천리마』에 게재된 텍스트 중 과학적 환상을 활용하였으나, 과학환상문학으로 명명되지 않은 두 편의 텍스트에 주목하는 것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우리 바다 려행기」와 「어머니 기계들의 모임」은 각기 기계의 시선과 목소리를 활용하여 인민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제시한다. 이 텍스트들이 활용하는 과학적 환상은 과학환상동화의 환상에 대한 문학장 내의 논쟁을 비롯하여, 다양한 과학환상문학 텍스트들에서 반복되어 활용된다. 동화에서 자주 활용하는 기법인 의인화와의 친연성과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미래를 ‘기행’한다는 전형성으로 인해 이들 텍스트가 보여준 환상은 각기 동화와 과학환상이야기라는 세부 장르의 특성으로 포함된다. 이는 당대의 북한 사회가 꿈꾸고 있던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을 표현하는 방식과 맞닿아 있다. 또한 일견 이념화되어 정형화 된 것으로 인식되기 쉬운 북한의 문학이 기실은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그 내부를 구성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북한 과학환상문학에 나타난 파타포(pataphor)적 상상력과 향유 없는 유토피아

        서동수 ( Dong Soo Se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북한과확환상문학에 나타난 파타포적 상상력과 소비없는 유토피아를 고찰하는데 있다. 특히 과학적 상상력과 동화적 상상력의 결합 방식이 유토피아의 형상화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자 한다. 북한의 유토피아 기획은 경제적 자립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주의권 국가들과의 매끄럽지 못한 관계는 북한으로 하여금 외로운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만들었다. 국제정세의 불안정과 함께 안으로는 신구세대간의 갈등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과학환상문학이 그리는 미래는 늘 희망적이었다. 그곳에는 최신의 다양한 과학실험과 발명품들이 생산되고 있었으며, 유전학에 의한 거대동식물은 음식문제를 해결해주고 있었다. 또 로봇들은 인간에게 노동의 해방을 안겨주었으며, 불로장생의 약을 통해 수명에 대한 걱정이 사라지고 있었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동화적 환상이 가상의 상태로 머물지 않고 일정한 실재감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가상과 현실이 중첩되어 현실감을 획득하는 것을 파타피지컬한 세계라고 부른다. 프랑스 작가 알프레드 자라의 신조어인 파타피직스는 상상적 해결의 과학으로서, 가상성으로 기술되는 대상의 속성들을 그것들의 용모(lineament)와 상징적으로 조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과학환상문학의 파타피지컬한 상황은 동화적 상상력의 가상성을 과학적 상상력과의 결합을 통해 구체성을 확보하며, 한편으로는 단지 배경으로만 존재하는 소비없는 유토피아를 그려낸다. This study purposes to analyze imagination of pataphor of and useless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Especially We will research scientific and fairy imagination coexist and non-consumption of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The utopia-orientation is connected with a burning desire for independent economy. Especially, the contrast between new gener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children, and old generation is surpassing the sight of generational theory. Always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was hopeful future. There are various invention as a result of advanced technology and skills. Mega plants and animal that created through genetic engineering resolve the food problem. And robot works instead of men. People of life increases as a result of elixir of life.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emphasize scientific illusions. Because Science Fiction needs feasibility. Absurd illusion cannot enlighten and attract the public. The point I wish to emphasize is that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was made pataphysical condition mixed scientific and fairy imagination. Pataphysics is a philosophy or media theory dedicated to studying what lies beyond the realm of metaphysics. The concept was coined by French writer Alfred Jarry (1873.1907), who defined ``pataphysics as the science of imaginary solutions, which symbolically attributes the properties of objects, described by their virtuality, to their lineaments. There are pataphysical condition of two aspect. First, pataphysical condition secure concreteness through scientific imagination and dream of utopia through fairy imagination. Another there are non-consumption of utopia in North Korean Science Fiction. Utopia presents only setting. Non-consumption of utopia resulted excess of desire cause catastrophe in the world.

      • KCI등재

        최인훈 산문에 나타난 예술론과 문학론 연구

        박성태(Park, Seong-tae)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5

        전후 최대의 작가라 불리는 최인훈은 다수의 소설과 희곡을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분량의 산문을 남겼다. 그의 산문들에서 가장 심도 있게 다뤄지는 주제는 예술론과 문학론이다. 그간 최인훈의 예술론 연구는 그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학적 실천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소설과 달리 산문에서는 작가의 사유가 보다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피난민이자 실향민, 그리고 전후 분단시대의 근대작가라는 자의식을 지녔던 최인훈은 예술이 역사와 개인의 단절에서 오는 소외의식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믿었다. 그는 자신의 역사철학적 예술론에 인류의 궁극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유토피아적 상상력을 지속적으로 투영시켰다. 개인적 처지에서 파생된 사고를 역사적 사유로 끌어올렸다는 점,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에서 발생된 정체성 상실의 상황을 극복의 열망으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그의 예술론과 문학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최인훈은 예술의 기원을 인류의 궁극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상상력의 발현에서 찾았다. 개인으로서의 인식과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행위가 불일치하는 이익사회에서 상상력은 나타난다. 최인훈에게 예술은 개인과 공동체의 화해 및 성과 노동의 분배가 평등한 공동사회의 꿈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예술은 감상자에게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어 인류가 쌓아온 문명정보의 총량을 전달함으로써, 감상자에게 인류 진화의 완성을 상상적으로 선취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한편 그는 문학을 참여적 언어예술로 보았다. 예술로서의 문학은 유토피아적 상상력에 기초하여 현실을 부정하고 언어를 통하여 현실에 개입한다. 문학은 현실에 내재하는 현실 부정의 계기로서 기능한다. 최인훈은 참여의 의미를 문학이 관념을 표출할 때 방법이나 풍속 중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을 잡는 주체성에서 찾았다. 또한 그는 언어의 속성에 주목하여 고전문학과 근대문학을 구분했다. 고전문학이 대종교의 언어와 조응하여 정답을 재현한다면, 근대문학은 종교의 상징적 언어를 배제하고 질문과 좌절을 반복함으로써 개인과 공동체의 화해를 도모한다. 그의 예술론과 문학론은 일차적으로 자신의 문학행위에 대한 이론적 정립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역사의 문제에 천착했던 그의 사유는 분단시대에 궁극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상상력에 기초한 예술론과 참여적 문학론을 낳았다. Choi In-hun is a great writer after the Korean war. He has a lot of essay as well as creative fiction and drama. He asked the meaning of art in this division age on his essays. He believed that the arts contribute to the overcoming historic sense of alienation. His theory of art is a philosophical history. He reflects the community-oriented imagination in his theory of art. The imagination is expressed when the mismatch between recognition as an individual and action as an community member. He thinks not only the origins of art but also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ppreciator. The arts provide an imaginative experience of the final evolution to the appreciator. And he saw literature as a participatory language arts. The language implies the thinking and emotions of the community. Literature as the art that was born with the utopian imagination functions as a moment of negation. He separates the classics and modern literature, based on the properties of the language. The classical literature corresponds with religious language, but the symbolic language of religion is excluded at the modern literature. Choi In-hun’s Modern literary artist plays a role as a secular pri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