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 평가과정 주도성 차이와 유보 통합 평가지표 요구 간 상관성

        김현경 ( Hyun Kyoung Kim ),송경섭 ( Kyoung Seob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와 평가과정의 주도성, 평가지표 통합 요구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기 위해 유아교사 26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교사의 유치원 평가지표 이해도는 3.70으로 평균(2.5)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육과정> 건강 및 안전> 교육환경> 교육과정> 운영관리 영역 순으로 높았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도는 4.13으로 평균(2.5)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상호작용> 안전> 보육환경> 건강과 영양> 보육과정> 운영관리 영역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는 직위, 경력, 학력, 평가경험,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직위, 경력,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유치원교사보다는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평가과정의 주도성은 유치원(3.91) 및 어린이집 교사(3.97) 모두 평균(2.5)보다 높았으며, 어린이집 교사와 다르게 유치원 교사의 경우 직위와 경력, 평가경험,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어린이집 교사의 주도성이 유치원 교사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유보 통합 평가지표에 대한 요구도는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보통수준(2.04)이며, 어린이집 교사는 2.34로 유치원 교사보다 평가지표 통합 요구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 교사의 유보 통합 평가지표에 대한 요구와 평가지표이해도 및 평가참여주도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와 평가과정의 주도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보평가지표통합에 대한 인식 수준도 함께 높음을 유추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for comparing the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assessment and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with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I investigated 263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issue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was 3.70 that was higher than the average(2.5), followed by curriculum> health and safety> education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 the case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the evaluation areas was 4.13 that was far higher than the average(2.5), followed by interaction> safety> nursing situation> health and nutrition>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and for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according to the position, career,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Moreover, the level of the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Secondly, in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the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oth the teachers of kindergarten(3.91) and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3.97) were higher than the average(2.5). There was a difference for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position, career, the experience of assessment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However, for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the initiative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Thirdly,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n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were the average level(2.04) and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ere 2.34,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Lastly, between the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the index of the assessment and the initiativ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in this study. Such results could be inferred that the higher level they hav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and the initiative of the process of assessment, the higher level they have on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I did suggest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영유아교육 보육기관 통합평가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에 대한 분석: 미국과 호주의 평가 지표와 비교

        김희진,박재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2 No.4

        This paper focuse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facility installation, environment composition) of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accreditation system, this paper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 evaluation criteria of physical environment of Korean accreditation system and those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American and the Australian accredit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omparisons with those of the two countie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acility installa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installation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safety adequacy and facilities for disability for children. Second, in the 'Environment composition' sub-scale, there was a report on the composition suitability and developmental suitability, but there was no indication of harmony with environment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ore detailed criteria for indoor and outdoor safety need to be added to evaluate the physical environment. Second, definitions and key concepts of each evaluation category need to be clarifi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ategory. Third, in order for children to learn about environment protectio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need to reflect these concepts, and should be evaluated as well. Finally, the accreditation criteria need to evaluate how well the physical environment accommodates the needs of those with various disabilities. While evaluation criteria need have clear guidelines to ensure a high standard of “care” among all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t should also be flexible enough to be properly implemented based on relevant context of each institution.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의 4개 카테고리 중 물리적인 환경(시설설비 환경 구성)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영유아교육·보육기관의 물리적 환경의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지표의 적절성과 보완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평가를위한 제언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유치원 어린이집 통합평가지표, 미국의지표 ACECQA호주의 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 지표와 비교 분석하였다두 국가와의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평가지표의 경우 시설설비 항목 중 실내·외 시설설치여부,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안전적합성과 장애유아시설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환경 구성 항목 중 실내·외 공간구성 적합성, 발달 적합성에 관한 내용이 있었고, 장애유아에 대한 내용과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물리적 환경 항목에 실내·외 안전 적합성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둘째, 평가 지표 항목의 카테고리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었다. 셋째, 환경과의 연계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으며, 넷째, 장애 유아를 위한 시설의 고려를 포함하는 내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다섯째, 융통성있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세부적 내용의 수정이 필요하였으며 전체의 조화로운 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 추가될 필요가 있었다. 끝으로 우리나라의 지표에 두드러진 발달을 고려한 내용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이경화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8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7 No.1

        It has been about 10 ye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government-initiated evalu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the kindergarten evaluation system and the accreditation system for child-care center.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methods have changed several times and the current integrated system has been applied to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since 2017. At this point, the research was to read critically the rea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he researcher contended that the current evaluation system has distorted the ess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homogenized the curriculum, and cut out the institutional variety. Additionally, the researcher recommended future evaluation system working for children’s rights to play and to live healthy and the institutions’right to autonomy. 정부 주도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가 도입, 시행된 지 10 여년의 시간이 흘렀다. 몇 차례에 걸친 지표 개정과 평가 방식의 변화가 있었고, 2017년부터는 통합지표체계가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적용되고 있다. 이 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가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그 현실을 비판적 관점으로 진단하고, 영유아기관 평가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현행 영유아교육기관 평가가 영유아교육의 본질을 왜곡하고 있으며, 영유아교육과정을 획일화 하고, 기계적 방식으로 영유아교육 현장을 재단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아이의 놀이할 권리와 건강하게 성장할 권리가 존중되는 평가, 내부자들이 기관평가의 주체가 되고 교육과정의 다양성이 보장되는 평가로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